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54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549A
KR20200013549A KR1020180088889A KR20180088889A KR20200013549A KR 20200013549 A KR20200013549 A KR 20200013549A KR 1020180088889 A KR1020180088889 A KR 1020180088889A KR 20180088889 A KR20180088889 A KR 20180088889A KR 20200013549 A KR20200013549 A KR 2020001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module
sens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322B1 (ko
Inventor
표종길
황보한석
김병희
김재용
정경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22B1/ko
Priority to PCT/KR2018/011209 priority patent/WO2020027367A1/ko
Priority to EP18928373.2A priority patent/EP3832629A4/en
Priority to US16/169,875 priority patent/US10748456B2/en
Publication of KR2020001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 롤러에 감기거나 롤러에서 풀리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어 개구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과; 베이스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베이스에 배치되고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를 클로즈 위치나 부분 개방위치나 최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
되고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롤러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롤러에서 펼치거나 롤러에 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62342 A(2017년06월07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9669 A(2016년11월09일 공개)
본 발명은 이물질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에서 풀리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클로즈 위치나 부분 개방위치나 최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도어 구동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온시키고,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부분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구동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캐리어의 진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복수개 센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는 센싱 타켓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센서는 상기 도어의 클로즈 위치를 센싱하는 제1센서와; 상기 도어의 부분 개방위치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위치를 센싱하는 제3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와 제3센서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중 상기 제3센서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센서 마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센서 마운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 가이드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복수개 가이드부재 중 가장 높이가 높은 제1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개 가이드부재 중 제1가이드부재 보다 높이가 낮은 제2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높이가 같은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구동모듈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진퇴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의 진퇴 방향으로 긴 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퇴기구는 상기 랙에 치합된 피니언과; 모터와; 상기 모터와 피니언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피니언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워엄 기어와; 상기 워임 기어에 치합된 워엄 휠과; 상기 워엄 휠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기어를 갖는 토크 리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이격되게 장착된 서브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서브 랙이 형성되며 서브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된 서브 캐리어와, 상기 서브 랙에 치합된 서브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서브 피니언을 연결하는 연동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가 최대 개방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승강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도어와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가 상승된 후 그 높이가 변경되지 않는 동안 도어가 부분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모듈과 도어 사이의 갭을 줄일 수 있어, 개구부를 통한 이물질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베이스에 은닉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가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최대 상승높이로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클로즈 위치일 때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부분 개방 위치일 때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최대 개방 위치일 때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승시키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최대 높이로 상승시켰을 때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및 도어 구동모듈이 도시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을 도 13과 상이한 방향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베이스에 은닉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가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최대 상승높이로 상승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클로즈 위치일 때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부분 개방 위치일 때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최대 개방 위치일 때의 평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1)와, 베이스(1)로 하강되거나 베이스(1) 위로 상승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디스플레이 패널(3)과, 디스플레이 커버(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5)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하강시 디스플레이 모듈(2)이 감기는 것으로서, 베이스(1)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2)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은 승강모듈(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승강모듈(1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후 방향(X)으로 두께를 갖고, 좌우 방향(Y)으로 폭을 갖으며, 상하 방향(Z)으로 높이를 갖을 수 있다.
