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386A -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386A
KR20200013386A KR1020180088538A KR20180088538A KR20200013386A KR 20200013386 A KR20200013386 A KR 20200013386A KR 1020180088538 A KR1020180088538 A KR 1020180088538A KR 20180088538 A KR20180088538 A KR 20180088538A KR 20200013386 A KR20200013386 A KR 2020001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lfberry
harvester
lycium
stem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586B1 (ko
Inventor
하유신
박혜지
박진수
김지만
김준연
정철희
최훤
승명석
강진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46/264Devices for beating or vibrating the foliage;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F16F1/3665Wound sp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수확기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각 줄기에 달려 있는 열매를 진동에 의해 탈리(脫離)함과 동시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만이 저장되도록 작업자가 밀고 가면서 열매를 저장하면서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랑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가이드 되는 각각의 가이드 판; 상기 각 가이드 판의 내측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되면서 안내되는 줄기로부터 줄기는 손상시키지 않고 구기자 열매만을 탈리하도록 전방 상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탈리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프레임에 탈리되는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를 저장박스로 저장시키는 선별부재;를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구기자의 수확 능력을 극대화함은 물론 수확된 열매의 후처리 공정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Walking Type Lycium chinense Harvester}
본 발명은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수확기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각 줄기에 달려 있는 열매를 진동에 의해 탈리(脫離)함과 동시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만이 저장되도록 한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기자(拘杞子)는 7월부터 붉게 익어 7∼11월 하순에 수확을 하는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는 1.5∼2.5cm이다. 특히,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고 시력을 좋게 하며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 졌다.
특히, 구기자는 상기한 효능 이외에 성인병 예방과 치료, 시력보호, 피부미용, 정신 집중력 향상, 정력 강장, 청혈작용 등 그 효능이 인정되어 한방의 필수 약제일 뿐만 아니라 음주자들이 복용하는 경우에는 지방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허 나, 구기자를 수확하는 종래의 방법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한 알씩 따서 모으는 것으로, 수확 노동력이 전체 노동력의 84%를 차지하여 많은 노동량에 비해 수확량이 적고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구기자를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안출된 바,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227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단부에 구기자(枸杞子)나무 줄기가 걸리도록 한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이 로드를 링크와 모터를 이용하여 전,후 왕복 운동시켜 구기자나무를 흔들어 구기자를 따도록 함으로써 적은 노동력으로 많은 구기자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구기자 수확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738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진동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크랭크를 이용한 탈과 수단과, 탈과 된 열매를 집과하는 집과수단, 및 주행수단으로 구성된 구기자 수확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903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기자 수확기의 진동에 의해 낙하되는 열매를 수집통 내로 떨어져 모이도록 하여 구기자가 지면으로 떨어져 손상되지 않고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량의 구기자를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는 구기자 수집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핸디 형으로 수확 효율성이 그리 높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걸어지는 진동고리가 탈과수단인 슬라이드 크랭크 방식에 의해 진동되는 과정에서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열매만을 탈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줄기를 끊어버려 구기자나무를 손상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구기자를 수집은 용이하였으나 작업자가 핸디 형 수확기를 사용함에 따라 구기자줄기로부터 열매를 수확하는 효율성은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22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73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9036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수확기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각 줄기에 달려 있는 열매를 진동에 의해 탈리(脫離)함과 동시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만이 저장되도록 한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구기자나무의 줄기를 진동시켜 열매를 탈리하는 과정에서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같이 떨어진 잎의 제거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탈리된 구가지 열매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구기자 농장에서 각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구기자 수확기로서, 상기 구기자 수확기는 각 모서리 밑면에 각각의 이동 바퀴가 구비되며, 후방에 작업자가 밀고 보행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하여 탈리되는 열매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바퀴의 상부 측에 저장박스가 수납 가능하게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랑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가이드 되는 각각의 가이드 판; 상기 각 가이드 판의 내측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되면서 안내되는 줄기로부터 줄기는 손상시키지 않고 구기자 열매만을 탈리하도록 전방 상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탈리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프레임에 탈리되는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를 저장박스로 저장시키는 선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가이드 판은 양측에 위치하는 구기자나무의 각 줄기가 원활하게 가이드 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 가이드 판은 불투명 또는 투명 재질의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탈리부재는 전방 상측은 가이드 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편심 캠에 연결되고, 후방 하측은 구동수단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동 편심 캠에 연결되는 진동대, 상기 진동대의 구비되어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진동에 의해 털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부재는 프레임 상에 올려지는 받침틀, 상기 받침틀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 선단이 상기 받침틀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 털이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기자 열매는 저장박스로 낙하시키고 잎은 걸러지도록 거치되는 선별 망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판의 상단과 선별 망 사이에 그 선별 망을 상하로 떨림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 망은 수직판 측으로부터 메쉬가 좁은 것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점진으로 넓은 메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메쉬의 크기에 따라 그 저장박스 내를 구획하는 각각의 구획판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수확기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각 줄기에 달려 있는 열매를 진동에 의해 탈리(脫離)함과 동시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만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구기자의 수확 능력을 극대화함은 물론 수확된 열매의 후처리 공정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구기자나무의 줄기를 진동시켜 열매를 탈리하는 과정에서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구기자나무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같이 떨어진 잎의 제거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기자 열매의 수확이 더욱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 열매를 크기별로 분류함에 따라 후처리 작업의 편리성을 더욱더 증대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배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구기자 수확기(1)는 구기자 농장에서 구기자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수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통상적인 구기자 농장에서 재배되는 구기자는 두둑에 소정간격을 두고 꽂아지는 주지에서 생육 되면서 자란난 줄기에 구기자 열매가 열리게 된다.
