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85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858A
KR20240014858A KR1020220092539A KR20220092539A KR20240014858A KR 20240014858 A KR20240014858 A KR 20240014858A KR 1020220092539 A KR1020220092539 A KR 1020220092539A KR 20220092539 A KR20220092539 A KR 20220092539A KR 20240014858 A KR20240014858 A KR 2024001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ulley
roll
light
driv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길
강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858A/ko
Publication of KR202400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에 회전되게 배치된 롤 파이프; 롤 파이프에 감긴 차광막; 및 차광막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뒤로 펼쳐지게 차광막을 구동하는 차광막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하여 차세대 표시 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투명 전극으로 형성하고, 각 화소가 OLED, OLED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 및 투명부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양측으로 발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OLED 디스플레이는 항상 각 화소의 투명부를 통해 외부광을 투과시키므로 투과광을 차단해야 하는 블랙을 구현하기 어렵고, 명실 환경에서 외부광에 의한 ACR(Ambient Contrast Ratio)이 떨어져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외부광의 의한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7592 A(2014년07월09일 공개)에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7592 A(2014년07월09일 공개)
본 실시 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에 회전되게 배치된 롤 파이프; 롤 파이프에 감긴 차광막; 및 차광막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뒤로 펼쳐지게 차광막을 구동하는 차광막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광막이 연결된 무게 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와 나란하고 롤 파이프에서 풀린 차광막을 가이드하는 위치용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에 배치된 위치용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사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의 일 예는 모터; 및 모터의 구동시 롤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는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제1워엄 휠; 제1워엄 휠에 치합된 워엄 샤프트 및 워엄 샤프트에 치합되고 롤 파이프와 연결된 제2워엄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프레임에 배치되고 모터가 장착되며 워엄 샤프트와 제1워엄 홀을 보호하는 모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롤 파이프와 차광막 구동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롤 파이프와 함께 회전되는 상측 롤 풀리;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측 롤 풀리와 이격된 하측 롤 풀리 및 상부 롤 풀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측 롤 풀리에 감기며 타단이 무게 추에 연결된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의 직경과 상측 롤 풀리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벨트의 두께는 차광막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의 다른 예는 무게 추에 연결된 무빙 블록; 프레임에 배치된 모터; 및 모터의 구동시 회전 되는 구동 풀리; 구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무빙 블록에 연결된 메인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구동 풀리와 이격되고 메인 구동 벨트를 안내하는 메인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무빙 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파이프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에는 승강 가이드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 파이프 서포터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승강 가이드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승강 가이드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 및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구동 풀리에 연결된 기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부재는 종동기어에 연결된 제1스퍼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제1스퍼기어에 치합된 제2스퍼기어; 제2스퍼기어과 연결된 종동 풀리; 종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서브 구동 벨트; 및 무게 추의 타측에 연결되고 서브 구동 벨트에 연결된 서브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는 종동 풀리와 이격되고 서브 구동 벨트를 안내하는 서브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빙 블록의 상한 위치를 센싱하는 상부 위치 센서; 및 상부 위치 센서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무빙 블록의 하한 위치를 센싱하는 하부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블록은 승강 가이드가 관통되는 관통부; 상부 위치 센서로 삽입되는 어퍼 돌기 및 하부 위치 센서로 삽입되는 로어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차광 패널의 경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게 추와 벨트의 변위로 차광막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게 추를 일정하게 당기는 것에 의해 롤 파이프에서 풀린 차광막의 골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일 때의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일 때의 배면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 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 예의 단면도,
도 5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따른 기어 어셈블리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8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9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 및 차광막이 도시된 도,
도 1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빙 블록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12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빙 블록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일 때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온일 때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 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일 예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1)과, 프레임(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과, 프레임(1)에 회전되게 배치된 롤 파이프(3)과, 롤 파이프(3)에 감긴 차광막(4) 및 차광막(5)을 구동하는 차광막 구동기구(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의 예는 사각 프레임일 수 있고, 프레임(1)의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2) 및 차광막(4)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은 어퍼 프레임(11)과, 로어 프레임(12)과, 어퍼 프레임(11)과 로어 프레인(12)를 잇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14)는 좌측 프레임(13)과, 우측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프레임(13)과, 우측 프레임(14)은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는 글래스(21)과, 글래스(21)의 배면에 배치된 투명 패널(2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21)는 투명할 수 있다.
