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330A -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330A
KR20200010330A KR1020197037089A KR20197037089A KR20200010330A KR 20200010330 A KR20200010330 A KR 20200010330A KR 1020197037089 A KR1020197037089 A KR 1020197037089A KR 20197037089 A KR20197037089 A KR 20197037089A KR 20200010330 A KR20200010330 A KR 2020001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ing unit
subunit
fille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82B1 (ko
Inventor
프랑크 외게
베른하르트 휘저
랄프 베르크
스테판 그로취
예레미 푸이에
미하엘 콜베
얀 베르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코팅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코팅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스프 코팅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1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29B7/2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B29B7/2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of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5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for granular material
    • B01F33/8051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for granular material with several silos arranged in a row or around a central delivery point, e.g. provided with proportioning means
    • B01F13/1005
    • B01F15/00214
    • B01F15/0022
    • B01F15/00233
    • B01F15/00246
    • B01F15/002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1Colour or luminesc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2Concentration, pH, pOH, p(ION) or oxygen-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4Density or solids or particle nu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6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2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by feed-back, i.e. a measured parameter of the mixture is measured, compared with the set-value and the feed values are corr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4Liquid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61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Abstract

본 발명은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제1 유닛 (1) 및 피스 물품 및 로딩 유닛을 수용 및 제거하고 피스 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유닛 (2)를 포함하는,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식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배합물을 위한 신규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식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합물, 예를 들어 코팅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합물, 즉, 다소 복잡한 다성분 시스템, 및 그의 제조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산업 부문의 중심 구성요소이다. 그 예는 코팅 산업, 식품 산업 또는 또한 의료 산업을 포함한다. 관련 배합물은 유체 (유동성) 및 고체 물질 (원료)의 물리적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제조에 필요한 고형물 (예를 들어, 코팅 산업에서는 안료 및 충전제)은 상류 단계에서 유체 형태 (페이스트, 분쇄된 물질)로 바뀌고 이어서 실제 제조에서 이러한 중간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중간물의 형태로 제조에 종종 사용된 것은 (혼합 코트로서) 수지, 용매 및 첨가제와 같은 예비혼합 원료이다.
산업적 제조에서 생산되는 광범위한 제품, 즉, 배합물은 종종 사용될 원료 및 중간물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 또한 함께 불림)의 마찬가지로 엄청난 복잡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코팅의 제조 분야에서 전형적인 크기는 약 100 내지 1000개의 투입 물질 및 때때로 다양한 제품군 (프라이머, 충전제, 베이스 코트, 클리어 코트 등)에서 1000개 이상의 제품 (준비된 코팅 및 또한 코팅의 완전 성분, 특히 2-성분 코팅에서는 베이스 및 경화제 성분)의 범위에 있다. 그 결과는 많은 제품이 불규칙하게, 소량으로 및 피스 물품으로서 겨우 제조된다는 것이다. 투입 물질도, 결과적으로 피스 물품으로서 대부분 사용된다.
투입 물질에 관한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해, 선행 기술분야에는 여전히 일반적인 형태의 배치 제조를 연속 또는 반연속 제조 방법으로 전환시킨 다양한 접근법이 있고, 여기서 투입 물질은, 예를 들어, 주요 라인을 통해 계량 투입되고 이미 그 안에서 예비혼합되거나 또는 달리 개별 공급 라인을 통해 혼합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첨가된다. 이는 사양 내의 제품을 얻기 위해 및 제조될 제품의 연속 품질 제어를 위해 투입 물질의 필요한 질량 유량의 설정에 매우 다양한 상이한 측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디바이스는 제조 과정 동안 습윤 물질 상에서 점도, pH 또는 달리 색상과 같은 제품의 중요한 특징 값을 포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조되고 사양 밖에 있는 배합물 물질은 폐기되거나 또는 투입 물질의 주요 스트림으로 및/또는 순환 라인 시스템을 통해 또 다시 혼합 디바이스로 복잡하게 서서히 계량되고, 정확한 제조 파라미터의 설정 후 제조될 물질과 그 안에서 블렌딩되어 여전히 사양 내의 제품을 제공한다. 이어서 연속적으로 또는 반연속 제조된 배합물은 적절한 충전 라인을 통해 특정한 로딩 유닛 (운송용 패키징 품목)으로 이송되고 피스 물품으로서 운송된다.
