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73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739A
KR20230012739A KR1020210093347A KR20210093347A KR20230012739A KR 20230012739 A KR20230012739 A KR 20230012739A KR 1020210093347 A KR1020210093347 A KR 1020210093347A KR 20210093347 A KR20210093347 A KR 20210093347A KR 20230012739 A KR20230012739 A KR 2023001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lexible display
assembly
upper assembly
li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현
Original Assignee
펙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펙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펙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739A/ko
Publication of KR2023001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와; 롤러에 감기거나 상기 롤러에서 풀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제1아암과; 하우징에 제공된 아암 서포터와; 아암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 축과; 아암 축에 연결되어 아암 축과 함께 회전되고 제1아암을 회전시키는 제2아암과; 제2아암에 연결되어 아암 축을 중심으로 제2아암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아암 축과 제2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앵글 센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DISPLAY DEVICE AND LIFT ASSEMBLY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
되고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롤러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롤러에서 펼치거나 롤러에 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거나 롤러에서 푸는 것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신뢰성 높고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따라 롤러에 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어셈블리와; 리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연결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승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주 기어와; 상기 주 기어에 맞물린 종 기어와;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각도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연장시키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편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편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상기 편향부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 부재는 상기 편향부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 부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 할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수평면과;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수직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수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편향부재와 접촉 한 후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편향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편향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편향부재의 검출된 위치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검출된 각도에 따라 상기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는 모터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어셈블리에 연결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승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주 기어와; 상기 주 기어에 맞물린 종 기어와;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각도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신뢰성 높게 센싱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 기어와 종 기어의 기어 비에 의해 센싱값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아암 축이나 제2아암의 회전각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외력이 작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변경된 경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신뢰성 높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최대 하강 높이로 신뢰성 높게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예들이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승시키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최대 높이로 상승시켰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글 센서모듈이 확대 도시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글 센서모듈이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브래킷이 하강되는 도중일 때의 어퍼 브래킷와, 편향부재 및 고정부재가 도시된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브래킷이 하강 완료되었을 때의 어퍼 브래킷와, 편향부재 및 고정부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예들이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1)와, 하우징(1)로 하강되거나 하우징(1) 위로 상승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디스플레이 패널(3)과, 디스플레이 커버(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5,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하강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 감기는 것으로서, 하우징(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어셈블리(1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연결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리프트 어셈블리(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리프트 어셈블리(1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후 방향(X)으로 두께를 갖고, 좌우 방향(Y)으로 폭을 갖으며, 상하 방향(Z)으로 높이를 갖을 수 있다.
하우징(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롤러(5)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하강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롤러(5)와 함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승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적어도 일부는 공간(S)의 위로 상승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그 상승된 높이에 따라 일부만 공간(S) 위로 상승되거나, 그 전부가 공간(S) 위로 상승될 수 있다.
롤러(5)는 하우징(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에는 롤러(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서포터(51, 도 4 내지 도 6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 서포터(51)는 하우징(1)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롤러(5)는 한 쌍의 롤러 서포터(51) 사이에서 한 쌍의 롤러 서포터(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롤러(5)는 롤러 서포터(5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2,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 감기는 롤러 바디(53,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바디(53)는 회전축(52)과 연결되고,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롤러 바디(53)에 연결될 수 있고, 롤러 바디(53)가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롤러 바디(5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롤러 바디(5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하우징(1)에는 롤러(5)를 정,역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기구(미도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 회전기구는 모터 등의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고, 롤러(5)의 회전축(52)에 연결되어 롤러(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롤러 회전기구는 롤러(5)와 함께 하우징(1)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 회전기구는 롤러(5)의 회전축(52)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 회전기구는 구동축을 갖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과 롤러(5)의 회전축(52) 사이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롤러(5)의 회전축(52)으로 전달하는 벨트 및 풀리 등의 동력전달부재나 기어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별도의 롤러 회전기구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승강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 롤러(5)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롤러(5)가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는 롤러(5)의 전방에서 롤러(5)를 가리는 프론트 커버(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은 하우징(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은 롤러(5)의 옆에서 롤러(5)를 가리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커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는 하우징(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2)는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는 롤러(5)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커버와, 롤러(5)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 통과하는 개구부(13,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는 그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3)는 탑 