투명 패널(22)은 글래스(21)의 후방에서 글래스(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투명 패널(22)는 글래스(21)를 통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차광막(4)이 투명 패널(22)의 후방에 위치되게 펼쳐졌을 때, 투명 패널(22)은 차광막(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투명 패널(22)의 일 예는 투명 OLED 패널일 수 있다.
롤 파이프(3, 도 4 참조)은 프레임(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롤 파이프(3)는 어퍼 프레임(11)의 내부에 형성된 어퍼 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롤 파이프(3)은 어퍼 프레임(11)의 내부에 좌우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차광막(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온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후방이 보이는 것에 의한 화질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차광막(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 전면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광막(4)의 일 예는 직물이나 천 등의 패블릭(Fabric) 재질일 수 있다. 차광막(4)은 롤 파이프(3)이 감기거나 롤 파이프(3)에서 풀릴 수 있는 재질일 수 있고 패블릭 재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차광막(4)에는 무게 추(42)가 연결될 수 있다. 차광막(4)의 일단(43)은 롤 파이프(3)에 연결될 수 있고, 차광막(4)의 타단(44)은 무게 추(42)에 연결될 수 있다.
무게 추(42)는 차광막(4)의 타단이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게 돕는 부재일 수 있고, 차광막(4)의 타단(44)은 나팔거리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차광막(4)은 무게 추(42)의 전면과 하단과 배면을 감쌀 수 있고, 무게 추(42)은 차광막(3)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프시, 차광막(4)는 롤 파이프(3)에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1)의 내측 전체가 투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시, 차광막(4)는 롤 파이프(3)에서 풀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후방으로 내려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온시 발생될 수 있는 화질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차광막(4)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뒤로 펼쳐지게 차광막(4)을 구동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차광막(4)이 프레임(1)에 은닉되게 롤 파이프(3)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차광막(4)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후방으로 펼쳐지게 롤 파이프(3)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위치용 파이프(6,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롤 파이프(3)와 나란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롤 파이프(3)에서 풀린 차광막(4)을 가이드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의 직경은 롤 파이프(4)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롤 파이프(3)과 전후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롤 파이프(3)의 전방에 롤 파이프(3)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롤 파이프(3)와 함께 프레임(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용 파이프(6)는 어퍼 프레임(11)의 어퍼 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차광막(4)의 일단(43)과 타단(44) 사이의 부분은 위치용 파이프(6)에 올려질 수 있고, 차광막(4)은 위치용 파이프(6)에 의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프레임(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커넥터(15)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커넥터(15)는 프레임(1) 특히, 어퍼 프레인(11)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글래스(21)의 전면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커넥터(15)에 양면 테잎 등의 접착수단(16)으로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1)에는 이너 커버(17)가 제공될 수 있다. 이너 커버(17)는 어퍼 프레임(11)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너 커버(17)와 어퍼 프레임(11)의 사이에는 롤 파이프(3)가 수용되는 롤 파이프 수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커버(17)의 선단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과 이격될 수 있고, 이너 커버(17)의 선단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 사이에는 차광막(4)이 통과할 수 있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차광막 구동기구(5)는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는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는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무게추(42)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는 무게추(42)의 좌측부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는 무게추(42)의 우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 따른 기어 어셈블리가 확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모터(50); 및 모터(50)의 구동시 롤 파이프(3)를 회전시키는 기어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브래킷(70) 및 사이드 블록(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50)는 모터 브래킷(70)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50)는 샤프트(51)이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모터 브래킷(70)에 장착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워엄 휠(62)과, 워엄 샤프트(64) 및 제2워엄 휠(6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60)는 기어비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워엄 휠(62)과, 워엄 샤프트(64)의 기어비가 10:1이고, 워엄 샤프트(64) 및 제2워엄 휠(66)일 경우, 기어 어셈블리(60)의 기어비는 100;1이 될 수 있다.
