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958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958A
KR20170073958A KR1020150182811A KR20150182811A KR20170073958A KR 20170073958 A KR20170073958 A KR 20170073958A KR 1020150182811 A KR1020150182811 A KR 1020150182811A KR 20150182811 A KR20150182811 A KR 20150182811A KR 20170073958 A KR20170073958 A KR 20170073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moving
cla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199B1 (ko
Inventor
김동윤
조민구
유윤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1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하는 롤러의 회전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을 이동시키는 클램프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자 습윤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표시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평판 표시 패널은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응용과 용도에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사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두루말이 처럼 감을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665호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롤 내부의 축에 고정된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롤에 감기며, 롤에 감겨진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사용자의 잡아당김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어 펼쳐진다.
그러나,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인출되면,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장력으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장된 회로 및 배선들이 손상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검사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하는 롤러의 회전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을 이동시키는 클램프 부재의 이동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클램프 이동 수단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타측된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 수단 각각의 구동이 서로 동기화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복적인 와인딩과 언와인딩시 발생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암점/암선 발생 등의 신뢰성 저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공정시, 롤러의 회전에 따른 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너 롤링을 이용한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클램프 부재(120), 클램프 이동 수단(130), 롤러(140), 롤러 회전 수단(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 및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화소 어레이부,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어레이부는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마련되어 화소 구동 라인들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봉지층은 각 화소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소 어레이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커버 부재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상부 편광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유연성을 위해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에는 매우 얇은 금속 플레이트가 부착될 수도 있으며, 금속 플레이트는 인바(invar)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플렉서블 기판에 마련된 봉지층에 부착된다. 이러한 커버 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부착되거나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에 따라 화소 어레이부의 형성 공정과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내장되거나, 패터닝 공정을 통해 봉지층과 마주하는 커버 부재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클램프 부재(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고, 삽입홈에 삽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과 고정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클램프 부재(12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홈에 삽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12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1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롤러(140)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되도록 클램프 부재(120)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클램프 이동 수단(130)은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클램프 부재(120)를 제 1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은 상하 방향인 수직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수직 축 방향으로 언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일한 선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 이동 수단(13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클램프 부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일 예에 따른 클램프 이동 수단(130)은 하부 프레임(131), 접철 유닛(132), 및 링크 승강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하우징 커버(200)의 내부에서 제 1 수평 축 방향(X)과 나란하도록 하우징 커버(20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링크 승강 유닛(133)을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131)은 접철 유닛(132)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접철 유닛(132)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링크는 힌지 부재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접철 유닛(132)의 일측은 클램프 부재(120)의 하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철 유닛(132)의 타측은 하부 프레임(13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접철 유닛(132)은 클램프 부재(120)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측을 지지하고, 링크 승강 유닛(133)의 구동에 따른 접힘 또는 펼쳐짐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승강시킨다.
상기 링크 승강 유닛(133)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접철 유닛(132)을 접거나 펼쳐 클램프 부재(120)를 승강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승강시킨다. 즉, 링크 승강 유닛(133)은 접철 유닛(132)의 최하위에 위치한 힌지 부재를 승강시켜 복수의 링크 각각을 접거나 펼침으로써 접철 유닛(132)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킨다.
예를 들어, 링크 승강 유닛(13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와인딩시, 최하위 힌지 부재를 하강시켜 복수의 링크 각각을 접음으로써 클램프 부재(120)를 하강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롤러(140)에 와인딩시킨다. 반대로, 링크 승강 유닛(13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언와인딩시, 최하위 힌지 부재를 상승시켜 복수의 링크 각각을 펼침으로써 클램프 부재(120)를 상승시켜 롤러(14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언와인딩시킨다.
일 예에 따른 링크 승강 유닛(133)은 최하위 힌지 부재에 연결된 승강 축을 갖는 에어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링크 승강 유닛(133)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링크 승강 유닛(133)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롤러(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40)는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나란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 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러 회전 수단(150)의 구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한다.
