KR101326481B1 -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 Google Patents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481B1
KR101326481B1 KR1020130104666A KR20130104666A KR101326481B1 KR 101326481 B1 KR101326481 B1 KR 101326481B1 KR 1020130104666 A KR1020130104666 A KR 1020130104666A KR 20130104666 A KR20130104666 A KR 20130104666A KR 101326481 B1 KR101326481 B1 KR 10132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fixed
heat
combustion chamber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to KR102013010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8Details
    • F23H11/28Replaceable burning-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에 관한 것으로, 소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작동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소각물을 내부의 연소실로 투입하는 투입장치와, 상기 투입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재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성한 본체; 상기 본체의 연소실에 설치되되, 다단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실린더의 로드 작동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구동화격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1, 2버너; 상기 본체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배출하는 재처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화격자에 구성된 각각의 이동수단은,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결합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수단에 슬라이드결합되되, 후방에는 안내가이드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설치대를 형성한 이동본체; 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동본체의 설치대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제1, 2결합홈을 각각 형성한 제1, 2결합바;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설치대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제1, 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1, 2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1, 2결합바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이동상판과, 각각의 이동상판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전판으로 구성된 내열이동강판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A down-ventilated flame incinerator}
본 발명은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각물의 소각처리를 화재 걱정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파손된 부분만 교체를 통해 신속한 유지보수는 물론, 지체없는 소각작업을 이룰 수 있으며, 이동수단에 구성된 내열이동강판부의 안정적인 고정설치를 통해 전후이동에 따른 소각물의 교반을 오작동 없이 원활히 이룰 수 있고, 경사판과 밀대에 설치된 롤러를 통해 소각물의 투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산업발전에 따른 부산물로 각종 쓰레기, 폐기물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문제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깨끗하고 안락한 환경에 대한 욕구,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등과 맞물려 그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폐기물을 매립하거나 해양에 배출하기도 하였으나 최근 폐기물의 매립 및 배출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국제적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매립 대신 소각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최근까지 각종 쓰레기, 폐기물 등의 소각을 위한 소각로가 곳곳에 증설되어 지금도 활발하게 가동 중에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소각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139호인 폐기물 교반용 화격자를 갖는 하향통풍식 폐기물 소각장치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의 폐기물 교반용 화격자를 갖는 하향통풍식 폐기물 소각장치는 교반용 화격자가 고정단과 이동단으로 구성되어 계단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과 이동단은 통상의 내화블록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내화블록은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벽돌은 고온에 잘 견디는 장점은 있으나 세라믹의 특성상 취성(brittleness)을 가져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어, 상부에 위치한 이동단의 작동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고정단으로 소각물이 이동될 때, 내화블록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내화블록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화블록이 깨지게 되면, 깨진 부분의 고정단 또는 이동단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보수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보수 작업 후에도 건조에 따른 대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소각로 가동 중단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소각 처리량의 현격한 감소로 인해 매일같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는 구동화격자가 계단형으로 설치됨은 물론, 연소실에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소각물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하향통풍시키는 격벽을 통해 소각물과 연소가스가 연소실 내에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의 작동을 통해 소각물의 교반을 이룰 수 있어 소각물의 소각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완전연소된 재는 수밀형 재처리부를 통해 냉각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화격자의 고정수단이 고정브라켓부에 복수 개로 분리결합되는 내열고정강판부로 구성되고, 이동수단이 이동본체에 복수 개로 분리결합되는 내열이동강판부로 구성된 것을 통해 각각의 내열고정강판부 및 내열이동강판부의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로 신속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으며, 교체 후 곧바로 소각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대에 전방 하부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격홈을 복수 개로 형성하는 고정구와, 내열이동강판부 양측에 형성되어 이격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를 통해 내열이동강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수단의 