제1워엄 휠(62)은 모터(50)의 샤프트(5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워엄 휠(62)는 제2워엄 휠(66)과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워엄 휠(62)은 워엄 샤프트(64)의 샤프트부(64A) 하부에 치합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는 제1워엄 휠(62)에 치합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는 상하 방향(Z)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는 샤프트부(64A)와, 워엄 샤프트(64)에 하부에 형성된 하부 회전축(64B)와, 워엄 샤프트(64)에 상부에 형성된 상부 회전축(64C)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브래킷(70, 도 7 참조)은 프레임(1)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브래킷(70)는 모터(50)의 일부(52)가 관통되는 관통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71)는 좌우 방향(Y)으로 개방될 수 있다. 모터(50)의 일부(52)는 관통부(71)로 삽입될 수 있다. 모터(50)의 일부(52)는 관통부(71)에 안착되는 안착부일 수 있다.
모터 브래킷(70)는 제1워엄 홀(62) 및 워엄 샤프트(64)의 주변에 배치되게 프레임(1)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 브래킷(70)은 제1워엄 휠(62) 및 워엄 샤프트(64)을 보호할 수 있다.
모터 브래킷(70)에는 워엄 샤프트(64)를 지지하는 로어 서포터(72)가 형성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의 샤프트부(64A)는 로어 서포터(72)에 올려질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의 하부 회전축(64B)은 로어 서포터(72)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할 수 있고, 워엄 샤프트(64)는 모터 브래킷(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 도 5 및 도 6 참조)은 프레임(1)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은 롤 파이프(3)와, 상측 롤 풀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은 롤 파이프(3)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은 롤 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는 롤 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파이프 서포터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은 제2워엄 휠(6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는 제2워엄 휠(6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워엄 휠 서포터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블록(80)에는 워엄 샤프트(64)를 지지하는 어퍼 서포터(82)가 형성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의 샤프트부(64A)는 어퍼 서포터(8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워엄 샤프트(64)의 상부 회전축(64C)은 어퍼 서포터(82)에 형성된 개구부(83)를 관통할 수 있고, 워엄 샤프트(64)는 사이드 블록(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블록(80)은 위치용 파이프(6)가 연결되는 연결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4)에는 위치용 파이프(6)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8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공(85)은 어퍼 서포터(82)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는 워엄 샤프트(64)에 치합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는 롤 파이프(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는 워엄 샤프트(64)의 샤프트부(64B) 상부에 치합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에는 연결축(68)이 제공될 수 있고, 연결축(68)은 롤 파이프(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의 회전시, 연결축(68)은 회전될 수 있고, 롤 파이프(3)는 연결축(68)의 회전시 연결축(68)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연결축(68)은 상측 롤 풀리(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의 회전시, 연결축(68)은 회전될 수 있고, 상측 롤 풀리(100)는 연결축(68)의 회전시 연결축(68)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워엄 휠(66)는 롤 파이프(3)와 상측 롤 풀리(10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롤 파이프(3)와 상측 롤 풀리(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차광막 구동기구(5)는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는 벨트 어셈블리(B)를 구성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는 롤 파이프(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의 직경은 롤 파이프(3)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의 직경은 롤 파이프(3)의 직경과 동일할 경우, 변위차는 최소화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는 롤 파이프(3)와 차광막 구동기구(5)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 롤 풀리(100)의 일 예는 차광막 구동기구(5) 중 제2워엄 휠(66) 옆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워엄 휠(66)과 연결축(68)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 도 3 참조)는 프레임(1)에 지지되고, 상측 롤 풀리(100)와 이격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는 상측 롤 풀리(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에 프레임(1)에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는 사이드 프레임(13)(14)에 지지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는 사이드 프레임(13)(1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13)(14)을 따라 상하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14)에는 하측 롤 풀리(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고, 하측 롤 풀리(110)는 승강 가이드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
벨트(120)는 무게 추(42)에 연결될 수 있고, 상측 롤 풀리(100)의 회전시 무게 추(42)를 하강시킬 수 있다.