베이스(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의 내부에는 롤러(5)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하강시, 디스플레이 모듈(2)는 롤러(5)와 함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승시,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적어도 일부는 공간(S)의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그 상승된 높이에 따라 일부만 공간(S) 위로 상승되거나, 그 전부가 공간(S)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롤러(5)는 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5)는 베이스(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1)에는 롤러(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서포터(51, 도 6 내지 도 8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 서포터(51)는 베이스(1)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롤러(5)는 한 쌍의 롤러 서포터(51) 사이에서 한 쌍의 롤러 서포터(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롤러(5)는 롤러 서포터(5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5)는 디스플레이 모듈(2)이 감기는 롤러 바디(53)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바디(53)는 회전축(52)과 연결되고,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롤러 바디(53)에 연결될 수 있고, 롤러 바디(53)가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롤러 바디(5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롤러 바디(5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베이스(1)는 롤러(5)의 전방에서 롤러(5)를 가리는 프론트 커버(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은 베이스(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는 롤러(5)의 옆에서 롤러(5)를 가리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커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는 베이스(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는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는 롤러(5)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커버와, 롤러(5)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는 그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3)는 탑 커버(14)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개구부(13)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베이스(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탑 커버(13)에 수평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전부가 베이스(1)의 공간(S)으로 삽입되었을 때, 개구부(13)에 위치되어 개구부(13)를 막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1)의 상측으로 상승되기 이전에 개구부(13)를 개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롤러(5)에 감겨 그 전부가 공간(S)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롤러(5)에서 풀려 공간(S)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두께는 베이스(1)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베이스(1)의 폭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폭 보다 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펼쳐졌을 때, 그 높이(즉,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 높이)가 베이스(1)의 높이(즉, 베이스의 상단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최대 하강시, 그 전부가 베이스(1)의 공간(S)으로 삽입되어 베이스(1)에 은닉될 수 있고, 그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1) 위로 상승되었을 때, 베이스(1)의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롤러(5)에 감기거나 롤러(5)에서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부가 베이스(1)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만 베이스(1)의 상면 위의 소정 높이(H1)로 상승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상승 높이(H2)까지 상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은 OLED 등과 같이, 휘거나 말릴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은 그 전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 중 베이스(1)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은 외부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활성화 영역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 중 베이스(1)의 공간(S)에 위치하는 영역은 외부에서 영상을 볼 수 없는 비활성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함께 롤러(5)에 감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을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 보다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그 전면이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과 일체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복수의 세그먼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41)는 에이프런(apron)으로 칭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41)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41)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승시 인접한 타 세그먼트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타 세그먼트를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이 롤러(5)에 감길 때, 인접한 타 세그먼트와 벌어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함께 롤러(5)에 원활하게 감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커넥팅 바아(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바디(48)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디스플레이 커버(4)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디스플레이 패널(3)과 디스플레이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거나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승강모듈(10)에 연결될 수 있고, 승강모듈(10)이 커넥팅 바아(48)를 승강시키면, 디스플레이 모듈(2)은 커넥팅 바아(48)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별도의 커넥팅 바아(48)를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승강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3)와 디스플레이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연결되어 개구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모듈(10)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모듈(10)는 디스플레이 모듈(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을 지지할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전방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모듈(2)에 가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는 승강모듈(10)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의 하부는 롤러(5)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승강모듈(10)에 연결된 상부와 롤러(5)에 연결된 하부 사이가 롤러(5)에 감길 수 있다.
베이스(1)는 승강모듈(10)를 지지하는 구동모듈 서포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듈 서포터(15)는 탑 커버(13)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승강모듈(10)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2)과 함께 개구부(13)의 위로 상승되거나 개구부(13)의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구동모듈 서포터(15)는 베이스(1)의 공간(S)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듈 서포터(15)는 승강모듈(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판(16)과, 하판(16)에서 세워진 전판(17)을 포함할 수 있고, 승강모듈(10)를 보호할 수 있다.
베이스(1)는 구동모듈 서포터(15)가 배치되는 로어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잇다. 로어 프레임(18)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18)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듈 서포터(15)는 로어 프레임(18)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는 승강모듈(10) 중 베이스(1)의 공간(S)에 수용된 부분을 가리는 백 커버(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9)는 후술하는 도어 구동모듈(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도어 구동모듈(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도어 구동모듈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한 쌍의 아암(911)(91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듈(10)는 한 쌍의 아암(911)(912) 각각과 연결된 아암 조인트(9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911)(912)는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아암(911)이 제2아암(912)은 둘 어느 하나의 회전시 다른 하나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각각은 아암 조인트(9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아암(911)에는 종동 기어(916)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912)에는 구동 기어(917)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917)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되어 종동 기어(91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아암(912)의 회전시, 구동 기어(917)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된 상태에서 종동 기어(916)를 회전시킬 수 있고, 종동 기어(916)의 회전시 제1아암(911)은 종동 기어(91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과 상대 회전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를 승강시키는 종동 아암일 수 있다. 이러한 종동 아암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어퍼 브라켓(49)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의 회전시,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를 승강시키고, 디스플레이 모듈(2)는 승강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커넥팅 바아(48)에 어퍼 브래킷(4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브래킷(49)은 커넥팅 바아(4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상부는 커넥팅 바아(48) 또는 어퍼 브래킷(49)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하부는 암 조인트(91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하부는 암 조인트(913)의 상부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동 기어(916)는 제1 암(9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제1아암(911)를 회동시키는 구동 아암일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제1아암(911)에 제1아암(911)을 회전시키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암 조인트(91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의 상부는 암 조인트(913)의 하부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상부에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된 구동 기어(9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암(912)는 베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아암(912)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암 서포터(920)(921)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고,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제2아암(9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아암(912)에는 제2아암(912)의 회전중심축인 아암 축(P, 도 5 참조)이 연결될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에 연결된 수평축일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의 회전시, 제2아암(912)과 일체로 회전되게 제2아암(912)에 체결될 수 있다.
