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699A -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699A
KR20200013699A KR1020197038191A KR20197038191A KR20200013699A KR 20200013699 A KR20200013699 A KR 20200013699A KR 1020197038191 A KR1020197038191 A KR 1020197038191A KR 20197038191 A KR20197038191 A KR 20197038191A KR 20200013699 A KR20200013699 A KR 2020001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sound
low frequency
subject
frequenc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다키
호드리고 보릉야우젠-데마르쉬
이저 우
리에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마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마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1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a reference signal without an error signal, e.g. pure feedfo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52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3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especially for waking u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코골이-방지 장치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 및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로 하여금,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11,263호, 및 2017년 1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99,032호, 및 2018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666,027호에 기초하고, 이들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들을 주장한다. 이 출원들의 전체 내용들은 참조로 본원에 편입된다.
본 발명은 코골이-방지(anti-snoring)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대상자(subject)의 코골이 사운드(snoring sound)를 수신하고 코골이를 정지시키기 위해 저-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송신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일반적인 사람들 사이의 만연된 질환이다. 만성적인 코골이(chronic snoring)의 유병률은 성인 남자들에서 40%, 그리고 성인 여자들에서 20%인 것으로 추정된다(NPL 1). 코골이 사운드는 호흡의 루트(route of breathing)(NPL 3), 상부 기도 좁힘(upper airway narrowing)(NPL 4), 및 수면 국면 및 신체 포지션(NPL 5)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NPL 2)에 의해 결정된다.
코골이는 의학적 발병 및 사망을 야기시키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OSA)에 대한 중요한 징후들 중의 하나이다(NPL 6). 그러므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OSA 치료들에 초점을 맞춘다(PL 1, PL 2, PL 3, NPL 7). 그러나, 이 치료들은 거동 변화 또는 침습적 시술(invasive procedure)을 요구한다.
코골이 사운드는 또한, 코고는 사람의 침대 파트너에 대한 큰 문제이다.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많은 시도들이 있다. 귀마개(ear plug)는 코골이 잡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해결책이다. 그러나, 귀마개는 중요한 사운드들, 예컨대, 경보 시스템의 사운드를 또한 억제한다. 추가적으로, 귀마개의 부착은 거동 변화를 요구한다. 잡음 상쇄 시스템은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시도이지만(PL 4); 그러나, 그것은 거동 변화를 요구하고, 코골이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다른 전략은 코골이 사운드 강도(snoring sound intensity)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에 플래시 광(flash light)을 방사하는 안대(eye cover)를 갖는 시스템을 채용한다(PL 5). 적용은 사용자의 정상적인 수면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하려고 하였지만; 그러나, 사용자에 대한 안대의 부착은 거동 변화를 요구한다. 코골이-방지 침대 시스템(PL 6)은 침대의 구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코골이를 정지시키는 것을 시도한다. 이 시스템은 특수한 침대의 이용을 가정하고, 즉, 그것은 정상적인 침대들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에게 적용가능하지 않다.
인용 리스트 특허 문헌
PL 1 T.R. Shantha, "Device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US9072613B2.
PL 2 F. Li, Z. Li,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ly stopping snoring", WO2015027744A1.
PL 3 W. Li, "Anti-snoring device", US9554938 B2.
PL 4 G. Raviv, "Snoring suppression system", US5444786A.
PL 5 H. Bruckhoff,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EP0493719A1.
PL 6 H.-D. Lin, "Automated anti-snoring bed system", US8418289B2.
인용 리스트 비 특허 문헌
NPL 1 V. Hoffstein, "Apnea and snoring: state of the art and future directions", Acta Otorhinolaryngol Belg 2002;56(2):205-36.
NPL 2 D. Pevernagie, R.M. Aarts, M. De Meyer, "The acoustics of snoring", Sleep Med Rev. 2010 Apr;14(2):131-44.
NPL 3 Liistro G, Stanescu D, Veriter C. Pattern of simulated snoring is different through mouth and nose. J Appl Physiol 1991;70(6):2736-41.
NPL 4 S.J. Quinn, N. Daly, P.D. Ellis, "Observation of the mechanism of snoring using sleep nasendoscopy", Clin Otolaryngol 1995;20(4):360-4.
NPL 5 H. Nakano, T. Ikeda, M. Hayashi, E. Ohshima, A. Onizuka, "Effects of body position on snoring in apneic and nonapneic snorers", Sleep 2003;26(2):169-72.
NPL 6 N.M. Punjabi,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2008 Feb 15;5(2):136-43.
NPL 7 http://www.sleepreviewmag.com/2014/09/alternative-therapies-obstructive-sleep-apnea/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장치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 및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로 하여금,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장치는 제1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제1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및 제1 또는 제2 대상자가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지를 검출하고,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제1 및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들 중의 하나로 하여금,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제1 또는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고, 제1 및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중의 다른 것으로 하여금,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적용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장치는 자극을,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자극 디바이스,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잡음-상쇄 디바이스, 및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자극 디바이스로 하여금,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자극을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고, 잡음-상쇄 디바이스로 하여금,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방법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방법은 제1 대상자 또는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가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제1 저 주파수 사운드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제1 또는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및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골이-방지 방법은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자극을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및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코골이-방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코골이-방지 방법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 및 그 부수적인 장점들의 다수의 더욱 완전한 인식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동일한 사항이 더욱 양호하게 이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획득될 것이다.
