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96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969A
KR20230098969A KR1020210187980A KR20210187980A KR20230098969A KR 20230098969 A KR20230098969 A KR 20230098969A KR 1020210187980 A KR1020210187980 A KR 1020210187980A KR 20210187980 A KR20210187980 A KR 20210187980A KR 20230098969 A KR20230098969 A KR 2023009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splay panel
pulley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방영규
강승모
전은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969A/ko
Priority to US18/074,461 priority patent/US20230209746A1/en
Priority to CN202211632970.4A priority patent/CN116363950A/zh
Publication of KR2023009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19/0618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e.g. cable, being wound on a drum or thread for creating axial movement parallel to the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하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간단한 구조와 동작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과 차광판을 침대 헤드보드나, 책상, 파티션과 같은 가구나 기구물, 시설물 등으로부터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를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은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고 부품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하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표시장치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보다 발전하는 과정에서,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넘어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표시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들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중 표시장치가 가구나 기구물, 시설물 등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를 구현하여,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갖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장치를 필요에 따라 구조물 내부에 매립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시장치가 간단한 구조와 동작으로 구조물 내부에 매립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또한 표시장치를 매립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로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모듈과,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거나, 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승하강시키는 제 1 구동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시스템은 제 1 와이어드럼과 제 1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하단부에는 버텀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버텀커버에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구동시스템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을 포함하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 1 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 1 내지 제 5 풀리를 포함하는 와이어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제 1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제 2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 및 타단 사이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풀리에 걸쳐지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인출되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최외각에 노출되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제 1 및 제 2 영역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승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제 1 풀리 그리고 상기 제 2 풀리와 상기 제 3 풀리는 각각 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풀리와 상기 제 2 풀리와 상기 제 3 풀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각각 동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풀리는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5 풀리는 상기 제 3 풀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풀리와 상기 제 5 풀리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동축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풀리와 상기 제 2 풀리 사이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4 풀리와 상기 제 5 풀리 사이로 노출된 영역이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1 권취부에 권취되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2 권취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1 권취부로부터 풀리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2 권취부로 권취되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는 폐곡선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모터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각각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제 1 버텀커버의 양단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버텀커버의 양단으로는 한쌍의 부싱이 장착되며, 상기 한쌍의 부싱은 상기 커버모듈에 장착된 한쌍의 가이드바에 끼움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부싱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에는 턴버클이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하단부에는 버텀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버텀커버에는 버텀휠이 장착되며, 상기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은 상기 버텀휠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은 승하강플레이트와, 제 1 및 제 2 휠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휠브라켓 사이로 위치하는 가스스프링, 그리고 제 1 및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스프링에는 끝단에 스프링휠이 장착된 로드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 1 휠브라켓의 제 1 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휠을 감아 타단이 상기 제 2 휠브라켓의 제 2 휠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 1 휠브라켓의 제 3 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버텀휠을 감아 타단이 상기 제 2 휠브라켓의 제 4 휠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배면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거나 인출되는 차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차광판을 승하강시키는 제 2 구동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시스템은 제 2 와이어드럼과 제 2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투명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모듈의 양단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차광판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끼움홈이 구비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이 배치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차광판이 각각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을 통해 개별적으로 커버모듈로부터 인출되거나 커버모듈 내부로 매립될 수 있도록 승하강 하도록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패널과 차광판을 침대 헤드보드나, 책상, 파티션과 같은 가구나 기구물, 시설물 등으로부터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의 일측과 타측에서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 배면으로 차광판이 더욱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를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벨트에 의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과 차광판을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파손 또한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고 부품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의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이나 차광판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과 차광판의 승하강의 속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모듈과 차광판이 커버모듈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하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매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b ~ 1d는 다양하게 인출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부싱과 가이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제 1 모터어셈블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제 1 구동시스템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풀다운(full down)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풀업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 1 구동와이어에 장착된 턴버클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 ~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이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이 매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 ~ 1d는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어 위치하는데, 이때 커버모듈(110)은 침대 헤드보드나, 책상, 파티션과 같은 가구나 기구물, 시설물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어 풀다운(full down)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110) 외부로 모두 인출되어 풀업(full up)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120)이 투명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투과해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되며,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일측과 타측에서 모두 시청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20)이 투명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110)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차광판(130)이 더욱 인출될 수 있다.