특히 자동차 코팅과 같은 코팅의 색상 특성의 습윤-화학 측정을 위한, 관련 개념 및/또는 측정 디바이스는 WO 2013/081812 A1, WO 99/41003 A1, WO 2004/081685 A1 또는 WO02/075285 A2에 기재되어 있다.
적어도, 배합물, 특히 코팅의 실제 제조를 단순화하거나 또는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하는데 성공하는 것이 기재된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공지된 개념은 핵심 도전인 특정한 배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복잡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과한다.
매우 다양한 상이한 특성 및 많은 상이한 투입 물질을 갖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배합물의 제조에 추가적으로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고, 상기 제조는 산업적 제조에서 요구되고 있다.
제조 현장에서 중앙 보유 유닛으로부터 이송 지점까지 제조에 필요한 투입 물질 (이들 중 대부분은 또한 피스 물품임)의 특정 수송의 제조-관련 적절성은 여기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된 것은 보유 유닛에서 저장으로의 투입 물질의 제어된 배치이다. 많은 부문에서, 특히 코팅 제조 부문에서, 사용하기 전에 특정 방식으로 상이한 투입 물질을 전처리하는 것 (진탕, 교반 및/또는 요동에 의한 균질화, 및 가열)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달 패키징의 적절한 품목으로 충전한 후)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제품을 명확하게 라벨링하고, 고객에게 발송할 때까지 이들을 저장으로 배치하고, 발송 주문의 경우에, 특정 방식으로 로딩 목적을 위해 적절한 저장-제거 지점으로 이들을 운반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려는 문제는 상이한 배합물의 산업적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투입 물질 및 제품의 보유, 제공,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의 효과적인 조직화의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은, 첫 번째로,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투입 물질의 제어된 수용 및 또한 보유 유닛으로부터 제조 현장으로의 특정한 제조-스케줄-결정된 운반을 가능하게 하고, 두 번째로, 제조된 제품의 제조 현장으로부터 수용 유닛으로의 적절하게 제어된 수송 및 또한 상기 제품의 저장 또는 임시 저장으로의 제어된 배치 및 또한 이들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보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밝혀진 것은 배합물을 위한 신규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으로서, 하기를 포함하며:
(1)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유닛 및 또한
(2) 하기를 포함하는,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을 위한, 유닛 (1)에 결합된 유닛:
(2.1)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한 서브유닛,
(2.2)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한 수용 서브유닛,
(2.3)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저장-제거 서브유닛, 및 또한
(2.4)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 서브유닛,
상기 제공 유닛은 디바이스 (V)를 갖고,
상기 디바이스 (V)는
(V.1)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의 자동화된 도킹을 위한 수단,
(V.2)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피스 물품의 한정된 양의 자동화된 회수를 위한 수단 및
(V.3) (V.2)로부터 유닛 (1)로의 한정된 양의 이송을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 (2)는 제조 시스템의 유닛과 서브유닛 내에 및 그들 사이에 로딩 유닛의 자동화된 수송을 위한 수단 (M)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이었다.
신규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이후에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으로 지칭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 및 추가 대상은 다음의 설명 및 종속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신규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투입 물질 및 제품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또는 충전될 상응하는 로딩 유닛을 처리하는 효과적이고 반자동화된 또는 완전 자동화된 조직화를 보장한다. 특히, 보장된 것은 공급, 보유 및 제공,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임의적으로는 피스 물품 및 로딩 유닛의 전처리가 복잡한 제조 시스템 내 적절한 곳에서 적절한 시간에 수행된다는 것이고, 이는 투입 물질의 공급에서부터 시작하여 저장으로부터의 제품의 제거까지 - 매우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제조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은 모듈식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는 다수의 모듈 또는 유닛, 특히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유닛 (1) 및 또한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을 위한, 유닛 (1)에 결합된 유닛 (2)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모듈 또는 유닛 또는 서브유닛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한 모듈 또는 특정한 유닛 또는 서브유닛의 구분가능한 특성 및 개별 기능을 기술한다. 두 유닛이 서로 명확하게 공간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고/거나 하나의 유닛이 그 자체로 공간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개별화된 구역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공 서브유닛은 디바이스 (V)가 배열된 많은 상이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역은, 각 경우에, 서로 바로 옆에 또는 서로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이들은 또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조 시스템의 다른 구역, 유닛 또는 유닛의 일부분은 상응하는 분리 구역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우선 배합물, 바람직하게는 유체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유닛 (1)을 포함한다.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유닛"이란 표현은 분명히 유닛이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우선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제조 및 취출 유닛을 구상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준수되어야 하는 유일한 미리 결정된 기준은 유닛 (1)이 자동화된 방식으로 유닛 (2)로부터 이송되는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의 한정된 양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고 오프닝 문장에서 언급된 유닛 (1)의 특징을 암묵적으로 제공하는 특징부 (V.3) 참조).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는 피스 물품 (S)로서 발생하는 원료 및 중간물와 동일시될 수 있다.