벨트(120)의 일단은 상부 롤 풀리(100)에 고정될 수 있고, 벨트(120)의 타단은 무게 추(42)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120)는 하측 롤 풀리(110)에 감길 수 있다. 벨트(120)는 대략 U자 형상일 수 있다.
무게 추(42)과 벨트(120)는 롤 파이프(3)가 회전될 때, 차광막(4)의 하단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벨트(120)의 두께는 차광막(4)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벨트(120)의 두께가 차광막(4)의 두께와 동일할 경우, 변위차는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광막 구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50)의 구동시, 기어 어셈블리(60)는 롤 파이프(3)는 회전될 수 있고, 롤 파이프(3)의 회전시, 차광막(4)은 무게 추(42)의 하중에 의해 롤 파이프(3)에서 점차 풀릴 수 있고, 무게 추(42)는 차광막(4)의 타단과 함께 하측 방향으로 풀릴 수 있다.
상측 롤 풀이(100)는 롤 파이프(3)과 함께 롤 파이프(3)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측 롤 풀리(110)는 상하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측 롤 풀리(100)에 감긴 벨트(120)의 직경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게 추(42)와 벨트(120)의 변위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 중 일부가 모터(50) 및 기어 어셈블리(60)를 포함하지 않고,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 각각은 모터(50)와 기어 어셈블리(60),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50)와 기어 어셈블리(60)는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 중 어느 하나에만 제공되고,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는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의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 중 어느 하나는 모터(50)와 기어 어셈블리(60)와,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를 모두 포함하고, 좌측 차광막 구동기구(5A)와 우측 차광막 구동기구(5B) 중 다른 하나는 모터(50)와 기어 어셈블리(60) 없이 상측 롤 풀리(100)와, 하측 롤 풀리(110) 및 벨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0)와 기어 어셈블리(60)가 없는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측 롤 풀리(100)가 연결축으로 롤 파이프(3)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롤 파이프(3)가 상측 롤 풀리(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모터(50)가 무게추(42)를 일정하게 당길 수 있고, 차광막(4)는 최대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펼쳐 질 수 있다.
도 8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 및 차광막이 도시된 도이며, 도 1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는 차광막 구동기구(5') 이외의 기타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프레임(1), 디스플레이 패널(2), 롤 파이프(3), 차광막(4), 무게 추(42) 등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는 롤 파이프(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는 프레임(1)에 배치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은 어퍼 프레임(11)에 배치되거나 사이드 프레임(13,14)에 배치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는 한 쌍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롤 파이프 서포터(190)는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된 좌측 롤 파이프 서포터(190A) 및 우측 롤 파이프 서포터(190B)을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3)의 좌측부는 좌측 롤 파이프 서포터(190A)에 지지될 수 있고, 롤 파이프(3)의 우측부는 우측 롤 파이프 서포터(190B)에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롤 파이프(3)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차광막(4)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차광막(4)이 롤 파이프(3)에 감기도록 롤 파이프(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의 일 예는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의 예는 코일 스프링이나 선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는 롤 파이프(3)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프레임(1) 또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함 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프레임(1) 또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 지지된 상태에서, 차광막(4)이 롤 파이프(3)에 감기는 방향으로 롤 파이프(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무게 추(42)에 연결되어 무게 추(42)가 롤 파이프(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무게 추(42)를 당길 수 있다. 