도 1은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초저주파 음(infrasound)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코고는 사람 바로 하부의 침대 아래의 공간에서 설치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대상자 신체의 위치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초저주파 음을 대상자에게 방사하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침대 파트너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초저주파 음을 방사하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이웃들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초저주파 음 자극을 위해 코골이 소리(snore)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타겟화(target)하기 위하여,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코고는 사람, 침대 파트너,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의 위치들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8은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고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하는 잡음-상쇄 스피커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고 코골이의 억제를 위해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기 위하여, 잡음-상쇄 스피커 및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고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잠재적인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기 위하여, 복수의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들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머리 위치가 변화할 때에도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의 머리에 방사하는, 2개의 마이크로폰들을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이다.
도 13은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초저주파 음 자극을 위해 코골이 소리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타겟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을 채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4는 머리 위치가 변화할 때에도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의 머리에 방사하는, 2개의 마이크로폰들을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5는 머리 위치가 변화할 때에도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의 머리에 방사하는, 마이크로폰 및 적외선 카메라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코골이 사운드 정보 및 초저주파 음 방사 정보를 데이터 센터로 전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은 동반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다양한 도면들 전반에 걸쳐 대응하거나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저주파 음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는, 코고는 사람(000)의 코골이 사운드(002)를 검출하고 초저주파 음(008)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004),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012),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 신호 발생 블록(018), 하나 또는 복수의 송신 회로들(020), 하나 또는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006), 및 시스템 제어기(010)를 구비한다.
수신 회로(012)를 갖는 마이크로폰(004)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한다. 셀 전화(cell phone)에서의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의 취득을 위하여 또한 적용가능하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다.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은 임계치와 비교하여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폰 포지션에서의 사운드 압력(sound pressure)이 어떤 임계치 값을 초과하는지가 결정된다. 임계치 값은 상수 또는 변수이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008)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송신 회로(018)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는 초저주파 음(008)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한다.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은 코골이-방지 장치에서 시스템 제어기(010)에 의해 제어되고, 도 12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수신하기 시작하고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도록 마이크로폰(004)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검출된 코골이 사운드가 신호로 변환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신호로부터 획득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사운드 압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프로세싱되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결정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초저주파 음(003)가 발생되어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되도록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010)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는 것을 계속하도록 마이크로폰(004)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초저주파 음(008)의 사운드 압력은 희망된 값으로 설정되어, 초저주파 음(008)의 적용은 초저주파 음 방사의 무의식의 제약 하에서 코골이 소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압력은 초저주파 음에 대한 감도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차이들에 따라 가변적이고 조절가능할 수도 있다.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이용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이용하는 초저주파 음(008)를 위한 대체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기능들의 순서를 변화시키고 및/또는 더 많은 기능들을 추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는 초저주파 음 방사에 의해 코고는 사람을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코고는 사람(000)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초저주파 음(008)는 높은 침투를 가지고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로부터 코고는 사람(000)까지의 거리는 침대 파트너(202)까지의 거리보다 훨씬 더 짧으므로, 코고는 사람(000) 바로 하부의 침대 아래에 위치결정된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는 초저주파 음(008)에 의해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코고는 사람(000)을 자극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004)은 코고는 사람(00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코고는 사람(000)의 입 근처에 위치된다. 코골이-방지 장치가 단독형(stand-alone)이고 코고는 사람(000) 바로 하부의 침대 아래에 설치될 때, 마이크로폰(004)은 코고는 사람(000) 바로 하부에 또한 위치된다. 코골이-방지 장치가 셀 전화에서의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을 채용할 때, 셀 전화를 코고는 사람(000)의 침대측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코골이 사운드를 추출하고 검출하는 몇몇 기법들이 있다(NPL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는 코골이 사운드 검출 기법들 중의 하나 또는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008)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초저주파 음의 주파수는 20 Hz보다 더 낮다. 침대 파트너(202)에 대한 초저주파 음 방사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초저주파 음, 또는 100 Hz 이하의 저 주파수 사운드를 방사하는 것이 적당하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는 코골이 사운드가 검출될 때, 초저주파 음(008)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한다. 초저주파 음(008)는 코고는 사람(000)을 자극하여, 코고는 사람(000)이 코골이를 정지한다. 몇몇 유형들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 예컨대, 서브우퍼(subwoofer), 팬(fan), 및 진동 보드(vibrating board), 또는 그 조합이 있다. 초저주파 음 발생기는 몇몇 유형들의 초저주파 음, 예컨대, 연속 정현파, 펄스파, 및 임펄스파를 방사할 수 있다. 팬은 또한, 침대(200) 아래의 공간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도 4는 침대 파트너(202)에 대한 초저주파 음 방사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수신 회로(012)를 갖는 마이크로폰(004)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한다. 셀 전화에서의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의 취득을 위하여 또한 적용가능하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다.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008)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송신 회로(018)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는 초저주파 음(008)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한다.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를 위한 대체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또한,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를 이용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송신 회로(018)를 갖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는 침대 파트너(202)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를 방사한다. 저 주파수 사운드 상쇄기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를 위한 대체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여기서, 이웃들(500)은 코고는 사람(000)의 양 측부들 상에서 수면한다.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400)은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를 양쪽 이웃들(500)에게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방사하므로,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400)의 이용은 이웃들(500)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두 명의 코고는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은 신호 발생 블록(018)에서 발생된 신호들을 스위칭하는 수단에 의해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자유롭게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602)은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초저주파 음 자극을 위해 이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타겟화할 수 있다.