본 발명은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수확기를 밀고 가는 과정에서 각 줄기에 달려 있는 열매를 진동에 의해 탈리(脫離)함과 동시에 탈리된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만이 저장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기자 수확기(1)는, 고랑 사이로 밀고 다니면서 탈리된 구기자 열매를 저장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양측에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를 가이드 하는 각각의 가이드 판(20)과, 상기 가이드 판(20)으로 가이드 되는 줄기로부터 구기자 열매를 진동방식에 의해 탈리하는 탈리부재(30) 및 상기 탈리된 열매와 잎을 선별하는 선별부재(40)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각 모서리 밑면에 통상적인 캐스터 등과 같은 각각의 이동 바퀴(12)가 구비되며, 후방에 작업자가 밀고 보행하도록 손잡이(14)를 포함하여 탈리되는 열매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판(15)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바퀴(12)의 상부 측에 탈리된 열매가 저장되는 통상적인 저장박스(B)가 수납 가능하게 수납공간(10A)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레임(10)은 통상적인 파이프와 조인트 등에 의해 조립과 체결 및 용접 등에 의해 틀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구기자 농장의 고랑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정한 폭과 필요한 용도의 높이와 크기로 제작하여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원활하게 밀고 갈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 수납공간(10A)은 사면이 개방되어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사방에서 저장박스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이랑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가이드 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판은 통상적인 투명 또는 불투명의 아크릴 등과 같은 경질이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경량화는 물론 구기자 줄기가 가이드 될 때, 손상되지 않고 원활하게 가이드 되도록 한다. 또, 투명일 경우 줄기가 원활하게 가이드되는 지 또한 확인 가능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각 가이드 판(20)은 양측에 위치하는 구기자나무의 각 줄기가 원활하게 가이드 되도록 상광하협, 즉 상부는 넓고 하는 좁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측은 프레임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두둑에 심어진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원활하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부는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판(20)은 프레임(10)의 전후에 용접이나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장착대(22) 상에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탈리부재(30)는 상기 각 가이드 판(20)의 내측면에 통상적인 정,역 모터와 동력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수단(32)에 의해 진동되면서 안내되는 줄기로부터 줄기는 손상시키지 않고 구기자 열매만을 탈리하도록 전방 상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줄기는 탈리부재의 상측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쓸려 내려가게 됨과 동시에 진동에 의해 그 줄기에 달려있던 구기자 열매는 탈리된다. 상기 탈리된 열매는 선별부재를 거쳐 저장박스 내로 저장된다.
상기 탈리부재(30)는 전방 상측은 가이드 판(20)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편심 캠(34)에 연결되고, 후방 하측은 구동수단(32)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동 편심 캠(35)에 연결되는 진동대(36)와, 상기 진동대(36)의 구비되어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진동에 의해 털어내는 스프링(38)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38)은 줄기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열매만을 떨어지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탈리부재는 구동수단 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 편심 캠의 회전으로 인해 편심 캠과 함께 진동대를 사선형태로 선회하듯이 움직이게 되고, 그 외측에 구비된 스프링을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스프링 상에서 쓸려 내려오는 줄기에 매달려 있던 열매는 상기 스프링의 진동에 의해 쉽게 탈리되는 것이다.
특히, 줄기는 스프링의 전방 상부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쓸려 내려오듯이 안내시켜 탈리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 인해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선별부재(40)는 상기 수납공간(10A)의 상부 프레임(10)에 탈리되는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를 저장박스(B)로 저장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선별부재(40)는 프레임(10) 상에 올려지는 받침틀(41)과, 상기 받침틀(41)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42)과, 선단이 상기 받침틀(41)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수직판(42)의 상단에 털이 손잡이(44)를 포함하여 구기자 열매는 저장박스(B)로 낙하시키고 잎은 걸러지도록 거치되는 선별 망(45)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선별부재는 탈리부재에 의해 탈리되는 열매를 저장박스 내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때 줄기로부터 열매만 탈리되는 것이 아니라 잎 또한 떨어지게 되는 데, 이때 선별 망에 의해 잎은 저장박스로 떨어지지 않고 열매만 떨어지도록 선별하는 것이다.