전후이동에 따른 소각물의 교반을 원활히 이룰 수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소각물을 연소실로 투입시키는 투입장치가 경사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소각물을 연소실로 투입시키는 밀대에 롤러가 형성된 것을 통해 소각물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부와 투입장치와 배기부와 배출구를 구성한 본체; 상기 본체의 연소실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계단형 구동화격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연소실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1, 2버너; 상기 본체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는 재처리부;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이동수단은,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수단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이동본체; 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동본체에 고정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제1, 2결합홈을 각각 형성한 제1, 2결합바;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설치대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제1, 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1, 2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1, 2결합바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이동상판과, 각각의 이동상판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전판으로 구성된 내열이동강판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는 구동화격자가 계단형으로 설치됨은 물론, 연소실에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소각물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하향통풍시키는 격벽을 통해 소각물과 연소가스가 연소실 내에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의 작동을 통해 소각물의 교반을 이룰 수 있어 소각물의 소각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완전연소된 재는 수밀형 재처리부를 통해 냉각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화격자의 고정수단이 고정브라켓부에 복수 개로 분리결합되는 내열고정강판부로 구성되고, 이동수단이 이동본체에 복수 개로 분리결합되는 내열이동강판부로 구성된 것을 통해 각각의 내열고정강판부 및 내열이동강판부의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로 신속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으며, 교체 후 곧바로 소각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대에 전방 하부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격홈을 복수 개로 형성하는 고정구와, 내열이동강판부 양측에 형성되어 이격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를 통해 내열이동강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수단의 전후이동에 따른 소각물의 교반을 원활히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소각물을 연소실로 투입시키는 투입장치가 경사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소각물을 연소실로 투입시키는 밀대에 롤러가 형성된 것을 통해 소각물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를 도시한 좌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화격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이 작동상태를 상태를 도시한 구동확격자의 좌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확대 도시한 좌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좌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물(미도시)을 처리하기 위한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100)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와, 구동화격자(40)와, 제1버너(50)와, 제2버너(60)와, 재처리부(70)로 이루어진다.
첫째, 본체(10)는 소각물을 투입시켜 투입된 소각물을 연소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공기공급을 위한 통상의 노즐(13b)이 벽면에 다수 설치된 연소실(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소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1)를 후방 상부에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투입부(11)의 하측에는 상기 투입부(11)를 통해 투입된 소각물을 작동실린더(14)의 구동에 따라 내부의 연소실(13)로 투입시키는 투입장치(15)가 구성되는데, 상기 투입장치(15)는 투입부(11)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각물을 공급받는 경사판(15a)과, 상기 경사판(15a)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15b)에 힌지결합되는 작동실린더(14)와, 상기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에 결합되어 소각물을 연소실(13)로 투입시키는 이송밀대(15e)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15a)은 투입부(11)를 통해 투입된 소각물을 연소실(13)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판으로, 투입된 소각물을 작동실린더가 작동할 때에만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10 ~ 20°정도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밀대(15e)는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에 결합되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밀대(15c)와, 상기 밀대(15c)에 결합되어 경사판(15a)에 맞닿는 롤러(15d)로 구성됨으로써, 작동실리더(14)의 작동시 전, 후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밀대(15c)의 전면에는 롤러(15d)에 의해 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감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투입부(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17)와, 상기 배기구(17)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연소가 완료된 재를 배출하는 배출구(1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둘째, 구동화격자(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3)에 설치됨으로서 투입되어 적층된 소각물을 연소시키는 구성으로써, 소각물의 교반을 통한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계단형으로 층을 형성하여 다단형으로 형성되며, 다단으로 배치 구성된 각각의 구동화격자(40)는 고정수단(20)과 이동수단(30)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0)과 이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 구동화격자(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동화격자(40)의 고정수단(20)은 다단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각각의 고정수단(20)은 