차광판(130)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120)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이 보다 선명하게 느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은 정보인식, 정보처리 및 정보표시의 기능을 투명한 전자기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전자기기의 공간적 및 시각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은 건물이나 자동차의 창문(window)에 적용되어 배경을 보이거나 화상을 표시하는 스마트창(smart window)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은 어두운 환경에서는 명암비(contrast ratio)에 문제가 없지만 빛이 있는 일반 환경에서는 명암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의 명암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빛을 차광하는 차광모드와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커버모듈(110)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차광판(130)이 더욱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일부만 커버모듈(1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대부분이 커버모듈(110)의 안쪽으로 매립되도록 하여, AOD(Always On Display) 표시장치 또한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AOD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120)에서 화상이 구현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AOD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는데, AOD데이터는 날짜, 시간 및 날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AOD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부싱과 가이드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구동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제 1 모터어셈블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c는 제 1 구동시스템과 디스플레이패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풀다운(full down)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풀업된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1 구동와이어에 장착된 턴버클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크게 커버모듈(110)과 디스플레이패널(120), 차광판(130),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 한쌍의 가이드레일(170a, 170b) 그리고 제 1 및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180, 190)을 포함한다.
커버모듈(110)은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 등이 수납되는 박스 형상으로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3)로 이루어지는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전면을 기준으로 프론트커버(111)가 위치하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차광판(130)이 위치하며, 차광판(130)의 배면으로 리어커버(113)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120)은 투과영역과 발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영역은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보이는 배경을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으로, 즉, 투명한 유리처럼 디스플레이패널(120) 너머의 배경을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영역에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20)에서 구현하는 영상정보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커버모듈(110)로부터 인출되어 풀업(full up)되는 방향인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제 1 버텀커버(121)가 장착된다.
제 1 버텀커버(121)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함께 승하강하게 되는데,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110)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커버모듈(110) 내부로 위치하여 디스플레이패널(12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버텀커버(121)는 제 1 구동시스템(150)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버텀커버(121)의 양단에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부싱(bushing)(123a, 123b)이 구비되는데,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은 커버모듈(110)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바(117a, 117b)에 끼움 삽입되어, 제 1 및 제 2 가이드바(117a, 117b)를 따라 디스플레이패널(120)과 함께 제 1 및 제 2 가이드바(117a, 117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과 제 1 및 제 2 가이드바(117a, 117b)는 커버모듈(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커버모듈(110) 내부 및 외부로 승하강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가이드바(117a, 117b)에는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차광판(130)의 하단부에도 제 2 버텀커버(미도시)가 장착되어, 제 2 버텀커버(미도시)는 차광판(130)과 함께 승하강하며 커버모듈(110)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제 2 버텀커버(미도시)는 제 2 구동시스템(160)과 연결된다.
또한 제 2 버텀커버(121)의 양단에도 한쌍의 제 3 및 제 4 부싱(미도시)이 구비되며, 제 3 및 제 4 부싱(미도시)은 커버모듈(110)에 고정되는 제 3 및 제 4 가이드바(118a, 118b)를 따라 차광판(130)과 함께 제 3 및 제 4 가이드바(118a, 118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의 인출되는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에 수직한 제 2 방향의 양단으로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70a, 170b)이 배치되는데, 한쌍의 가이드레일(170a, 170b)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의 양단이 각각 끼움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끼움홈(171, 173)이 구비된다.