즉, 차광막 구동기구(5')는 차광막(4)이 롤 파이프(3)에서 풀리도록 무게 추(42)을 당길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가 무게 추(42)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지 않으면, 롤 파이프(3)는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차광막(4)은 롤 파이프(3)에 감길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무빙 블록(200)와, 모터(210)와, 구동 풀리(220)와 및 메인 구동 벨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추(42)에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은 무게 추(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은 무게 추(42)의 좌측과 우측 중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에는 무게 추(42)가 연결되는 무게 추 연결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의 승강시 무게 추(42)는 무빙 블록(200)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에는 메인 구동 벨트(230)가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에는 메인 구동 벨트(230)의 타단(232)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의 일 예은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무빙 블록(200)의 다른 예는 복수개의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200)는 무게 추 연결부(201)가 형성된 무게 추 연결바디(203)와, 무게 추 연결바디(203)에 결합되고 벨트 연결부(202)가 형성된 벨트 연결 바디(204)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승강 가이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240)는 무빙 블록(2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24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무빙 블록(2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240)는 상하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240)는 무빙 블록(200)을 관통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에는 승강 가이드(240)에 안내되는 승강 홀(205)이 형성될 수 있고, 무빙 블록(200)은 승강 가이드(240)를 따라 승강 가이드(240)의 길이 방향(Z)으로 안내될 수 있다.
모터(210, 도 8 및 도 10 참조)는 프레임(1)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10)는 프레임(1) 중 로어 프레임(12)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10)는 회전축이 좌우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풀리(220, 도 10 참조)는 모터(210)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다.
구동 풀리(220)는 프레임(1)에 배치된 풀리 서포터(22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풀리(220)는 전후 방향(X)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메인 구동 벨트(230, 도 8 내지 도 10 참조)는 구동 풀리(22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구동 벨트(230)는 구동 풀리(220)에 감길 수 있고, 구동 풀리(220)에서 풀릴 수 있다. 메인 구동 벨트(230)은 무빙 블록(200)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구동 벨트(230)의 타단은 무빙 블록(200)의 벨트 연결부(202)에 연결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구동 풀리(220)와 이격된 메인 가이드 풀리(246, 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가이드 풀리(246)는 메인 구동 벨트(230)를 안내할 수 있다. 메인 가이드 풀리(246)은 프레임(1) 특히, 로어 프레임(12) 또는 사이드 프레임(13,14)에 배치되어, 메인 구동 벨트(230)를 꺽인 형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메인 구동 벨트(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Y)으로 긴 수평부(230A)와, 상하 방향(Y)으로 긴 수직부(230B)를 포함할 수 있고, 수평부(230A)와 수직부(230B) 사이의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30A)는 메인 구동 벨트(230)의 일단을 포함할 수 잇다.
수직부(230B)의 상부는 무빙 블록(20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230B)는 메인 구동 벨트(230)의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는 메인 가이드 풀리(246)에 안내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250)와, 기어 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250)와 기어 부재(260)는 모터(210)의 회전력을 구동 풀리(2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일 수 있다. 구동 기어(250)와 기어 부재(260)는 힘의 전달 방향을 직교하게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250)는 모터(21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210)의 구동시 구동 기어(250)는 회전될 수 있다. 구동 기어(250)는 수평축을 갖을 수 있다. 구동 기어(250)는 좌우 방향(Y)으로 길 수 있다. 구동 기어(250)의 예는 워엄 샤프트일 수 있다.
기어 부재(260)는 구동 풀리(220)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풀리(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 부재(260)는 구동 풀리(220)와 일체화될 수 있다. 기어 부재(260)는 구동 풀리(2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 부재(260)는 구동 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26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262)의 예는 워엄 휠일 수 있다. 종동 기어(262)의 전후 방향(X)의 회전축을 갖을 수 잇다.