연소실(1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부(23)와, 상기 고정브라켓부(23)에 고정결합되는 내열고정강판부(28)로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0)의 고정브라켓브(23)는 연소실(13)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과, 각각의 고정브라켓(21)에 구성되어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체결홈(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0)의 내열고정강판부(28)는 상기 체결홈(22)에 대응되는 체결공(24)을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브라켓(21)에 각각 체결수단(26)으로 결합되는 고정상판(25)이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분리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상판(25)의 전방에는 고정상판(25)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전판(2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26)은 상기 체결홈(22)과 체결공(24)에 결합되는 통상의 볼트(26a)와, 상기 볼트(26a)의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브라켓(21)과 고정상판(25)을 서로 결합시키는 너트(26b)와, 상기 고정브라켓(21)과 고정상판(25) 사이에 끼워지는 제1와셔(26c)와, 고정브라켓(21)과 너트(26b) 사이에 끼워지는 제2와셔(26d)를 통해 고정수단(20)의 견고한 체결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0)은 고정브라켓부(23)에 분리결합되는 다수의 내열고정강판부(28)에 의해 파손 발생시 파손된 부분만 즉각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내열고정강판부(28)가 내열강으로 제작된 것에 의해 건조가 불필요하므로, 교체 후 바로 소각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내열고정강판부(28)가 다수로 형성되어 조립되게 되면, 각각의 내열고정강판부(28)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별도의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소각물이 보다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내열고정강판부(28)의 고정상판(25)에는 통기공(25a)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화격자(40)의 이동수단(30)은 도 1 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실린더(S)의 로드(L) 작동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이동수단(30)은 이동본체(33)와, 제1결합바(35)와, 제2결합바(36)와, 내열이동강판부(3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수단(30)의 이동본체(33)는 실린더(S)의 로드(L) 끝단에 결합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수단(20)에 슬라이드결합되는 구성으로, 후방에는 고정수단(20)의 하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이동되는 안내가이드(31)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복 수개의 내열이동강판부(39)를 분리결합하기 위한 설치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바(35)는 상기 설치대(32)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34)을 통해 상기 이동본체(33)에 구성된 설치대(32)에 전방 부분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내열이동강판부(39)를 조립하여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홈(35a)이 제1결합바(35)의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결합바(36)는 상기 설치대(32)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34)을 통해 상기 설치대(32)의 후방 부분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내열이동강판부(39)를 조립하여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홈(36a)이 제2결합바(36)의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내열이동강판부(39)는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상기 이동본체(33)의 설치대(32)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구성으로, 제1, 2결합홈(35a, 36a)에 대응되는 제1, 2결합구(37a, 37b)를 형성하여 상기 제1, 2결합바(35, 36)에 각각 볼트(B)결합되는 이동상판(37)을 복수 개로 구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이동상판(37) 전방에 는 상기 이동상판(37)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전판(38)이 결합되어 소각물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바(36)가 결합되는 내열이동강판부(39)의 하부에는 제2결합바(36)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홈(39b)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열이동강판부(39)가 보다 이동본체(33)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설치대(32)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는 내열이동강판부(39)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 분리조립되게 구성되므로, 파손 발생시 파손된 내열이동강판부(39)만 즉각 교체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내열이동강판부(39)는 제1, 2결합바(35, 36)에 각각 볼트(B)로 결합되는 것을 통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내열이동판부(39)가 다수로 형성되어 조립되게 되면, 각각의 내열이동강판부(39)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별도의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소각물이 보다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상기 내열이동강판부(39)의 이동전판(38)에는 통기공(38a)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본체(33)의 설치대(32)에 복수 개로 결합되는 각각의 내열이동강판부(39)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설치하여 소각물의 교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이동본체(33)의 형성된 설치대(32)의 전방 하부에 고정구(32b)를 등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고정부(32b)의 사이사이에 이격홈(32a)을 복수 개로 형성한 후, 상기 내열이동강판부(39) 양측에는 상기 고정구(32b)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홈(41)에 끼워져 내열이동강판부(39)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끼움부(39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하면, 상기 내열이동강판부(39)의 끼움부(39a)가 이동본체(33)의 이격홈(32a)에 끼워져 고정구(32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이동수단(30)을 통한 소각물의 이동 및 교반시 오작동 없이 원활한 왕복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셋째, 제1버너(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연소실(13)로 화염을 분사하는 통상의 버너로,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화격자(40)에 적층된 소각물로 화염을 분사도록 구성된다.
