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438A - 동물소음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소음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438A
KR20160014438A KR1020140096680A KR20140096680A KR20160014438A KR 20160014438 A KR20160014438 A KR 20160014438A KR 1020140096680 A KR1020140096680 A KR 1020140096680A KR 20140096680 A KR20140096680 A KR 20140096680A KR 20160014438 A KR20160014438 A KR 2016001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imal
unit
animal nois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703B1 (ko
Inventor
엄윤주
Original Assignee
엄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윤주 filed Critical 엄윤주
Priority to KR102014009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동물소음을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위상이 변환되어 상기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소음 감소장치{Apparatus for Removing Pet noise}
본 발명은 동물소음을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울음소리, 짖는 소리 등과 같은 동물소음을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을 좋아하여 집에서 키우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키우는 동물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렇게 동물을 키우는 경우에 동물의 짖는 소리, 울음소리와 같은 소음이 문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동물소음이 다른 이웃에게 피해를 주어 분쟁의 소지가 되기도 하며, 동물소음으로 인해 제한되거나 금지되는 불편이 따르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10-2006-0087479호 "애완동물의 짖음 제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동물의 짖음 소리가 일정 시간 지속될 경우 목걸이 등을 통해 자동으로 동물에게 직접 전기 충격이나 진동 등의 자극을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짖음을 제어한다. 이는 동물을 직접 자극하여 소리를 멈추게 하는 것으로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이런 스트레스로 인하여 동물의 감정을 더욱 자극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편안하고 쾌적하게 동물을 키우기 위해서 동물에게 직접 가해하지 않으면서 동물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물소음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동물소음 신호를 180- 위상 변환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발생된 동물소음 신호가 상쇄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동물소음을 저감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부의 선택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기르는 동물이나 동물소음 감소를 원하는 동물의 종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동물소음을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르는 개의 소리를 직접적으로 반복적으로 검출하여 커스터마이징되거나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소리상쇄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켜 동물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동물소음을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위상이 변환되어 상기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는,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동물소음의 파형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파형과 진폭 및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도 변환된 신호를 상쇄신호로서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정보는 동물소음의 반복되는 주기 정보, 동물소음의 시작포인트 정보 및 종료포인트 정보, 동물소음 진폭의 최고 및 최저 정보, 동물소음의 주파수 및 위상 정보, 시간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부는 600㎐ ~ 7㎑ 의 동물소음을 감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동물소음을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동물소음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모드 설정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된 동물정보를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동물정보에 매칭되는 상쇄신호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매칭신호 검출부; 상기 선택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동물소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위상이 변환되어 상기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 생성부; 및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상쇄신호 및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쇄신호 및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쇄신호를 반복 축적하여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커스터마이징하는 커스터마이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는 상기 동물정보를 기초로 카스터마이징되어 저장된 상기 동물정보에 매칭되는 상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부는 선택모드로 설정하는 선택모드 수단 및 상기 선택모드로 설정된 경우 동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선택모드 설정 시, 선택된 동물을 확인하고, 선택된 동물정보를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에 제공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는,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동물소음의 파형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파형과 진폭 및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 변환된 신호를 상쇄신호로서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물소음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동물소음 신호를 180- 위상 변환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발생된 동물소음 신호가 상쇄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동물소음을 감소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사용자가 선택부의 선택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기르는 동물이나 동물소음 감소를 원하는 동물의 종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동물소음을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사용자가 기르는 개의 소리를 직접적으로 반복적으로 검출하여 커스터마이징되거나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소리상쇄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은 더욱 감소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의 전체 구성도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100)는 입력부(110), 센싱부 (120), 상쇄신호 생성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하고, 전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의 울음소리,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이 발생하면 입력부(110)의 마이크(112)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110)는 레코딩부(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동물소음 신호를 레코딩부(114)에 녹음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동물의 울음,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센싱부(120)는 동물소음 중에서 특정범위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의 소음감지를 위해서 개가 높게 짖는 600㎐ ~ 7㎑ 정도의 소리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입력부(110) 및 센싱부(120)는 동물소음을 용이하게 입력받고 감지하기 위하여 동물소음 발생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동물의 목 등 동물 몸에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중요 동물소음 발생지에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물소음이 용이하게 입력되고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쇄신호 생성부(130)는 특성 검출부(132) 및 신호 생성부(134)를 포함하며, 센싱부(120)에서 감지된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특성정보를 기초로 동물소음을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특성 검출부(132)는 입력된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동물소음의 파형을 검출한다. 상기 특성정보는 동물소음의 반복되는 주기 정보, 동물소음의 시작포인트 정보 및 종료포인트 정보, 동물소음 진폭의 최고 및 최저(peak) 정보, 동물소음의 주파수 및 위상 정보, 시간 지연(delay) 정보 등 동물소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특성 검출부(132)는 동물에 따라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기, 진폭, 주파수, 및 위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다르고, 같은 동물 중에서도 울음소리나 짖는 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특성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개 중에서도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의 짖는 소리가 다르고, 대형견 중에서도 달마시안, 허스키, 알라뮤트 등 각 종류에 따라서 짖는 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특성 검출부(132)는 감지되는 동물소음에 따라서 각 특성을 검출한다.