커버(14)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개구부(13)를 개폐하는 하우징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도어(20)는 개구부(13)를 개폐하기 위해 탑 커버(13)에 수평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도어(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전부가 하우징(1)의 공간(S)으로 삽입되었을 때, 개구부(13)에 위치되어 개구부(13)를 막을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의 상측으로 상승되기 이전에 개구부(13)를 개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롤러(5)에 감겨 그 전부가 공간(S)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롤러(5)에서 풀려 공간(S) 위로 상승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두께는 하우징(1)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하우징(1)의 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폭 보다 길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펼쳐졌을 때, 그 높이(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단 높이)가 하우징(1)의 높이(즉, 하우징의 상단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최대 하강시, 그 전부가 하우징(1)의 공간(S)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에 은닉될 수 있고, 그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 위로 상승되었을 때, 하우징(1)의 위로 노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부가 하우징(1)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만 하우징(1)의 상면 위의 소정 높이(H1)로 상승될 수 있으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상승 높이(H2)까지 상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은 OLED 등과 같이, 휘거나 말릴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은 그 전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 중 하우징(1)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영역은 외부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활성화 영역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 중 하우징(1)의 공간(S)에 위치하는 영역은 외부에서 영상을 볼 수 없는 비활성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함께 롤러(5)에 감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을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디스플레이 패널(3) 보다 강도가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그 전면이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과 일체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4)는 복수의 세그먼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41)는 에이프런(apron)으로 칭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41)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3)의 배면에 부착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4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승시 인접한 타 세그먼트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타 세그먼트를 지지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롤러(5)에 감길 때, 인접한 타 세그먼트와 벌어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3)과 함께 롤러(5)에 원활하게 감길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부에는 어퍼 어셈블리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어셈블리는 커넥팅 바아(4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디스플레이 커버(4)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디스플레이 패널(3)과 디스플레이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거나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바아(48)는 리프트 어셈블리(10)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트 어셈블리(10)이 커넥팅 바아(48)를 승강시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커넥팅 바아(48)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어퍼 어셈블리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후방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을 지지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전방에서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가려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부는 리프트 어셈블리(10)에 연결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하부는 롤러(5)에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리프트 어셈블리(10)에 연결된 상부와 롤러(5)에 연결된 하부 사이가 롤러(5)에 감길 수 있다.
하우징(1)은 리프트 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는 탑 커버(13)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리프트 어셈블리(10)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은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과 함께 개구부(13)의 위로 상승되거나 개구부(13)의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는 하우징(1)의 공간(S)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는 리프트 어셈블리(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판(16)과, 하판(16)에서 세워진 전판(17)을 포함할 수 있고, 리프트 어셈블리(10)를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은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가 배치되는 로어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잇다. 로어 프레임(18)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18)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12)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는 로어 프레임(18)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로어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1)은 리프트 어셈블리(10) 중 하우징(1)의 공간(S)에 수용된 부분을 가리는 백 커버(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아암(911)(912)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한 쌍의 아암(911)(912) 각각과 연결된 아암 조인트(9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911)(912)는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아암(911)이 제2아암(912)은 둘 어느 하나의 회전시 다른 하나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각각은 아암 조인트(9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아암(911)에는 종동 기어(916)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912)에는 구동 기어(917)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기어(917)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되어 종동 기어(91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아암(912)의 회전시, 구동 기어(917)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된 상태에서 종동 기어(916)를 회전시킬 수 있고, 종동 기어(916)의 회전시 제1아암(911)은 종동 기어(91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아암(911)는 어퍼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과 상대 회전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부를 승강시키는 종동 아암일 수 있다. 이러한 종동 아암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어퍼 브라켓(49)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의 회전시,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를 승강시키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는 승강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커넥팅 바아(48)에 어퍼 브래킷(4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브래킷(49)은 커넥팅 바아(4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상부는 커넥팅 바아(48) 또는 어퍼 브래킷(49)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하부는 암 조인트(91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암(911)의 하부는 암 조인트(913)의 상부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동 기어(916)는 제1 암(9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암(912)는 제1아암(911)에 연결되고, 모터(810)의 작동에 응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승되는 구성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제1아암(911)를 회동시키는 구동 아암일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제1아암(911)에 제1아암(911)을 회전시키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은 암 조인트(91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의 상부는 암 조인트(913)의 하부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상부에는 종동 기어(916)에 치합된 구동 기어(9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암(912)는 하우징(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아암(912)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암 서포터(920)(921)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고,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제2아암(9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아암(912)에는 제2아암(912)의 회전중심축인 아암 축(P, 도 3 참조)이 연결될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에 연결된 수평축일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의 회전시, 제2아암(912)과 일체로 회전되게 제2아암(912)에 체결될 수 있다.