코골이-방지 장치의 예시적인 알고리즘이 도 13에서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기(010)는 대상자들 A 및 B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수신하는 것을 시작하고 각각이 대상자로부터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도록 마이크로폰들(004)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검출된 코골이 사운드가 신호로 변환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신호로부터 획득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사운드 압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프로세싱되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가 대상자 A의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대상자 A를 위한 임계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결정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그 다음으로, 대상자 B의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대상자 B를 위한 임계치보다 더 높은지를 결정한다. 영향이 대상자 B를 위한 임계치를 초과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초저주파 음(008)가 발생되어 대상자들 A 및 B의 각각에게 방사되도록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602)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영향이 대상자 B를 위한 것이 아닌, 대상자 A를 위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010)는 초저주파 음(008)가 발생되어 대상자 A에게 방사되고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가 발생되어 대상자 B에게 방사되도록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602)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010)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A를 위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그 다음으로, 대상자 B의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대상자 B를 위한 임계치보다 더 높은지를 결정한다. 영향이 대상자 A를 위한 것이 아닌, 대상자 B를 위한 임계치를 초과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초저주파 음(008)가 발생되어 대상자 B에게 방사되고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가 발생되어 대상자 A에게 방사되도록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602)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영향들이 대상자들 A 및 B를 위한 임계치들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010)는 대상자들 A 및 B의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는 것을 계속하도록 마이크로폰들(004)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초저주파 음(008)의 사운드 압력은 희망된 값으로 설정되어, 초저주파 음(008)의 적용은 초저주파 음 방사의 무의식의 제약 하에서 코골이 소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압력은 초저주파 음에 대한 감도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차이들에 따라 가변적이고 조절가능할 수도 있다.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상쇄기를 이용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는 초저주파 음(008)를 위한 대체물로부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기능들의 순서를 변화시키고 및/또는 더 많은 기능들을 추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는 침대 파트너(202)에 대한 초저주파 음(008)의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해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를 방사한다. 초저주파 음(008) 및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에 의해 야기된 침대 파트너(202)에 대한 영향으로서의 사운드 압력은 다음의 공식들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 (1)
여기서,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는 각각 주파수
Figure pct00004
에서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신호 강도이고,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는 각각 주파수
Figure pct00007
에서의 중심
Figure pct00008
으로부터의 거리
Figure pct00009
및 방향의 위치에서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빔 패턴들이고, RG(704) 및 RC(706)은 각각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중심 축들 상에 있고(도 7 참조), OG(708) 및 OC(710)는 각각 초저주파 음 발생기(006)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022)의 원점들 상에 있고, B(702)는 침대 파트너(202)의 자극 포인트이고,
Figure pct00010
는 각주파수(angular frequency)이고,
Figure pct00011
는 각파수(angular wavenumber)이고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의 주파수에서의 사운드 파장이고,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은 각각 B(702)와 OG(708) 사이의 거리, 및 B(702)와 OC(710) 사이의 거리이고,
Figure pct00016
은 주파수
Figure pct00017
에서의 위상 회전이다. 효과적인 상쇄를 위하여,
Figure pct00018
은 다음의 공식들을 만족시킨다:
Figure pct00019
, (2)
여기서,
Figure pct00020
은 정수이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어, 0.3 m 이하이고, 100 Hz 주파수 이하의 사운드 파장은 약 3.4 m 이상이다. 그러므로, 많은 경우들에는, 상쇄가
Figure pct00023
이 다음의 공식들을 만족시킬 때에 작동한다:
Figure pct00024
. (3)
침대 파트너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하여, 초저주파 음 상쇄기는 공식들(3) 및 다음의 공식들을 만족시키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방사한다:
Figure pct00025
. (4)
코골이-방지 장치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400)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초저주파 음(008) 및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에 의해 야기된 이웃(500)에 대한 영향은 다음의 공식들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26
, (5)
여기서,
Figure pct00027
는 주파수
Figure pct00028
에서의 i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신호 강도이고,
Figure pct00029
는 주파수
Figure pct00030
에서의 중심
Figure pct00031
으로부터의 거리
Figure pct00032
및 방향의 위치에서의 i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빔 패턴이고,
Figure pct00033
은 i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중심 축 상에 있다.