신호 생성부(134)는 특성 검출부(132)에서 검출된 파형을 기초로 동물소음을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생성부(134)는 특성 검출부(132)에서 검출된 동물소음의 주기, 시작포인트 및 종료포인트, 진폭,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 변환된 신호를 상쇄신호로서 실시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34)는 특성 검출부(132)에서 동물소음의 시간 지연이 검출되는 경우 시간 지연을 고려한 상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쇄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원부(150)는 동물소음 감소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외부전원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전원으로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의 울음소리,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이 발생하면(S310), 입력부(110)의 마이크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되는 동물소음 신호는 레코딩부(114)에 녹음될 수 있다(S320).
입력부(110)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를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면, 센싱부(120)의 소리감지 센서에서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한다. 센싱부(120)는 특정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특정 크기 이상의 소리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S330).
센싱부(120)에서 동물소음 신호가 감지되면, 상쇄신호 생성부(130)의 특성 검출부(132)는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을 검출한다. 동물소음 신호의 특성정보는 신호의 주기, 시작포인트 및 종료포인트, 진폭, 주파수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S340).
이어서, 상쇄신호 생성부(130)의 신호 생성부(134)에서는 해당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상쇄신호는 특성 검출부(132)에 검출된 파형에서 주기, 주파수, 및 진폭은 동일하나 위상이 반전된 신호, 즉 위상이 180- 변환된 신호를 생성한다(S350).
이어서, 출력부(140)에서는 상쇄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S3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물소음에 따른 소음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소음신호를 180- 위상 변환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발생된 동물 소리가 상쇄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동물소음를 저감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실시간으로 마이크로 입력된 동물소리를 위상변환하여 스피커로 내보냄으로써 동물소리는 스피커를 통해 나온 위상변환된 소리에 의해 상쇄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200)는 입력부(210), 센싱부(220), 상쇄신호 생성부(230), 선택부(240), 매칭신호 검출부(250), 저장부(260), 커스터마이징부(270) 및 출력부(280)를 포함하고, 전원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마이크(2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의 울음소리,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이 발생하면 입력부(210)의 마이크(222)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210)는 레코딩부(2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동물소음 신호를 레코딩부(224)에 녹음할 수 있다.
센싱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동물의 울음,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센싱부(220)는 동물소음 중에서 특정범위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입력부(210) 및 센싱부(220)는 동물소음을 용이하게 입력받고 감지하기 위하여 동물소음 발생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물소음이 용이하게 입력되고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장소의 제한없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선택부(240)는 선택모드수단 및 선택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모드로 설정되고 특정 동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동물의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동물에 대한 코드정보를 매칭신호 검출부(250)에 전송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선택부(240)의 선택모드수단을 이용하여 선택모드로 설정한 후, 선택부(240)의 선택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기르는 동물이나 동물소음 감소를 원하는 동물의 종류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선택부(240)는 센싱부(220)에서 동물소음 신호가 감지되면 선택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 동물에 대한 코드정보를 매칭신호 검출부(250)에 전송한다.
선택부(240)의 선택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 동물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선택된 동물의 코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표 1은 선택모드로 설정된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동물의 종류와 그에 대응하는 코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동물의 종류는 개(Dog)이나 다른 동물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사용자가 "CUSTOMER"를 함께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키우는 동물의 개별적 특성이 반영된 최적의 상쇄신호가 커스터마이징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매칭신호 검출부(250)는 선택부(240)에서 선택된 코드정보를 기초로 저장부(240)에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해당 동물의 상쇄신호를 저장부(260)에서 추출하여 출력부(280)에 제공한다.