아암 축(P)는 제2아암(912)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제2아암(91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2아암(912)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암 축(P)은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아암 서포터(920)(921)는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아암 축(P)은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 중 어느 하나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장착된 제1아암 서포터일 수 있고,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 중 다른 하나는 제1아암 서포터에 장착된 제2아암 서포터일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의 사이에는 제2아암(912)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암 서포터와 제2아암 서포터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에는 아암 축(P)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에는 아암 축(P)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아암 축 서포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이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2아암(912)은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회전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의 하부를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은 아암 조인트(9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아암(912)이 베이스(1)에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회전되면, 제1아암(911)은 아암 조인트(9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아암(912)과 같이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눕혀질 수 있다. 반대로, 제2아암(912)이 베이스(1)를 중심으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회전되면,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의 위에 제2아암(912)과 같이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질 수 있다.
승강모듈(10)은 제2아암(912)에 연결되어 제2아암(912)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00, 도 6 내지 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아암(912)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회전기구(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도 5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베이스(1)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고, 베이스(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어부(200)은 회전기구(10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를 갖는 메인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은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면, 제2아암(912) 및 제1아암(911)은 회전되고, 제1아암(911)의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이 승강된다. 제어부(200)은 앵글 센서모듈(1000)의 센싱값에 따라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아암 축(P)과 제2아암(9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앵글 센서모듈(1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제어부(200)과 신호선(20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은 신호선(202)을 통해 제어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베이스(1)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고, 베이스(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아암 서포터(920)(921)와 베이스(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는 아암 서포터(920)(921)와 백 커버(19)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의 크기는 아암 서포터(920)(921) 및 백 커버(19) 각각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고, 아암 서포터(920)(921) 및 백 커버(19)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백 커버(19)는 앵글 센서모듈(1000)을 가릴 수 있고, 앵글 센서모듈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어(20)에 연결되어 도어(20)를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모듈(300, 도 5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모듈(300)은 베이스(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구동모듈(300)은 도어(20)를 복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 구동모듈(3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를 클로즈 위치(P1)와, 부분 개방위치(P2)와 최대 개방위치(P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1)의 개구부(13)는 도어 구동모듈(300) 및 도어(20)에 의해 다단 개폐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모듈(2) 및 도어 구동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어 구동모듈(300)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모드는 도어(20)가 도어(20)가 클로즈위치(P1)로 이동되는 클로즈 모드와, 도어(20)가 부분 개방위치(P2)로 이동되는 부분 개방모드와, 도어(20)가 최대 개방위치(P3)로 이동되는 최대 개방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어 구동모듈(300)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하거나 부분 개방모드로 제어하거나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 구동모듈(300)은 도어(2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위치(P1)로 이동되는 클로즈 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도어(2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개방위치(P2)로 이동되는 부분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도어(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개방위치(P3)로 이동되는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200)는 도어 구동모듈(300)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2)을 온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도어 구동모듈(300)을 부분 개방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온시 디스플레이 모듈(2)은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온시, 승강모듈(200)이 디스플레이 모듈(2)을 부분 상승높이(H1) 또는 최대 상승높이(H2)로 상승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어(20)가 최대 개방위치(P3)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을 상승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가 부분 상승높이(H1) 또는 최대 상승높이(H2)로 상승 완료되면, 도어(20)를 디스플레이 모듈(2)과 근접한 위치인 부분 개방위치(P2)로 전진시킬 수 있다.