Figure pct00034
는 i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의 원점 상에 있고, N은 이웃(500)의 자극 포인트이고,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은 각각 N과 OG(708) 사이의 거리, 및 N과
Figure pct00037
사이의 거리이고,
Figure pct00038
는 주파수
Figure pct00039
에서의 i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400)를 위한 위상 회전이다.
이웃(500)과 대면하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는 이웃(500)에 대한 초저주파 음(008)에 의해 야기된 영향의 억제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가진다. 즉, l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가 이웃(500)에 대면할 때, 이웃(500)의 위치에서의 l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의 빔 패턴의 강도는 다른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의 것들보다 훨씬 더 크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상쇄를 위하여, l번째 초저주파 음 상쇄기는 다음의 공식들을 만족시키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방사한다:
Figure pct00040
, (6)
Figure pct00041
. (7)
도 8은 잡음-상쇄 기법을 채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수신 회로(012)를 갖는 마이크로폰(004)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한다. 셀 전화에서의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의 취득을 위하여 또한 적용가능하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다.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잡음-상쇄 스피커(804)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생성하고 자극 디바이스(808)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800)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잡음(806)은 내부로부터의 실내 잡음, 예컨대, 코골이 사운드, 공조기의 동작 사운드, 및 외부로부터의 환경적 잡음, 예컨대, 수송, 산업적, 및 오락적 활동들에 의해 야기된 잡음을 포함한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자극(800)은 제제(agent)의 작용, 또는 잠재적인 작용을 발생시키는 인간의 수용기(receptor)들에 적용된 에너지의 형태를 의미한다. 자극 발생 회로(802)를 갖는 자극 디바이스(808)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이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할 때,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한다. 초저주파 음, 초음파, 가청 사운드, 바람 흐름, 광 자극, 열적 자극, 및 전기적 자극을 포함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는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800)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초음파는 20 kHz 이상의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 파들을 의미한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가청 사운드는 20 Hz로부터 20 kHz까지의 주파수들을 갖는 사운드 파들을 의미한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바람 흐름은 공기의 흐름을 의미한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광 자극은 밝기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열적 자극은 열적 변화를 이용하여 적용된 자극이다. 이 출원에서 이용된 전기적 자극은 전기적 전류를 이용하여 적용된 자극이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804)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한다. 이어폰들 또는 헤드폰은 잡음-상쇄 스피커(804)를 위한 대체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을 위한 저 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잡음-상쇄 스피커(804)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생성하고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를 이용하여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는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한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804)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침대 파트너(202)에게 방사한다.
도 10은 두 명의 코고는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1002)은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004)에 의해 취득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수면자들 중에서 어느 것이 코고는 사람인지를 결정한다. 이 배열은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 및 잡음-상쇄 스피커를 자유롭게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저-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들(1000)은 저-주파수 사운드 자극을 수면자들 중에서 코고는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코고는 사람에게 지향된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1000)는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한다. 코골이 없는 수면자에게 지향된 저 주파수 발생기-잡음 상쇄기(1000)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수면자에게 방사한다.
도 11은 수면하면서 이동하는 코고는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의 배열을 도시한다.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004)은 코골이 사운드(002)의 도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수면자를 위해 이용된다.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ultra-wide-band radar sensor)들, 위상 검출기들을 이용하는 RF 변조된 광학 빔 거리 센서들을 포함하는 비행시간 깊이 센서(time-of-flight depth sensor)들, 범위 게이팅된 이미저(range gated imager)들, 및 직접 비행시간 이미저(direct time-of-flight imager)들은 코골이 사운드(002)의 도달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동 유닛(1100)은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를 코골이 사운드(002)의 도달 방향으로 지향시킨다.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방법은 코골이-방지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다. 이 방법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을 채용한다. 방법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graphics processing units)(GPU), 하나 또는 복수의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programmable gate arrays)(FPGA)은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한 적용가능하다. 방법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신호 발생 회로는 잡음-상쇄 스피커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생성하고 자극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자극 발생 회로를 갖는 자극 디바이스는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한다. 송신 회로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3은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초저주파 음 자극을 위해 코골이 소리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타겟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을 채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4는 머리 위치가 변화할 때에도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의 머리에 방사하는, 2개의 마이크로폰들을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5는 머리 위치가 변화할 때에도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의 머리에 방사하는, 마이크로폰 및 적외선 카메라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코골이 사운드 정보 및 초저주파 음 방사 정보를 데이터 센터로 전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코골이-방지 장치는 초저주파 음(008)에 의해 코고는 사람(000)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하여 코고는 사람(000) 바로 하부의 침대 아래의 공간에서 설치된다. 코골이-방지 장치는 단독형이고, 마이크로폰(004)은 또한, 코고는 사람(000) 바로 하부에, 또는 코고는 사람(000)의 침대측부에 위치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
도 3은 그 위치 상에서의 자극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코고는 사람 신체, 예컨대, 머리, 가슴, 또는 복부의 하나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결정된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006)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 전화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이다. 코고는 사람(000)은 셀 전화에 의해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되는 복수의 사운드들을 생성한다. 셀 전화는 또한,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셀 전화는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로 전송한다.