넷째, 제2버너(6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연소실(13)로 화염을 분사하는 또 다른 통상의 버너로, 연소실(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소각물의 연소가스를 다시 한번 완전연소시키는 구성이다.
다섯째, 재처리부(70)는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9)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화격자(40)의 하측에 설치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재처리부(70)는 구동화격자(40)의 작동에 따라 하측으로 배출된 재를 임시저장하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연결설치되어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상의 이송배출기(7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케이스(71) 내부에는 연소완료된 재를 냉각시키는 물이 수용되며, 상기 이송배출기(73)의 타측에는 재를 수거하는 통상의 수납함(미도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각물의 소각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실(13)의 연소가스가 배기부(17)로 빠르게 유동되어 완전연소되지 않은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연소실(13)에 격벽(13a)을 추가로 구성하여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연소실(13)의 하측에 좁게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소각물의 소각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연소실(13)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설치된 격벽(13a)을 통해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천천히 이동되어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진 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므로, 연소가스내에 포함되어 있는 응축성 타르 및 오일이 상향통풍식에 비해 효과적으로 감소되게 되며, 가스의 온도도 800˚정도의 고온의 상태에서 유출되므로 배출구(17) 및 배출구(17)에 연결되는 관로(미도시)가 폐색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연소가스가 하향통풍되는 과정에서 매연이나 공해물질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2버너(60)를 통해 연소가스의 재연소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배기가스처리장치 없이도 연소가스를 보다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제1, 2버너(50, 60)에 의한 화염이 직접 건류열로 전달되므로 빠른 건류를 이룰 수 있고, 연소실(13)의 상부에는 제2버너(60)에 의해 화염이 항상 존재하므로, 연소실(13)에 설치된 각각의 노즐(13B)을 통해 공기가 과잉공급되더라도 가스의 폭발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투입부(11)를 통해 소각물이 투입되면, 상기 투입부(11)에 하측에 설치된 투입장치(15)의 작동실린더(14)가 작동하여 이송밀대(15e)가 롤러(15d)에 의해 경사판(15a)을 따라 부르럽게 전, 후 왕복이송되고, 이와 같은 이송밀대(15e)의 전, 후왕복이송에 의해 경사판(15a)에 안착된 소각물이 연소실(13)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소실(13)로 투입된 소각물은 구동화격자(40)의 최상층에 적층되는데, 이처럼, 구동화격자(40)의 최상단에 위치한 고정수단(20)에 적층된 소각물은 제1버너(50)의 가동에 따라 연소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연소실에 내벽에 다수로 설치된 노즐을 통해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제1버너를 통한 소각물의 연소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소각물의 연소가 일정량 일어나면, 자동제어를 통해 공,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S)가 한차례 전후 왕복우동하여 일정량 연소된 소각물을 다음 층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소각물의 교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소되는 소각물은 5 ~ 7층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구동화격자(40)를 각각 거치는 도중 충분한 교반과 체류시간을 가지게 되어 소각물의 완전연소가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소각물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제2버너(60)를 통해 재연소될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가 연소실(13)에 형성된 격벽(13a)을 통해 천천히 유동되어 연소가스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므로, 배기부(17)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유해물질이 거의 남지않게 된다.