아울러 선별 망은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탈리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열매와 잎은 자연스럽게 굴러 내려가면서 열매는 저장박스로, 잎은 프레임의 전방 바닥으로 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판(42)의 상단과 선별 망(45) 사이에 그 선별 망(45)을 상하로 떨림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46)이 개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 망은 열매는 하부로 낙하시키고 잎은 걸러지는 통상적인 망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선별 망은 수직판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에 의해 털이 손잡이를 작업자가 잡고 털 경우, 선별 망 위에 올려져 떨어지지 않은 잎은 전방으로 더욱더 원활하게 떨어짐은 물론 열매 또한 저장박스로 더욱더 원활하게 떨어져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 망과 저장박스는 줄기로부터 떨어진 열매가 굴러 내려가면서 크기별로 분류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선별 망(45)은 수직판(42) 측으로부터 그 선별 망(45)에 형성되는 메쉬(M)가 좁은 것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점진으로 넓은 메쉬(M)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박스(B)의 내부에는 상기 메쉬의 크기에 따라 그 저장박스(B) 내를 구획하는 각각의 구획판(B1)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줄기로부터 탈리부재에 의해 탈리된 열매는 선별 망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굴러 내려가면서 그 선별 망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면서 하부의 저장박스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박스 또한 선별 망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에 따라 구획판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열매를 크기별로 분류함에 따라 후처리작업을 더욱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확기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특히 줄기로부터 열매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탈리함에 따라 수확 능력을 더욱더 증대시키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줄기로부터 열매를 탈리하는 과정에서 줄기는 손상시키지 않고 열매만 탈리함에 따라 구기자나무의 관리 또한 더욱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별부재에 의해 줄기로부터 떨어지는 잎은 열매와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매의 수확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킴은 물론 후처리작업 또한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또, 열매를 크기별로 분류함에 따라 후처리 작업의 편리성을 더욱더 증대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1 : 수확기
10 : 프레임 10A : 수납공간
12 : 이동 바퀴 20 : 가이드 판
22 : 장착대 30 : 탈리부재
32 : 구동수단 34 : 편심 캠
35 : 구동 편심 캠 36 : 진동대
38 : 스프링 40 : 선별부재
41 : 받침틀 42 : 수직판
44 : 털이 손잡이 45 : 선별 망
46 : 스프링

Claims (8)

  1. 구기자 농장에서 각 고랑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구기자나무의 줄기로부터 구기자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구기자 수확기로서,
    상기 구기자 수확기는 각 모서리 밑면에 각각의 이동 바퀴가 구비되며, 후방에 작업자가 밀고 보행하도록 손잡이를 포함하여 탈리되는 열매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바퀴의 상부 측에 저장박스가 수납 가능하게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고랑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각 구기자나무의 줄기가 가이드 되는 각각의 가이드 판;
    상기 각 가이드 판의 내측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진동되면서 안내되는 줄기로부터 줄기는 손상시키지 않고 구기자 열매만을 탈리하도록 전방 상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탈리부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 프레임에 탈리되는 구기자 열매와 잎을 선별하여 구기자 열매를 저장박스로 저장시키는 선별부재;를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판은 양측에 위치하는 구기자나무의 각 줄기가 원활하게 가이드 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판은 불투명 또는 투명 재질의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재는 전방 상측은 가이드 판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편심 캠에 연결되고, 후방 하측은 구동수단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동 편심 캠에 연결되는 진동대, 상기 진동대의 구비되어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진동에 의해 털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프레임 상에 올려지는 받침틀, 상기 받침틀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 선단이 상기 받침틀의 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 털이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기자 열매는 저장박스로 낙하시키고 잎은 걸러지도록 거치되는 선별 망을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상단과 선별 망 사이에 그 선별 망을 상하로 떨림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망은 수직판 측으로부터 메쉬가 좁은 것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점진으로 넓은 메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메쉬의 크기에 따라 그 저장박스 내를 구획하는 각각의 구획판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KR1020180088538A 2018-07-30 2018-07-30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KR10213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38A KR102137586B1 (ko) 2018-07-30 2018-07-30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38A KR102137586B1 (ko) 2018-07-30 2018-07-30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86A true KR20200013386A (ko) 2020-02-07