유닛 (1)이 임의의 형태의 유체 중간물을 제조하고 취출하는데 추가적으로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체 원료와 유체 원료로 제조된 중간물 및 유체 원료로만 제조된 중간물에 모두 적용된다. 이는 이전에 제조된 중간물 또는 이전에 제조된 중간물와 고체 및/또는 유체 원료로부터 제조된 중간물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유닛 (1)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안료 페이스트 및 혼합 코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이어서 상기 안료 페이스트 및 혼합 코트는 차례로 배합물 (즉, 제품)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닛 (1)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하기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유닛 (2)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을 위한, 유닛 (1)에 결합된 유닛 (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을 위한, 유닛"이란 표현은 유닛이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의미한다.
유닛 (2)는 유닛 (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유닛은 서로 접촉하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은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에 추가로 더 상세히 기재된 수단 (V.3), 즉, 유닛 (1)로의 한정된 양의 피스 물품의 이송을 위한 수단의 형태이다.
유닛 (2)는 우선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한 서브유닛 (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보유"란 표현은, 특히 또한 제공이란 용어와는 대조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의 "제공"은, 시간적 및 물리적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및 즉각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구성요소의 "보유"는 상기 구성요소의 단기 저장을 의미하며, 상기 저장은 필요한 제공의 준비 및 요구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단기 저장은 구성요소가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의 장소로 수송될 수 있는 위치에서 수행한다. 특히,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의도된 저장 시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보유의 장소에서 장기간 구성요소를 저장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보유의 맥락에서 단기 저장은 여기서 서브유닛 (2.1)에서의 구성요소의 수용에서부터 사용 또는 최초 사용까지 계산된, 특히 48시간 이하의 저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초 사용이란 지정은 하기에 추가로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투입 물질, 즉, 원료 또는 중간물로 충전되었고, 투입 물질의 일부분만 최초 사용의 일부로서 회수되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지칭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어서 부분-비워진 로딩 유닛은 보유 유닛 (2.1)의 그의 위치로 또 다시 수송되고 그 다음 사용까지 유지된다.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수동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하기 기재된 저장-제거 유닛을 통해, 제조된 배합물이 취출될 수 있는 유닛 (1)로 운반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적절한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은 분명히 바람직하게는 유닛 (2)에서 수용 및 보유 전에 세정된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유닛 (1)에서 상기 유닛에서 제조된 제품 (배합물)으로 충전되었고, 하기 기재된 서브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었고, 이어서 저장 시설에서 장기 저장을 위해 또는 고객에게 직접 운송하기 위해 저장으로의 배치를 위한 하기 기재된 서브유닛 (2.3)을 통해 저장으로부터 제거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하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특히 또한 특정 로딩 유닛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에서 원료 공급자에 의해 공급된 원료일 수 있다. 이러한 로딩 유닛은, 예를 들어,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의 필요한 재충전을 허용하기 위해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따라서 투입 물질, 즉, 원료 또는 중간물로 충전된, 하기에 추가로 더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원료로의 이러한 충전은 바람직하게는 원래 용기로부터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의 원료의 재충전을 위한, 하기에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모듈 (3)에서 수행한다. 중간물로의 이러한 충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중간물의 제조에 적합한 유닛 (1)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요소의 보유는 서브유닛 2.4를 통해 제조를 위한 구성요소의 필요한 제공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예를 들어, 또한 모듈 (2)를 통해 전체 시스템 (즉, 모듈식 제조 시스템)으로부터 외부로 이송되기 위해, 예를 들어 모듈 (3)으로부터 수용되어야 하는 비워진 원래 용기일 수 있지만, 다른 높은-우선순위 공정으로 인해 직접 외부 이송은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특히, 이들은 또한 원료 및/또는 중간물로 충전하기 위해 보유되어야 하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적절한 비어있는 로딩 유닛 (sL)은 분명히 바람직하게는 유닛 (2)에서 수용 및 보유 전에 세정된다.