제4 예시적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골이 사운드 정보 및 초저주파 음 방사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센터로 전달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이다(도 16 참조). 데이터 센터는 더 양호한 코골이 사운드 검출 시스템 및 초저주파 음 방사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코골이 사운드 및 초저주파 음 방사 정보를 분석한다. 코골이-방지 장치의 최근의 설정은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된다. 코골이-방지 장치는 또한, 사운드 정보, 초저주파 음 방사 정보, 및 코골이-방지 장치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해 평가된 임상적 권고들을 사용자 및/또는 제3자, 예컨대, 수면 클리닉으로 전달한다. 이 코골이-방지 장치는 셀 전화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5 예시적인 실시예
도 4는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를 도시한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다.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신호 발생 블록은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그리고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이용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는 초저주파 음을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한다.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한다.
제6 예시적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400)은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402)를 양쪽 이웃들(500)에게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방사하므로,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400)의 이용은 이웃들(500)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7 예시적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은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자유롭게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602)은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초저주파 음 자극을 위해 이들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타겟화할 수 있다.
제8 예시적인 실시예
도 8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회로들(012)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004)을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를 도시한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014)은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다.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한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잡음-상쇄 스피커(804)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생성하고 자극 디바이스(808)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800)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자극 발생 회로(802)를 갖는 자극 디바이스(808)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016)이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할 때,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한다. 초저주파 음, 초음파, 가청 사운드, 바람 흐름, 광 자극, 열적 자극, 전기적 자극을 포함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는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804)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한다.
제9 예시적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신호 발생 블록(018)은 잡음-상쇄 스피커(804)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생성하고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를 이용하여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는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코고는 사람(000)에게 방사한다. 송신 회로(020)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804)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침대 파트너(202)에게 방사한다.
제10 예시적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의 배열을 도시한다.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1002)은 2개의 마이크로폰들(004)에 의해 취득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수면자들 중에서 어느 것이 코고는 사람인지를 결정한다. 2개 이상의 저-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들(1000)의 이용은 수면자들 중에서 코고는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저-주파수 사운드 자극의 적용과,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와 잡음-상쇄 스피커 사이의 스위칭을 자유롭게 허용한다. 코고는 사람에게 지향된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1000)는 저 주파수 사운드(900)를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한다. 코골이 없는 수면자에게 지향된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1000)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806)를 수면자에게 방사한다.
제11 예시적인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의 배열을 도시한다.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004)은 코골이 사운드(002)의 도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수면자를 위해 이용된다. 구동 유닛은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를 코골이 사운드(002)의 도달 방향으로 지향시킨다.
도 14는 코골이-방지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제어기(010)는 코고는 사람(000)(대상자 A)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수신하기 시작하고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도록 마이크로폰들(004)(A1 및 A2)을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검출된 코골이 사운드가 신호로 변환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신호로부터 획득되고,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사운드 압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코골이 사운드 정보가 프로세싱되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기(010)가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대상자 A의 임계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결정할 때, 시스템 제어기(010)는 그 다음으로, 코골이 사운드의 도달의 방향이 결정되도록 제어하고, 구동 유닛(1100)은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예컨대, 스피커)를 코골이 사운드의 도달의 방향으로 지향시킨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저 주파수 사운드(900)가 발생되어 결정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902)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영향이 대상자 A를 위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010)는 코골이 사운드를 검출하는 것을 계속하도록 마이크로폰들(004)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를 전송한다. 저 주파수 사운드(900)의 사운드 압력은 희망된 값으로 설정되어, 저 주파수 사운드(900)의 적용은 초저주파 음 방사의 무의식의 제약 하에서 코골이 소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압력은 저 주파수 사운드에 대한 감도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차이들에 따라 가변적이고 조절가능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기(010)는 기능들의 순서를 변화시키고 및/또는 더 많은 기능들을 추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위에서 다루어진 바와 같이, 코골이 사운드는 코고는 사람의 침대 파트너에 대한 큰 문제이다.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많은 시도들이 있지만; 그러나, 그들의 대부분은 거동 변화 또는 침습적 시술을 요구한다.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태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여 코골이 사운드의 억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는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이고, 코골이-방지 장치는,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 및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이용하여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블록; 및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해결책의 또 다른 양태는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방법이고, 코골이-방지 방법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들을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및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이용하여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및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음의 양태들을 포함한다:
1.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초저주파 음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 및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블록; 및 초저주파 음을 대상자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저-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복수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 및/또는 복수의 저-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들이 이용되고, 초저주파 음 발생기들 및/또는 저-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들은 대상자 신체의 하나 이상의 위치 상에서 초점을 맞추는, 코골이-방지 장치.