최대 개방위치(P3)는 도어(20)의 선단이 제1아암(911) 또는 제2아암(912)과 제1거리 이격된 위치일 수 있고, 부분 개방위치(P2)는 도어(20)의 선단이 제1아암(911) 또는 제2아암(912)과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으며, 제1거리는 제2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제1거리는 제2거리의 2배 내지 5배일 수 있고, 일예로 제1거리가 13.5mm 일 때, 제2거리가 3mm 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되면, 제어부(200)는 도어 구동모듈(300)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2)을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00)는 도어 구동모듈(300)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어(20)가 최대 개방위치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을 하강시킬 수 있고, 도어(20)가 하강 완료되면, 도어(20)를 클로즈 위치로 전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오프시 디스플레이 모듈(2)은 영상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오프시, 승강모듈(200)이 디스플레이 모듈(2)을 최대 하강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승시키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최대 높이로 상승시켰을 때의 사시도이다.
승강모듈(10)은 제2아암(912)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과, 아암 조인트(913) 및 회전기구(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상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모듈(1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및 아암 조인트(913)는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링크 어셈블리는 회전기구(100)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을 승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및 아암 조인트(913)의 조립체인 링크 어셈블리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 각각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는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는 좌측 링크 어셈블리(L1)과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링크 어셈블리(L1)와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좌측 링크 어셈블리(L1)과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를 모두 포함할 경우, 좌측 링크 어셈블리(L1)의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의 좌측부에 장착된 좌측 어퍼 브래킷(49A)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링크 어셈블리(L2)의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의 우측부에 장착된 우측 어퍼 브래킷(49B)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제2아암(912)에 연결되어 아암 축(P, 도 3 및 도 8 참조)를 중심으로 제2아암(9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아암(912)에는 회전기구(100)가 연결되는 연결부(9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14)는 제2아암(912) 중 아암 축(P)과 구동기어(91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연결부(9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아암(912)을 밀거나 당길 수 있고, 제2아암(912)은 회전기구(100)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질 때,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가 연결부(914)를 밀면,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 반대로, 회전기구(100)가 연결부(914)를 당기면,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눕혀질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810)와, 모터(81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840)와,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시 리드 스크류(840)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860)과, 슬라이더(860) 및 제2아암(912)에 각각 연결되어 슬라이더(860)의 슬라이드시 제2아암(912)을 밀거나 당기는 커넥팅 로드(87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100)가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함께 회전시킬 경우, 회전기구(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810)와, 한 쌍의 리드 스크류(840)와, 한 쌍의 슬라이더(860)과, 한 쌍의 커넥팅 로드(8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포함할 경우, 리드 스크류(840)와, 슬라이더(860)과, 커넥팅 로드(870)는 모터(18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터(810)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810)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모터(810)의 구동축은 모터(8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커플링(820)에 의해 모터(810)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슬라이더(86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의 외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리드 스크류(84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831)(8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를 지지하는 베어링(831)(832)는 구동모듈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한 쌍의 베어링(831)(8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어링(831)(832)은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에는 리드 스크류(840)가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의 중공부에는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상호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시 리드 스크류(840)를 따라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슬라이더(86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8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841)의 길이는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스프링(841)은 베어링(831)과 슬라이더(8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0)은 한 쌍의 베어링(831)(832) 중 모터(810)과 더 가까운 베어링(831)과 슬라이더(8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1)는 리드 스크류(840)의 일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1)은 일단이 베어링(831)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슬라이더(860)와 