유닛 (2.1)은 바람직하게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해 제공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한다: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iv) 원료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및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서브유닛 (2.1)은, 예를 들어, 중앙 유닛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랙 시스템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랙 저장 시스템은 산업적 제조 및 물류에 알려져 있다. 특히, 이들은 매우 높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높이가 5 미터 초과에서 바로 50 미터까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구성요소 또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해 수백개 또는 심지어 수천개의 위치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는 또한 팰릿 상에 보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이-랙 저장 시스템은 자기-지지형 빌딩 내에 배열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빌딩 내의 지지형 구조인 강철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개별 랙 또는 랙 유닛 사이에 일반적으로 회랑이 있고, 이것에 의해 특히 하기에 추가로 기재된 수단 (M)은 보유 위치에 접근 가능성을 갖는다.
유닛 (2)는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에 적합하며, 즉, 적절한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허용하는 수단을 갖는다.
피스 물품 (S)는 우선, 확립된 정의에 따라, 수송 또는 저장 과정에서 운반 유닛으로서 처리될 수 있는 정도로 치수 안정적인 방식으로 로딩 유닛에 패키징된 모든 유형의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운반 유닛 (양으로서)은, 특히 벌크 물품과 대조했을 때, 비교적 작고, 예를 들어, 단지 몇 킬로그램에서 최대 몇 톤까지의 범위에 있다. 개별 운반 유닛의 크기가 더 작은 이유는 특히 대규모 제조 플랜트에서 일부 경우에 단지 불규칙적인, 비교적 적은 수요 때문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피스 물품 (S)로서 관련 있는 것은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 및 또한 제조된 배합물 (즉, 제품)이다.
더 좁은 의미에서 또한 원료로 불리는, 투입 물질의 가능한 군은, 예를 들어, 결합제로서의 물리적 경화성, 열 경화성 및/또는 화학-방사선-경화성 수지, 적절한 가교제, 특정 유기 용매, 반응성 희석제, 착색 및/또는 효과-부여 또는 투명 안료, 충전제, 분자 분산성 가용성 염료, 나노입자, 및 또한 첨가제, 예컨대 광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탈기제, 유화제, 슬립 첨가제, 중합 억제제, 중합 개시제, 접착 촉진제, 레벨링제, 필름-형성 보조제, 새그 조절제 (SCA), 난연제, 부식 억제제, 왁스, 건조제, 살생물제 및 소광제이다.
더 좁은 의미에서 또한 중간물로 불리는, 투입 물질의 마찬가지로 가능한 군은, 상기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적어도 2종의 원료로부터 제조되고 이어서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서 사용되는 것들이다. 예는 (고체) 안료 및/또는 충전제를 수지 성분 및 물 또는 유기 용매와 같은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안료 페이스트 및 충전제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고체인 안료 및/또는 충전제의 혼합물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 예는 결합제로서의 수지, 용매 및 상이한 첨가제와 같은 상이한 원료가 함께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인 안료-무함유 및 충전제-무함유 혼합 코트이다.
피스 물품 (S)로서 발생하는 원료 및 중간물은 또한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로서 지칭될 수 있다.
상기에 보다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원료 및 중간물, 즉,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은, 특히, 예를 들어 자동차 코팅과 같은 코팅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응하게 바람직한 배합물, 즉, 제품은 특히, 자동차 코팅과 같은 코팅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식품 산업 또는 의료 산업과 같은 다른 산업 부문으로부터의 배합물은 마찬가지로 포함된다.