따라서 한쌍의 가이드레일(170a, 170b)은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이 커버모듈(110)로부터 각각 승하강 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의 양단을 지지하여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프론트커버(111)에는 제 1 구동시스템(150)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연결되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차광판(130)은 리어커버(113)에 구비되는 제 2 구동시스템(160)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4a를 참조하여 제 1 구동시스템(15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구동시스템(150)은 제 1 모터어셈블리(152)와,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를 포함하는데, 제 1 모터어셈블리(152)는 제 1 모터(151)와 제 1 와이어드럼(wire drum)(1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모터(151)는 제 1 와이어드럼(153)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전기모터와 감속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기모터는 전기를 동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서보모터, 스텝모터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터(151)는 제 1 와이어드럼(153)의 회전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제 1 와이어드럼(153)에 권취되는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의 인출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 1 와이어드럼(153)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모터(15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권취부(153a, 153b)를 포함하는데, 제 1 권취부(153a)에는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의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일 끝단이 연결되어 권취되며, 제 2 권취부(153b)에는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의 제 1 구동와이어(157)의 타 끝단이 연결되어 권취된다.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는 제 1 구동와이어(157)와 함께 제 1 내지 제 제 5 풀리(155a, 155b, 155c, 155d, 155e)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프론트커버(111)를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을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뉘어 정의하면, 제 1 모터어셈블리(152)는 프론트커버(111)의 상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 1 풀리(155a)는 프론터커버(111)의 상단부의 타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여, 제 1 모터어셈블리(152)와 제 2 방향의 동축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풀리(155b)는 프론트커버(111)의 하단부의 타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데, 제 1 풀리(155a)와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Y축 방향으로)으로 동축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3 풀리(155c)는 프론트커버(111)의 하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 2 풀리(155b)와 제 1 방향에 수 직한 제 2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X/-X축 방향으로)으로 동축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풀리(155d)는 프론트커버(111)의 상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데,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외측 동축상에 위치하며, 제 5 풀리(155e)는 제 3 풀리(155c)의 외측 동축상에 위치한다.
제 4 풀리(155d)와 제 5 풀리(155e)는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Y축 방향으로)으로 동축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는 제 1 구동와이어(157)가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제 1 와이어드럼(153)의 제 1 권취부(153a)로부터 연장되어 제 1 내지 제 5 풀리(155a, 155b, 155c, 155d, 155e)에 걸쳐져 제 1 와이어드럼(153)의 제 2 권취부(153b)에 타 끝단이 권취되게 된다.
즉, 제 1 와이어드럼(153)의 제 1 권취부(153a)에 감겨져 있는 제 1 구동와이어(157)는 제 1 풀리(155a)에 걸쳐진 상태로 아래로 내려와 제 2 풀리(155b)에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풀리(155b)에 걸쳐진 상태로 제 3 풀리(155c)에 걸쳐진 후, 상부로 올라와 제 4 풀리(155d)에 걸쳐지게 되고, 제 4 풀리(155d)에 걸쳐진 상태로 아래로 내려와 제 5 풀리(155e)에 걸쳐진 후 제 1 와이어드럼(153)의 제 2 권취부(153b)에 권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4)의 제 1 구동와이어(157)는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회전력을 통해 폐곡선을 이루며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구동와이어(157)를 제 1 풀리(155a)와 제 2 풀리(155b) 사이로 노출되는 제 1 영역(A)과, 제 4 풀리(155d)와 제 5 풀리(155e) 사이로 노출되는 제 2 영역(B)으로 나뉘어 정의하면,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회전력을 통해 제 1 구동와이어(157)가 폐곡선을 이루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 1 및 제 2 영역(A, B)에 고정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한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는 각각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에 조립 체결되는데, 이러한 한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는 디스플레이패널(120)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 1 버텀커버(121)에 전달하게 된다.