분리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841)은 제2아암(912)이 수평하게 눕혀졌을 때, 슬라이더(860)에 눌려 압축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이 세워지기 시작할 때, 원상 복원되면서 슬라이더(860)를 모터(810)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841)의 복원력이 슬라이더(860)에 작용할 경우, 제2아암(912)을 세우기 위한 모터(810)의 초기 기동시, 모터(810)의 초기 부하는 감소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와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캐리어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의 연결부(914)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연결부는 커넥팅 로드(87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 연결부는 커넥팅 로드(87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가 모터(810)과 가까워지면,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에 의해 이끌리면서 제2아암(912)을 하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서포터(920)(921)를 중심으로 모터(8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눕혀질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860)가 모터(810)과 멀어지면,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에 밀리면서 제1아암(911)을 밀어 올릴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서포터(920)(921)를 중심으로 모터(8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및 도어 구동모듈이 도시된 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구동모듈을 도 13과 상이한 방향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어 구동모듈(300)은 베이스(1)에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310)과; 도어(20)와 연결되고 가이드 브라켓(310)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된 캐리어(320)(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은 베이스(1)의 상판(1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은 베이스(1)의 상판(13)에 체결되어 베이스(1)의 상판(13)에 매달려질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은 베이스(1)의 공간(S, 도 5 참조)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의 하단은 자유단일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은 캐리어(320)(330)를 지지하는 캐리어 서포터일 수 있고, 캐리어(320)(330)가 전후 방향(X)으로 진퇴되게 안내하는 캐리어 가이드일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에는 캐리어(320)(330)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11)(312)(313)은 캐리어(320)(330)의 진퇴 방향인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은 그 형성 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은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캐리어(320)(330)의 전후 방향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은 가장 높은 제1 가이드 레일(311)과, 제1가이드 레일(311) 보다 높이가 낮은 제2 가이드 레일(3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311)(312)(313)은 제2 가이드 레일(312) 보다 높이가 낮은 제3 가이드 레일(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는 캐리어(320)(330)의 진퇴를 안내하는 캐리어 가이드일 수 있다.
캐리어(320)(330)에는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323)(324)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323)(324)는 캐리어(320)(33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캐리어(320)(33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323)(324)는 가이드 레일(311)(312)(323)을 관통하는 핀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320)(330)에는 높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가 제공될 수 있다.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는 높이가 높은 제1가이드부재(321)와, 제1가이드부재(321) 보다 높이가 낮은 제2가이드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321)과 제2가이드부재(322)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캐리어(320)(330)의 선단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321)와 제2가이드부재(322)는 그 선단의 전후 방향(X)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그 높이 및 위치가 서로 상이한 제1가이드부재(321)와 제2가이드부재(322)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310)에 지지 및 안내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에 제1가이드부재(321)과 제2가이드부재(322)가 모두 제공될 경우, 캐리어(320)(330)는 제1가이드부재(321)와 제2가이드부재(322)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캐리어 (320)(330)의 진퇴시, 캐리어(320)(330)는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으로 진퇴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에는 제1 가이드 레일(311)과, 제2 가이드 레일(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311)은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 중 높이가 높은 제1가이드부재(321)가 안내하는 것으로서, 제2 가이드 레일(31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레일(312)는 복수개 가이드부재(321)(322) 중 제1가이드부재(321) 보다 높이가 낮은 제2가이드부재(322)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311)과, 제2 가이드 레일(312)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나란하게 형성되되, 그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레일(311)의 선단과 제2 가이드 레일(312)의 선단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가이드 브래킷(310)의 선단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에는 제1가이드부재(311) 및 제2가이드부재(312) 각각과 높이가 상이한 또 다른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4)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4)는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310)에는 높이가 같은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4)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레일(3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레일(313)은 제1 가이드 레일(311) 및 제2 가이드 레일(312) 