피스 물품으로서 적절한 투입 물질 및 제품은 고체 또는 유체 (유동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고체 또는 유체 (유동성) 상태는, 각 경우에, 20℃의 온도, 표준 압력 (1013.25 hPa) 및 1 분 동안 1000 s-1의 전단 응력을 기준으로 한다. 성분이 이러한 조건 하에 10000 mPas 이하의 점도 (예를 들어, 메틀러-톨레도(Mettler-Toledo)로부터의 기기 레오매트 RM 180을 사용하여 측정됨)를 갖는다면, 이는 기본적으로 유체로서 지칭된다.
투입 물질로서 구상가능한 것은, 특히, 고체 원료 (예를 들어, 안료, 충전제) 및 유체 원료 (예를 들어, 결합제로서의 수지, 유기 용매) 및 또한 유체 중간물 (예를 들어, 안료 페이스트, 혼합 코트)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유체 제품은 제품 (배합물)으로서 바람직한데, 특히 그들이 모듈식 제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배합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기재된 기본 조건 하에 유체로서 지칭될 수 없는 원료 및 중간물은, 이들이 본원에 제공된 정의에 따라, 유체 투입 물질 (10000 mPas 이하의 점도)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되는 것이 자명하게 또한 가능하다. 이어서 이러한 전처리는 하기에 추가로 기재된 전처리 유닛에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는 점도를 낮추기 위해 투입 물질을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점도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한 지속기간 동안 요변성 투입 물질을 회전, 교반, 요동 또는 진탕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인 의미에서 로딩 유닛 (L)은 확립된 정의에 따라, 물품의 수용을 위한 패키징 품목, 예컨대 박스, 드럼, 용기, 자루 및 임의의 추가의 구상가능하고 이용가능한 리셉터클, 예를 들어 하기에 추가로 언급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닛 (2)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한 수용 서브유닛 (2.2) 및 또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저장-제거 서브유닛 (2.3)을 포함한다.
수용 유닛 (2.2)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수동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하기 기재된 저장-제거 유닛을 통해, 제조된 배합물이 취출될 수 있는 유닛 (1)로 운반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하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적절한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은 분명히 바람직하게는 유닛 (2)에서 수용 전에 세정된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결과적으로 유닛 (1)에서 상기 유닛에서 제조된 제품 (배합물)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특히 또한 특정 로딩 유닛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에서 원료 공급자에 의해 공급된 원료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투입 물질, 즉, 원료 또는 중간물로 충전된, 하기에 추가로 더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은,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특히, 또한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 (즉, 모듈식 제조 시스템)으로부터 모듈 (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기 위해 모듈 (3)으로부터 수용되어야 하는 비워진 원래 용기일 수 있다. 유사하게, 이들은 원료 및/또는 중간물로 충전되기 위해 보유되어야 하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적절한 비어있는 로딩 유닛 (sL)은 분명히 바람직하게는 유닛 (2)에서 수용 전에 세정된다.
결과적으로, 수용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한다: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iv) 원료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 비어있는 원래 용기, 및
(vi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저장-제거 유닛 (2.3)은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수동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유닛 (2)로부터 제조된 배합물이 취출될 수 있는 유닛 (1)로 운반되어야 하는 보유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유닛 (1)에서 제조된 중간물이 취출되어야 하는 비어있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결과적으로 유닛 (1)에서 상기 유닛에서 제조된 제품 (배합물)으로 충전되었고, 수용 유닛을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었고, 이어서, 예를 들어, 저장 시설에서 장기 저장을 위해 또는 고객에게 운송하기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일 수 있다.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특히 또한 특정 로딩 유닛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에서 원료 공급자에 의해 공급된 원료일 수 있다. 상기 로딩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재충전 모듈 (3)에서 재충전을 허용하기 위해 저장으로부터 제거된다.