아암 축(P)는 제2아암(912)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제2아암(91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2아암(912)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암 축(P)은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아암 서포터(920)(921)는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아암 축(P)은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 중 어느 하나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장착된 제1아암 서포터일 수 있고,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 중 다른 하나는 제1아암 서포터에 장착된 제2아암 서포터일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의 사이에는 제2아암(912)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암 서포터와 제2아암 서포터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에는 아암 축(P)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에는 아암 축(P)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아암 축 서포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아암(912)이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2아암(912)은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회전될 수 있다. 아암 축(P)은 제2아암(912)의 하부를 아암 서포터(920)(9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은 아암 조인트(9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아암(912)이 하우징(1)에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회전되면, 제1아암(911)은 아암 조인트(9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아암(912)과 같이 수평하거나 수평에 가깝게 눕혀질 수 있다. 반대로, 제2아암(912)이 하우징(1)를 중심으로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회전되면, 제1아암(911)은 제2아암(912)의 위에 제2아암(912)과 같이 수직하거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아암(912)에 연결되어 제2아암(912)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00, 도 4 내지 도 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아암(912)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회전기구(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하우징(1)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은 회전기구(10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를 갖는 메인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은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이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면, 제2아암(912) 및 제1아암(911)은 회전되고, 제1아암(911)의 회전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가 승강된다. 컨트롤러(200)은 앵글 센서모듈(1000)의 센싱값에 따라 회전기구(100)의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은 앵글센서모듈(1000)에 의해 검출된 각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수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아암 축(P)과 제2아암(9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앵글 센서모듈(1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컨트롤러(200)과 신호선(20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은 신호선(202)을 통해 컨트롤러(200)로 전송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하우징(1)의 공간(S)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아암 서포터(920)(921)와 하우징(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는 아암 서포터(920)(921)와 백 커버(19)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의 크기는 아암 서포터(920)(921) 및 백 커버(19) 각각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고, 아암 서포터(920)(921) 및 백 커버(19)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백 커버(19)는 앵글 센서모듈(1000)을 가릴 수 있고, 앵글 센서모듈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하강시켰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승시키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어셈블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최대 높이로 상승시켰을 때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글 센서모듈이 확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앵글 센서모듈이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아암(912)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과, 아암 조인트(913) 및 회전기구(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어셈블리(1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및 아암 조인트(913)는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링크 어셈블리는 회전기구(100)에 연동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을 승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아암(911)과 제2아암(912) 및 아암 조인트(913)의 조립체인 링크 어셈블리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함께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 각각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 어셈블리(L1)(L2)는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는 좌측 링크 어셈블리(L1)과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링크 어셈블리(L1)와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좌측 링크 어셈블리(L1)과 우측 링크 어셈블리(L2)를 모두 포함할 경우, 좌측 링크 어셈블리(L1)의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의 좌측부에 장착된 좌측 어퍼 브래킷(49A)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링크 어셈블리(L2)의 제1아암(911)은 커넥팅 바아(48)의 우측부에 장착된 우측 어퍼 브래킷(49B)에 힌지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제2아암(912)에 연결되어 아암 축(P, 도 3 및 도 8 참조)를 중심으로 제2아암(9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아암(912)에는 회전기구(100)가 연결되는 연결부(9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14)는 제2아암(912) 중 아암 축(P)과 구동기어(91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연결부(9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아암(912)을 밀거나 당길 수 있고, 제2아암(912)은 회전기구(100)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질 때, 아암 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가 연결부(914)를 밀면,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 반대로, 회전기구(100)가 연결부(914)를 당기면, 제2아암(912)는 아암 축(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눕혀질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810)와, 모터(81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840)와,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시 리드 스크류(840)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860)과, 슬라이더(860) 및 제2아암(912)에 각각 연결되어 슬라이더(860)의 슬라이드시 제2아암(912)을 밀거나 당기는 커넥팅 로드(8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100)가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함께 회전시킬 경우, 회전기구(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810)와, 한 쌍의 리드 스크류(840)와, 한 쌍의 슬라이더(860)과, 한 쌍의 커넥팅 로드(8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한 쌍의 링크 어셈블리(L1)(L2)를 