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12B1 -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 Google Patents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12B1
KR102319512B1 KR1020200055142A KR20200055142A KR102319512B1 KR 102319512 B1 KR102319512 B1 KR 102319512B1 KR 1020200055142 A KR1020200055142 A KR 1020200055142A KR 20200055142 A KR20200055142 A KR 20200055142A KR 102319512 B1 KR102319512 B1 KR 10231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combustion
fixed
incin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갑
Original Assignee
김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갑 filed Critical 김용갑
Priority to KR102020005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101Furnace arrangements with stepped or inclined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700/00Grate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r applications
    • F23H2700/009Grates specially adapted for inci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화격자가 분리구조를 갖는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연쇄대상이 공급되는 투입부와;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소각대상 건조되는 건조구역과, 건조구역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되어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건조된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구역과, 연소구역을 통과한 소각대상이 연소된 후 연소재의 형태로 이동되는 후연소구역으로 구분되는 연소실과, 연소실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화격자와, 상부에 소각대상이 안착되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소실의 연소구역에서 후연소구역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안착된 소각대상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가 계단형태로 반복배치되는 연료이동유닛과, 이동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과, 소각대상을 연소를 위하여 연료이동유닛의 하부에서 연료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소각대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연소부와; 후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는 상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Incinerator having grate}
본 발명은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이 집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화격자의 관리가 용이한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설비는 다수개의 고정화격자 배열과 다수개의 이동화격자 배열이 번갈아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소각대상이 화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소각 처리된다.
소각설비는 소각대상이 소각 처리됨으로써 발생되는 이물질과 고열에 의해서 설비에 잔고장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계단식으로 번갈아 배열되는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는 고열에 의해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의 소각설비들은 고열과 여러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잦은 설비 고장이 발생하고 유지보수의 어려움과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030호에는 화격자 수명을 연장하는 구조를 갖춘 수평식 배열의 연소화격자가 개시되어있다. 개시된 수평식 배열의 연소화격자는 제1경사프레임에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교대로 설치되며, 제1수직프레임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의 로드에는 타측에 작동부재가 연결된 회동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경사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의해 소정 연결수단을 통해 이동화격자가 수평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의 다음 단에 설치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다음 단에 설치되어 연소된 재를 재차 연소하는 후연소부를 포함하며, 고정 및 이동 화격자는 일측 선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마모방지부재가 부착 설치된다.
이러한 연소화격자는 고열에 의한 고정 및 이동 화격자의 뒤틀림 또는 고정 및 이동 화격자의 상면 마모에 대한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0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698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이 집중되어 고열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으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구역에 소각대상과 접하는 상부가 분리 가능한 고정화격자를 배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교체작업으로 인한 설비의 휴지기간을 줄일 수 있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화격자 및 이동화격자의 사이에서 연소재가 윤활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화격자 및 이동화격자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소각대상이 공급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소각대상이 건조되는 건조구역과, 상기 건조구역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되어 상기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건조된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구역과, 상기 연소구역을 통과한 소각대상이 연소된 후 연소재의 형태로 이동되는 후연소구역으로 구분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화격자와, 상부에 소각대상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실의 상기 연소구역에서 상기 후연소구역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안착된 소각대상을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가 계단형태로 반복배치되는 연료이동유닛과, 상기 이동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과, 소각대상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소각대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연소부와; 상기 후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동화격자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되며 이동축에 체결되는 제1 축결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면에 소각대상이 안착 되고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제1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폭방향 좌우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의 상기 제1 베이스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에 안착 되는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1 스크래퍼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상기 이동화격자들의 상기 제1 축결합부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 유동억제돌기를 포함하는 제1 유동억제부와, 상기 제1 공기유입홈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방향 좌우로 분산되어 순회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부를 냉각시키는 제1 순회유도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2 축결합부와, 상기 제2 축결합부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소각대상을 밀어내는 제2 스크래퍼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축결합부는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2 고정축체결부와, 상기 