원료 또는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는 자명하게 또한 기본적으로 가능하지만, 특별히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원료 및 중간물은 하기에 추가로 기재된 디바이스 (V)를 통해 유닛 (1)로 이송되고 이로써 소비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조 스케줄에 대한 단기간 변경으로 인해 또는 필요한 복구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이 장기간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유닛 (2)로부터의 저장부터 제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은, 특히, 또한 전체 시스템으로부터 외부로 이송되어야 하는 비워진 원래 용기일 수 있다. 유사하게, 이들은 이전에 원료 및/또는 중간물로 충전되었고 디바이스 (V)를 통해 비워졌고 이어서, 예를 들어, 세정을 위해 모듈 (2)로부터 외부로 이송되어야 하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장-제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제공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한다: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i) 비어있는 원래 용기, 및
(viii) 비어있는 오염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상기 기재된 것으로부터, 결과적으로 제조에 위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 (i) 내지 (viii)를 포함하게 된다.
기능 면에서 상기 기재된 유닛, 즉, 수용 서브유닛 및 저장-제거 서브유닛이 기술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된 기능 정보의 도움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결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개별화된 기준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닛을, 예를 들어 중앙 유닛 (2.1)에서부터 전체 시스템의 다른 유닛까지 또는 전체 시스템을 넘어 구역까지 하나의 통로 또는 다수의 통로를 허용하는 게이트, 도어, 통로, 개구 또는 다른 통과 수단으로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통로가 수용 서브유닛 및 저장-제거 서브유닛 둘 다의 일부분인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한 바람직한 변형에서, 수용 서브유닛 및 저장-제거 서브유닛은 총 적어도 3개의 통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3개의 통로는 수용 서브유닛 및 저장-제거 서브유닛 둘 다의 일부분이고,
상기 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체 시스템 (또한 하기에서 유닛 (4)로 불림)의 내부 및 외부로, 유닛 (2.1)과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장기 저장 및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유닛 사이에서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허용하고,
상기 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유닛 (2.1)과 유닛 (1) 사이에서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허용하고,
상기 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유닛 (2.1)과 유닛 (3) 사이에서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허용한다.
이미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유닛 (2)에 결합되고 특히 원료를 원래 용기로부터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재충전하는 것이 일어나는 추가 유닛 (3)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는 유체 및 고체 원료일 수 있다. 재충전은, 예를 들어, 중력-유도된, 수동으로 수행되는 주입 및 티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체 원료의 펌프-제어된 재충전 또는 고체 원료 상의 로봇-제어된 티핑이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재충전된 원료 또는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은 이어서 모듈 (2)에서 재수용된다. 유닛 (3)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시스템의 기존의 추가 유닛, 즉, 특히, 고체 원료를 위한 저장 유닛 (5)과 결합된 것이 또한 가능하다. 고체 원료는 그 안의 저장에, 특히 장기 저장을 위한 저장 리셉터클, 예를 들어 대부피 사일로에 배치된다. 이러한 개념의 장점은, 예를 들어, 장기로 저장가능한 고체 원료가 피스 물품이 아니라, 대량 배치로, 따라서 더 경제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피 리셉터클에서의 저장의 상응하는 원리는 마찬가지로, 경험에 따라, 제조에서 높은 소비를 수반하는 특정한 유체 원료와 관련하여 적용된다. 그러나, 이어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의 재충전은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 수행하지 않고; 대신, 유체 원료가 유닛 (1)에서 제조에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완전성을 위해, 마지막-언급된 원리는, 물론, 또한 고체 원료와 관련하여 적어도 기본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상기로부터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 또는 장기 저장을 위한 유닛 (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유닛 (4)는, 예를 들어, 제조된 제품 (배합물)으로 충전되었고 고객에게 운송할 때까지 저장되어야 하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의 저장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원래 용기 또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에서 원료 또는 중간물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닛 (4)는 우선 유닛 (2.1)에서의 보유과 비교하여, 상이한 피스 물품의 잠재적 장기 저장, 즉, 예를 들어, 48시간 초과의 잠재적 저장을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품에 대한 발송 주문이 있는 경우, 잠시 저장도 물론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유닛 (4)는, 무엇보다도, 또한 유닛에서 수행하는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잠재적인 장기 저장에 의한, 유닛 (2.1)의 체계적 및 조직적 완화를 위해 제공된다. 이어서, 상기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은 기본적으로 유닛 (2.1)에서의 수용을 위해 의도되고/거나 유닛 (2.1)로부터 저장에서 제거되었던 것들이다. 따라서 유닛 (4)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전체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과 외부 세계 또는 환경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이는 유닛 (4)가, 궁극적으로 또한 유닛 (2) 또는 유닛 (2.1)을 위해 버퍼 구역으로서, 생산 수요 및 고객 수요에 대하여 목표-지향된 방식으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을 저장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닛 (4)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전체 시스템의 내부 및 외부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수단 (통로)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이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유닛 (2) 또는 유닛 (2.1)로부터의 수용 및 유닛 (2) 또는 유닛 (2.1)로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에 적절한 수단 (통로)을 갖는다.