즉,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가 조립 체결된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은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 1 버텀커버(121)에 장착됨으로써, 제 1 구동와이어(12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의 승하강에 따라 제 1 및 제 2 부싱(123a, 123b)이 장착된 제 1 버텀커버(121)와 함께 디스플레이패널(120) 또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어 풀다운(full down)되거나, 또는 커버모듈(110) 외부로 인출되어 풀업(full up)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어 풀다운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제 1 구동시스템(150)의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제 1 와이어드럼(153)이 제 1 모터(151)의 회전력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구동와이어(157)는 제 1 와이어드럼(153)에 일 끝단이 제 1 권취부(153a)에 권취되게 되며, 따라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풀리(155a, 155b) 사이로 노출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3 영역(C)은 제 1 풀리(155a)로부터 제 1 모터어셈블리(15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영역(A)은 제 2 풀리(155b)로부터 제 1 풀리(155a)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또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4 영역(D)은 제 3 풀리(155c)로부터 제 2 풀리(155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와이드드럼(153)의 제 2 권취부(153b)에 권취되어 있던 제 1 구동와이어(157)의 타 끝단은 제 2 권취부(153b)로부터 풀려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5 영역(E)은 제 1 모터어셈블리(152)로부터 제 5 풀리(155e)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2 영역(B)은 제 5 풀리(155e)로부터 제 4 풀리(155d)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6 영역(F)은 제 4 풀리(155d)로부터 제 3 풀리(155c)를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구동와이어(157)는 제 1 내지 제 5 풀리(155a, 155b, 155c, 155d, 155e)와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제 1 와이어드럼(153) 사이에서 폐곡선을 이루며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이 모두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 축 방향으로)으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를 통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가 조립 체결된 제 1 버텀커버(121)가 승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 1 버텀커버(121)가 장착된 디스플레이패널(120) 또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커버모듈(110) 외부로 인출되어 풀업(full up)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110) 외부로 풀업(full up)된 상태에서 제 1 구동시스템(150)의 제 1 모터어셈블리(152)의 제 1 와이어드럼(153)이 제 1 모터(151)의 회전력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구동와이어(157)는 제 1 와이드드럼(153)의 제 1 권취부(153a)에 권취되어 있던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일 끝단이 제 1 권취부(153a)로부터 풀려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3 영역(C)은 제 1 모터어셈블리(152)로부터 제 1 풀리(155a)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영역(A)은 제 1 풀리(155a)로부터 제 2 풀리(155b)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또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4 영역(D)은 제 2 풀리(155b)로부터 제 3 풀리(155c)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6 영역(F)이 제 3 풀리(155c)로부터 제 4 풀리(155d)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2 영역(B)은 제 4 풀리(155d)로부터 제 5 풀리(155e)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구동와이어(157)의 타 끝단이 제 1 와이드드럼(153)의 제 2 권취부(153b)에 권취되게 되며, 따라서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5 영역(E)은 제 5 풀리(155e)로부터 제 1 모터어셈블리(15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이 모두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으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를 통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가 조립 체결된 제 1 버텀커버(121)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 1 버텀커버(121)가 장착된 디스플레이패널(120) 또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어 풀다운(full down)되게 된다.
이때 제 1 구동와이어(157)의 제 1 및 제 2 영역(A, B)이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양측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또한 한쌍의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159a, 159b)가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승하강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구동시스템(160) 또한 제 1 구동시스템(15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구동시스템(160)은 제 2 모터어셈블리와, 제 2 와이어어셈블리를 포함하는데, 제 2 모터어셈블리는 제 2 모터와 제 2 와이어드럼(wire drum)을 포함한다.
제 2 와이어어셈블리는 제 2 구동와이어와 함께 제 6 내지 제 제 10 풀리를 포함하며, 제 2 구동와이어가 제 2 모터어셈블리의 제 2 와이어드럼의 제 3 권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 6 내지 제 10 풀리에 걸쳐져 제 2 와이어드럼의 제 4 권취부에 타 끝단이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제 2 구동와이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는 한쌍의 제 3 및 제 4 와이어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되며, 한쌍의 제 3 및 제 4 와이어고정플레이트는 각각 제 3 및 제 4 부싱에 조립 체결되어, 제 2 구동와이어의 제 1 및 제 2 영역의 승하강에 따라 제 3 및 제 4 부싱이 장착된 제 2 버텀커버(미도시)와 함께 차광판(130)이 제 2 구동와이어의 제 1 및 제 2 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차광판(130) 또한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구동시스템(160)을 통한 차광판(130)의 승하강은 디스플레이패널(120)과 함께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별도로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이 각각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을 통해 개별적으로 커버모듈(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될 수 있도록 승하강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을 각각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를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벨트에 