4.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셀 전화들이 이용되고, 셀 전화는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고, 셀 전화는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셀 전화는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고, 셀 전화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코골이-방지 장치.
5.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들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되고,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및/또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에서 이용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6.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골이-방지 장치는 대상자의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들을 취득하고; 대상자의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들은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및/또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에서 이용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7. 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대상자의 침대 파트너는 대상자의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들을 레코딩할 수 있는, 코골이-방지 장치.
8. 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골이-방지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복수의 코골이 사운드들을 취득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9. 1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골이-방지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에 의해 취득된 사운드 정보,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에서의 판정 및/또는 초저주파 음 방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수신된 신호 및/또는 정보는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데이터 센터로 전달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10. 9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골이-방지 장치의 설정은 무선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11. 9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골이-방지 장치는 장치에 의해 취득된 정보의 일부를 사용자 및/또는 제3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정보는 수신된 신호들,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에 의해 취득된 사운드 정보, 및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에 의해 취득된 사운드 정보,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에서의 판정 및/또는 초저주파 음 방사에 대한 정보, 및 코골이-방지 장치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해 평가된 임상적 권고들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2. 대상자에게 방사되는 초저주파 음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신 회로를 갖는 마이크로폰;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및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및 초저주파 음을 대상자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13.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되는 초저주파 음, 및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되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그리고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이용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블록; 초저주파 음을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4. 13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초저주파 음을 위한 대체물로서 저-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5. 13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복수의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이 이용되고, 초저주파 음 상쇄기들은 코고는 사람의 양 측부들에 놓여지는 이웃들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억제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6. 13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2개 이상의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이 이용되고;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 중의 하나는 누군가가 코골이를 할 때, 코고는 사람을 선택적으로 방사하고, 다른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 또는 다른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들은 침대 파트너에 대한 초저주파 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방사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7. 13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초저주파 음 상쇄기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방사하고;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추정된 위치 및 침대 파트너의 추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 상쇄기로부터의 방사를 위한 신호를 계산하고, 침대 파트너에서의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은 침대 파트너에서의 초저주파 음의 반전에 근접한, 코골이-방지 장치.
18. 1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위치 및 침대 파트너의 위치의 추정을 위하여, 초저주파 음 발생기의 방향 및 초저주파 음 상쇄기의 방향을 이용하고; 시스템 제어기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가 코고는 사람을 대면하고 초저주파 음 상쇄기가 침대 파트너를 대면하는 것으로 추정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9. 18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로부터의 방사를 위한 신호를 준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지연 회로들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0. 1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가 초저주파 음 상쇄기로부터의 방사를 위한 신호를 계산할 때, 시스템 제어기는 매트리스(mattress)를 통한 전파(propagation)에 의해 야기된 감쇠를 참작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1. 1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위치 및/또는 침대 파트너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2. 1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위치 및/또는 침대 파트너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들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3. 1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위치 및/또는 침대 파트너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4. 23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시스템 제어기는 코고는 사람의 위치 및/또는 침대 파트너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셀 전화 카메라들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5.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되는 초저주파 음, 및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되는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및/또는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및/또는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초저주파 음 발생기를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그리고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이용하여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및/또는 필드-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초저주파 음을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발생기; 및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을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초저주파 음 상쇄기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26.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방사하는 잡음-상쇄 스피커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 잡음-상쇄 스피커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생성하고 자극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블록;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하는, 자극 발생 회로를 갖는 자극 디바이스; 및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를 포함한다.
27.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저 주파수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8.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9.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가청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0.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바람 흐름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1.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광 자극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2.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열적 자극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3. 2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 대한 자극으로서 전기적 자극을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4. 27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2개 이상의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들이 이용되고,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이 이용되고,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이 이용되고;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은 수면자들 중에서 어느 것이 코고는 사람인지를 결정하고, 코고는 사람에게 지향시키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고, 코골이 없는 수면자에게 지향시키는 저 주파수 발생기-잡음 상쇄기는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수면자에게 방사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5. 34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코고는 사람에게 지향시키는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는 초저주파 음을 코고는 사람에게 방사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6. 34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2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은 각각의 수면자를 위해 이용되고,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는 구동 유닛을 가지고;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은 코골이 사운드의 도달의 방향을 결정하고, 구동 유닛은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를 코골이 사운드의 도달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코골이-방지 장치.
37. 36에 따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비행시간 깊이 센서들은 각각의 수면자를 위해 이용되고; 비행시간 깊이 센서들을 갖는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은 비행시간 방법을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 머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8. 36에 다른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들이 각각의 수면자를 위해 이용되고;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은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들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 머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9.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이용하는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사운드들을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회로들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복수의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평가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이용하는 신호 프로세싱; 잡음-상쇄 스피커를 이용하여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생성하고 자극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된 자극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류들의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회로; 자극을 코고는 사람에게 적용하는, 자극 발생 회로를 갖는 자극 디바이스; 및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를 침대 파트너에게 방사하는, 송신 회로를 갖는 잡음-상쇄 스피커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자명하게도, 본 발명의 다수의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사항들을 고려하여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발명은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인용 리스트 비 특허 문헌
NPL 8 E. Dafna, A. Tarasiuk, Y. Zigel, "Automatic detection of whole night snoring events using non-contact microphone", PLoS One. 2013; 8(12): e84139.