유닛 (4)는, 이 목적을 위해, 유닛 (2) 또는 유닛 (2.1)에 가까운 공간 근접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제조 플랜트 (예를 들어, 빌딩 레이아웃)의 장소의 특정한 안전성 측면 또는 개별 환경을 이와 같이 충족시키기 위해, 이와 관련하여 특정 공간 거리로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적절한 교환은, 예를 들어, 중량품을 수송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포크리프트 트럭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닛 (4)는 전달 유닛 및/또는 팰릿의 라벨링을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닛 (1)에서 제조되고 특히 유닛 (1.4)에서 취출되고 마킹된 물질의 필요한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전자식 제어 유닛을 통해, 물질의 아이덴티티 데이터가 인출되고 라벨링을 위한 디바이스에서 처리되고, 라벨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로부터 결과적으로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피스 물품으로서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벌크 물품으로서 전달되는 고체 및/또는 유체 원료의 저장 또는 장기 저장을 위한 유닛 (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원료는 대부피 저장 리셉터클, 예를 들어 사일로 또는 탱크에서 저장되고, 이어서 유닛 (1)에서 적절한 공급 라인 시스템을 통해 제조에 직접적으로 공급되고/거나, 예를 들어 유닛 (3)에서 적절한 재충전 과정 후 유닛 (2)를 통해 제조에 공급될 수 있다.
유닛 (2)는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 서브유닛 (2.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닛은 우선 이 목적을 위해 특정 디바이스 (V)를 갖는다.
디바이스 (V)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의 자동화된 도킹을 위한 수단 (V.1)을 갖는다.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은 그의 기능에 따라 설계되고 표준화된, 즉, 조화된 특정 로딩 유닛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로딩 유닛의 정의에 대해 상기 참조). 특징부 (V.1)에 고유한 것은 표준화가 적어도 수단 (V.1) (도킹)을 통해 로딩 유닛 (sL)과 디바이스 (V) 사이의 가역적 연결부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로딩 유닛 (sL)의 표준화는 또 다른 방식으로 자명하게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딩 유닛은, 기재된 도킹과는 독립적으로, 그의 용량 부피, 형상 기하구조 또는 물질에 대하여 표준화될 수 있다. 표준화된 방식으로 피스 물품으로서의 유체 또는 고체 물질을 위한 유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 유입구는 로딩 유닛의 상부 면에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기본적으로, 정확히 하나의 유형의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유형의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이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적어도 두 유형의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형이 유체 투입 물질 (sL 유체)의 디바이스 (V)로의 이송을 보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형이 고체 원료 (sL 고체)의 디바이스 (V)로의 이송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물이 바람직하게는 유닛 (1)을 통해 또한 제조되기 때문이며, 이는 유닛 (2)를 통한 고체 원료의 제공을 필요로 한다.