포함할 경우, 리드 스크류(840)와, 슬라이더(860)과, 커넥팅 로드(870)는 모터(18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터(810)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810)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모터(810)의 구동축은 모터(8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커플링(820)에 의해 모터(810)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슬라이더(86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의 외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리드 스크류(84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831)(8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를 지지하는 베어링(831)(832)는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에 장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한 쌍의 베어링(831)(8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어링(831)(832)은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에는 리드 스크류(840)가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의 중공부에는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상호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시 리드 스크류(840)를 따라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회전기구(100)는 슬라이더(86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8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841)의 길이는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스프링(841)은 베어링(831)과 슬라이더(8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0)은 한 쌍의 베어링(831)(832) 중 모터(810)과 더 가까운 베어링(831)과 슬라이더(8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1)는 리드 스크류(840)의 일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841)은 일단이 베어링(831)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슬라이더(860)와 분리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841)은 제2아암(912)이 수평하게 눕혀졌을 때, 슬라이더(860)에 눌려 압축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이 세워지기 시작할 때, 원상 복원되면서 슬라이더(860)를 모터(810)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841)의 복원력이 슬라이더(860)에 작용할 경우, 제2아암(912)을 세우기 위한 모터(810)의 초기 기동시, 모터(810)의 초기 부하는 감소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와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의 연결부(914)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연결부는 커넥팅 로드(87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아암 연결부는 커넥팅 로드(87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가 모터(810)과 가까워지면,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에 의해 이끌리면서 제2아암(912)을 하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서포터(920)(921)를 중심으로 모터(8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눕혀질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860)가 모터(810)과 멀어지면, 커넥팅 로드(870)는 슬라이더(860)에 밀리면서 제1아암(911)을 밀어 올릴 수 있고, 제2아암(912)는 아암 서포터(920)(921)를 중심으로 모터(8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를 최대한 정밀하게 센싱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높이나 기설정된 높이로 승강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인 인가되지 않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외력 작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외력에 의해 하강된 후 정지되거나 상승된 후 정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가 변경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 인가될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변동된 높이는 정확하게 센싱될 필요성이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현재 위치(즉, 높이)는 정확하게 센싱될 필요성이 있다.
모터(810)의 구동축과, 커플링(820)과, 리드 스크류(840)와, 슬라이더(860)와, 커넥팅 로드(870))와, 제2아암(912)와, 암 조인트(913)과, 제1아암(911)은 모터(810)의 구동력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터(810)나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부재들를 센싱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 높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로 설명한다.
센서모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 높이와, 제1아암(911)의 상단 높이와, 제1아암(911)의 회전각과, 암 조인트(913)의 높이와, 제2아암(912)의 상단 높이와, 제2아암(912)의 회전각과, 커넥팅 로드(970)의 위치와, 슬라이더(860)의 위치와,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각과, 모터(810)의 회전자나 구동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센싱값을 컨트롤러(200, 도 3 참조)로 전송할 수 있고, 컨트롤러(200)은 센싱값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현재 높이를 산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기구(100) 특히, 모터(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은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나 광센서나 자기식 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모듈은 모터(810)에 설치되어 모터(810)의 회전자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센서모듈이 모터(810)에 설치될 경우, 모터(810)는 대형화될 수 있고, 회전자의 관성에 의한 회전자의 추가 회전시, 회전자의 회전각을 정밀하게 센싱하기 용이하지 않다.
즉, 센서모듈은 모터(810)를 제외한 동력전달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높이나 위치나 회전각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모듈은 동력전달부재들 중 가급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과 근접한 구성의 위치나 회전각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부재들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과 먼 구성의 높이나 위치나 회전각을 검출하면, 동력전달부재들의 조립공차에 의해 정확도가 낮을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상단과 근접한 구성의 높이나 위치나 회전각을 센싱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를 최대한 정확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은 회전기구(100)를 구성하는 슬라이더(860)의 위치나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것 보다 제1아암(911)와, 암 조인트(913)과, 제2아암(912), 아암 축(P) 중 어느 하나의 높이나 위치나 회전각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서모듈은 컨트롤러(200)과 신호선(202, 도 3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재들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승강시 그 위치 및 높이가 일정한 구성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높이로 상승되었을 때, 제1아암(911)과 암 조인트(913) 각각은 하우징(1)의 개구부(13) 위로 상승된 구성일 수 있고, 제2아암(912)는 그 일부가 하우징(1) 내부에 수용된 구성일 수 있으며, 아암 축(P)은 항상 하우징(1)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센서모듈은 제2아암(912) 중 항상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회전각을 센싱하거나 아암 축(P)의 회전각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센서모듈이 제1아암(911)이나 암 조인트(913)에 연결될 경우, 센서모듈에 연결된 신호선(202)의 일부는 하우징(1)의 개구부(13)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센서모듈은 제1아암(911)이나 암 조인트(913)와 함께 개구부(13)를 통과하면서 무빙될 수 있다.