상기 롤러(14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제 1 롤러 축은 제 1 롤러 지지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140)의 타측 끝단에 마련된 제 2 롤러 축은 제 2 롤러 지지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와 롤러(140)의 롤러 축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미도시)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40)는 롤러 회전 수단(150)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와인딩하고, 롤러 회전 수단(150)의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언와인딩시킨다.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는 롤러 회전 수단(150)을 지지하고, 롤러(140)의 양측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는 롤러 받침부(143)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 받침부(143)는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를 지지한다.
상기 롤러 회전 수단(15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롤러(140)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롤러(140)에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킨다. 롤러 회전 수단(150)은 제 1 또는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에 설치되어 롤러(140)의 롤러 축에 결합된다.
상기 롤러 회전 수단(150)은 롤러(140)의 롤러 축에 결합된 샤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 회전 수단(150)의 샤프트와 롤러(140)의 롤러 축 사이에는 회전 커플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회전 수단(15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커버(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20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 롤러(140), 롤러 회전 수단(150), 및 롤러 이동 수단(170)을 은폐시키는 최외곽 케이스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출입하는 패널 출입구(2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출입구(21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 커버(200)의 내부로 수납된다. 이때, 클램프 부재(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하우징 커버(200)의 내부로 수납되면 패널 출입구(210)를 덮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을 제어하고,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에 기초하여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을 구동시키면서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에 따른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수학식 1]
Z축 이동 거리 = (곡률 반경×2π)×(θ/360°)
수학식 1에서, Z축 이동 거리는 수직 축 방향(Z)으로 승강하는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 곡률 반경은 롤러(140)의 반지름과 롤러(320)에 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누적 두께(또는 적층 두께), 그리고, θ는 롤러(140)의 회전 각도를 각각 의미한다. 여기서, 곡률 반경의 최소값은 롤러(140)의 반지름이 될 수 있고, 곡률 반경의 최대값은 롤러(14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전부 와인딩된 상태일 경우에 롤러(1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외곽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수학식 1을 기반으로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Z축 이동 거리가 50㎝이고 곡률 반경이 20㎝라고 가정하면, 대략 143˚로 롤러(140)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 회전 수단(150)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Z축 이동 거리는 클램프 부재(120) 또는 하우징 커버(200)에 설치된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센서는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위치에 따른 Z축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방법으로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롤러(140)의 회전 각도는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 또는 하우징 커버(200)에 설치된 회전 거리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거리 센서는 롤러 축에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의 관통 홀을 갖는 회전 휠과 회전 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거리 센서는 롤러(140)의 회전 각도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은 롤러(14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은 제 1 롤러 지지부(14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두께 측정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두께 측정 센서는 측정한 곡률 반경을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60)는 클램프 이동 수단(130)의 구동을 가속 구동 구간과 정속 구동 구간 및 감속 구동 구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 갑작스런 클램프 부재(120)의 빠른 이동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60)는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을 가속 회전 구간과 정속 회전 구간 및 감속 회전 구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 갑작스런 롤러(140)의 빠른 회전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와 롤러 회전 수단(150)의 회전 거리를 서로 동기화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롤러(140)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시 쳐지거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롤러 이동 수단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롤러 이동 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 이동 수단(170)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150)을 제 1 축 방향(Z)과 교차하는 제 2 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축 방향(Y)은 제 1 수평 축(X)과 수평 교차하는 제 2 수평 축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롤러 이동 수단(170)은 롤러 받침부(143)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이동 수단(170)은 롤러 받침부(143)에 결합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를 제 2 축 방향(Y)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와 롤러 받침부(143)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171)이 설치된다. 