한편, 소각물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연소실(13)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3a)을 통해 하향통풍되면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지게 되므로, 연소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충분히 제거한 상태로 배출구(17)로 배출할 수 있는데, 상기 연소실(13)의 상부에는 연소가스에 화염을 분사하는 제2버너(60)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재연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소가스를 보다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계단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구동화격자(40)를 모두 거침으로써 완전연소되어 배출되는 재는 배출구(19)를 통해 재처리부(70)로 배출되는데, 상기 재처리부(70)로 배출되는 재는 케이스(71)에 저장된 물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이송배출기(73)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되므로 재처리에 따른 운전의 정지나 화재의 위험 없이 본 발명의 연속사용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수단(30)을 통한 소각물의 이동 도중 내열고정강판부 (28)또는 내열이동강판부(39)에 파손이 발생할 경우에는, 파손된 부분의 내열고정강판부(28) 또는 내열이동강판부(39)의 볼트결합을 분리하여 즉시 교체하여 곧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필요한 부분만의 교체를 신속하게 이루어 곧 바로 소각작업을 하는 것을 통해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소각물 처리를 지체 없이 이룰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투입부 13 : 연소실 13a : 격벽 13b : 노즐 14 : 작동실린더 14a : 작동로드 15 : 투입장치 15a : 경사판 15b : 힌지브라켓 15c : 밀대 15d : 롤러 15e : 이송밀대 17 : 배기구 19 : 배출구
20 : 고정수단
21 : 고정브라켓 22 : 체결홈 23 : 고정브라켓부 24 : 체결공 25 : 고정상판 25a : 통기공 26 : 체결수단 26a : 볼트26b : 너트 26c, 26d : 제1, 2와셔 27 : 고정전판 28 : 고정판부
30 : 이동수단
S : 실린더 L : 로드 31 : 안내가이드 32 : 설치대 32a : 이격홈 32b : 고정구 33 : 이동본체 34 : 브라켓 35, 36 : 제1, 2결합바 35a, 36a : 제1, 2결합홈 37 : 이동상판 37a, 37b : 제1, 2결합구 38 : 이동전판 38a : 통기공 39 : 내열이동강판부 39a : 끼움부 39b : 안착홈
40 : 구동화격자 50, 60 : 제 1, 2버너
70 : 재처리부 71 : 케이스 73 : 이송배출기
100 :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Claims (5)

  1. 소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1)와, 상기 투입부(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작동실린더(14)의 구동에 따라 소각물을 내부의 연소실(13)로 투입하는 투입장치(15)와, 상기 투입부(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17)와, 상기 배기구(17)의 하측에 형성되어 재를 배출하는 배출구(19)를 구성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3)에 설치되되, 다단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20)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실린더(S)의 로드(L) 작동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수단(30)으로 구성된 구동화격자(4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연소실(13)로 화염을 분사하는 제1, 2버너(50, 60);
    상기 본체(10)의 배출구(19)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배출하는 재처리부(70);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화격자(40)에 구성된 각각의 이동수단(30)은,
    실린더(S)의 로드(L) 끝단에 결합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수단(20)에 슬라이드결합되되, 후방에는 안내가이드(31)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설치대(32)를 형성한 이동본체(33);
    브라켓(34)을 통해 상기 이동본체(33)의 설치대(32)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제1, 2결합홈(35a, 36a)을 각각 형성한 제1, 2결합바(35, 36);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상기 이동본체(33)의 설치대(32)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제1, 2결합홈(35a, 36a)에 대응되는 제1, 2결합구(37a, 37b)를 형성하여 상기 제1, 2결합바(35, 36)에 각각 볼트(B)결합되는 이동상판(37)과, 각각의 이동상판(37)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전판(38)으로 구성된 내열이동강판부(3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3)을 격벽(13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15)는,
    상기 투입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각물을 공급받는 경사판(15a);
    상기 경사판(15a)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15b);
    상기 힌지브라켓(15b)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되는 작동로드(14a)를 구성한 작동실린더(14);
    상기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에 결합되어 왕복이송되는 밀대(15c)와, 상기 밀대(15c)에 결합되어 경사판(15a)에 맞닿는 롤러(15d)로 구성된 이송밀대(15e)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화격자(40)에 구성된 각각의 고정수단(20)은,
    연소실(13)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과,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좌우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되는 체결홈(22)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부(23);
