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467A -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467A
KR20090078467A KR1020080004305A KR20080004305A KR20090078467A KR 20090078467 A KR20090078467 A KR 20090078467A KR 1020080004305 A KR1020080004305 A KR 1020080004305A KR 20080004305 A KR20080004305 A KR 20080004305A KR 20090078467 A KR20090078467 A KR 20090078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noring
mode
snoring nois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홍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표 filed Critical 홍성표
Priority to KR102008000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467A/ko
Publication of KR2009007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탁상형 케이스와, 탁상형 케이스 중앙에 배치된 스피커와, 탁상형 케이스에 설치되어 코골이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와, 탁상형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자기 모드, 타인모드 및 전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와, 탁상형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응답하여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코골이 소음을 분석하고 분석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는 코골이 소음제거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코골이 소음제거 음을 출력하는 소음제거회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하기 간편하여 심한 코골이 소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어디에서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Snore Noise Suppre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기 간편하여 어디에서나 코골이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잠을 잘 때 목구멍을 비롯한 상기도가 좁아져서 야기되는 이상호흡으로써 수면과 연관된 호흡 장애의 가장 공통적인 특징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성인에게 정상적인 수면의 한 부분이라고 여겨져 왔다.
코골이 소리는 물리학적으로 500Hz정도의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잡음이며, 기본 주파수는 130Hz 정도이며 지속시간은 평균 1.4초 휴지시간은 2.4초이며, 종종 그 강도가 80-90데시벨(decibel, 음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에 이르기도 하는데, 이는 일반 작업장에서의 안전 소음도 안전치를 초과하는 것이며, 열차가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소리와 맞먹는다. 이 정도의 소음에 계속 노출이 될 때에는 청각 장애(소음성 난청)가 유발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기네스북에 오른 코골이 기록은 스웨덴의 카레 월커트가 1993년 세운 93㏈이고, 이전까지 챔피언이었던 영국의 멜 스위처는 92㏈인 바, 그의 코고는 소리는 18바퀴 트럭이 굴러갈 때 내는 운전음과 비슷했지만 그의 아내는 "자는데 지장없다"고 대답하였으나 부인은 병원 검사 결과 한쪽 귀가 먼 것으로 밝혀졌으며, 스위처의 이웃은 69년 이후 8가구가 코골이 소음에 견디다 못해 이사 갔다는 보고도 있다.
전체 인구의 20-25%가 코를 골고 남자가 3배정도 여자보다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매일 밤 코를 고는 사람이 남자에서 60%, 여자에서는 40%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코골이 소음은 코를 고는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사람들의 숙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활환경 소음으로 여간 문제 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코골이 소음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발명들이 제안되어 왔었다. 종래의 코골이 방지 장치들은 코고는 사람의 자세를 변경하여 코골이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들로 공개특허번호 제2003-12195호, 제2000-63265호, 제2007-51977호, 제2007-233호, 제2006-11702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들은 코골이 소음원 자체를 제거하기 위한 방식으로 코골이 하는 사람의 잠자는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적인 요소들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부피 및 크기가 커지고 무거워 휴대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값이 비싸서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켜서 소음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가볍고 휴대하기 간편한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탁상형 케이스와, 탁상형 케이스 중앙에 배치된 스피커와, 탁상형 케이스에 설치되어 코골이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와, 탁상형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자기 모드, 타인모드 및 전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와, 탁상형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응답하여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코골이 소음을 분석하고 분석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는 코골이 소음제거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코골이 소음제거 음을 출력하는 소음제거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소음제거 회로부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소음만을 수집하기 위한 코골이 소음 수집부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및 습도 센서와, 입력된 코골이 소음 레벨과 센싱된 온도 및 습도를 LCD 표시창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쇄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 위한 증폭부와,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응답하여 코골이 소음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코골이 소음 수집부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고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를 통 해 센싱된 현재의 온도 및 습도와 코골이 소음 레벨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LCD 표시창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탁상형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토끼 얼굴 모양이고 토끼 귓구멍에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고 토끼 귓바퀴가 코골이 소음원을 지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하기 간편하여 심한 코골이 소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어디에서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회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의 케이스(100)는 탁상형 크기로 통상의 자명종 시계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토끼 얼굴모양으로 양 귀구멍에 각각 마이크(110A, 110B)가 설치된다. 양 귀바퀴(102, 104)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골이 소음원을 지향하도록 방향이 조정된다. 전면의 토끼 눈(103, 104)에는 전원표시용 적색 발광 다이오드(L1)와 코골이 모드 표시용 적색 발광 다이오드(L2)가 설치된다. 전면 중앙에는 LCD 표시창(105)이 설치되어 소음 레벨, 현재시간, 현재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한다. 케이스(100)의 옆면에는 전원 온/오프 및 모드 선택용 로터리 스위치(106)가 설치된다. 로터리 스위치(106)를 턴온시키면 전원 온상태로 되고 로터리 스위치(106)을 회전시켜서 코골이 감지 모드 중 I모드, YOU 모드, ALL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후면에는 스피커 출력음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을 통하여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쇄음이 외부로 방사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0) 내부에 내장되는 소음 제거 회로부는 고콜이 소음 수집부(120), 온도센서(130), 습도센서(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모드 선택부(170), 증폭부(180) 및 스피커(190)를 포함한다.