제2 고정축체결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공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몸체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공이 관통형성된 제2 길이연장부와, 상기 제2 길이연장부의 연장방향 단부에서 상기 제2 길이연장부의 폭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크래퍼부 일측에 인입되게 형성된 제2 결합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스크래퍼부의 일측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덮개부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은 상기 제2 스크래퍼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결합헤드부를 상기 제2 스크래퍼부의 일측으로 가이드하며 타측은 상기 제2 길이연장부와 접촉되도록 상호 근접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2 길이연장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화격자는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되며, 동일한 수평선상의 상기 고정화격자들 중 양외측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들은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와, 제3 체결부에서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몸체부와, 상기 연소실의 측벽과 소각대상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연소실의 측벽과 접촉되는 상기 제3 몸체부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가 경사진 클링커억제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동억제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 유동억제돌기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의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가 인입되되, 인접한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와 상호 결속되게 하며 상기 제1 공기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깊이가 얕게 인입형성된 제1 유동억제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는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고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동억제홈은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래퍼부는 하부에 형성되며 연소재가 인입되어 윤활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1 스크래퍼부의 마모를 지연시키는 제1 마모지연홈과, 상기 제1 마모지연홈으로 연소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크래퍼부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연소재인입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료이동유닛은 상기 클링커억제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측벽과 접하는 일면의 타면 상부가 상기 측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볼록하게 돌출된 면의 상부는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소각대상이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볼록하게 돌출된 면의 하부는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소각대상이 부딪혀 내측으로 회귀되도록 하는 연료가이드편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클링커억제편은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제2 고정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료가이드편은 상기 제1 고정편과 상기 제2 고정편이 인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의 저면에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열이 집중되는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의 소각대상과 접하여 마모 또는 뒤틀림으로 손상이 쉬운 몸체부가 몸체부를 지지하는 축결합부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교체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설비의 휴지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고정화격자의 상면에 쌓인 소각대상을 이송시키는 이동화격자의 스크래퍼부의 하부에 형성된 마모지연홈으로 연소재가 인입되어 윤활 역할을 함으로써, 이동화격자의 마모가 지연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료이동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화격자의 배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화격자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분리고정화격자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분리고정화격자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이동화격자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이동화격자 및 고정화격자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이동화격자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연료이동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가 도시되어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1)는 소각대상이 투입되는 투입부(8)와, 투입부(8)를 통해 공급된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부(2)와, 연소부(2)에서 연소되어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한다.
이때, 소각대상은 발명의 용도에 따라 소각처리를 위한 폐기물이거나 보일러 가열을 위한 석탄과 같은 연료일 수 있다.
투입부(8)는 연소부(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투입부(8)는 소각대상이 투입되는 투입구(8a)와, 투입구(8a)의 하부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투입푸셔(8b)를 포함한다.
투입구(8a)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호퍼형상이다.
투입푸셔(8b)는 투입구(8a)의 하부측에 쌓인 소각대상을 연소부(2)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길이 신축이 가능한 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1)는 투입부(8)의 투입구(8a)와 투입푸셔(8b)를 이용하여 연소부(2)로 소각대상을 운반한다. 그러나 실시 예와 달리 투입부(8)는 이송컨베이어, 크레인 등으로 구성되어 연소부(2)로 소각대상을 운반할 수 있다.
배출부는 연소부(2)의 타측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9)를 구비한다.
배출구(9)는 하부로 개방된 통로로 형성되며, 연소부(2)에서 소각대상이 연소되어 생성된 연소재를 연소부(2)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1)의 배출부는 하부로 개방된 배출구(9)를 구비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배출부는 연소재가 저장되는 탱크가 구비되거나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연소재가 연소부(2)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투입부(8)와 배출부는 각각 연소부(2)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연소부(2)의 중심에서 연소부(2)의 일측, 즉 투입부(8)를 향하는 방향을 좌측방향인 제1방향, 연소부(2)의 중심에서 연소부(2)의 타측, 즉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을 우측방향인 제2방향으로 표현한다.
연소부(2)는 건조구역(A)과, 연소구역(B)과, 후연소구역(C)로 구분되는 내부공간(11)을 형성하는 연소실(3)과, 투입부(8)에서 투입된 소각대상을 건조구역(A)에서부터 후연소구역(C)을 지나 배출구(9)까지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40) 및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을 포함하는 연료이동유닛(4)과, 이동화격자(40)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6)과, 연료이동유닛(4)의 하부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7)을 구비한다.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일체형 고정화격자(60), 분리형 고정화격자(160),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260), 제2 사이드고정화격자(미도시)로 구분되며, 각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소실(3)은 내부공간(11)을 형성하며, 연소조건에 의해 내부공간(11)은 건조구역(A), 연소구역(B), 후연소구역(C)으로 구분될 수 있다.