일 예로서, 롤러 이동 수단(170)은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141, 142) 각각에 연결된 이동 축을 갖는 에어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지거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롤러 이동 수단(170)은 모터와 볼 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 방식 등을 이용하여 롤러 회전 수단(150)을 제 2 축 방향(Y)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롤러 이동 수단(170)은 롤러 회전 수단(150)을 제 1 길이(P)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길이(P)는 롤러(140)의 곡률 반경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길이일 수 있으며, 롤러(14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전부 와인딩된 상태(A)일 경우 롤러(140)의 회전 중심 축과 최외곽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외주면 사이의 길이에서 롤러(140)의 반지름을 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길이(P)는 롤러(14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에서 롤러(140)의 반지름을 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롤러 이동 수단(170)에 연결되어 롤러 이동 수단(17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롤러 이동 수단(17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과 롤러(140) 사이의 수평 거리를 가변시킨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언와인딩될 때, 제 1 길이(P)가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롤러(140)의 하중에 의해 롤러(140)로부터 경사지면서 언와인딩되고, 이로 인한 벤딩 스트레스로 인하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경사지면서 언와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언와인딩시,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140)가 제 1 이동 방향(D1)으로 이동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1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롤러 이동 수단(170)은 제 1 길이(P) 이하로 롤러(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언와인딩시, 롤러(140)를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언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신뢰성을 개선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와인딩시,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140)가 제 1 이동 방향(D1)과 반대되는 제 2 이동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롤러 이동 수단(170)은 제 1 길이(P) 이하로 롤러(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와인딩시, 롤러(140)를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1)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롤러 이동 수단(170)을 통해서 클램프 부재(120)의 이동 거리에 동기되도록 롤러(140)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공정시, 롤러의 회전에 따른 롤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30)는 베이스 프레임(310), 롤러(320), 롤러 회전 수단(330), 클램프 부재(340), 클램프 이동 수단(35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 촬상 수단(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30)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클램프 부재와 롤러의 배치 구조를 변경하고 촬상 수단(370)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롤러 회전 수단(330)과 클램프 이동 수단(350)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의 하면에는 롤러 이동 수단(3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은 상기 롤러(320), 상기 롤러 회전 수단(330), 상기 클램프 부재(340),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35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320)는 제 1 수평 축 방향(X)과 나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롤러(3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320)는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베이스 프레임(310) 상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321, 322) 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롤러 회전 수단(330)의 구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한다.
상기 롤러(32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제 1 롤러 축은 제 1 롤러 지지부(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320)의 타측 끝단에 마련된 제 2 롤러 축은 제 2 롤러 지지부(3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부(321, 322)와 롤러(320)의 롤러 축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미도시)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320)는 롤러 회전 수단(330)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와인딩하고, 롤러 회전 수단(330)의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언와인딩시킨다.
상기 롤러 회전 수단(33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롤러(320)에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키기 위해 롤러(320)를 회전시킨다. 롤러 회전 수단(330)은 제 1 또는 제 2 롤러 지지부(321, 322)에 설치되어 롤러(320)의 롤러 축에 결합된다.
상기 롤러 회전 수단(330)은 롤러(320)의 롤러 축에 결합된 샤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 회전 수단(330)의 샤프트와 롤러(320)의 롤러 축 사이에는 회전 커플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회전 수단(33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340)는 롤러(320)와 나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부재(3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일측이 롤러(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클램프 부재(340)에 연결된다. 클램프 부재(3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고, 삽입홈에 삽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타측과 고정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클램프 부재(34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홈에 삽입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340)는 클램프 이동 수단(350)의 구동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35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클램프 부재(340)를 직선 운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롤러(320)에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킨다. 예를 들어, 클램프 이동 수단(350)은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을 따라 클램프 부재(340)를 제 2 수평 축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과 나란한 제 2 수평 축 방향(Y)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2 수평 축 방향으로 언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일한 선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 이동 수단(35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클램프 부재(340)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타측을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일 예에 따른 클램프 이동 수단(350)은 클램프 지지부(351), 제 1 볼 스크류(352), 제 1 브라켓(353), 제 2 브라켓(354), 볼 너트(355), 구동 모터(356), 및 가이드 레일(3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지지부(351)는 클램프 부재(340)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 1 볼 스크류(35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램프 지지부(351)는 제 1 볼 스크류(352)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함으로써 클램프 부재(340)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볼 스크류(352)는 클램프 지지부(351)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 1 볼 스크류(352)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볼 스크류 지지부(353, 354)에 각각 지지 고정되어 베이스 프레임(31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 볼 