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935U -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 Google Patents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935U
KR20100006935U KR2020080017296U KR20080017296U KR20100006935U KR 20100006935 U KR20100006935 U KR 20100006935U KR 2020080017296 U KR2020080017296 U KR 2020080017296U KR 20080017296 U KR20080017296 U KR 20080017296U KR 20100006935 U KR20100006935 U KR 20100006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noring
phase
applic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2020080017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935U/ko
Publication of KR20100006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9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상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최초 발생한 코골기로 인한 소음의 입력, 입력된 소음과 위상이 180°반대인 파형의 소리생성, 생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최초 발생한 코골기로 인한 소음을 상쇄시켜 잔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상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수면, 코골기, 소음, 상쇄, 위상, 180°, 상쇄장치

Description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snore noise cancelling equipment}
본 고안은 수면중 코골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지 않는 코골기로 인한 소음에 대해 해당 소음과 위상이 180°반대인 소음을 이용하여 최초 발생한 소음의 상쇄를 목적으로 한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인 가청주파수는 20 ~ 20000 Hz정도이며, 그 중 코골기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는 500 ~ 2000 Hz정도이다.
수면중 코골기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나 타나는 경우도 많다. 두 번째 인두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소아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은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이다.
신체검진으로 체중이나 BMI 지수를 측정하거나 외양 특히 얼굴과 목의 모양을 관찰하고 비강, 구강, 인두, 후두의 검진을 병행하여 주된 유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정확한 수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수면의 전 과정을 조사한다. 자는 동안 호흡, 맥박, 움직임, 코골이, 혈중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을 측정하고, 그 외에 기도의 폐쇄 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등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위험 인자를 줄이는 방법, 약물 치료, 구강 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양압을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하여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비강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이 있다.
상기의 일련의 단계를 통해 진단 및 치료되어 코골이자체를 제어할 수 있으나, 진단을 통한 원인의 파악이 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완벽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이를 방치하게 되는데, 계속되는 코골기에 의한 소음은 동일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적용기술은 현재까지 공개된 특허, 실용신안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명되었으며, 그 일부와 간단한 설명을 아래에 예시하였다.
1. 전자 방음벽 장치
(출원번호 1996-0023841, 출원일자 1996.06.09)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동일한 소리 주파수 신호를 두 개의 대향되게 설치된 스피커에서 동일하게 출력시키면 양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서로 상쇄되어 버리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음원에서부터 발생된 소리를 집음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로 변환시키는 소리, 집음수단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수단과, 신호 증폭수단에서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소리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소리 출력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2. 에어콘의 소음감소장치
(출원번호 1994-0002977, 출원일자 1994.02.19)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블로어팬이 회전될 때 각 블레이드가 스테빌라이져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음과 위상이 반대인 음을 발생시켜 서로 상쇄하는 소음상쇄수 단을 구비하는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특이음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다른 소음의 중대나 효율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 또한 특이음 때문에 블로어팬의 설계시 제한되어왔던 스테빌라이져와 블로어팬과의 상대적인 위치 및 형상설계가 자유로워져 블로어 팬의 성능향상에 효과적인 것이다.
3. 소음제어장치
(출원번호 1994-007079, 출원일자 1994.04.04)
출원서 중 청구항 2항의 일부 - 제어음발생수단은 상기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과 크기가 같고 위상이 180°다른 제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장치
4. 차량용 전자식 소음 감쇄장치
(출원번호 0994-076006, 출원일자 1996.12.30)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엔진을 씌운 상, 하, 좌, 우 내면에 설치한 소음 수신을 위한 음파센서 및 소음상쇄파를 발생케하는 소형 스피커와, 상기 음파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형 스피커로 출력토록 제어하는 콘트롤 유니트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5. 소음 제거 장치
(출원번호 1997-017516, 출원일자 1997.05.07)
출원서 중 청구항 1항 -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여 출력해 주는 소음 센서(Mi)와; 상기한 소음 센서(Mi)에 감지된 소음을 소정의 폭을 갖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로 분할하여 출력해 주는 다수의 필터(F1∼3)와; 상기한 다수의 필터(F1∼3)에 의하여 여러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된 소음의 위상을 반전 및 증폭시켜 출력해 주는 출력 증폭부(A)와; 상기한 다수의 필터(F1∼3)들이 입력된 소음 신호의 주파수의 주기에 맞게 동작하도록 소정의 주파수를 출력시켜 각각의 필터(F1∼3)에 입력시켜 주는 클락 발생부(CLK)로 구성되어, 소음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출력시킴으로써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제거 장치.