건조구역(A)은 연소구역(B)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소각대상이 건조되는 구간이다. 투입부(8)에서 투입되는 소각대상은 건조구역(A)에 위치하는 연료이동유닛(4)의 상부에 안착된다. 소각대상은 연료이동유닛(4)에 의해 건조구역(A)에서 연소구역(B)으로 이동되는 동안 건조된다.
연소구역(B)은 열이 집중되는 구역으로, 소각로 내부 화염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소각대상이 연소된다. 연소구역(B)에는 화염을 제공하는 화염발생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연소구역(B)에서는 건조구역(A)에 비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많아 건조구역(A)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된다. 연소구역(B)에서는 건조구역(A)을 통과하며 건조된 소각대상이 연소된다. 연소구역(B)에 위치하는 소각대상은 처음 발화된 이후에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화력이 작아지거나 화염을 추가로 제공하지 않아도 연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구역(B)에 위치하는 소각대상은 연료이동유닛(4)에 의해 후연소구역(C)으로 이동된다.
후연소구역(C)은 연소구역(B)에서 충분히 연소된 소각대상이 거의 재가 된 상태로 연소된다. 후연소구역(C)에서 연소되어 생성된 연소재는 연료이동유닛(4)에 의해 배출구(9)로 이동된다.
연료이동유닛(4)은 내부공간(11)에 설치된다. 연료이동유닛(4)은 건조구역(A)부터 후연소구역(C)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연소실(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각대상을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40)와, 건조구역(A) 및 후연소구역(C)에 위치하는 일체형 고정화격자(60)와, 연소구역(B)에 위치하는 분리형 고정화격자(16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일체형 고정화격자(60)의 폭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된 일체형 고정화격자(60) 및 동일한 수평선상에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고정형 고정화격자(160)의 폭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된 분리형 고정화격자(160)의 최외측에 설치되어 연소실(3)의 측벽과 소각대상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고정화격자(260)(미도시)와, 이동화격자(40) 및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을 지지하는 화격자 지지부(20)를 구비한다.
화격자 지지부(20)는 이동화격자(40)를 지지하는 이동화격자 지지부(21)와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을 지지하는 고정화격자 지지부(26)를 포함한다.
이동화격자 지지부(21)는 구동유닛(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이동프레임(22)과, 베이스이동프레임(22)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이동프레임(23)과, 수직이동프레임(23)의 상단에 설치되는 이동축(24)과, 베이스이동프레임(22)을 지지하며 베이스이동프레임(2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5)를 구비한다.
베이스이동프레임(22)은 연소실(3) 내부에서 제2방향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계단형식으로 배열되며, 총 6개의 베이스이동프레임(22)이 연소실(3) 내부에 설치된다. 베이스이동프레임(2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나의 베이스이동프레임(22)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3개의 수직이동프레임(23)이 제2방향을 따라 높이가 낮아지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롤러(25)는 베이스이동프레임(22) 하부에서 베이스이동프레임(22)을 지지한다. 가이드롤러(25)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하나의 베이스이동프레임(22)을 지지한다.
고정화격자 지지부(26)는 제2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되며 연소실(3)의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고정축(27)과, 연소실(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다수의 고정축(27)을 지지하는 경사프레임(28)을 구비한다. 고정축(27)은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과 연결된다.
고정축(27)은 제2방향을 따라 이동축(24)과 번갈아 배치된다. 고정축(27)은 고정축들(60, 160, 260, 미도시)을 고정한다.
경사프레임(28)은 고정축(27)의 길이방향 양측의 연소실(3) 측벽에 설치되어 고정축(27)을 지지한다.
계단 형태로 배열된 이동화격자(40)들은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의 각 상부에 위치된다. 이동화격자(4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각대상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몸체부(41)와, 제1 몸체부(41)와 연결되며 이동축(24)에 체결되는 제1 축결합부(51)로 형성된다.
제1 몸체부(41)는 제1 베이스부(42), 제1 스크래퍼부(44), 제1 유동억제부(46), 제1 순회유도편(48)을 구비한다.
제1 베이스부(42)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길이연장된다. 제1 베이스부(42)는 상면에는 소각대상이 안착된다. 제1 베이스부(42)의 하부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제1 공기유입홈(43)이 형성된다. 제1 공기유입홈(43)은 제1 베이스부(4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공기유입홈(43)은 공기 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순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베이스부(42)의 제2방향을 따라 깊이가 작아지도록 계단형태로 형성된다.