반면에, 센서모듈이 제2아암(912) 중 하우징(1)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의 회전각을 센싱하거나 아암 축(P)의 회전각을 센싱하면, 센서모듈에 연결된 신호선(20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와 상관없이, 항상 하우징(1)의 공간(S)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센서모듈은 제2아암(912)의 회전각을 센싱하거나 아암 축(P)의 회전각을 센싱할 경우, 그 위치나 높이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에서 필요한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아암 축 (P)과 제2아암(9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앵글 센서모듈(1000)로 구성될 수 있고, 아암 축(P)의 회전각이나 제2아암(912)의 회전각을 센싱할 수 있다.
제2아암(912)의 회전시, 아암 축(P)은 제2아암(912)과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의 회전각과 아암 축(P)의 회전각은 동일하고, 앵글 센서모듈(1000)은 아암 축 (P)과 제2아암(912)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의 일예는 아암 축(P)이나 제2아암(912)의 회전각을 직접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앵글 센서모듈(1000)의 다른 예는 소정의 기어 비(예를 들면, 4:1 이거나 7,5:1 등)를 갖고 치합된 한 쌍의 기어(1110)(1120)를 이용하여 센싱값을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아암 축(P)이나 제2아암(912)에 연결된 주 기어(1110)와; 주 기어(1110) 보다 작고 주 기어(1110)의 회전시 회전되는 종 기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기어(1110)은 제2아암(912)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종 기어(1120)은 주 기어(1110)와 맞 물릴 수 있다.
주 기어(1110)와 종 기어(1120)는 스퍼 기어일 수 있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주 기어(1110)는 종 기어(1120) 보다 큰 대 기어일 수 있고, 종 기어(1120)는 주 기어(1110) 보다 작은 소 기어 일 수 있다.
주 기어(1100)와 종 기어(1120)의 기어 비는 4:1이거나 7,5:1일 수 있고, 링크 어셈블리(L1)(L2)의 구조로 인해 주 기어(1110)가 90°정도만 회전되더라도, 종 기어(1120)는 360°내지 675°는 회전될 수 있고, 주 기어(1100)와 종 기어(1120)의 기어 비에 의해 보다 많은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앵글 센서모듈(1000)은 주 기어(1110)와 종 기어(1120)의 기어 비에 따라 센싱값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기어 비가 클수록 아암 축(P)이나 제2아암(912)의 회전각을 보다 세분화하여 센싱할 수 있고, 아암 축(P)이나 제2아암(912)의 회전각을 0.1°단위로 센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아암 축(P)이 주 기어(1110)와 연결될 경우, 아암 축(P)은 주 기어(1110)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주기어 체결부(P11)을 포함할 수 있고, 주 기어(1110)에는 주기어 체결부(P11)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아암 축 체결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암 축 체결부(1112)는 주 기어(11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주 기어(1110)의 회전 중심일 수 있다.
종 기어(1120)는 주 기어(1110)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종 기어(1120)의 일 예는 아암 서포터(9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종 기어(1120)의 다른 예는 아암 서포터(9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고, 후술하는 샤프트(1130)에 연결되어 샤프트(11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종 기어(1120)의 회전에 기초하여 제2아암(912)의 각도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종 기어(1120)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자기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자기식 센서를 구성하는 마그네트(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150)를 포함하는 앵글 센서모듈(1000)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높이가 변하더라도, 전원이 인가된 이후에, 마그네트(115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마그네트(1150)는 종 기어(1120)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앵글 센서모듈(1000)은 종 기어(1120)의 주변에 배치되어 마그네트(1150)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엔코더(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150)가 종 기어(1120)에 장착될 경우, 마그네트(1150)는 종 기어(1120)의 양면 중 마그네트 엔코더(1160)를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앵글 센서모듈(1000)은 종 기어(1120)에 연결된 샤프트(1130)와; 샤프트(1130)에 장착된 마그네트 마운터(1140)와; 마그네트 마운터(1140)에 장착된 마그네트(1150)와; 마그네트(1150)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엔코더(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이 샤프트(1130)을 포함할 경우, 종 기어(1120)은 샤프트(1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 기어(1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주 기어(1110)의 회전시, 종 기어(1120) 및 샤프트(113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1130)은 종 기어(1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종 기어(1120)의 중심축일 수 있다. 샤프트(1130)는 종 기어(1120)와 마그네트 마운터(1140)를 연결하는 커넥터일 수 있다.