스크류(352)의 일단은 제 1 브라켓(3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단은 제 2 브라켓(354)를 관통하여 구동 모터(35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단과 구동 모터(355)의 회전 축 사이에는 회전 커플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볼 스크류(352)는 구동 모터(35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볼 스크류 지지부(353, 354)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 브라켓(353)는 롤러(320)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 1 볼 스크류(35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제 1 볼 스크류(352)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브라켓(353)와 제 1 볼 스크류(352)의 일단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라켓(354)는 제 1 브라켓(353)와 이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3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측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 브라켓(354)와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측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볼 너트(355)는 클램프 지지부(351)의 하단부를 제 1 수평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볼 스크류(352)와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다. 이러한 볼 너트(355)는 제 1 볼 스크류(352)의 회전 운동에 따라 클램프 지지부(351)를 직선 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 모터(356)는 제 1 볼 스크류(3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볼 스크류(352)를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프 지지부(351)를 직선 운동시킨다. 구동 모터(356)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부(3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57)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설치되고, 클램프 이동 수단(350)의 구동에 따라 제 2 수평 축 방향(Y)으로 직선 운동하는 클램프 지지부(351)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일측이 롤러(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클램프 부재(340)에 연결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과 롤러(320)의 회전에 따라 롤러(320)에 와인딩되거나 롤러(320)로부터 평면 상태로 언와인딩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롤러(320)에 와인딩되거나, 베이스 프레임(31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롤러(320)와 클램프 부재(340) 사이에 평면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부를 가지며, 화소 어레이부에 대응되는 표시면은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 위를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은 롤러(320)의 원주면 외부를 향하는 아웃터 롤링 방식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수단(370)은 베이스 프레임(310) 상에 배치되어 언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화면을 촬상한다. 예를 들어, 촬상 수단(370)은 언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을 향하도록 하향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에 표시되는 검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촬상 수단(37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롤러(320)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됨에 따라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에 마련된 화소에 발생되는 암점 또는 암선 등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신뢰성 저하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촬상 수단(37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 전체(F)를 한번에 촬상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을 구역별로 나누어 촬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검사 공정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와인딩과 언와인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촬상 수단(37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을 촬상하도록 제어한다.
일 에에 따른 제어부(380)는 클램프 이동 수단(350)의 구동을 제어하고, 클램프 이동 수단(350)의 구동에 기초하여 롤러 회전 수단(33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롤러(320)에 와인딩시키거나 롤러(320)와 클램프 부재(340) 사이에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언와인딩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클램프 이동 수단(350)의 구동에 따른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3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수학식 2]
Y축 이동 거리 = (곡률 반경×2π)×(θ/360°)
수학식 2에서, 상기 Y축 이동 거리는 제 2 수평 축 방향(Y)으로 이동하는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 곡률 반경은 롤러(320)의 반지름과 롤러(320)에 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누적 두께(또는 적층 두께), 그리고, θ는 롤러(320)의 회전 각도를 각각 의미한다. 여기서, 곡률 반경의 최소값은 롤러(320)의 반지름이 될 수 있고, 곡률 반경의 최대값은 롤러(32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전부 와인딩된 상태일 경우에 롤러(3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최외곽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까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클램프 이동 수단(34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수학식 2를 기반으로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3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80)는 상기 Y축 이동 거리가 30㎝이고 곡률 반경이 30㎝라고 가정하면, 대략 57˚로 롤러(320)가 회전되도록 롤러 회전 수단(3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같이, Y축 이동 거리는 거리 측정 센서, 롤러(320)의 회전 각도는 회전 거리 센서, 및 곡률 반경은 두께 측정 센서에 의해 각각 측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380)는, 검사 공정시, 클램프 이동 수단(350)과 롤러 회전 수단(330) 각각의 구동을 가속 구간과 정속 구간 및 감속 구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 갑작스런 클램프 부재(120)의 빠른 이동과 롤러(140)의 빠른 회전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는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33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와 롤러 회전 수단(330)의 회전 거리를 서로 동기화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롤러(320)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시 쳐지거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는 롤러 이동 수단(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이동 수단(390)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하면에 결합되고,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롤러 회전 수단(330)을 제 1 축 방향(Z), 즉 수직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롤러 이동 수단(390)은 제 1 롤러 지지부(321) 및 제 2 롤러 지지부(322) 각각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 롤러 지지부(321) 및 제 2 롤러 지지부(322) 각각을 동시에 승강시킨다.