상쇄신호 생성부(230)는 특성 검출부(232) 및 신호 생성부(234)를 포함하고, 선택부(240)의 선택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센싱부(220)에서 감지된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특성정보를 기초로 동물소음을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상쇄신호 생성부(230)의 특성 검출부(232)는 입력된 동물소음 신호의 고유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을 검출한다. 상기 특성정보는 동물소음의 반복되는 주기 정보, 동물소음의 시작포인트 정보 및 종료포인트 정보, 동물소음 진폭의 최고 및 최저(peak) 정보, 동물소음의 주파수 및 위상 정보, 시간 지연(delay) 정보 등 동물소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신호 생성부(234)는 특성 검출부(232)에서 검출된 파형을 기초로 동물소음을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생성부(234)는 특성 검출부(232)에서 검출된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과 주기, 시작포인트 및 종료포인트, 진폭,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도 변환된 신호를 상쇄신호로서 실시간 생성한다. 또한, 신호 생성부(234)는 특성 검출부(232)에서 동물소음 신호의 시간 지연이 검출되는 경우 시간 지연을 고려한 상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280)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모드가 설정된 경우 매칭신호 검출부(250)에서 제공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선택모드가 아닌 경우 상쇄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커스터마이징부(270)는 센싱부(220)에서 감지된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가 출력부(28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면, 동일한 상쇄신호를 반복적으로 축적하여 해당 상쇄신호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여 최적화한다. 예를 들면, 출력되는 상쇄신호를 반복 축적하여 최소 및 최대 평균값을 계속해서 찾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상쇄신호에 대한 상쇄효과가 최대가 되는 상쇄신호를 계속해서 찾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징부(270)는 사용자가 선택부(240)의 선택입력수단에서 커스터마이징 코드, 즉, 상기 표1에서 "CUSTOMER"를 선택한 경우 동작될 수 있고, 상쇄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선택부(240)에서 선택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동물정보에 대응하는 상쇄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60)는 출력부(280)에서 출력되는 상쇄신호를 저장할 수 있고, 커스터마이징부(270)에서 커스터마이징되거나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이미 저장된 상쇄신호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290)는 동물소음 감소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외부전원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전원으로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의 울음소리, 짖는 소리 등 동물소음이 발생하면(S410), 입력부(210)의 마이크(112)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되는 동물소음 신호는 레코딩부(114)에 녹음될 수 있다(S420).
입력부(210)를 통해 동물소음 신호를 포함하는 소음신호가 입력되면, 센싱부(220)의 소리감지 센서에서 소음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한다. 센싱부(220)는 특정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특정 크기 이상의 소리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S430).
이어서, 선택부(240)에 선택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선택모드가 설정되었는지의 확인은 선택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시하고 선택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자동으로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S440).
선택부(240)에 선택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모드에서 선택된 동물정보로서 코드정보를 매칭신호 검출부(250)에 전송한다(S450).
매칭신호 검출부(250)는 선택부(240)에서 코드정보를 기초로 저장부(260)에 코드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상쇄신호를 저장부(260)에서 추출하여 출력부(280)에 제공한다(S460). 이어서, 출력부(280)에서는 매칭신호 검출부(250)가 제공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S490).
한편, 선택부(240)에 선택모드가 아닌 경우, 센싱부(220)의 동물소음 신호에 응답하여 상쇄신호 생성부(230)에서는 감지된 동물소음 신호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을 검출한다(S470). 상쇄신호 생성부(230)의 신호 생성부(234)에서는 해당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한다(S480). 이어서, 출력부(280)에서는 상쇄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S490).
사용자가 선택부(240)의 선택입력수단을 통해 "CUSTOMER"를 더 선택한 경우, 커스터마이징부는(270)는 매칭신호 검출부(250)에 의해 출력부(280)에서 출력되는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커스터마이징 또는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징부(270)는 상쇄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커스터마이징 또는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장치가 스탠드형으로 구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아파트 내부, 실내, 또는 방 등에서 동물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소음 장치가 목걸이형으로 구현된 것으로 (a)는 동물(예시적으로 개)이 착용한 모습이며, (b)는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동물의 목에 부착함으로써 동물소음 획득이 용이하고, 동물소음 감소 효과가 최대가 되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물소음에 따른 소음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소음신호를 180도 위상 변환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발생된 동물 소리가 상쇄신호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동물소음를 저감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사용자가 선택부의 선택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기르는 동물이나 동물소음 감소를 원하는 동물의 종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상쇄신호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동물소음을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물소음 감소장치는 사용자가 기르는 개의 소리를 직접적으로 반복적으로 검출하여 커스터마이징되거나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소리상쇄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은 더욱 감소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동물소리 감소장치
110 : 입력부 120 : 센싱부
130 : 상쇄신호 생성부 132: 특성 검출부
134 : 신호 생성부 140 : 출력부
150 : 전원부

Claims (9)

  1. 동물소음 감소장치에 있어서,
    동물소음을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위상이 변환되어 상기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는,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과 진폭 및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도 변환된 신호를 상기 상쇄신호로서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정보는 동물소음의 반복되는 주기 정보, 동물소음의 시작포인트 정보 및 종료포인트 정보, 동물소음 진폭의 최고 및 최저 정보, 동물소음의 주파수 및 위상 정보, 시간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600㎐ ~ 7㎑ 의 동물소음을 감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5. 동물소음 감소장치에 있어서,
    동물소음을 포함하는 소리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소리신호 중에서 동물소음 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동물소음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모드 설정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된 동물정보를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동물정보에 매칭되는 상쇄신호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매칭신호 검출부;
    상기 선택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동물소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위상이 변환되어 상기 동물소음 신호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는 상쇄신호 생성부; 및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상쇄신호 및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쇄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쇄신호 및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상쇄신호를 반복 축적하여 최적화된 상쇄신호를 커스터마이징하는 커스터마이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는 상기 동물정보를 기초로 카스터마이징되어 저장된 상기 동물정보에 매칭되는 상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선택모드로 설정하는 선택모드 수단 및 상기 선택모드로 설정된 경우 동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 수단을 포함하며,
    선택모드가 설정된 경우, 선택된 동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동물정보를 상기 매칭신호 검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신호 생성부는,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특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특성 검출부; 및
    상기 동물소음 신호의 파형과 진폭 및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180도 변환된 신호를 상쇄신호로서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소음 감소장치.