마그네트 마운터(1140)는 샤프트(1130)의 회전시, 샤프트(113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마그네트 마운터(1140)의 크기는 샤프트(1130)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마그네트 마운터(1140)는 샤프트(1130)의 일측에 확장된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네트 마운터(1140)의 양면 중 마그네트(1150)가 배치되는 면의 면적은 샤프트(1130)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마그네트(1150)는 마그네트 마운터(1140)에 편심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1150)는 마그네트 마운터(1140)의 회전중심과 마그네트 마운터(1140)의 외둘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 엔코더(1160)는 마그네트(1150)의 위치에 따른 센싱값을 출력할 수 있다. 마그네트(1150)는 샤프트(1130)의 회전시, 샤프트(1130)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마그네트 엔코드(1160)는 마그네트(1160)의 위치를 센싱하는 것에 의해 마그네트(1160)가 회전된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마그네트 엔코더(1160)는 컨트롤러(200)과 신호선(202)로 연결될 수 있고, 센싱값을 컨트롤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앵글 센서모듈(1000)은 센서 브래킷(1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아암 서포터(920)(921) 또는 리프트 어셈블리 마운터(15)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아암 서포터(920)(92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117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샤프트(1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에는 샤프트(1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172)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샤프트(1130)와 관통공(1174)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등의 샤프트 서포터(1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는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벽(1174)(11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엔코드(1160)는 한 쌍의 측벽(1174)(1175) 중 적어도 하나의 후단에 형성된 마그네트 엔코드 안착턱(1174A)에 안착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176)로 센서 브래킷(1170)에 체결될 수 있다.
마그네트 마운터(1140) 및 마그네트(1150)은 한 쌍의 측벽(1174)(1175)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벽(1174)(1175)은 마그네트 마운터(1140)와 마그네트 엔코드(1160) 사이를 가릴 수 있고, 마그네트(1150)를 보호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마그네트 엔코더(116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176)로 체결되는 마그네트 엔코더 체결부(1177)가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엔코더 체결부(1177)은 한 쌍의 측벽(1174)(1175)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70)은 복수개 브래킷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브래킷(1170)은 상하 방향으로 긴 제1 브래킷(1170A)과, 수직 브래킷(1170)에 체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긴 제2 브래킷(117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170A)는 일부가 주 기어(11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주 기어(1110)를 보호할 수 있다. 체결부(1171)는 제1 브래킷(117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브래킷(1170B)는 일부가 주 기어(11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주 기어(1110)를 보호할 수 있다. 관통공(1172)과, 한 쌍의 측벽(1174)(1175)과, 마그네트 엔코더 체결부(1177)는 제2 브래킷(1170B)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브래킷이 하강되는 도중일 때의 어퍼 브래킷와, 편향부재 및 고정부재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퍼 브래킷이 하강 완료되었을 때의 어퍼 브래킷와, 편향부재 및 고정부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를 하우징(1)으로부터 멀리 연장시키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어퍼 어셈블리에 편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편향부재(930; 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하강시, 커넥팅 바아(48)와 어퍼 브래킷(49)와 제1아암(911) 중 어느 하나는 편향부재(930)에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편향부재(9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하강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이나 제1아암(91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편향부재(930)는 아암 서포터(920)(921)나 리프트 어셈블리 마운터(15)에 안착된 스프링(932)와, 스프링(932)에 올려진 승강 스토퍼(9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커넥팅 바아(48)와 어퍼 브래킷(49)와 제1아암(911) 중 어퍼 브래킷(49)이 편향부재(930)의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퍼 브래킷(49)이 편향부재(930)에 올려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팅 바아(48)나 제1아암(911)이 편향부재(930)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프링(932)는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 사이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932)의 하단은 한 쌍의 아암 서포터(920)(921)와 리프트 어셈블리 서포터(15)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스프링(932)의 상단은 승강 스토퍼(934)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 스토퍼(934)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에 가해지면, 스프링(932)은 승강 스토퍼(934)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면서 승강 스토퍼(934)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승강 스토퍼(934)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스프링(932)은 승강 스토퍼(934)를 상승시키고, 승강 스토퍼(93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승강 스토퍼(934)의 상면은 어퍼 브래킷(49)를 향할 수 있고, 어퍼 브래킷(49)의 하강시, 어퍼 브래킷(49)은 승강 스토퍼(934)의 위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브래킷(49)이 하강되면, 어퍼 브래킷(49)은 승강 스토퍼(934)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승강 스토퍼(934)는 스프링(932)를 압축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즉, 편향부재(930)는 어퍼 브래킷(49)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어퍼 브래킷(49)이 최대 하강 높이로 부드럽게 안착되게 도울 수 있다.