제1 스크래퍼부(44)는 제1 베이스부(42)의 제2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스크래퍼부(44)의 상면은 제1 베이스부(42)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제1 스크래퍼부(44)의 하면이 제1 스크래퍼부(44)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의 상면과 접촉한다. 제1 스크래퍼부(44)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화격자들(60, 160, 260, 미도시)의 상단에 안착된 소각대상을 제2방향으로 밀어낸다. 제1 스크래퍼부(44)는 제1 베이스부(4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동화격자(40)의 제1 베이스부(42)와 폭방향 좌우로 인접하는 다른 이동화격자(40)의 제1 베이스부(42)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공기유동로(45)가 형성된다.
제1 유동억제부(46)는 인접하는 이동화격자(40)들의 제1 축결합부(51)간의 유동을 방지한다. 제1 유동억제부(46)는 복수의 제1 유동억제돌기(47)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유동억제돌기(47)는 제1 베이스부(42)의 폭방향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게 돌출된다. 제1 유동억제돌기(47)는 제1 스크래퍼부(44)가 제1 베이스부(42)에 대해 돌출된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1 순회유도편(48)은 제1 공기유입홈(43)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제1 순회유도편(48)은 제1 베이스부(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순회유도편(48)은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공기 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1 순회유도편(48)에 의해 제1 베이스부(42)의 폭방향 좌, 우로 분산되어 순회되도록 한다.
제1 축결합부(51)는 제1 베이스부(42)의 제1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축결합부(51)의 하부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인입형성된다. 제1 축결합부(51)의 폭방향 양측에는 개방된 제1 축결합홈(52)이 형성된다. 제1 축결합홈(52)에 이동축(24)이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동화격자(40)는 이동화격자 지지부(21)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고정화격자(60)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화격자(40)는 고정화격자(60)의 상단에 안착된 소각대상을 제2방향으로 밀어내며 소각대상을 배출구(9)로 이동시킨다.
일체형 고정화격자(60)는 건조구역(A)과, 후연소구역(C)에 설치되며, 이동화격자(4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일체형 고정화격자(60)는 제1 몸체부(41), 제1 축결합부(51)를 구비하며 이동화격자(4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체형 고정화격자(60)는 고정축(27)에 의해 고정된다.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일체형 고정화격자(60)는 나란하게 설치된다. 건조구역(A)과, 후연소구역(C)에서 일체형 고정화격자(60)와 이동화격자(40)는 전후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어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소구역(B)에 설치되는 분리형 고정화격자(160)는 고정축(27)에 체결되는 제2 축결합부(165)와, 제2 축결합부(165)와 분리가 가능하며 제2방향으로 소각대상을 밀어내는 제2 스크래퍼부(162)를 구비하는 제2 몸체부(161)와,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제2 축결합부(165)는 제2 고정축체결부(166), 제2 길이연장부(167), 제2 결합헤드(169)를 구비한다.
제2 고정축체결부(166)는 하부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인입형성되며 폭방향 양측이 개방된 제2 축결합홈(166a)이 형성되며 제2 축결합홈(166a)에 고정축(27)이 인입되어 체결된다.
제2 길이연장부(167)는 제2 고정축체결부(166)의 제2방향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길이연장부(167)는 연장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제2 길이연장부(167)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된 다수의 공기순환공(168)을 구비하며, 공기 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다수의 공기순환공(168)을 통해 제2 길이연장부(167)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61)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결합헤드(169)는 제2 길이연장부(167)의 연장방향 단부에서 제2 길이연장부(167)의 폭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결합헤드(169)의 제2방향 단부는 상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제2방향으로 돌출된 제2 인입돌출부(169a)가 형성된다. 제2 결합헤드(169)의 폭방향 양측 하부에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 가이드돌출부(169b)가 형성된다.
제2 결합헤드(16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래퍼부(162)의 제1방향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 몸체부(161)는 제2 스크래퍼부(162)와, 제2 덮개부(163)와,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을 구비한다.
제2 스크래퍼부(162)의 하면이 이동화격자(40)의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동화격자(4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화격자(40)의 상단에 안착된 소각대상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화격자(4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 스크래퍼부(162)와 접촉한다. 이때 이동화격자(40)는 제2 스크래퍼부(162)의 하부에서 계속해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스크래퍼부(162)와 접촉된 소각대상은 제2 스크래퍼부(162)에 의해 이동화격자(40)의 상단에서 이동화격자(40)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밀려난다.