6. 통화 소리로 인한 주변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출원번호 10-1998-0053207, 출원일자 1998.12.04)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휴대 통신 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들어오는 음성을 위상 반전하여 적절하게 증폭한 후 이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음성과 스피커의 음성이 위상 반전으로 인해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통화를 하더라도 주변의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7. 에어컨디셔너의 소음 저감장치 및 방법
(출원번호 1990-0021099, 출원일자 1990.12.19)
출원서 중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일부 - 팬소음이나 회전성분에 의한 주기성 반복 되는 소음성분을 밀 데이터 베이스화한 후 실내기 작동에 따른 소음발생시 미리 예상되는 주파수형태로 필터링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소음성분만을 역위상으로 변환시켜서 소음을 제거하도록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소음저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8. 피드백 제어식 소음억제 장치 및 오픈 루프식 소음억제 장치
(출원번호 10-1997-0037207, 출원일자 1997.08.04)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유입되는 소음을 검출하여 검출된 소음을 위상반전시켜 유입되는 소음과 상쇄시키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 있어서, 소음의 유입경로상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소음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소음취득수단과; 임의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며 해당 위치에서의 소음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소음취득수단과;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소음취득수단을 통해 검출된 소음을 위상변화하고 시간 지연 및 감쇄정도를 선정하여 출력하는 역위상 소음 출력수단; 및 상기 제2 소음취득수단에서 검출되는 소음의 정도에 따라 성기 역위상 소음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소음상쇄장치
(출원번호 10-2001-0013833, 출원일자 2001.03.16)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소음으로 인한 공기의 진동 또는 물체의 진동신호를 포착하여 이를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로 바꾸는 소음포착신호변환수단과 상기 소음과 위 상이 180도 반전된 음을 발생시키는 위상반전음발생수단을 구비한 소음상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10. 휴대폰의 소음제거 구조
(출원번호 10-2003-0087817, 출원일자 2003.12.05)
출원서 중 청구항 8항의 일부 - 역위상 음성발진기는 휴대폰의 마이크와 접속되어 그 마이크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통해 통화음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마이콤과; 이 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기초로 그 음성신호와 반대되는 위상의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역위상 음성신호발생부와; 이 역위상 음성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되는 위상 반전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와; 이 신호증폭부로부터 수신된 위상 반전된 음성신호를 마이크 주위로 전파시키는 신호송신부로 이루어진 것인 휴대폰의 소음제거 구조.
11. 능동소음 제어장치 및 방법
(출원번호 10-2005.0062601, 출원일자 2005.07.12)
출원서 중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의 일부 - 능동소음제어의 원리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신호를 검출한 다음, 이 소음신호를 바탕으로 진폭은 같고 위상은 반대인 제어신호음을 제어스피커를 통해 소음원쪽으로 발생시켜줌으로써, 상기 소음원과 제어신호음이 같은 공간내에 상포 중첩되는 동시에 상쇄되어 소음이 제거되는 점에 있다.
12. 전자장치 및 그 소음 감소 방법
(출원번호 10-2007-0008255, 출원일자 2007.01.26)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본 전자장치는 VCR 데크의 구동에 이용되는 모터의 구동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구동소음과 기설정된 기준소음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판단부, 및 비교결과를 기초로 기준소음을 갱신하고, 구동소음 및 기준소음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반전한 후, 위상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특성 및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터의 구동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구동소음과 기설정된 기준소음을 기초로 기준소음을 갱신 및 갱신된 기준소음을 기초로 모터의 소음을 위상 반전하여 출력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터의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13. 차량의 소음제거장치
(출원번호 20-1997-0034791, 출원일자 1997.11.29)
출원서 중 요약의 일부 - 엔진룸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감지된 소음에 대한 위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시트의 헤트레스트에 복수개 장착되는 마이크로폰 센서와;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에서 출력되는 위상신호에 대한 역위상값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역위상값에 따라 엔진룸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압전스피커로 구성되어 엔진룸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각종 소음들을 상쇄시킴으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아주 쾌 적한 환경속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4. 주변노이즈 제거기능을 갖는 노트북 컴퓨터용 녹음장치
(출원번호 1998-013676, 출원일자 1998.07.24)
노트북 컴퓨터의 케이스 일측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및 주변의 소음을 함께 받아 들이는 제1내부 마이크와, 상기 제1내부 마이크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180도 방향을 달리하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주변의 소음을 받아 들이는 제2내부 마이크와, 상기한 제1내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에서 제2내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장하는 사운드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녹음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차동 증폭회로를 이용하여 회로적으로 주변의 소음이 거의 완전에 가깝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만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노이즈 감쇄기능을 갖는 노트북 컴퓨터용 녹음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의 예시와 같이 최초 발생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 필요한 상쇄용 소음을 추출, 증폭 및 출력하는 방법은 자동차실내, 에어콘, 휴대폰, 녹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 세부적인 구성에 있어 적용분야별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위상이 180°반대인 파형의 소음으로 최초 발생한 소음의 상쇄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지 않는 코골기로 인한 소음에 대해 해당 소음과 위상이 180°반대인 소음을 이용하여 최초 발생한 소음을 상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리의 입력, 입력된 소리와 위상이 180°반대인 파형의 소리생성, 생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하여 최초 발생한 소리를 상쇄시켜 잔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
본 발명에 따른 효과로는 아래 내용과 같다.