NPL 9 http://www.audioholics.com/room-acoustics/bass-the-physical-sensation-of-sound
본 출원에서 인용된 특허들 및 공보들은 그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원에 편입된다.
000 코고는 사람
002 코골이 사운드
004 마이크로폰
006 초저주파 음 발생기
008 초저주파 음
010 시스템 제어기
012 수신 회로
014 코골이 사운드 추출 블록
016 코골이 사운드 영향 평가 블록
018 신호 발생 블록
020 송신 회로
200 침대
202 침대 파트너
400 초저주파 음 상쇄기
402 상쇄를 위한 초저주파 음
500 이웃
600 잠재적인 코고는 사람
602 초저주파 음 발생기-상쇄기
700 S
702 B
704 RG
706 RC
708 OG
710 OC
800 자극
802 자극 발생 회로
804 잡음-상쇄 스피커
806 잡음의 상쇄를 위한 사운드
808 자극 디바이스
900 저 주파수 사운드
902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
1000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잡음 상쇄기
1002 코고는 사람 검출 블록
1100 구동 유닛
1500 적외선 카메라

Claims (30)

  1.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저 주파수 사운드를,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 및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는 초저주파 음(infrasound)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는 복수의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들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수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기에 접속된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마이크로폰들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코골이 사운드가 어느 방향으로부터 나오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 발생 디바이스를 결정된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대상자 옆의 적어도 한 사람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상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사람에게 적용된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는 초저주파 음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상쇄 디바이스는 복수의 저 주파수 사운드 상쇄기들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잡음-상쇄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1.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제1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제1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대상자가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들 중의 하나로 하여금,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제1 또는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운드 발생기-상쇄기 중의 다른 것으로 하여금,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들은 각각 초저주파 음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수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수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대상자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코골이-방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자가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할 때, 상기 제2 대상자에게 적용된 초저주파 음의 위상은 상기 제1 대상자에게 적용된 초저주파 음의 대략 반전(inversion)인 코골이-방지 장치.
  17. 코골이-방지 장치로서,
    자극을,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자극 디바이스;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상기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도록 구성된 잡음-상쇄 디바이스; 및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자극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상기 자극을 상기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고, 상기 잡음-상쇄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상기 사운드를 상기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저 주파수 사운드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초음파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가청 사운드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바람 흐름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광 자극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열적 자극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전기적 자극을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장치.
  25.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적용하는 단계는 초저주파 음을 상기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전에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28.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제1 대상자 또는 상기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가 코골이 사운드를 생성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제1 저 주파수 사운드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제1 또는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을 억제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저 주파수 사운드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29. 코골이-방지 방법으로서,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자극을 제1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코골이 사운드를 상쇄시키는 사운드를 상기 제1 대상자 옆의 제2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방지 방법.
  30.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코골이-방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골이-방지 방법은,
    대상자에 의해 생성된 코골이 사운드를 수신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골이 사운드의 영향이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상기 코골이 사운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영향이 임계치보다 더 높을 때, 저 주파수 사운드를 상기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97038191A 2017-05-25 2018-05-24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13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1263P 2017-05-25 2017-05-25
US62/511,263 2017-05-25
US201762599032P 2017-12-15 2017-12-15
US62/599,032 2017-12-15
US201862666027P 2018-05-02 2018-05-02
US62/666,027 2018-05-02
PCT/IB2018/000733 WO2018215836A1 (en) 2017-05-25 2018-05-24 Anti-snoring apparatus, anti-snoring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699A true KR20200013699A (ko) 2020-02-07

Family