    상기 체결홈(22)에 대응되는 체결공(24)을 형성하여 각각의 고정브라켓(21)에 각각 체결수단(26)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상판(25)과, 상기 고정상판(25)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전판(27)으로 구성된 내열고정강판부(28);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본체(33)의 형성된 설치대(32)의 전방 하부에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격홈(32a)을 복수 개로 형성하는 고정구(32b)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내열이동강판부(39) 양측에는 상기 고정구(32b)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홈(41)에 끼워져 내열이동강판부(39)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끼움부(39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1020130104666A 2013-09-02 2013-09-02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10132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66A KR101326481B1 (ko) 2013-09-02 2013-09-02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66A KR101326481B1 (ko) 2013-09-02 2013-09-02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481B1 true KR101326481B1 (ko) 2013-11-08

Family

ID=4985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666A KR101326481B1 (ko) 2013-09-02 2013-09-02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4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31B1 (ko) * 2016-11-18 2017-05-0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고효율 복합식 연소 스토커장치가 구비된 소각로
KR101732937B1 (ko) * 2015-10-30 2017-05-24 (주)창화에너지 다중관 보일러를 가지는 화격자 소각로
EP3348903A1 (de) * 2017-01-12 2018-07-18 I.C.E. Ag Rostblock
KR102607369B1 (ko) * 2023-09-20 2023-11-29 (주)이씨티 수냉식 화격자
KR102618690B1 (ko) 2023-08-21 2023-12-27 청주시시설관리공단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 바닥재 막힘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29B1 (ko) 1996-11-14 1999-09-15 김형벽 왕복동식 스토커가 설치된 폐기물 소각장치
KR20020088256A (ko) * 2001-05-21 2002-11-27 (주)일산금속 소각로의 소각물 투입장치
KR100498992B1 (ko) 2002-12-24 2005-07-05 (주)한국환경기술 소각로의 폐기물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29B1 (ko) 1996-11-14 1999-09-15 김형벽 왕복동식 스토커가 설치된 폐기물 소각장치
KR20020088256A (ko) * 2001-05-21 2002-11-27 (주)일산금속 소각로의 소각물 투입장치
KR100498992B1 (ko) 2002-12-24 2005-07-05 (주)한국환경기술 소각로의 폐기물 이송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937B1 (ko) * 2015-10-30 2017-05-24 (주)창화에너지 다중관 보일러를 가지는 화격자 소각로
KR101733431B1 (ko) * 2016-11-18 2017-05-0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고효율 복합식 연소 스토커장치가 구비된 소각로
EP3348903A1 (de) * 2017-01-12 2018-07-18 I.C.E. Ag Rostblock
KR102618690B1 (ko) 2023-08-21 2023-12-27 청주시시설관리공단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 바닥재 막힘제거 장치
KR102607369B1 (ko) * 2023-09-20 2023-11-29 (주)이씨티 수냉식 화격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481B1 (ko)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101784678B1 (ko) 이중투입구를 갖는 폐기물 소각로
KR101156579B1 (ko) 이동식 동물소각로
JP2014238241A (ja) 乾留焼却炉およびそれを備えた乾留式焼却システム
KR100901494B1 (ko) 가연성 폐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열회수 소각 연소로의 자동 재처리 장치
KR200471741Y1 (ko) 소각로용 화격자 유닛
KR101974150B1 (ko) 고형연료 연소설비
KR102110167B1 (ko) 연소공기 토출구를 분할배치시켜 바이오매스 연소속도에 대응하는 수냉 및 공냉 일체형 화격자
KR101438578B1 (ko)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와 소각로
JP2015090221A (ja) 混合型廃棄物焼却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20120032718A (ko) 화격자 연소방식의 소각로
KR102196355B1 (ko) 고형연료 소각로
JP2007322099A (ja) 乾留ガス化燃焼炉
JP4113066B2 (ja) 廃棄物ガス化燃焼システム
JP2013133943A (ja) 廃棄物燃焼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200452693Y1 (ko) 소각로용 에어노즐 라이너
KR101142257B1 (ko) 생활 및 난연성 폐기물 혼합 소각 시스템 전용 소각로
KR101042292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2618690B1 (ko)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 바닥재 막힘제거 장치
JP2011252660A (ja) 廃油脂類の焼却装置
KR102399041B1 (ko) 스토커식 소각로
KR100898723B1 (ko) 폐기물 처리를 위한 초고온 환원분해로
KR101684361B1 (ko) 하수 슬러지 혼합 소각 지원 소각 장치
KR100217005B1 (ko) 복합형 소각장치
JP7057028B1 (ja) 固形状燃焼物の燃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