KR1020140096680A 2014-07-29 2014-07-29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KR10160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80A KR101602703B1 (ko) 2014-07-29 2014-07-29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80A KR101602703B1 (ko) 2014-07-29 2014-07-29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38A true KR20160014438A (ko) 2016-02-11
KR101602703B1 KR101602703B1 (ko) 2016-03-11

Family

ID=5535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80A KR101602703B1 (ko) 2014-07-29 2014-07-29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922B1 (ko) * 2020-02-10 2020-09-16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162588B1 (ko) 2019-04-25 2020-10-07 (주) 번영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WO2020218905A1 (ko) * 2019-04-25 2020-10-29 (주)번영 동물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KR20200124927A (ko) 2019-04-25 2020-11-04 (주) 번영 동물 소음 저감 장치
KR20210050436A (ko) * 2019-10-28 2021-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소음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23455B1 (ko) 2023-03-30 2024-01-10 (주)케이아이테크노 반려견 소음감소를 위한 노이즈캔슬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28A (ko) * 1992-05-20 1993-12-21 강진구 저소음 세탁기
JPH09179579A (ja) * 1995-12-25 1997-07-11 Casio Comput Co Ltd 検索装置
KR20090078467A (ko) * 2008-01-15 2009-07-20 홍성표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KR100935769B1 (ko) * 2008-05-02 2010-01-06 소리젠 주식회사 피드백 제어를 갖는 주파수 특성 보상형 능동형 소음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28A (ko) * 1992-05-20 1993-12-21 강진구 저소음 세탁기
JPH09179579A (ja) * 1995-12-25 1997-07-11 Casio Comput Co Ltd 検索装置
KR20090078467A (ko) * 2008-01-15 2009-07-20 홍성표 코골이 소음 제거장치
KR100935769B1 (ko) * 2008-05-02 2010-01-06 소리젠 주식회사 피드백 제어를 갖는 주파수 특성 보상형 능동형 소음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588B1 (ko) 2019-04-25 2020-10-07 (주) 번영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WO2020218905A1 (ko) * 2019-04-25 2020-10-29 (주)번영 동물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KR20200124927A (ko) 2019-04-25 2020-11-04 (주) 번영 동물 소음 저감 장치
KR20210050436A (ko) * 2019-10-28 2021-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소음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56922B1 (ko) * 2020-02-10 2020-09-16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21177805A1 (ko) * 2020-02-10 2021-09-10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623455B1 (ko) 2023-03-30 2024-01-10 (주)케이아이테크노 반려견 소음감소를 위한 노이즈캔슬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03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703B1 (ko)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US8161915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imal from bark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340313A9 (en) Ultrasonic prob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128043A1 (en) Intelligent pet door
US10129633B1 (en) Automated awareness for ANR systems
US20090194037A1 (en) Method for preventing pet from barking
EP2529817A4 (en) TOY SET, GAME CONTROL PROGRAM AND GAME DEVICE AND TOY COMMUNICATION SYSTEM
US20200404886A1 (en) Animal Behavior Management System
JP2016110654A5 (ko)
KR20150114310A (ko) 동물움직임을 이용한 동물 통역 시스템
WO201719544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65083B2 (ja) 行動目標達成支援システム、行動目標達成支援方法及び行動目標達成支援処理プログラム
US20190364360A1 (en) Lighting Integrated Sound Processing
RU147091U1 (ru) Звуковое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90052443A (ko) 반려동물 음성 번역 장치 및 방법
JP6370205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598369B2 (ja) 音声管理サーバー装置
CN111105790B (zh) 一种智能外部设备、智能音箱系统及分布式收音方法
US20140336803A1 (en) Time management and task persisten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90071041A (ko) 소리센서와 리모컨 이용한 위치추적 장치
US10489107B2 (en) Instru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instru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instru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JP6775218B2 (ja) 嚥下情報提示装置
US20100166240A1 (en) Hearing apparatus for pets
JP20141972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JP6362358B2 (ja) 作業完了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