기어 부재(260)는 종동기어(262)에 연결된 제1스퍼기어(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퍼기어(264)는 종동기어(262)의 전방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10)의 구동시 제1스퍼기어(264)는 회전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제2스퍼기어(270)와, 종동 풀리(280)와, 서브 구동 벨트(290); 및 서브 블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퍼기어(270)는 제1스퍼기어(264)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퍼기어(270)에는 회전축(272)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272)은 회전축 서포터(2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스퍼기어(270)의 회전 중심은 제1스퍼기어(264)의 회전 중심과 나란할 수 있다. 제2스퍼기어(270)는 제1스퍼기어(26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종동 풀리(280)는 제2스퍼기어(270)과 연결될 수 있다. 종동 풀리(280)는 구동 풀리(220)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퍼기어(270)의 회전시 종동 풀리(280)는 회전될 수 있다. 종동 풀리(280)는 풀리 서포터(22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풀리(220)는 전후 방향(X)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는 메인 구동 벨트(230)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는 종동 풀리(28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 도 8 및 도 10 참조)는 종동 풀리(28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30)는 종동 풀리(280)에 감길 수 있고, 종동 풀리(280)에서 풀릴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은 서브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의 타단은 서브 블록에 형성된 벨트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종동 풀리(280)와 이격된 서브 가이드 풀리(248, 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풀리(248)는 서브 구동 벨트(290)를 안내할 수 있다. 서브 가이드 풀리(248)은 프레임(1) 특히, 로어 프레임(12) 또는 사이드 프레임(13,14)에 배치되어, 서브 구동 벨트(290)를 꺽인 형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서브 구동 벨트(2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Y)으로 긴 수평부(290A)와, 상하 방향(Z)으로 긴 수직부(290B)를 포함할 수 있고, 수평부(290A)와 수직부(290B) 사이의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90A)는 서브 구동 벨트(290)의 일단을 포함할 수 잇다.
수직부(290B)의 상부는 서브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230B)는 서브 구동 벨트(290)의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는 서브 가이드 풀리(248)에 안내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무빙 블록(200)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블록는 무빙 블록(200)와 함께 무게 추(4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무게 추(24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에는 서브 구동 벨트(290)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무빙 블록(200)과 같이, 무게 추(42)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무게 추(4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무게 추(42)의 좌측과 우측 중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에는 무게 추(42)가 연결되는 무게 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의 승강시 무게 추(42)는 서브 블록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서브 블록에는 서브 구동 벨트(290)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블록에는 서브 구동 벨트(290)의 타단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차광막 구동기구(5')는 서브 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서브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는 승강 가이드(240)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블록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는 상하 방향(Z)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빙 블록이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무빙 블록이 하강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 도 11 참조)에는 프레임(1)에 체결되는 체결부(191)가 형성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는 롤 파이프(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파이프 지지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는 승강 가이드(240)가 장착되는 장착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93)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93)에는 승강 가이드(240)의 상부가 지지되는 승강 가이드 지지부(19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는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 도 1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와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는 프레임(1)에 체결되는 체결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01)는 사이드 프레임(13,14)에 체결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에는 승강 가이드(240)가 장착되는 장착부(303)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303)는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303)에는 승강 가이드(240)의 하부가 지지되는 승강 가이드 지지부(30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위치 센서(310, 도 11 참조) 및 하부 위치 센서(310, 도 1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위치 센서(310)는 무빙 블록(200)의 상한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상부 위치 센서(310)의 일 예는 포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위치 센서(310)는 상부 센서 바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센서 바디(212)는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 배치되어 롤 파이프 서포터(190)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센서 바디(312)는 공간이 형성된 개구부(314)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314)의 일측에는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314)의 타측에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위치 센서(320)는 무빙 블록(200)의 하한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하부 위치 센서(320)는 상부 위치 센서(310)와 상하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 위치 센서(320)의 일 예는 포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위치 센서(320)는 하부 센서 바디(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센서 바디(322)는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에 배치되어 승강 가이드 서포터(300)에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센서 바디(322)는 공간이 형성된 개구부(324)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324)의 일측에는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324)의 타측에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블록(200)은 관통부(206)와, 어퍼 돌기(207) 및 로어 돌기(208)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206)에는 승강 가이드(240)에 안내되는 승강 홀(205)이 형성될 있다.
