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601B1 -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 Google Patents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601B1
KR102062601B1 KR1020190062868A KR20190062868A KR102062601B1 KR 102062601 B1 KR102062601 B1 KR 102062601B1 KR 1020190062868 A KR1020190062868 A KR 1020190062868A KR 20190062868 A KR20190062868 A KR 20190062868A KR 102062601 B1 KR102062601 B1 KR 10206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display
viewing window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영 filed Critical 최원영
Priority to KR102019006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18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 A47F5/0025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having separate display containers or trays on shelves or on racks
    • A47F5/0037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having separate display containers or trays on shelves or on racks being rotatable or til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2Removable walls, scaffolding or the like; Pillars; Special curt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0Rotary show cases or cabinets
    • A47F3/11Rotary show cases or cabinets having mechanical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은 내측에 문화재를 수용 가능한 진열공간이 마련되고, 일 측에 상기 진열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시창;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공간 또는 외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하고, 내측에 승강공간이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열공간 및 상기 승강공간 사이를 이동 가능한 진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 커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에 구비된 투시창이 자동으로 상부 커버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상부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커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작업 시에도 상부 커버가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작업자와 간섭되지 않아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Showcase for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문화재를 진열 및 전시할 수 있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 또는 전시장 같은 곳에서 문화재를 전시 및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열장은 관람객이 근접한 위치에서 진열장에 보관된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도록 상부 커버가 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되고, 전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시용 진열장은 상부 커버가 본체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내측에 보관된 문화재를 손쉽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상부 커버의 개방 시 타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가 회전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 장소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진열장 내에 문화재를 넣거나, 진열장에 보관되어 있는 문화재를 빼낼 때 상부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된 상부 커버가 작업자의 시선을 가리거나, 작업자와 간섭되어 작업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상부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부 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진열장의 내측으로 문화재를 넣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무게가 무거운 문화재나, 높이가 긴 문화재를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에 보관해야 할 경우, 상부 커버의 개구부가 형성된 위치까지 문화재를 들어서 진열장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무게가 무겁거나, 높이가 긴 문화재를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문화재가 낙하되어 파손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책자 또는 동전 등과 같이 비교적 납작한 문화재의 경우, 관람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진열장 내에 경사대를 설치하여 문화재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의 경우 경사대를 별도 구비해야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문화재에 따라 지지대를 별도 제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고, 안전하게 문화재를 진열장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은 내측에 문화재를 수용 가능한 진열공간이 마련되고, 일 측에 상기 진열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시창;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공간 또는 외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하고, 내측에 승강공간이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열공간 및 상기 승강공간 사이를 이동 가능한 진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투시창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문화재가 지지되는 상기 진열판의 상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공간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판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 시 상기 이동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진열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창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왕복이송부; 및 상기 왕복이송부와 상기 투시창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왕복이송부의 구동 시 상기 투시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투시창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이송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시 회전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동력전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동력전달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고, 일 측에 상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열판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열판을 지지하고,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판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열판은, 상기 구동모듈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고,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승강부; 상면에 상기 문화재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커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에 구비된 투시창이 자동으로 상부 커버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상부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커버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작업 시에도 상부 커버가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작업자와 간섭되지 않아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가능한 진열판을 구비하여, 문화재를 상부 커버의 개구부까지 들어 올리지 않고, 지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문화재를 진열판에 위치시킨 후, 자동으로 진열판을 상승시켜 상부 커버의 내측에 위치시킴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문화재의 무게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문화재를 진열대의 내부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진열판의 각도를 조절 가능함에 따라, 문화재를 다양한 각도로 진열 가능하고, 경사대의 제작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에서 진열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투시창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에서 진열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이하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이라 함)은 상부 커버(11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10)는 내측에 문화재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부 커버(110)는 전방을 향하는 일 측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문화재를 수용 가능한 진열공간(110a)이 마련되고, 상기 일 측에 진열공간(110a)과 연통되는 개구부(110b)가 마련된다.
또한, 상부 커버(110)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는 진열공간(110a)에 수용된 문화재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은 투시창(120)을 포함한다.