마이크(110A, 110B)로부터 입력된 코골이 소음을 코골이 소음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한다. 코골이 소음 수집부(120)는 통상의 하울링 제거회로를 포함하여 피드백되는 하울링을 제거하고 코골이 소음만을 대역통과, 예컨대 60 내지 600Hz 대역의 코골이 소음만을 수집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온도센서(130) 및 습도센서(140)은 통상의 온도 및 습도 센서들로 구성되어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그 센싱된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 및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음 레벨, 현재시간, 현재 온도 및 습도 등을 LCD 표시창(105)에 표시되도록 LCD 표시창(105)을 구동한다. 증폭 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코골이 소음 상쇄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로 스피커(190)를 구동시켜서 상쇄음이 공기 중에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고, 코골이 소음 수집부(120), 온도센서(130), 습도센서(1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시킨 다음에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제어신호 및 코골이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50)은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코골이 소음의 최고 레벨을 산출하여 표시창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코골이 소음 상쇄신호 생성모듈(152)을 포함하여 수집된 코골이 소음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는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십된 코골이 소음 중 청취 가능한 소리로 근사시켜서 최적 근사된 코골이 소음을 생성한 다음에 이를 위상 반전시켜서 상쇄신호로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I모드에서는 미리 저장된 자신의 코골이 소음모델을 사용하여 초기 샘플링 과정없이 곧바로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나 YOU 모드나 ALL 모드에서는 먼저 코골이 소음 샘플링 과정을 거쳐서 입력된 코골이 소음을 분석한 다음에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코골이 소음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모드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로터리 스위치(106)를 회전시켜서 전원을 투입시키면(S102) 온도센서(130) 및 습도센서(140)를 통하여 센싱된 주변 온도 및 습도를 산출하여(S104) LCD 표시창(105)에 표시하고 측정된 코골이 소음의 최고 레벨을 표시한다(S106).
이어서 선택된 코골이 소음 제거 모드를 체크하고(S108) 체크된 코골이 소음 제거모드를 수행한다. S108단계에서 I 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4참조)에는 케이스 후면과 토끼 귓바퀴(101, 102)가 잠자는 자신의 얼굴을 향하도록 방향을 조정한다. 이어서 저장된 자신의 코골이 소음 모델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코골이 소음을 센싱하여 근사 코골이 소음 모델을 저장한다(S110). 마이크(110A, 110B)를 통하여 자신의 코골이 소음을 입력하고(S112), 입력된 코골이 소음주기에 동기시켜 저장된 코골이 소음 모델로 상쇄신호를 생성한다(S114). 제어부(150)에서는 생성된 상쇄신호를 증폭부(180)에 출력하여 증폭시킨 다음에(S124) 증폭된 상쇄신호를 스피커(190)를 통하여 출력한다(S126). 따라서 자신이 코골이를 하는 경우 자신의 코골이 소음이 상쇄음에 의해 상쇄되므로 주변 사람이 조용히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S108단계에서 YOU 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5참조)에는 케이스 후면과 토끼 귓바퀴(101, 102)가 잠자는 상대방 얼굴을 향하도록 방향을 조정한다. 이어서 마이크(110A, 110B)를 통하여 상대방의 코골이 소음을 입력하고(S116), 입력된 코골이 소음을 분석하여 근사 YOU 코골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위상 반전시켜서 상쇄신호를 생성한 다음에 입력된 코골이 소음주기에 동기시켜 생성된 상쇄신호를 출력한다(S118). 출력된 상쇄신호는 S124 및 S126 단계를 거쳐서 상쇄음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대방이 코골이를 하는 경우 상대방의 코골이 소음이 상쇄음에 의해 상쇄되므로 조용히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S108단계에서 ALL 모드가 선택된 경우(도 6참조), 즉 자신이나 상대방이나 모두 코들 고는 경우에는 케이스 후면을 공간의 중앙을 향하도록 하고 하나의 토끼 귓바퀴(101)는 자신을 향하고 나머지 하나의 토끼 귓바퀴(102)는 잠자는 상대방 얼굴을 향하도록 방향을 조정한다. 이어서 마이크(110A, 110B)를 통하여 상대방의 코골이 소음을 입력하고(S120), 입력된 모든 코골이 소음을 분석하여 근사 ALL 코골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위상 반전시켜서 상쇄신호를 생성한 다음에 입력된 코골이 소음주기에 동기시켜 생성된 상쇄신호를 출력한다(S122). 출력된 상쇄신호는 S124 및 S126 단계를 거쳐서 상쇄음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코골이를 하는 경우 모든 코골이 소음이 상쇄음에 의해 상쇄되므로 모두들 조용히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탁상용 크기로 휴대하거나 운반하기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하며 코골이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여 잠자리 생활 소음을 제거 또는 저감시킬 수 있고, 숙면을 취할 수 있어서 잠자리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모드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Claims (3)

  1. 탁상형 케이스;
    상기 탁상형 케이스 중앙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탁상형 케이스에 설치되어 코골이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탁상형 케이스 표면에 설치되어 자기 모드, 타인모드 및 전체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탁상형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코골이 소음을 분석하고 분석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는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소음제거 회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거 회로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들로부터 코골이 소음만을 수집하기 위한 코골이 소음 수집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및 습도 센서;