어퍼 돌기(207)는 상부 위치 센서(310)로 삽입될 수 있다. 어퍼 돌기(207)는 상부 위치 센서(310)의 개구부(314)로 삽입될 수 있고, 상부 위치 센서(310)의 발광부과 수광부 사이로 상승되어 발광부의 광의 수광부로 입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로어 돌기(208)은 하부 위치 센서(320)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 돌기(208)는 하부 위치 센서(320)의 개구부(324)로 삽입될 수 있고, 하부 위치 센서(320)의 발광부과 수광부 사이로 상승되어 발광부의 광의 수광부로 입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프레임 2: 디스플레이 패널
3: 롤 파이프 4: 차광막
5: 차광막 구동기구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배치된 롤 파이프;
    상기 롤 파이프에 감긴 차광막; 및
    상기 차광막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뒤로 펼쳐지게 상기 차광막을 구동하는 차광막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파이프와 나란하고 상기 롤 파이프에서 풀린 차광막을 가이드하는 위치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사이드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블록은 상기 위치용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롤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제1워엄 휠;
    상기 제1워엄 휠에 치합된 워엄 샤프트 및
    상기 워엄 샤프트에 치합되고 상기 롤 파이프와 연결된 제2워엄 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워엄 샤프트와 제1워엄 홀을 보호하는 모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이 연결된 무게 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롤 파이프와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롤 파이프와 함께 회전되는 상측 롤 풀리;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측 롤 풀리와 이격된 하측 롤 풀리 및
    상기 상부 롤 풀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하측 롤 풀리에 감기며 타단이 상기 무게 추에 연결된 벨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파이프의 직경과 상측 롤 풀리의 직경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두께는 상기 차광막의 두께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이 연결된 무게 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무게 추에 연결된 무빙 블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시 회전 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무빙 블록에 연결된 메인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구동 풀리와 이격되고 상기 메인 구동 벨트를 안내하는 메인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무빙 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파이프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 파이프 서포터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파이프 서포터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승강 가이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된 기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된 제1스퍼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제1스퍼기어에 치합된 제2스퍼기어;
    상기 제2스퍼기어과 연결된 종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서브 구동 벨트; 및
    상기 무게 추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서브 구동 벨트에 연결된 서브 블록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구동기구는
    상기 종동 풀리와 이격되고 상기 서브 구동 벨트를 안내하는 서브 가이드 풀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블록의 상한 위치를 센싱하는 상부 위치 센서; 및
    상기 상부 위치 센서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하한 위치를 센싱하는 하부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블록은 상기 승강 가이드가 관통되는 관통부;
    상기 상부 위치 센서로 삽입되는 어퍼 돌기 및
    상기 하부 위치 센서로 삽입되는 로어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2539A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4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39A KR20240014858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39A KR20240014858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858A true KR20240014858A (ko) 2024-02-02

Family

ID=8990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539A KR20240014858A (ko) 2022-07-26 2022-07-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8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92A (ko)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92A (ko)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변 차광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9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6574216B2 (ja) ローラ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106816093B (zh) 显示装置
KR10256532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711041B1 (en) Display device
CN106816094B (zh) 显示装置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KR102658877B1 (ko) 표시 장치
KR20180026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JP72244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KR102252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1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793923B (zh) 顯示裝置
KR202400148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91857A (ko) 표시 장치
KR20230098969A (ko) 표시장치
US20220022332A1 (en) Display device
KR20230098967A (ko) 표시장치
KR20240005283A (ko) 시인성을 개선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968A (ko) 표시장치
KR20160082662A (ko) 차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72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