투시창(120)은 상부 커버(110)에 설치되어 상부 커버(110)에 마련된 개구부(110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투시창(120)은 후술할 구동유닛(130)과 연결되고, 구동유닛(13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부 커버(110)에 형성된 개구부(110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투시창(120)은 진열공간(110a)에 수용된 문화재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 커버(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10)의 전방에 배치된 투시창(120)은 상부 커버(110)의 외면에 완벽히 밀착되어 투시창(120)과 상부 커버(1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커버(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투시창(120)의 내면에는 투시창(120)이 상부 커버(110)의 일 측에 배치될 경우, 투시창(120)의 외면에 밀착되어 투시창(120)과 상부 커버(110)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110)는 투시창(1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110)의 내측면에는 투시창(120)이 설치되고 투시창(1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120)은 개구부(110b)의 개방 시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하여 진열공간(110a)에 수용되어, 외부와의 간섭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111)은, 개구부(110b)의 개방 시 문화재가 지지되는 후술할 진열판(150)의 상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투시창(120)을 진열공간(110a)으로 안내하면서, 투시창(120)을 진열판(150)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투시창(120)은 이동부재(121)와, 창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21)는 창본체(122)와 결합되어 가이드홈(111)에 설치되고, 창본체(122)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121)는 가이드홈(111)에 설치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원판형의 구름부재와, 구름부재를 창본체(122)에 고정시키는 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창본체(122)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이동부재(121) 및 구동유닛(13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창본체(122)는 구동유닛(130)의 구동 시 이동부재(121)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부재(121)를 이동시키되,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121)에 안내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공간(110a)에 수용되거나,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개구부(110b)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은 구동유닛(1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유닛(130)은 상부 커버(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투시창(120)과 결합되고, 투시창(120)에 압력을 가하여 투시창(120)을 진열공간(110a) 또는 외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구동유닛(130)은 상부 커버(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31)과, 가이드레일(131)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왕복이송부(132), 그리고 왕복이송부(132)와 투시창(120)을 서로 연결하고, 왕복이송부(132)의 구동 시 투시창(120)에 압력을 가하여 투시창(12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3)는 일 측은 왕복이송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투시창(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왕복이송부(132)와 투시창(120)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왕복이송부(13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1321)와, 모터(1321)에 설치되어 모터(1321)의 구동 시 모터(13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1 동력전달부(1322), 가이드레일(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동력전달부(132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동력전달부(1323), 제1 동력전달부(1322)와 제2 동력전달부(1323)의 둘레에 설치되어 모터(1321)의 구동 시 제1 동력전달부(1322)와 제2 동력전달부(1323)의 외면을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이밍벨트(1324), 타이밍벨트(1324)에 설치되어 타이밍벨트(1324)의 구동 시 선형이동 가능하고, 일 측에 연결부(133)가 설치되는 고정부재(1325), 그리고 타이밍벨트(1324)를 통해 선형이동하는 고정부재(1325)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13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은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140)는 상부 커버(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40)의 내측에는 후술할 진열판(150)이 승강 가능한 승강공간(140a)이 마련된다.
예컨대, 지지부(140)는 상부 커버(110)를 지지하고, 내측에 상술한 승강공간(140a)이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둘레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일 측은 승강공간(140a)을 외부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100)은 진열판(15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열판(150)은 문화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진열판(150)은 지지부(140)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열공간(110a)과 승강공간(140a)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진열판(150)의 하측에는, 지지부(1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진열판(150)을 지지하고, 수직방향을 따라 진열판(15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모듈(160)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듈(160)은 지지부(140)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는 구동축,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및 구동축에 설치되어 진열판(150)을 지지하고, 구동축의 회전시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며 진열판(150)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모듈(16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진열판(150)은 문화재가 안착될 상면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열판(150)은 승강부(151), 회전부(152) 및 회전구동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51)는 구동모듈(160)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고, 내측에 관통공(151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52)는 승강부(151)의 관통공(1511)에 수용되어 승강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문화재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52)의 일 측에는 회전부(152)와 승강부(151)를 서로 연결하고, 회전부(1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 형태의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152)는 승강부(151)에 형성된 관통공(15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모듈(153)은 승강부(151)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부(152)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되어 회전부(152)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구동모듈(153)은 신축 가능한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승강부(151)에 설치되어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브래킷 및 회전부(152)에 설치되어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타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커버(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110)에 구비된 투시창(120)이 자동으로 상부 커버(110)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상부 커버(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부 커버(110)의 개구부(110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고, 작업자의 작업 시에도 상부 커버(110)가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작업자와 간섭되지 않아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가능한 진열판(150)을 구비하여, 문화재를 상부 커버(110)의 개구부(110b)까지 들어 올리지 않고, 지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문화재를 진열판(150)에 위치시킨 후, 자동으로 진열판(150)을 상승시켜 상부 커버(110)의 내측에 위치시킴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문화재의 무게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문화재를 진열대의 내부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진열판(15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함에 따라, 문화재를 다양한 각도로 진열 가능하고, 경사대의 제작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110. 상부 커버