일 예에 따른 롤러 이동 수단(390)은 한 쌍의 지지 포스트(391), 제 2 볼 스크류(392), 및 회전 모터(39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포스트(391)는 롤러(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제 1 롤러 지지부(321)와 제 2 롤러 지지부(322)를 지지한다. 한 쌍의 지지 포스트(391)는 롤러(320)를 향하는 내측면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 레일(미도시)를 포함하고, 제 1 롤러 지지부(321)와 제 2 롤러 지지부(322) 각각은 승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된다.
상기 제 2 볼 스크류(392)는 베이스 프레임(310)을 수직 관통하여 지지 포스트(3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볼 스크류(392)의 일단은 지지 포스트(3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볼 스크류(392)의 타단은 회전 모터(39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볼 스크류(392)의 타단과 회전(393)의 회전 축 사이에는 회전 커플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볼 스크류(392)는 회전 모터(35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추가적으로, 제 2 볼 스크류(392)와 제 1 롤러 지지부(321)와 제 2 롤러 지지부(322)의 연결부에는 제 2 볼 스크류(392)와 치합되는 암나사산을 갖는 볼 너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볼 너트는 제 2 볼 스크류(39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제 1 롤러 지지부(321)와 제 2 롤러 지지부(32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모터(393)는 베이스 부재(3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 2 볼 스크류(392)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제 2 볼 스크류(39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롤러 지지부(321)와 제 2 롤러 지지부(322), 즉 롤러(320)를 승강시킨다. 회전 모터(393)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부(38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 이동 수단(390)은 제어부(38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롤러 회전 수단(330)을 제 2 길이(Q)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길이(Q)는 곡률 반경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길이이다. 즉, 제 2 길이(Q)는 롤러(320)의 곡률 반경의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길이일 수 있으며, 롤러(32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전부 와인딩된 상태(B)일 경우 롤러(320)의 회전 중심 축과 최외곽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외주면 사이의 길이에서 롤러(320)의 반지름을 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2 길이(Q)는 롤러(32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두께에서 롤러(320)의 반지름을 뺀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80)는 롤러 이동 수단(390)에 연결되어 롤러 이동 수단(39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80)는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롤러 이동 수단(39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과 롤러(320) 사이의 수직 거리를 가변시킨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언와인딩될 때, 제 2 길이(Q)가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은 롤러(320)의 하중에 따라 롤러(320)로부터 클램프 부재(340) 쪽으로 경사지면서 언와인딩되고, 이로 인한 벤딩 스트레스로 인하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경사지면서 언와인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3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언와인딩시,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320)가 제 3 이동 방향(D3), 즉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39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롤러 이동 수단(390)은 제 2 길이(Q) 이하로 롤러(3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언와인딩시, 롤러(320)를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언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신뢰성을 개선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3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와인딩시,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320)가 제 3 이동 방향(D3)과 반대되는 제 4 이동 방향(D4)으로 이동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3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롤러 이동 수단(390)은 제 2 길이(Q) 이하로 롤러(3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와인딩시, 롤러(320)를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와인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에 대해 경사지게 와인딩 및 언와인딩되는 것에 의한 화질 불량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을 롤러(320)에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촬상 수단(370)을 통해 롤러(320)와 클램프 부재(340) 사이에 평면 상태로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을 촬상함으로써 와인딩 및 언와인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쳐짐, 당겨짐, 및 경사짐에 의한 화질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와인딩 및 언와인딩에 따라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신뢰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너 롤링 방식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즉,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표시면은 롤러(320)의 원주면을 향하는 이너 롤링 방식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언와인딩시,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320)가 제 4 이동 방향(D4)으로 하강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390)의 구동을 제어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와인딩시, 클램프 부재(34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롤러(320)가 제 3 이동 방향(D3)으로 상승되도록 롤러 이동 수단(3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이너 롤링 방식을 이용한 와인딩시, 롤러(320)를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이 가상의 이동 기준 축(SL2)에 대해 경사지게 와인딩 및 언와인딩되는 것에 의한 화질 불량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60)의 신뢰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에서는 대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크기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36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20, 340: 클램프 부재 130, 350: 클램프 이동 수단
133: 링크 승강 유닛 140, 420: 롤러
150, 330: 롤러 회전 수단 160, 380: 제어부
170, 350: 롤러 이동 수단 200: 하우징 커버
310: 베이스 프레임 370: 촬상 수단