각각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레일(313)은 제1 가이드 레일(311) 및 제2 가이드 레일(312) 각각과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레일(313)은 제1 가이드 레일(311) 및 제2 가이드 레일(312) 각각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가 같은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4)가 제1가이드부재(321) 및 제2가이드부재(322) 각각과 높이가 상이한 높이에 제공될 경우, 캐리어(320)(330)는 높이가 같은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3)에 의해 그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캐리어(320)(330)는 제1가이드부재(321)나 제2가이드부재(32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캐리어(320)(330)은 높이가 같은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323)(324)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X)으로 안정되게 진퇴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 브라켓(310)에는 후술하는 피니언(35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지지부(318)가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 지지부(318)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형성된 복수개 가이드 레일(311)(312)(313) 각각 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가이드 브라켓(310)을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도어(2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캐리어(320)(330)은 캐리어(320)(330)의 이동 방향과 도어(20)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게 도어(20)와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도어(20)의 아래에 위치되게 도어(20)와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후술하는 진퇴기구(340)에 진퇴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에는 진퇴기구(340)에 의해 진퇴되는 랙(326)이 캐리어(320)(330)의 진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진퇴기구(340)에 연결되어 진퇴되는 무빙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320)(330)는 도어(20)에 연결된 도어 커넥터(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디(320)에는 진퇴기구(340)의 후술하는 피니언(350)에 치합되는 랙(326)이 형성될 수 있다. 랙(326)은 무빙 바디(320)의 하단에 전후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디(320)에는 후술하는 복수개 센서(510)(520)(5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는 센싱 타겟(328)이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타겟(328)은 무빙 바디(320)의 양면 중 복수개 센서(510)(520)(53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센싱 타겟(328)은 무빙 바디(320)에 돌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도어 커넥터(330)는 도어(20)와 무빙 바디(320)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커넥터(330)의 상부에는 도어 커넥터(330)가 도어(2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도어 체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넥터(330)는 무빙 바디(320)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13에 도시된 제1 가이드부재(321) 및 제2 가이드부재(322) 및 복수개 제3 가이드부재(323)(324)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가이드부재(321)와 제2가이드부재(322) 및 복수개 제3 가이드부재(323)(324) 각각은 무빙 바디(32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고, 도어 커넥터(33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캐리어(320)(330)는 무빙 바디(320)와 도어 커넥터(3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어 구동모듈(300)은 캐리어(320)(330)를 진퇴시키는 진퇴기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퇴기구(340)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장착될 수 있고, 캐리어(320)(330) 특히, 무빙 바디(320)와 연결되어 무빙 바디(32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진퇴기구(340)는 피니언(350)과; 모터(36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370)(380)(39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350)은 랙(326)에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350)은 가이드 브라켓(3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피니언(430)의 중심축은 가이드 브라켓(310)에 형성된 피니언 지지부(318, 도 13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모터(360)는 도어(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동력전달부재(370)(380)(390)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재(370)(380)(390)를 통해 피니언(3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370)(380)(390)는 모터(360)와 피니언(350) 사이에서 모터(360)의 구동력을 피니언(3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진퇴기구(340)는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370)(380)(390)를 포함할 수 잇고,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370)(380)(390)는 워엄 기어(370)와, 워엄 휠(380)를 포함할 수 있다.
워엄 기어(370)은 모터(36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워엄 기어(370)은 도어(20)의 진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워엄 휠(380)은 워임 기어(370)에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370)(380)(390)는 토크 리미터(390, Torque Limiter 또는 Torque Relea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390)는 워엄 휠(380)과 연결될 수 있다. 토크 리미터(390)는 피니언(350)에 치합된 기어를 갖을 수 있다. 토크 리미터(390)는 부하가 규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음부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도록 설계된 토크 전동 제한기로서, 워엄 휠(380)과 피니언(350)의 사이에서 과부하시 동력을 차단하는 안전장치이다. 토크 리미터(390)는 복수개 부재의 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390)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마운터(39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터(392)는 토크 리미터(39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모터(360) 등이 장착되는 대상일 수 있다.