한편, 어퍼 브래킷(49)이 승강 스토퍼(934)에 안착되어 스프링(932)를 최대로 압축하였을 때, 어퍼 브래킷(49)에는 반발력이 작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어퍼 브라켓(49)는 편향부재(930)에서 작용된 반발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또한, 제2아암(911)의 하강 도중에, 모터(810)에 인가되던 전원은 차단될 수 있고, 제2아암(912)은 관성력에 의해 추가 하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편향부재(930)에는 스프링(934)를 최대로 압축하였을 때, 반발력이 작용될 수 있고, 어퍼 브라켓(49)은 편향부재(930)에서 작용된 반발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이용하여 어퍼 브라켓(49)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어퍼 브라켓(49)이 반발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튀어 오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어퍼 어셈블리와 편향부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성 부재는 편향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어퍼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자성 부재는 어퍼 브래킷(49)와 승강 스토퍼(93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마그네트(M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M1)가 어퍼 브래킷(49)에 장착된 경우, 마그네트(M1)는 어퍼 브래킷(49)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M1)는 어퍼 브래킷(49) 중 승강 스토퍼(934)를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반면에, 마그네트(M1)가 편향부재(930)에 장착될 경우, 마그네트(M1)는 승강 스토퍼(934)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고, 다른 하나가 비자성체일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M)는 비자성체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브래킷(49)이 승강 스토퍼(934)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했을 때, 마그네트(M1)와 자성체에는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 모두가 자성체일 수 있고, 마그네트(M1)는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는 모두가 비자성체일 수 있고, 마그네트(M1)는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의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M1)가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의 각각에 장착될 경우, 어퍼 브래킷(49)에 장착된 마그네트(M1)와, 승강 스토퍼(934)에 장착된 마그네트(M1)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최대 하강시, 커넥팅 바아(48)와 어퍼 브래킷(49)와 제1아암(911) 중 어느 하나가 올려지는 고정부재(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9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의 최대 하강 높이를 결정하게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재(940)는 아암 서포터(920)에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재(94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940)는 아암 서포터(92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아암 서포터(92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퍼 어셈블리는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편향부재를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어퍼 어셈블리는 편향부재와 접촉 한 후 고정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편향부재(9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센서(1190)를 더 포함하며, 제2 센서(1190)에 의해 검출된 편향부재(930)의 검출된 위치는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2아암(912)의 검출된 각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편향부재(930)의 높이가 소정 높이만큼 하강되었을 때, 커넥팅 바아(48)와 어퍼 브래킷(49)와 제1아암(911) 중 어느 하나는 고정부재(940)에 올려질 수 있다.
고정부재(940)에는 편향부재(930)의 스프링(932)이 최대로 압축되기 이전일 때, 어퍼 브래킷(49)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커넥팅 바아(48)와 어퍼 브래킷(49)와 제1아암(911) 중 어퍼 브래킷(49)이 고정부재(940)의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퍼 브래킷(49)이 고정부재(940)에 올려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팅 바아(48)나 제1아암(911)이 고정부재(940)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정부재(940)는 어퍼 어셈블리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수평면(942)와, 어퍼 어셈블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수직 부재(94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디(944)는 수평면(942)에 올려진 어퍼 브래킷(99)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직 바디(944)는 어퍼 브래킷(49)이 수평면(942)에 올려졌을 때, 어퍼 브래킷(49)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어퍼 브래킷(49)이 수평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제한할 수 있다.