KR102137586B1 KR102137586B1 (ko) 2020-07-27

Family

ID=695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38A KR102137586B1 (ko) 2018-07-30 2018-07-30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5636A (zh) * 2021-04-14 2021-07-16 河北省机电一体化中试基地 一种网筛式金银花采摘器
CN113141868A (zh) * 2021-03-31 2021-07-23 山东省产品质量检验研究院 一种苹果无损采摘装置
CN113477544A (zh) * 2021-07-06 2021-10-08 萧县年年养鱼农民专业合作社 一种用于苹果的采取分类存放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189444B (zh) * 2020-10-27 2022-06-10 王益旺 一种可避免榴莲采摘受损的收获装置
CN115250742A (zh) * 2022-08-31 2022-11-01 东北林业大学 一种蓝莓采摘设备
CN117280943A (zh) * 2023-10-31 2023-12-26 安徽农业大学 一种基于视觉传感的枸杞变速振动采摘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859A (ko) 2022-07-18 2024-01-25 이상범 구기자 수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034U (ja) * 1991-12-12 1993-07-09 松本農機鉄工株式会社 トマト・残渣収集機
KR100352278B1 (ko) 2000-09-05 2002-09-12 충청남도 구기자 수확기
KR20020097387A (ko) 2001-06-20 2002-12-31 대한민국(충남대학교) 구기자 수확기
KR100469036B1 (ko) 2002-05-16 2005-02-02 (주)성운산업 구기자 수집기
KR101157083B1 (ko) * 2011-12-26 2012-06-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실 수확장치
KR101312393B1 (ko) * 2011-10-31 2013-10-02 김민수 과실 수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034U (ja) * 1991-12-12 1993-07-09 松本農機鉄工株式会社 トマト・残渣収集機
KR100352278B1 (ko) 2000-09-05 2002-09-12 충청남도 구기자 수확기
KR20020097387A (ko) 2001-06-20 2002-12-31 대한민국(충남대학교) 구기자 수확기
KR100469036B1 (ko) 2002-05-16 2005-02-02 (주)성운산업 구기자 수집기
KR101312393B1 (ko) * 2011-10-31 2013-10-02 김민수 과실 수확기
KR101157083B1 (ko) * 2011-12-26 2012-06-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실 수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9444B (zh) * 2020-10-27 2022-06-10 王益旺 一种可避免榴莲采摘受损的收获装置
CN113141868A (zh) * 2021-03-31 2021-07-23 山东省产品质量检验研究院 一种苹果无损采摘装置
CN113115636A (zh) * 2021-04-14 2021-07-16 河北省机电一体化中试基地 一种网筛式金银花采摘器
CN113477544A (zh) * 2021-07-06 2021-10-08 萧县年年养鱼农民专业合作社 一种用于苹果的采取分类存放设备及其使用方法
CN115250742A (zh) * 2022-08-31 2022-11-01 东北林业大学 一种蓝莓采摘设备
CN115250742B (zh) * 2022-08-31 2023-09-08 东北林业大学 一种蓝莓采摘设备
CN117280943A (zh) * 2023-10-31 2023-12-26 安徽农业大学 一种基于视觉传感的枸杞变速振动采摘装置及系统
CN117280943B (zh) * 2023-10-31 2024-04-12 安徽农业大学 一种基于视觉传感的枸杞变速振动采摘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86B1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386A (ko) 보행형 구기자 수확기
Ferguson et al. Mechanical harvesting of California table and oil olives
Ferguson Trends in olive fruit handling previous to its industrial transformation
CN205454662U (zh) 一种振动式枸杞采摘装置
KR20190029394A (ko) 자석 스톱퍼를 갖는 과일수확기
CN112492972B (zh) 一种交叉机械振动式枸杞采收机
US100919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lanting of olive trees for the continuous mechanical harvesting of the olives
CN108848931A (zh) 一种可以分离杨树毛絮和落叶的野生成熟桑树果收集装置
JP2007166935A (ja) 椿の実の回収用網、およびこの回収用網を使用した椿の実の回収方法
US4357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olives or other fruits
CN203194158U (zh) 一种新型枸杞采摘器
KR101312393B1 (ko) 과실 수확기
US4722139A (en) Hand-held wild-seed reaping apparatus and method
US4187665A (en) Device for use in picking berries
Liu et al. The experimental study on apple vibration harvester in tall-spindle orchard
US4848071A (en) Hand pecan harvester
CN109874503A (zh) 一种前背负式团簇山楂全采摘筛分轻便防护车
CN110637585A (zh) 一种折耳根收割装置
CN210840683U (zh) 一种折耳根收割机
CN203860063U (zh) 高丛小浆果收获机
CN102986364A (zh) 收粒割麦机
CN117256326B (zh) 一种用于山楂果实的采收装置
CN214046706U (zh) 花生摘果机的结构
KR102329950B1 (ko) 간편 수확기
Dumitru et al.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HARVESTING AND PROCESSING OF WALN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