110a. 진열공간
110b. 개구부
111. 가이드홈
120. 투시창
121. 이동부재
122. 창본체
130. 구동유닛
131. 가이드레일
132. 왕복이송부
1321. 모터
1322. 제1 동력전달부
1323. 제2 동력전달부
1324. 타이밍벨트
1325. 고정부재
1326. 감지부
133. 연결부
140. 지지부
140a. 승강공간
150. 진열판
151. 승강부
1511. 관통공
152. 회전부
153. 회전구동모듈
160. 구동모듈
P. 문화재

Claims (8)

  1. 내측에 문화재를 수용 가능한 진열공간이 마련되고, 일 측에 상기 진열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투시창;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공간 또는 외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하고, 내측에 승강공간이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열공간 및 상기 승강공간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수평부위와 상기 수평부위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 가능한 각도조절부위를 포함하는 진열판; 및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판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진열판의 수평부위를 지지하고, 상기 진열판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며, 개별적으로 구동 가능한 복수의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열판은,
    상기 복수의 구동모듈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고, 내측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승강부;
    상기 관통공에 수용되고,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 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모듈을 포함하고,
    각 구동모듈은,
    외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진열판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 상기 구동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진열판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를 포함하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투시창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수용되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문화재가 지지되는 상기 진열판의 상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공간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투시창을 상기 진열판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형상을 갖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 시 상기 이동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진열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창본체;
    를 포함하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왕복이송부; 및
    상기 왕복이송부와 상기 투시창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왕복이송부의 구동 시 상기 투시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투시창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 시 회전 가능한 제1 동력전달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동력전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동력전달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고, 일 측에 상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
    를 포함하는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7. 삭제
  8. 삭제
KR1020190062868A 2019-05-29 2019-05-29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KR10206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68A KR102062601B1 (ko) 2019-05-29 2019-05-29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68A KR102062601B1 (ko) 2019-05-29 2019-05-29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601B1 true KR102062601B1 (ko) 2020-01-06

Family

ID=6915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68A KR102062601B1 (ko) 2019-05-29 2019-05-29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6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7762A (zh) * 2020-04-07 2020-07-10 义乌辛璟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可以自动旋转且可以展现产品各个角度的展示设备
CN111887678A (zh) * 2020-08-07 2020-11-06 南昌工程学院 一种视觉传达设计平台
CN111956009A (zh) * 2020-08-31 2020-11-20 广州朗天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可自动升降且保证安全的饰品展览台
KR102181107B1 (ko) * 2020-02-07 2020-11-20 나성호 틸팅가능한 선반
CN112002204A (zh) * 2020-07-28 2020-11-27 湖南文理学院 一种心理教学用沙盘装置
CN112704357A (zh) * 2020-12-21 2021-04-27 沈郑琛 一种平板式电子信息装置的多功能支撑装置
KR200495938Y1 (ko) * 2022-03-18 2022-09-23 정은주 전면이 개폐되는 쇼케이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98A (ja) * 2002-04-18 2003-11-05 Meiwa Kogei:Kk 前面開閉パネルを有するショー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98A (ja) * 2002-04-18 2003-11-05 Meiwa Kogei:Kk 前面開閉パネルを有するショーケース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107B1 (ko) * 2020-02-07 2020-11-20 나성호 틸팅가능한 선반
CN111387762A (zh) * 2020-04-07 2020-07-10 义乌辛璟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可以自动旋转且可以展现产品各个角度的展示设备
CN111387762B (zh) * 2020-04-07 2021-09-10 上海和煦文旅集团有限公司 一种可以自动旋转且可以展现产品各个角度的展示设备
CN112002204A (zh) * 2020-07-28 2020-11-27 湖南文理学院 一种心理教学用沙盘装置
CN111887678A (zh) * 2020-08-07 2020-11-06 南昌工程学院 一种视觉传达设计平台
CN111887678B (zh) * 2020-08-07 2021-03-12 南昌工程学院 一种视觉传达设计平台
CN111956009A (zh) * 2020-08-31 2020-11-20 广州朗天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可自动升降且保证安全的饰品展览台
CN112704357A (zh) * 2020-12-21 2021-04-27 沈郑琛 一种平板式电子信息装置的多功能支撑装置
KR200495938Y1 (ko) * 2022-03-18 2022-09-23 정은주 전면이 개폐되는 쇼케이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601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KR1020319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US20170105529A1 (en) Display mount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2020001354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8056474A (ja) 自動倉庫
US20100172728A1 (en)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KR20180125331A (ko) 쇼케이스의 승강장치
GB2610951A (en) Lifting device and plastering apparatus
KR102220205B1 (ko) 무전원 루버 자동 개폐 시스템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US20170164763A1 (en) Product Display Unit
KR10101126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US20060255697A1 (en) Apparatus for moving a cover of furniture
KR20090126546A (ko) 도어 지지장치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0925172B1 (ko) 리드 개폐장치 및 방법
KR102591561B1 (ko) 이송 장치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KR20100055633A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CN210344885U (zh) 可升降及俯仰的两行多屏显示器支撑装置
JP6531199B1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KR102660824B1 (ko) 이송 장치
US11918128B2 (en) Disc fo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ion unit
US20120174488A1 (en) Linking-Up Ventilation Door/Window Pane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