제2 스크래퍼부(162)의 제1방향 단부에는 제2 결합헤드(169)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형성되어 제2 결합헤드(169)가 제2 스크래퍼부(162)의 제1방향 단부에 인입되는 제2 결합헤드인입홈(162a)이 형성된다. 제2 결합헤드인입홈(162a)은 제2방향 단부의 상부가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 결합헤드(169)가 인입될 때 제2 결합헤드의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단부와 맞닿아 제2 결합헤드(169)가 제2 결합헤드인입홈(162a)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덮개부(163)는 제2 스크래퍼부(162)의 제1방향 단부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덮개부(163)의 상단에는 소각대상이 안착된다. 제2 스크래퍼부(162)의 상면과 제2 덮개부(163)의 상면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은 제2 덮개부(163)의 하면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2 덮개부(16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은 제2방향으로는 제2 스크래퍼부(162)까지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이 제2 가이드돌출부(169b)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제2 결합헤드(169)를 제2 스크래퍼부(162)까지 가이드한다.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의 제1방향 단부는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길이연장부(167)의 폭방향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상호 근접되게 절곡된다.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과 제2 길이연장부(167)는 상호 접촉된 부분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결합수단은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164)과 제2 길이연장부(167)가 접촉된 부분을 관통하여 인입되는 핀(170)을 구비한다. 결합수단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볼트, 리베이트, 접착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고정화격자(260)(미도시)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일체형 고정화격자(60)의 폭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된 일체형 고정화격자(60) 및 동일한 수평선상에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고정형 고정화격자(160)의 폭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된 분리형 고정화격자(160)의 최외측에 설치되어 연소실(3)의 측벽과 소각대상의 접촉을 차단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26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제2 사이드고정화격자(미도시)는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260)와 접촉된 연소실(3) 일측 측벽의 타측 측벽에 접촉되어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260)와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2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소각대상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몸체부(261)와, 제3 몸체부(261)와 연결되며 고정축(27)에 체결되는 제3 축결합부(271)와, 연소실(3)의 측벽과 소각대상의 접촉을 차단하는 클링커억제편(275)을 구비한다.
제3 몸체부(261)는 제3 베이스부(262), 제3 스크래퍼부(264), 제3 순회유도편(268)을 구비한다.
제3 베이스부(262)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길이연장된다. 제3 베이스부(262)는 상면에는 소각대상이 안착된다. 제3 베이스부(262)의 하부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제3 공기유입홈(263)이 형성된다. 제3 공기유입홈(263)은 연소실(3)의 측벽에 근접하게 중심이 치우치도록 인입된다. 제3 공기유입홈(263)은 제3 베이스부(26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3 공기유입홈(263)은 공기 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순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3 베이스부(262)의 제2방향을 따라 깊이가 작아지도록 계단형태로 형성된다.
제3 스크래퍼부(264)는 제3 베이스부(262)의 제2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제3 스크래퍼부(264)의 상면은 제3 베이스부(262)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제3 스크래퍼부(264)의 하면이 제3 스크래퍼부(264)의 아래에 위치하는 이동화격자(40)의 상면과 접촉한다. 제3 스크래퍼부(264)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화격자(40)의 상단에 안착된 소각대상을 제2방향으로 밀어낸다.
제3 순회유도편(268)은 제3 공기유입홈(263)의 상단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제3 순회유도편(268)은 제3 베이스부(2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순회유도편(268)은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공기 공급유닛(7)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3 순회유도편(268)에 의해 제3 베이스부(262)의 폭방향 좌, 우로 분산되어 순회되도록 한다.
제3 축결합부(271)는 제3 베이스부(262)의 제1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제3 축결합부(271)의 하부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인입형성되며 폭방향 양측이 개방된 제3 축결합홈(272)이 형성된다. 제3 축결합홈(272)에 고정축(27)이 인입되어 고정된다.
클링커억제편(275)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베이스부(262)의 상면에서 측벽에 접촉되게 연결된다. 클링커억제편(275)의 제2방향 단부는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경사져있다. 클링커억제편(275)의 연소실(3) 측벽과 대향되는 면에는 냉각을 위하여 공기 공급유닛(7)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수용 및 체류되는 내홈(279)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유닛(6)은 이동화격자 지지부(21)의 제1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이동프레임(22)을 좌, 우로 왕복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유닛(6)은 다수의 실린더가 적용되었다.