의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벨트의 장력이 떨어지는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벨트의 떨림 등에 의해 진동음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승하강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을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파손 또한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이 반영구적인 장점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은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고 부품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표시장치(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150, 160)의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이나 차광판(130)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표시장치(100)를 이송 운반하는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이나 차광판(130)이 인출되어 디스플레이패널(120)이나 차광판(13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이나 차광판(130)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에 턴버클(turnbuckle : 158)과 같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기구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턴버클(158)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으로 나사막대를 가진 부품으로 일단의 수나사는 오른나사로 타단의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품, 즉 조절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를 장시간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의 장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때 턴버클(158)을 통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157, 미도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커버모듈(110) 내측으로는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연결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7a)과 메인보드(127b), 파워보드(127c)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메인보드(127b)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7a)을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과 파워보드(127c)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127a)을 연결하는 파워케이블(미도시)을 보호하는 케이블 관통부재(128) 또한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부재(128)의 일측단은 커버모듈(110)에 장착되고 타측단은 제 1 버텀커버(121)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110)로부터 승하강시 케이블 관통부재(128)의 타측단이 함께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관통부재(128)는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도록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승하강시 양측의 길이가 변하는 "U"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케이블(미도시)이 주변 전자부품들에 간섭되지 않고 손상되지 않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180, 190)을 더욱 포함하는데, 제 1 및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180, 190)을 통해 커버모듈(110)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130)의 승하강의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120)과 차광판(130)이 커버모듈(110)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하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아래 도 7a ~ 7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a ~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과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7a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커버모듈 내부로 매립되어 풀다운(full down)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b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커버모듈 외부로 인출되어 풀업(full up)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 1 버텀커버(121)에는 회전가능한 제 1 버텀휠(125)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 1 버텀휠(12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전면으로는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이 배치된다.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은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와,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에 장착된 제 1 가스스프링(183), 제 1 가스스프링(183)과 연결된 제 1 및 제 2 와이어(185a, 185b) 그리고 제 1 및 제 2 휠브라켓(187, 189)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는 디스플레이패널(120)가 커버모듈(도 2의 110)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방향(도면상으로 정의한 +Y/-Y축 방향으로)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되는데,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는 디스플레이패널(120)과 마주보는 배면을 기준으로 전면의 상단부에 제 1 및 제 2 휠브라켓(187, 189)이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휠브라켓(187, 189) 사이로 제 1 가스스프링(183)이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휠브라켓(187, 189)은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를 관통하여 전면으로 제 1 및 제 2 휠(187a, 189a)이 돌출되며,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의 배면으로는 제 1 및 제 2 휠(187a, 189a)과 각각 연동되는 제 3 및 제 4 휠(187b, 189b)이 돌출된다.
그리고 제 1 가스스프링(183)에는 제 1 가스스프링(183)의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제 1 로드(183a)가 장착되어 있는데, 제 1 로드(183a)의 일 끝단에는 제 1 스프링휠(183b)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와이어(185a)는 일단이 제 1 휠(187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제 1 스프링휠(183b)에 감긴 상태로 타단이 제 2 휠(189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2 와이어(185b)는 일단이 제 1 승하강플레이트(181)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제 3 휠(187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제 1 버텀커버(121)에 장착된 제 1 버텀휠(125)에 감긴 상태로 타단은 제 4 휠(189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185a, 185b)의 일단은 각각 제 1 및 제 3 휠(187a, 187b)에 서로 반대로 감기도록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와이어(185a, 185b)의 타단은 각각 제 2 및 제 4 휠(189a, 189b)에 서로 반대로 감기도록 고정된다.