마운터(392)는 모터(360)가 체결될 수 있는 모터 마운터(393)과, 모터 마운터(393)과 이격되고 워엄 기어(3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엄 기어 서포터(394)와, 워엄 휠(3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엄 휠 서포터(39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마운터(393)는 모터(36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모터(360)는 모터 마운터(39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워엄 기어 서포터(394)는 모터 마운터(393)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워엄 기어(370)은 모터 마운터(393)와 워엄 기어 서포터(39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모터 마운터(393)와 워엄 기어 서포터(39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워엄 휠 서포터(395)는 모터 마운터(393)와 워엄 기어 서포터(394)는 잇게 형성될 수 있고, 워엄 휠(380)의 옆에서 워엄 휠(38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워엄 휠 세포터(395)는 워엄 휠(380)의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엄 휠 지지부(39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피니언(350)에 연동되어 도어(20)를 진퇴시키는 서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과; 도어(20)에 연결되고 서브 랙(426)이 형성되며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된 서브 캐리어(420)와; 서브 랙(426)에 치합된 서브 피니언(450)과, 피니언(350)과 서브 피니언(450)을 연결하는 연동축(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캐리어(420)와 서브 피니언(450)는 서브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고, 캐리어(320) 및 피니언(35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는 베이스(1)에 가이드 브라켓(310)과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는 가이드 브라켓(310)과 대칭되게 베이스(1)에 장착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은 가이드 브라켓(310)과 수평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에는 서브 피니언(450)의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피니언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캐리어(420)는 도어(2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브 캐리어(미도시)를 통해 도어(2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서브 캐리어(420)는 캐리어(320)(330)와 대칭되게 서브 가이드 브라켓(310)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캐리어(420)는 캐리어(320)(330)과 수평 방향 특히,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서브 캐리어(420)는 캐리어(320)(330)와 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고, 캐리어(320)(330)와 같이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일 수 있다.
서브 피니언(450)는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피니언(450)의 중심축은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에 형성된 서브 피니언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동축(440)는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 사이를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고, 피니언(350)의 회전시 서브 피니언(4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동축(440)는 가이드 플레이트(45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45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50)는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50)는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의 각각과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310)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41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어(20)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는 도어(20)의 위치를 센싱하거나 캐리어(320)(33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캐리어(320)(330)의 진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510)(520)(5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이드 브라켓(310)에 설치된 센서 마운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510)(520)(530)는 센서 마운터(540)에 캐리어(320)(330)의 진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510)(520)(530)는 도어(20)의 클로즈 위치(P1)를 센싱하는 제1센서(510)와, 도어(20)의 부분 개방위치(P2)를 센싱하는 제2센서(520)와, 도어(20)의 최대 개방위치(P3)를 센싱하는 제3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510)은 제1센서(510)와 제2센서(520) 및 제3센서(530)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520)는 제1센서(510)와 제3센서(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센서(520)는 제1센서(510)와 제3센서(530) 중 제3센서(530)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제3센서(530)은 제1센서(510)와 제2센서(520) 및 제3센서(530) 중 가장 후방에 배치된 센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센서(510)과 제2센서(520) 및 제3센서(530) 각각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학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캐리어(320)(330)의 후퇴 방향으로 제1센서(510)과 제2센서(520) 및 제3센서(530)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510)과 제2센서(520) 및 제3센서(530)는 센서 마운터(540)에 함께 장착될 수 있고, 제1센서(510)과 제2센서(520)와 제3센서(530) 및 센서 마운터(540)는 센서 모듈(500)를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320)(330)에는 복수개 센서(510)(520)(5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는 센싱 타켓(328)이 제공될 수 있다. 센서 타켓(328)은 캐리어(320)(330)에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 타켓(328)은 캐리어(320)(330) 중 복수개 센서(510)(520)(530)를 향하는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센서 타켓(328)은 광학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타켓(328)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할 때, 발광부의 광은 수광부로 입사되지 않고, 광학센서는 이를 센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베이스 2: 디스플레이 모듈
5: 롤로 10: 승강모듈
13: 개구부 20: 도어
300: 도어 구동모듈 P1: 클로즈 위치
P2: 부분 개방위치 P3: 최대 개방위치

Claims (16)

  1.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에서 풀리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클로즈 위치나
    부분 개방위치나 최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온시키고,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부분 개방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최대 개방모드로 제어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구동모듈을 클로즈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캐리어의 진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복수개 센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는 센싱 타켓이 제공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센서는
    상기 도어의 클로즈 위치를 센싱하는 제1센서와;
    상기 도어의 부분 개방위치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위치를 센싱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와 제3센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중 상기 제3센서에 더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센서 마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센서 마운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에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 가이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상기 복수개 가이드부재 중 가장 높이가 높은 제1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개 가이드부재 중 제1가이드부재 보다 높이가 낮은 제2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와 높이가 상이한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는 높이가 동일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는 복수개 제3가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제3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모듈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된 캐리어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를 진퇴시키는 진퇴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의 진퇴 방향으로 긴 랙이 형성되고,