실린더는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실린더의 제2방향 단부에 연결된 제1 베이스부(4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수의 제1 베이스부(42)에는 각각 하나의 실린더가 연결되며, 실린더에 의해 제1 베이스부(42)는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베이스부(42)에는 3개의 이동화격자(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3개의 이동화격자(40)가 하나의 유닛으로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유닛(6)은 실린더가 적용되었으나, 이외에도 모터, 랙 앤 피니언 등 제1 베이스부(4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공기 공급유닛(7)은 연소실(3)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소실(3)의 하부에서 연료이동유닛(4)의 상부에 안착된 소각대상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공급유닛(7)은 건조구역(A), 연소구역(B), 후연소구역(C)에 공기 공급량을 서로 다르게 공급할 수 있으며, 연수구역(B)에 많은 공기를 공급하여 소각대상의 연소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공급유닛(7)은 다수의 팬이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1)는 연소구역(B)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160)가 제2 몸체부(161)와 제2 축결합부(165)로 이루어져있으며, 제2 몸체부(161)가 마모 또는 뒤틀림으로 손상되면 제2 몸체부(161)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설비의 휴지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이동화격자(240)가 도시되어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이동화격자(340)의 유동억제부(341)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유동억제부(341)는 유동억제돌기(342)와, 유동억제홈(343)을 구비한다.
유동억제돌기(342)는 제1 베이스부(42)의 폭방향 일측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유동억제돌기(342)는 돌출된 방향을 따라 폭이 선형적으로 좁아지게 돌출된다. 또한 유동억제돌기(342)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유동억제홈(343)은 유동억제돌기(342)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베이스부(42)의 폭방향 타측 상부에서 인입되게 형성된다. 유동억제홈(343)은 유동억제돌기(342)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동억제돌기(34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동억제홈(343)은 유동억제돌기(342)의 돌출길이보다 깊이가 얕게 인입형성된다. 따라서, 유동억제돌기(342)와 유동억제홈(343)이 체결된 이동화격자(340)들 사이에는 제1 공기유동로(344)가 형성된다. 제1 공기유동로(344)를 통하여 이동화격자(340) 하부에서 공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이동화격자(34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이동화격자(340)의 유동억제돌기(342)는 인접한 다른 이동화격자(340)의 유동억제홈(343)에 인입됨으로써, 인접한 이동화격자(340)들의 상호 결속력이 향상된다. 또한 유동억제돌기(342)가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하나의 이동화격자(340)의 유동억제돌기(342)를 인접한 다른 이동화격자(340)의 유동억제홈(343)에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시킬 때 유동억제홈(343)의 상부의 폭이 유동억제돌기(342)의 하부 폭보다 커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건조구역과 후연소구역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는 이동화격자(24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이동화격자(440) 및 일체형 고정화격자(460)가 도시되어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이동화격자(440)의 제1 스크래퍼부(441)와 일체형 고정화격자(460)의 제1 스크래퍼부(441)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 스크래퍼부(441)는 마모지연홈(442)과, 연소재인입홈(443)을 구비한다.
마모지연홈(442)은 제1 스크래퍼부(441)의 저면에서 상부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마모지연홈(442)은 제1 스크래퍼부(441)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방된다. 이동화격자(440)가 고정화격자의 상부를 왕복이동하면, 연소재가 마모지연홈(442)에 인입되어 제1 스크래퍼부(441)와 고정화격자들과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연소재가 윤활역할을 함으로써 제1 스크래퍼부(441)의 마모를 지연시킨다.
연소재인입홈(443)은 제1 스크래퍼부(441)의 전면에서 마모지연홈(442)으로 연통되게 인입형성된다. 연소재인입홈(443)은 마모지연홈(442)으로 인입되는 연소재가 압축될 수 있도록 마모지연홈(442)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며 높이가 낮아진다. 연소재인입홈(443)을 통하여 연소재가 마모지연홈(442)에 인입되어 축적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이동화격자의 제1 스크래퍼부(441)의 하부에 형성된 마모지연홈(442)으로 연소재가 인입되어 윤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연소재를 배출구(9)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여 제1 스크래퍼부(441)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리형 고정화격자의 제2 스크래퍼부 및 제1, 제2 사이드고정화격자의 제3 스크래퍼부는 제1 스크래퍼부(44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의 연료이동유닛(504)이 도시되어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연료가이드편(578)을 더 구비하며,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560) 및 연료가이드편(578)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56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이드 화격자(260)와 동일한 구조이며, 클링커억제편(57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편(576)과, 제1 고정편(577)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1 고정편(576)보다 전후방향 단면이 작은 제2 고정편(577)을 더 구비한다. 제1 고정편(576)과 제2 고정편(577)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료가이드편(578)은 클링커억제편(575)의 상면에서 클링커억제편(575)과 결합되며, 연료가이드편(578)의 연소실(3) 측벽에서 연소실(3) 내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의 상부(578a)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떨어지는 소각대상이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560)의 상면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연료가이드편(578)의 연소실(3) 측벽에서 연소실(3) 내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의 하부(578b)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56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소각대상이 부딪혀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560)로 회귀되도록 한다.