ID=6320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191A KR20200013699A (ko) 2017-05-25 2018-05-24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14083B2 (ko)
EP (1) EP3631790A1 (ko)
JP (2) JP7276891B2 (ko)
KR (1) KR20200013699A (ko)
CN (1) CN110800042B (ko)
AU (1) AU2018272172A1 (ko)
CA (1) CA3064695A1 (ko)
WO (1) WO2018215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0409B2 (ja) * 2018-11-30 2024-02-13 株式会社マリ 睡眠時無呼吸治療装置および治療方法
US11282492B2 (en) 2019-02-18 2022-03-22 Bose Corporation Smart-safe masking and alerting system
US10991355B2 (en) 2019-02-18 2021-04-27 Bose Corporation Dynamic sound masking based on monitoring biosignals and environmental noises
US11071843B2 (en) * 2019-02-18 2021-07-27 Bose Corporation Dynamic masking depending on source of snoring
JP7367926B2 (ja) * 2019-09-30 2023-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環境制御装置
CN114272008B (zh) * 2022-03-03 2022-05-24 深圳市心流科技有限公司 打鼾干预方法、装置、智能眼罩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0060U1 (ko) 1991-01-04 1991-04-25 Bruckhoff Apparatebau Gmbh, 3000 Hannover, De
US5444786A (en) 1993-02-09 1995-08-22 Snap Laboratories L.L.C. Snoring suppression system
JP2979879B2 (ja) * 1993-02-16 1999-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ベッド装置
DE19706645B4 (de) 1997-02-20 2004-03-25 Mahlo, Hans-Wolfgang, D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von Schnarchgeräuschen und schlafbezogenen Atmungsstörungen mit Antischall
US7835529B2 (en) * 2003-03-19 2010-11-16 Irobot Corporation Sound canceling systems and methods
DE102004052845A1 (de) * 2004-11-02 2006-05-04 Bock, Wolfgang, D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von Geräuschen
EP1770685A1 (en) * 2005-10-03 2007-04-04 Maysound ApS A system for providing a reduction of audiable noise perception for a human user
CN101340869A (zh) 2005-12-20 2009-01-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睡着的人的打鼾和/或睡眠呼吸暂停的系统和方法
FI120964B (fi) 2007-02-15 2010-05-31 Smart Valley Software Oy Laite ja menetelmä nukkuvan henkilön suotuisalla, havahtumiseen liittyvällä, ajankohdalla herättämiseksi
KR20090078467A (ko) * 2008-01-15 2009-07-20 홍성표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DE202008006076U1 (de) 2008-05-02 2008-09-11 Li, Wu, Prof. Antischnarchvorrichtung
US8193941B2 (en) * 2009-05-06 2012-06-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noring treatment
TW201300092A (zh) 2011-06-27 2013-01-01 Seda Chemical Products Co Ltd 自動化止鼾床具系統
US9072613B2 (en) 2012-06-22 2015-07-07 Totada R Shantha Device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US10524661B2 (en) 2013-06-12 2020-01-07 Proactive Live, Inc. Sleep monitoring and stimulation
CN103705333A (zh) 2013-08-30 2014-04-09 李峰 一种智能止鼾方法及装置
CA2900913C (en) * 2014-08-20 2023-03-21 Dreamwell, Ltd. Smart pillow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and biofeedback
CN106302947A (zh) * 2015-05-13 2017-01-04 张建中 利用手机侦测并消除鼾声噪音的方法及其装置
KR20160149689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로제스트 코골이 소음 상쇄 장치
US9666175B2 (en) 2015-07-01 2017-05-30 zPillow, Inc. Noise cancelation system and techniques
US9734815B2 (en) 2015-08-20 2017-08-15 Dreamwell, Ltd Pillow set with snoring noise cancellation
CN105769125A (zh) * 2016-04-01 2016-07-20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睡眠打鼾监测装置及其应用系统和方法
JP6295290B2 (ja) 2016-05-09 2018-03-14 東芝電波プロダクツ株式会社 睡眠の質向上装置
CN106073978B (zh) * 2016-07-26 2018-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止鼾装置和止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00042A (zh) 2020-02-14
JP2023078175A (ja) 2023-06-06
WO2018215836A1 (en) 2018-11-29
US20200160828A1 (en) 2020-05-21
EP3631790A1 (en) 2020-04-08
JP7276891B2 (ja) 2023-05-18
JP2020521190A (ja) 2020-07-16
CN110800042B (zh) 2024-03-12
US11114083B2 (en) 2021-09-07
AU2018272172A1 (en) 2019-12-05
CA3064695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699A (ko) 코골이-방지 장치, 코골이-방지 방법, 및 프로그램
US9384727B2 (en) Active sound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9640167B2 (en) Smart pillow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and biofeedback
JP7213031B2 (ja) 無音域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46947A (ko) 오디오 신호 및 다중 신호로부터 생리학적 운동을 검출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803046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cancellation with motion tracking capability
EP2883495A1 (en) Sound stimulator for memory enhancement
JP2024045271A (ja) 睡眠時無呼吸治療装置および治療方法
Kastelein et al. Hearing thresholds, for underwater sounds, of harbor seals (Phoca vitulina) at the water surface
KR102162588B1 (ko)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KR102133353B1 (ko) 소음 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15267A (ko) 능동 소음 저감이 가능한 음향 장치
KR20160149689A (ko) 코골이 소음 상쇄 장치
EP3557572A1 (en) Noise reduction system
DE10200405284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drückung von Geräuschen
JP6071992B2 (ja) 生物排除装置
US10039477B2 (en) Laser-assisted surgical procedure to restore sensor neural hearing lost
JP2019028498A5 (ko)
JP2017148644A5 (ja) 装置および装置の制御方法
KR20100006935U (ko)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JPH041815Y2 (ko)
Ljøkjel Silent Microphone-Active Cancellation of Speech
Fahad et al. A Novel Mobility Aid for the Blind through Ultrasound Pulsed Echo Modulated Nerve Stimulation
TWM463401U (zh) 聽障人士之逃生警報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