    상기 진퇴기구는
    상기 랙에 치합된 피니언과;
    모터와;
    상기 모터와 피니언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피니언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워엄 기어와;
    상기 워임 기어에 치합된 워엄 휠과;
    상기 워엄 휠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기어를 갖는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이격되게 장착된 서브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서브 랙이 형성되며 서브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진퇴되게 배치된 서브 캐리어와;
    상기 서브 랙에 치합된 서브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서브 피니언을 연결하는 연동축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서브 가이드 브라켓을 연결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088889A 2018-07-30 2018-07-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6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89A KR102565322B1 (ko) 2018-07-30 2018-07-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8/011209 WO2020027367A1 (ko) 2018-07-30 2018-09-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8928373.2A EP3832629A4 (en) 2018-07-30 2018-09-21 INDICATOR
US16/169,875 US10748456B2 (en) 2018-07-30 2018-10-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89A KR102565322B1 (ko) 2018-07-30 2018-07-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49A true KR20200013549A (ko) 2020-02-07
KR102565322B1 KR102565322B1 (ko) 2023-08-09

Family

ID=6923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89A KR102565322B1 (ko) 2018-07-30 2018-07-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32629A4 (ko)
KR (1) KR102565322B1 (ko)
WO (1) WO2020027367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632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2626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2634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7481A1 (ko) * 2020-03-03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10692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17726B1 (ko) * 2020-06-0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24562B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48650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158142A (ko) * 2020-06-23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14852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전자 장치를 위한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62430B2 (en) 2020-07-1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ucture of hing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95789B2 (en) 2020-11-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73467A1 (en) * 2020-02-07 2023-03-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2466213B (zh) * 2020-12-03 2022-08-1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5173A1 (en) * 2010-03-25 2011-09-29 Elite Screens China Corp. Cabinet projection screen with automatic cover-lifting function
KR20160129669A (ko)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342A (ko)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5709B2 (en) * 2004-06-14 2010-02-23 Sava Cvek Trolley and rail systems for extens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s
US8276857B2 (en) * 2004-06-14 2012-10-02 Sava Cvek Extens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 with articulated door
KR20070018556A (ko) * 2005-08-10 2007-02-14 세일전자 주식회사 액정텔레비젼 수납케이스
CN201194147Y (zh) * 2008-04-02 2009-02-11 宏炬德企业股份有限公司 显示屏伸缩架
WO2010054380A2 (en) * 2008-11-10 2010-05-14 Displaire Corporation Large screen portable led display
DE102009030355A1 (de) * 2009-06-19 2010-12-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bare Anzeige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5173A1 (en) * 2010-03-25 2011-09-29 Elite Screens China Corp. Cabinet projection screen with automatic cover-lifting function
KR20160129669A (ko)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342A (ko)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626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2632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2634A1 (ko) * 2020-02-28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77481A1 (ko) * 2020-03-03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10692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24562B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36947A (ko) * 2020-05-07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53614B2 (en) 2020-05-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2317726B1 (ko) * 2020-06-0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148650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158142A (ko) * 2020-06-23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14852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전자 장치를 위한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62430B2 (en) 2020-07-1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ucture of hing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95789B2 (en) 2020-11-0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2629A4 (en) 2022-04-27
KR102565322B1 (ko) 2023-08-09
WO2020027367A1 (ko) 2020-02-06
EP3832629A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54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KR1020319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KR1025789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KR10239602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EP3591643B1 (en) Display device
CN106816094B (zh) 显示装置
CN106340254B (zh) 显示装置
KR1023490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23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201604850A (zh) 捲軸式顯示裝置
KR102062601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200386693Y1 (ko) 대형 디스플레이의 승하강 기구
KR2023001273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20230209747A1 (en) Display device
KR202400148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880534U (zh) 一种led显示屏用收纳机柜
US20230109437A1 (en) Display device
JP4355840B2 (ja) 開閉装置及びその開閉装置を備えたショーケース
KR101034903B1 (ko) 전기가 필요없는 자동문
JP2008200069A (ja) 景品取得ゲーム機におけるタイトル装飾部掲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