이때 제 1 가스스프링(183)은 그 내부에 충진된 가스의 양에 따라, 그 부피를 팽창하려 하기에 그 힘만큼 제 1 및 제 2 와이어(185a, 185b)를 늘어나게 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와이어(185a)의 일단이 제 1 휠(187a)에 감기게 되면 제 2 와이어(185b)의 일단은 제 3 휠(187b)로부터 풀어지게 되며, 제 1 와이어(185a)의 타단이 제 2 휠(189a)에 감기게 되면 제 2 와이어(185b)의 타단은 제 4 휠(189b)로부터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 1 와이어(185a)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제 1 및 제 2 휠(187a, 189a)로부터 풀어지게 되면 제 2 와이어(185b)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 3 및 제 4 휠(187b, 189b)에 감기게 된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도 2a의 110) 내부로 디스플레이패널(120)이 매립된 풀다운(full down)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 1 버텀커버(121)가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의 하단부에 대응되어 위치함에 따라, 제 3 및 제 4 휠(187b, 189b)에 감겨져 있던 제 2 와이어(185b)가 풀어져 제 2 와이어(185b)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를 통해 제 1 와이어(185a)가 제 1 및 제 2 휠(187a, 189a)에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가스스프링(183)의 제 1 로드(183a)가 제 1 가스스프링(183) 내부로 매립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120)을 제 1 구동시스템(150)을 통해 커버모듈(도 2a의 110)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즉 디스플레이패널(120)이 풀다운(Full down)된 상태에서 풀업(Full up)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도 2a의 110)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85b)가 제 3 및 제 4 휠(187b, 189b)에 감기게 되며 제 1 와이어(185a)는 제 1 및 제 2 휠(187a, 189a)로부터 풀어져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의 제 1 가스스프링(183)은 제 1 로드(183a)가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늘어나게 됨에 따라, 제 1 가스스프링(183)으로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모듈(도 2의 110)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120)에도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과 디스플레이패널(120)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적은힘으로 보다 수월하게 디스플레이패널(120)을 커버모듈(도 2a의 1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도 2a의 110) 외부로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인출되어 있는 경우, 즉, 디스플레이패널(120)이 풀업(full up) 상태에서 풀다운(Full down)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 1 버텀커버(121)가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의 상단부에 대응되어 위치함에 따라, 제 2 와이어(185b)는 제 3 및 제 4 휠(187b, 189b)에 감겨져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제 1 와이어(185a)가 제 1 및 제 2 휠(187a, 189a)로부터 풀어져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가스스프링(183)의 제 1 로드(183a)가 제 1 가스스프링(183) 외부로 늘어나 위치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120)을 제 1 구동시스템(150)을 통해 커버모듈(도 2a의 110) 내부로 매립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120)이 커버모듈(도 2a의 110) 내부로 매립됨에 따라 제 2 와이어(185b)가 제 3 및 제 4 휠(187b, 189b)로부터 풀어지게 되며 제 1 와이어(185a)는 제 1 및 제 2 휠(187a, 189a)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의 제 1 가스스프링(183)은 제 1 로드(183a)가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늘어난 상태에서 점차 줄어들게 되나, 제 1 로드(183a)가 제 1 가스스프링(18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까지는 제 1 가스스프링(183)에는 여전히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모듈(도 2의 110)로 매립되는 디스플레이패널(120)에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과 디스플레이패널(120)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에 작용하는 힘과 디스플레이패널(120)이 동작함에 따라 작용하는 힘은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안정적인 속도로 사용자가 손쉽게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모듈(120)이 커버모듈(도 2a의 110)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하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도 2의 190) 또한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18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차광판(도 2의 130) 또한 제 2 구동시스템(도 2의 160)을 통해 승하강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도 2의 190)을 통해 커버모듈(도 2의 110)로부터 차광판(도 2의 130)의 승하강의 속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판(도 2의 130)이 커버모듈(도 2의 110)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하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도 2의 100)는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도 2의 157, 미도시)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도 2의 150, 도 2a의 160)과 같이 간단한 구조와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도 2의 130)을 침대 헤드보드나, 책상, 파티션과 같은 가구나 기구물, 시설물 등으로부터 승하강되도록 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일측과 타측에서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패널(120) 배면으로 차광판(도 2의 130)이 더욱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120)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이 보다 선명하게 느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도 2의 130)을 각각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도 2의 150, 160)이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도 2의 157, 미도시)를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벨트에 의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도 2의 150, 160)은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고 부품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표시장치(도 2의 100)의 제조비용 또한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시스템(도 2의 150, 160)의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도 2의 157, 미도시)가 폐곡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구동와이어(도 2의 157, 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20)이나 차광판(도 2의 130)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도 2의 100)는 제 1 및 제 2 승하강보조시스템(180, 도 2의 190)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차광판(도 2의 130)의 승하강의 속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모듈(120)과 차광판(도 2의 130)이 커버모듈(도 2의 110) 내부로 매립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하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7a, 117b : 제 1 및 제 2 가이드바
120 : 디스플레이패널
121 : 제 1 바텀커버
123a, 123b : 제 1 및 제 2 부싱
152 : 제 1 모터어셈블리(151 : 제 1 모터, 153 : 제 1 와이어드럼)