리프트 어셈블리(10)는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어퍼 어셈블리가 고정 부재와 접촉 할 때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자성 부재는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자성 부재는 고정부재(940)의 수평면(9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자성 부재는 어퍼 브래킷(49)와 고정부재(9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마그네트(M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비자성체일 수 있으며, 마그네트(M2)는 비자성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브래킷(49)가 고정부재(940)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했을 때, 마그네트(M2)와 자성체에는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 모두가 자성체일 수 있고, 마그네트(M2)는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 모두가 비자성체일 수 있고, 마그네트(M2)는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의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M2)가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의 각각에 장착될 경우, 어퍼 브래킷(49)에 장착된 마그네트(M2)와, 고정부재(940)에 장착된 마그네트(M2)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M1)(M2)을 포함할 경우, 컨트롤러(200)은 어퍼 브래킷(49)이 편향부재(930)나 고정부재(940)에 도달되기 이전에,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브래킷(49)은 전원 차단 이후에도 관성력 및 중력에 의해 하강될 수 있고, 편향부재(930)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면서 소음 및 관성력이 저감될 수 있으며, 서서히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어퍼 브래킷(49)은 어퍼 브래킷(49)이 고정부재(940)에 안착되는 높이에서 마그네트(M1)(M2)의 인력 작용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은 최대 하강 높이로 부드럽고 신뢰성 높게 하강될 수 있다.
어퍼 브래킷(49)과 승강 스토퍼(934)를 위치 고정하는 마그네트를 제1마그네트(M1)로 칭하고, 어퍼 브래킷(49)과 고정부재(940)를 위치 고정하는 마그네트를 제2마그네트(M2)로 칭할 경우, 본 실시예는 제1마그네트(M1)와 제2마그네트(M2)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마그네트(M1)만을 포함하지 않고 제2마그네트(M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2마그네트(M2)를 포함하지 않고, 제1마그네트(M1)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고정부재(940) 없이, 편향부재(930)와 제1마그네트(M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편향부재(930) 없이, 고정부재(940)와 제2마그네트(M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우징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 롤러 10: 리프트 어셈블리
810: 모터 911: 제1아암
912: 제2아암 920,921: 아암 서포터
1110: 주 기어 1120: 종 기어

Claims (2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따라 롤러에 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어셈블리와;
    리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연결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승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주 기어와;
    상기 주 기어에 맞물린 종 기어와;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각도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연장시키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편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편향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상기 편향부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부재는 상기 편향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부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 할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수평면과;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수직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수평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편향부재와 접촉 한 후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편향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편향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편향부재의 검출된 위치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와 함께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된 각도에 따라 상기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모터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연결된 어퍼 어셈블리에 연결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응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승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주 기어와;
    상기 주 기어에 맞물린 종 기어와;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각도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종 기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제 1 방향으로 상기 어퍼 어셈블리에 편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편향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상기 편향부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부재는 상기 편향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6. 제 14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 할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퍼 어셈블리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수평면과;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수직 부재와;
    상기 제 2 자성 부재는 상기 수평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상기 편향부재와 접촉 한 후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가 후퇴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편향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편향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편향부재의 검출된 위치는 상기 어퍼 어셈블리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2아암의 검출된 각도와 함께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KR1020210093347A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KR20230012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47A KR20230012739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47A KR20230012739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39A true KR20230012739A (ko) 2023-01-26

Family

ID=8511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347A KR20230012739A (ko) 2021-07-16 2021-07-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7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9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KR1025789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832629B1 (en) Display device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KR101126197B1 (ko) 리프트장치
KR102062601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
KR1023823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54951A (zh) 滑卷显示装置
KR2023001273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CN115412624A (zh) 电子设备
KR200386693Y1 (ko) 대형 디스플레이의 승하강 기구
CN101506085B (zh) 电梯的门装置
US20240195900A1 (en)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CN210051884U (zh) 一种电能表检定翻架的控制装置及系统
CN221253728U (zh) 一种具有收线补偿功能的晾衣架电动卷线器
CN221121494U (zh) 可升降收纳的双屏显示器
US20230209747A1 (en) Display device
KR100432120B1 (ko) 무동력 자동도어
KR202400148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126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8003300A (zh) 一种自主移动式机器人
JPH01192988A (ja) 電動ブラインドの昇降ユニット
JP2001120367A (ja) 電動昇降装置
JP2001336373A (ja)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