1.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에 따른 주변인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같이 수면하게 되는 경우,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자체를 상쇄하여 그 소리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추가적인 문제점의 유발이 예상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고안은 최초 발생한 소음의 추출, 위상이 180°반대 인 파형의 생성, 생성된 소음을 출력하여 최초 발생한 소음을 상쇄하는 일련의 구성은 현재 출원 및 공개된 기술 중 선택/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해당 부분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작된 소음제거장치를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미치는 공간내에 위치시켜 해당 소음을 입력받아 이를 위상변형 및 출력하도록 한다.
도 1 은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상쇄장치를 설치한 도면으로써, 침대의 좌, 우, 상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고, 도 1내 다른 하나의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비하여 코골기로 인한 소음의 체감이 감소하게 된다.
앞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이상적으로는 수면중 코골기의 원인을 찾아 조치하는 것이나, 코골기의 원인을 이유를 찾기 어려운 경우나 수술 등의 조치가 어렵거나, 지연되는 등의 경우, 이를 듣게 되는 주변인에게 원치 않는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차선적인 방법으로 코골기로 인한 주변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코골기로 인한 해당 소음과 위상이 180°반대인 소음을 이용하여 최초 발생한 소음을 상쇄하여, 잔여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코골기에 의한 소음 상쇄장치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Claims (1)

  1.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상쇄장치에 있어서,
    최초 발생한 코골기로 인한 소음의 입력, 입력된 소음과 위상이 180°반대인 파형의 소리생성, 생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최초 발생한 코골기로 인한 소음을 상쇄시켜 잔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중 코골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상쇄장치
KR2020080017296U 2008-12-29 2008-12-29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KR20100006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96U KR20100006935U (ko) 2008-12-29 2008-12-29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296U KR20100006935U (ko) 2008-12-29 2008-12-29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935U true KR20100006935U (ko) 2010-07-08

Family

ID=4445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296U KR20100006935U (ko) 2008-12-29 2008-12-29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9587A (zh) * 2019-07-12 2019-10-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两人场景下目标个体打呼区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9587A (zh) * 2019-07-12 2019-10-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两人场景下目标个体打呼区分方法
CN110349587B (zh) * 2019-07-12 2022-03-2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两人场景下目标个体打呼区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5529B2 (en) Sound canceling systems and methods
US9865243B2 (en) Pillow set with snoring noise cancellation
US9384727B2 (en) Active sound reduction system and method
JP5808909B2 (ja) マットレス使用による受動的監視センサシステム
CN101365383B (zh) 一种用于打鼾检测的方法
CN106073978B (zh) 一种止鼾装置和止鼾方法
US20060270941A1 (en) Device for measuring respiration during sleep
CN107430846A (zh) 可穿戴噪声消除装置
JPH11505146A (ja) 鼾を検出し記録する装置
CN110800042A (zh) 防打鼾装置、防打鼾方法和程序
TW201709852A (zh) 消除鼾聲與噪音之電子枕頭墊及其方法
US20220174393A1 (en) Earbud for Detecting Biosignals from and Presenting Audio Signals at an Inner Ear Canal and Method Therefor
KR20100006935U (ko) 코골기 소음 상쇄장치
Nelson et al. Accelerometer-based acoustic control: Enabling auscultation on a black hawk helicopter
Chakravarthy et al. Applic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for reducing snore
JP5979359B2 (ja) 判断システム、判断システムの作動方法、及び判断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
Liu et al. Application of multi-channel hybrid active noise control systems for infant incubators
CN213605648U (zh) 一种智能助眠枕
WO2019102598A1 (ja) 生体センサ及びいびき軽減まくら
Chang et al. A Complete Design of Smart Pad That Reduces Snoring
Kuo et al. Active snore noise control systems
Kuo et al. Active snore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apnea detector
CN215007495U (zh) 一种鼾声抵消装置
CN113990339A (zh) 声音信号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13345403A (zh) 一种主动降噪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