연료가이드편(578)은 저면에서 상부로 인입되게 형성된 고정홈(580)을 구비하며, 고정홈(580)은 제1 고정편(576)과 제2 고정편(577)이 인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의 연료가이드편(579)의 저면에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1 고정편(576)과 제2 고정편(577)이 고정홈(580)에 인입되어 연료가이드편(578)이 클링커억제편(575)에 좌, 우, 전, 후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클링커억제편(575)을 구비하여 소각대상의 이탈 방지와, 연소실 측벽에서 발생하며 소각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미연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타르(Tar), 차르(Char), 회분이 국부가열 또는 저산소상태에서 용융한 후 응고되어 형성되는 부정형의 잔류물인 클링커의 억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소각로 2: 연소부
3: 연소실 4: 연료이동유닛
6: 구동유닛 7: 공기 공급유닛
20: 화격자 지지부 21: 이동화격자 지지부
26: 고정화격자 지지부 40: 이동화격자
60: 일체형 고정화격자 160: 분리형 고정화격자
260: 제1 사이드고정화격자

Claims (9)

  1. 소각대상이 공급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각대상이 건조되는 건조구역과, 상기 건조구역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되어 상기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건조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구역과, 상기 연소구역을 통과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된 후 연소재의 형태로 이동되는 후연소구역으로 구분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화격자와, 상부에 상기 소각대상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실의 상기 연소구역에서 상기 후연소구역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가 계단형태로 반복배치되는 연료이동유닛과;
    상기 이동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소각대상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각대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연소부와;
    상기 후연소구역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2 축결합부와, 상기 제2 축결합부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상기 소각대상을 밀어내는 제2 스크래퍼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축결합부는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2 고정축체결부와, 상기 제2 고정축체결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공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몸체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공이 관통형성된 제2 길이연장부와, 상기 제2 길이연장부의 연장방향 단부에서 상기 제2 길이연장부의 폭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크래퍼부 일측에 인입되게 형성된 제2 결합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스크래퍼부의 일측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덮개부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은 상기 제2 스크래퍼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결합헤드부를 상기 제2 스크래퍼부의 일측으로 가이드하며 타측은 상기 제2 길이연장부와 접촉되도록 상호 근접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2 길이연장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인입가이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2. 소각대상이 공급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각대상이 건조되는 건조구역과, 상기 건조구역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되어 상기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건조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구역과, 상기 연소구역을 통과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된 후 연소재의 형태로 이동되는 후연소구역으로 구분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화격자와, 상부에 상기 소각대상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실의 상기 연소구역에서 상기 후연소구역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가 계단형태로 반복배치되는 연료이동유닛과;
    상기 이동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소각대상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각대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연소부와;
    상기 후연소구역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동화격자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와 결합되며 이동축에 체결되는 제1 축결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소각대상이 안착 되고 저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제1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폭방향 좌우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의 상기 제1 베이스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공기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에 안착 되는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1 스크래퍼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1 스크래퍼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상기 이동화격자들의 상기 제1 축결합부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1 유동억제돌기를 포함하는 제1 유동억제부와,
    상기 제1 공기유입홈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폭방향 좌우로 분산되어 순회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부를 냉각시키는 제1 순회유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유동억제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의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가 인입되되, 인접한 다른 상기 이동화격자와 상호 결속되게 하며 상기 제1 공기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깊이가 얕게 인입형성된 제1 유동억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는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고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동억제홈은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억제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래퍼부는