154 : 제 1 와이어어셈블리(155a, 155b, 155c, 155d, 155e : 제 1 내지 제 5 풀리, 157 : 제 1 구동와이어)
159a, 159b :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

Claims (17)

  1. 내부로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커버모듈과;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거나, 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승하강시키는 제 1 구동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시스템은 제 1 와이어드럼과 제 1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하단부에는 버텀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버텀커버에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시스템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을 포함하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와, 상기 제 1 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 1 내지 제 5 풀리를 포함하는 와이어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제 1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제 2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 및 타단 사이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풀리에 걸쳐지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인출되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최외각에 노출되는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제 1 및 제 2 영역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제 1 풀리 그리고 상기 제 2 풀리와 상기 제 3 풀리는 각각 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풀리와 상기 제 2 풀리와 상기 제 3 풀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각각 동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풀리는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5 풀리는 상기 제 3 풀리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풀리와 상기 제 5 풀리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동축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풀리와 상기 제 2 풀리 사이로 노출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4 풀리와 상기 제 5 풀리 사이로 노출된 영역인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1 권취부에 권취되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2 권취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1 권취부로부터 풀리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제 2 권취부로 권취되어, 상기 제 1 구동와이어는 폐곡선을 이루는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모터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표시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각각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제 1 버텀커버의 양단으로 고정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텀커버의 양단으로는 한쌍의 부싱이 장착되며, 상기 한쌍의 부싱은 상기 커버모듈에 장착된 한쌍의 가이드바에 끼움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고정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부싱에 각각 장착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와이어에는 턴버클이 장착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하단부에는 버텀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버텀커버에는 버텀휠이 장착되며,
    상기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은 상기 버텀휠과 결합되는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하강보조시스템은 승하강플레이트와, 제 1 및 제 2 휠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휠브라켓 사이로 위치하는 가스스프링, 그리고 제 1 및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스프링에는 끝단에 스프링휠이 장착된 로드가 장착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 1 휠브라켓의 제 1 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휠을 감아 타단이 상기 제 2 휠브라켓의 제 2 휠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 1 휠브라켓의 제 3 휠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버텀휠을 감아 타단이 상기 제 2 휠브라켓의 제 4 휠에 고정되는 표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배면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거나 인출되는 차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위치하며, 상기 차광판을 승하강시키는 제 2 구동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시스템은 제 2 와이어드럼과 제 2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투명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의 양단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차광판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끼움홈이 구비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이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210187980A 2021-12-27 2021-12-27 표시장치 KR20230098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80A KR20230098969A (ko) 2021-12-27 2021-12-27 표시장치
US18/074,461 US20230209746A1 (en) 2021-12-27 2022-12-03 Display device
CN202211632970.4A CN116363950A (zh) 2021-12-27 2022-12-1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80A KR20230098969A (ko) 2021-12-27 2021-12-27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969A true KR20230098969A (ko) 2023-07-04

Family

ID=8689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980A KR20230098969A (ko) 2021-12-27 2021-12-2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09746A1 (ko)
KR (1) KR20230098969A (ko)
CN (1) CN11636395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63950A (zh) 2023-06-30
US20230209746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9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362689B2 (en) Method of providing a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93574B (zh) 可卷绕式显示装置
CN106816094B (zh) 显示装置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CN113888975A (zh) 显示设备
JP72244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KR20190013001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252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8969A (ko) 표시장치
KR20230098968A (ko) 표시장치
US11706885B2 (en) Display device
KR20230098967A (ko) 표시장치
KR20220091857A (ko) 표시 장치
KR2022002694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05283A (ko) 시인성을 개선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79861A1 (en) Display device
KR202400148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115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03259A (ko) 표시 장치
KR20210105740A (ko) 투명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