Claims (1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연결된 클램프 부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연결된 롤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롤러에 와인딩되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도록 상기 클램프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램프 이동 수단;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 수단; 및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은 가상의 이동 기준 축을 따라 상기 클램프 부재를 제 1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을 상기 제 1 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상의 이동 기준 축과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와인딩시,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가상의 이동 기준 축을 향하는 제 1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와인딩시,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롤러;
    상기 롤러와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클램프 부재;
    일측이 상기 롤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클램프 부재에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클램프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롤러에 와인딩시키거나 상기 롤러로부터 언와인딩시키는 클램프 이동 수단;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 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언와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 및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이동 수단은 가상의 이동 기준 축을 따라 상기 클램프 부재를 제 1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롤러 회전 수단을 상기 제 1 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상의 이동 기준 축과 상기 롤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언와인딩시,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가상의 이동 기준 축을 향하는 제 1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와인딩시,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KR1020150182811A 2015-12-21 2015-12-21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KR10245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11A KR102452199B1 (ko) 2015-12-21 2015-12-21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11A KR102452199B1 (ko) 2015-12-21 2015-12-21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958A true KR20170073958A (ko) 2017-06-29
KR102452199B1 KR102452199B1 (ko) 2022-10-06

Family

ID=5928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11A KR102452199B1 (ko) 2015-12-21 2015-12-21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9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30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5356B1 (ko) * 2019-01-31 2019-09-03 주식회사 이엔씨 테크놀로지 유연성 재질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장치
KR20190138918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코보텍 플렉서블 소재에 대한 신뢰성 검사 장치
KR102071353B1 (ko) * 2019-02-13 2020-01-30 주식회사 이엔씨 테크놀로지 유연성 재질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장치
WO202209800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WO2022124496A1 (ko) * 2020-12-09 2022-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US11521521B2 (en) 2019-12-27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3113142A1 (ko) * 2021-12-13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797A (ko) * 1996-09-20 1998-07-06 쇼지 유야마 쉬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과 장치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080058683A (ko) * 2006-12-22 2008-06-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797A (ko) * 1996-09-20 1998-07-06 쇼지 유야마 쉬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과 장치
KR20050085090A (ko) * 2002-11-21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080058683A (ko) * 2006-12-22 2008-06-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30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138918A (ko)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코보텍 플렉서블 소재에 대한 신뢰성 검사 장치
KR102015356B1 (ko) * 2019-01-31 2019-09-03 주식회사 이엔씨 테크놀로지 유연성 재질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장치
KR102071353B1 (ko) * 2019-02-13 2020-01-30 주식회사 이엔씨 테크놀로지 유연성 재질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지장치
US11521521B2 (en) 2019-12-27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209800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WO2022124496A1 (ko) * 2020-12-09 2022-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WO2023113142A1 (ko) * 2021-12-13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199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3958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KR10239602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19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EP3951753B1 (en) Display device
CN107015675B (zh) 基板贴合装置及方法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KR2016014814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532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757978A1 (en) Display device
US3609898A (en) Vertically adjustable sign
KR20170126061A (ko) 롤러블 표시 장치
KR20170080017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5774A (ko) 롤러블 표시 장치
KR2016000092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회전벤딩 테스트 장치
CN113554951A (zh) 滑卷显示装置
WO2021020605A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CN104553233B (zh) 一种贴合装置和贴合方法
CN111457202A (zh) 一种场景化互动展示系统和展示方法
CN112327073B (zh) 一种柔性屏测试设备及柔性屏测试方法
KR102512305B1 (ko) 대전압 측정 장치 및 대전압 측정 방법
CN105973899A (zh) 基板检测设备及基板检测方法
KR101005056B1 (ko) 회전식 현수막 게시장치
KR20190071119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