    하부에 형성되며 연소재가 인입되어 윤활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1 스크래퍼부의 마모를 지연시키는 제1 마모지연홈과, 상기 제1 마모지연홈으로 연소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크래퍼부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연소재인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8. 소각대상이 공급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소각대상이 건조되는 건조구역과, 상기 건조구역보다 높은 복사열이 발생되어 상기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건조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되는 연소구역과, 상기 연소구역을 통과한 상기 소각대상이 연소된 후 연소재의 형태로 이동되는 후연소구역으로 구분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화격자와, 상부에 상기 소각대상이 안착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실의 상기 연소구역에서 상기 후연소구역으로 연장된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화격자가 계단형태로 반복배치되는 연료이동유닛과;
    상기 이동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소각대상의 연소를 위하여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소각대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유닛을 구비하는 연소부와;
    상기 후연소구역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연소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소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화격자는 상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화격자는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되며,
    동일한 수평선상의 상기 고정화격자들 중 양외측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들은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와, 제3 체결부에서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소각대상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몸체부와, 상기 연소실의 측벽과 상기 소각대상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연소실의 측벽과 접촉되는 상기 제3 몸체부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 단부가 경사진 클링커억제편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이동유닛은
    상기 클링커억제편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측벽과 접하는 일면의 타면 상부가 상기 측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볼록하게 돌출된 면의 상부는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소각대상이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볼록하게 돌출된 면의 하부는 상기 연료이동유닛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상기 소각대상이 부딪혀 내측으로 회귀되도록 하는 연료가이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링커억제편은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제2 고정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료가이드편은
    상기 제1 고정편과 상기 제2 고정편이 인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의 저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KR1020200055142A 2020-05-08 2020-05-08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KR10231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42A KR102319512B1 (ko) 2020-05-08 2020-05-08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42A KR102319512B1 (ko) 2020-05-08 2020-05-08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512B1 true KR102319512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42A KR102319512B1 (ko) 2020-05-08 2020-05-08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5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989B1 (ko) 1996-11-27 1999-10-15 장병주 스토커식 소각로의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KR100830199B1 (ko) * 2007-05-08 2008-05-16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의 클링커 부착 방지용 라이너 및 그 설치구조
KR100859590B1 (ko) * 2007-06-19 2008-09-2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100861030B1 (ko) 2008-03-10 2008-09-30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화격자 수명을 연장하는 구조를 갖춘 수평식 배열의연소화격자
KR200443850Y1 (ko) * 2007-11-16 2009-03-16 (주)경윤엔지니어링 스토커 소각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989B1 (ko) 1996-11-27 1999-10-15 장병주 스토커식 소각로의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
KR100830199B1 (ko) * 2007-05-08 2008-05-16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의 클링커 부착 방지용 라이너 및 그 설치구조
KR100859590B1 (ko) * 2007-06-19 2008-09-2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200443850Y1 (ko) * 2007-11-16 2009-03-16 (주)경윤엔지니어링 스토커 소각로
KR100861030B1 (ko) 2008-03-10 2008-09-30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화격자 수명을 연장하는 구조를 갖춘 수평식 배열의연소화격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176A (en) Furnace grate
KR101974150B1 (ko) 고형연료 연소설비
US6964237B2 (en)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ion grate
CA2743248A1 (en) Modular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or
US3863578A (en) Incinerator stoker
KR102110167B1 (ko) 연소공기 토출구를 분할배치시켜 바이오매스 연소속도에 대응하는 수냉 및 공냉 일체형 화격자
KR102319512B1 (ko)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JP2015090221A (ja) 混合型廃棄物焼却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200471741Y1 (ko) 소각로용 화격자 유닛
US6302038B1 (en) Anti-erosion system of grate in stoker-type incinerator
KR100859590B1 (ko)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KR102196355B1 (ko) 고형연료 소각로
KR200429257Y1 (ko) 소각로용 화격자
KR102508354B1 (ko) 스토커 소각 및 연소용 수냉화격자
US4895084A (en) Stoker for refuse incinerators
KR100861030B1 (ko) 화격자 수명을 연장하는 구조를 갖춘 수평식 배열의연소화격자
KR20230149525A (ko) 스토커 소각 및 연소용 공랭 화격자
JP2013133943A (ja) 廃棄物燃焼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200424968Y1 (ko)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US5323717A (en) Refuse feed assembly for incinerators
KR100237529B1 (ko) 평행유도식 화격자 연소장치
KR20080002350U (ko) 소각로용 사이드 그레이트
KR102597194B1 (ko) 소각로용 공랭식 사이드월
KR200151126Y1 (ko) 자냉형 고효율 연소 스토커 설비
KR20190114543A (ko) 폐기물 소각용 화격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