    입력된 코골이 소음 레벨과 센싱된 온도 및 습도를 LCD 표시창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쇄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 위한 증폭부; 및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응답하여 코골이 소음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 드에 응답하여 상기 코골이 소음 수집부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증폭부에 제공하고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를 통해 센싱된 현재의 온도 및 습도와 코골이 소음 레벨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LCD 표시창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탁상형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토끼 얼굴 모양이고 토끼 귓구멍에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고 토끼 귓바퀴가 코골이 소음원을 지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형 코골이 소음 제거 장치.
KR1020080004305A 2008-01-15 2008-01-15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KR20090078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05A KR20090078467A (ko) 2008-01-15 2008-01-15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05A KR20090078467A (ko) 2008-01-15 2008-01-15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467A true KR20090078467A (ko) 2009-07-20

Family

ID=4133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305A KR20090078467A (ko) 2008-01-15 2008-01-15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4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438A (ko) * 2014-07-29 2016-02-11 엄윤주 동물소음 감소장치
KR20170082842A (ko) * 2016-01-07 2017-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소음 제어 방법
CN110517660A (zh) * 2019-08-22 2019-1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嵌入式Linux实时内核的降噪方法和装置
CN110800042A (zh) * 2017-05-25 2020-02-14 马里技术 防打鼾装置、防打鼾方法和程序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438A (ko) * 2014-07-29 2016-02-11 엄윤주 동물소음 감소장치
KR20170082842A (ko) * 2016-01-07 2017-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소음 제어 방법
CN110800042A (zh) * 2017-05-25 2020-02-14 马里技术 防打鼾装置、防打鼾方法和程序
US11114083B2 (en) * 2017-05-25 2021-09-07 Mari Co., Ltd. Anti-snoring apparatus, anti-snoring method, and program
CN110800042B (zh) * 2017-05-25 2024-03-12 马里技术 防打鼾装置、防打鼾方法和程序
CN110517660A (zh) * 2019-08-22 2019-1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嵌入式Linux实时内核的降噪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0913C (en) Smart pillow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and biofeedback
US9788757B2 (en) Breathing biofeedback device
US8699719B2 (en) Personal acoustic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JP5406996B2 (ja) いびき/環境騒音の軽減、ハンズフリー通信、ならびに非侵襲的な監視および記録のための電子まくら
US7835529B2 (en) Sound canceling systems and methods
US9943712B2 (en) Communication and speech enhancement system
EP1946611B1 (en) Method to adjust a hearing aid device and corresponding hearing aid system
DK3010249T3 (en) METHOD OF DETECTING HEART RATE IN HEADPHONE AND HEADPHONE THAT CAN DETECT HEART RATE
CN107924674A (zh) 设置有打鼾噪声消除的枕头
CN106465011B (zh) 使用差分信号测量的耳机的头上检测
US8117699B2 (en) Sound conditioning system
US20220054870A1 (en) Face Mask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8024A1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risk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KR20090078467A (ko)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JP2016538091A (ja) 幼児飲み込み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071369A1 (en) Electronic pillow pad of snore and noise cancellation and the method thereof
WO2017048485A1 (en) Communication and speech enhancement system
KR20110103213A (ko) 청력손상 예방기능을 갖는 휴대형 음향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41832B2 (en) Fall prevention device
WO2021157621A1 (ja) 呼吸音計測装置及び睡眠状態計測システム
JP2005052521A (ja) 電子聴診器
CA1200887A (en) Differential stethoscope
JP2004020817A (ja) 報知音変換装置
KR100404595B1 (ko) 전자청진기
GB2439766A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with separate wirelessly linked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