도킹 원리의 표준화에 대하여, 유체 투입 물질이 회수되어야 하는 로딩 유닛 (sL 유체)과 관련하여, 수단 (V.1)에 도킹하기 위해 표준화된 유체 유출 및 표준화된 어태치먼트를 로딩 유닛의 기저부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 유출은 자명하게 가역적으로 폐쇄가능하거나 또는 개방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전자식으로 제어가능한 밸브 또는 기계적으로 결합가능한 플러그 연결부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어태치먼트를 통한 도킹 후, 유체 유출은 로딩 유닛 (sL 유체)으로부터 디바이스 (V)로의 물질 유동이 기본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로딩 유닛 (sL 유체)과 디바이스 (V) 사이에 물리적 연결부가 있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수단 (V.1) 상의 로딩 유닛 (sL 유체)의 어태치먼트 및 적절한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유체 유출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 (V)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로딩 유닛의 기저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배출 면에서 최적화되고 따라서 완전히 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기 기재된 서브유닛 (1.4)를 통한 자동화된 취출을 허용하기 위해, 로딩 유닛 (sL 유체)이 로딩 유닛의 상부 면에 바람직하게 배열된 표준화된 유입구, 즉 자동화된 방식으로 개방가능하고 폐쇄가능한 유입구, 예를 들어 벙홀 폐쇄부를 갖는 벙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딩 유닛 (sL 유체)은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1000 리터의 흡수 용량 (용량 부피)을 갖는다. 로딩 유닛은, 예를 들어, 또한 교반 디바이스 또는 가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또는 압축 공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하기 기재된 전처리 유닛 (2.5)에서 미리 전처리되었던 투입 물질은 또한 제공, 즉, 궁극적으로 제조에 공급하는 동안 여전히 교반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처리의 맥락에서 도달된 바와 같은, 투입 물질의 상태는 제공의 전체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로딩 유닛 (sL 유체)에 전형적인 물질은, 예를 들어, 스틸 등급 1.4301, 1.4541 또는 1.4571의 스틸이다. 로딩 유닛 (sL 유체)을 유체 물질로 충전하기 위한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면에 배열된다. 로딩 유닛의 기저부 면적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수송 시스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약 100 x 120 센티미터이다.
도킹 원리의 표준화에 대하여, 고체 투입 물질이 회수되어야 하는 로딩 유닛 (sL 고체)과 관련하여, 수단 (V.1)에 도킹하기 위해 표준화된 고체 유출 및 표준화된 어태치먼트를 로딩 유닛의 기저부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유출은 자명하게 가역적으로 폐쇄가능하거나 또는 개방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전자식으로 제어가능한 콘 또는 계량 스크류를 통해 실현될 수 있고, 콘 또는 스크류가 제거가능한 폐쇄부를 갖는 것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어태치먼트를 통한 도킹 후, 고체 유출은 로딩 유닛 (sL 고체)으로부터 디바이스 (V)로의 물질 유동이 기본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로딩 유닛 (sL 고체)과 디바이스 (V) 사이에 물리적 연결부가 있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수단 (V.1) 상의 로딩 유닛 (sL 고체)의 어태치먼트 및 적절한 도킹 디바이스를 통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고체 유출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 (V)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딩 유닛 (sL 고체)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입방 미터의 흡수 용량 (용량 부피)을 갖는다. 로딩 유닛 (sL 고체)에 전형적인 물질은, 예를 들어, 스틸 등급 1.4301, 1.4541 또는 1.4571의 스틸 및 또한 플라스틱, 예컨대, 특히, 전도성 폴리에틸렌이다. 로딩 유닛 (sL 고체)을 고체 물질로 충전하기 위한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면에 배열된다.
이미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화는 수단 (V.1)을 통해 로딩 유닛 (sL)과 디바이스 (V) 사이의 가역적 연결부까지 확장된다.
이 목적을 위해, 수단 (V.1)은 로딩 유닛 (sL 유체) 및/또는 (sL 고체) 상의 상기 언급된 어태치먼트와 관련하여 대응품 또는 연결 요소의 역할을 하는 도킹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 유닛 (sL)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도킹 부위 (V.1)로 가져온 경우, 자동으로 중앙에 있게 되고 고정 또는 결합된다. 이는, 우선, 로딩 유닛 (sL)의 유출의 배향을 초래하고, 이 배향은 물질 유동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공지된 연결 요소를 통해, 로딩 유닛 (sL)로의 일반적인 보조 에너지 (전기, 증기 및/또는 압축 공기)의 공급을 보장하여 이로써 물질 유동의 발생을 위한 로딩 유닛 (sL)의 자동화된 개방을 허용하거나 또는 달리 로딩 유닛 내에서 교반 디바이스 또는 가열 디바이스에 전력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 이러한 결합을 통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디바이스 (V)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피스 물품의 한정된 양의 자동화된 회수를 위한 수단 (V.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회수가 배합물을 제조하는 목적을 위한 것인 경우, 이는 배합물, 특히 코팅의 제조를 위한 유체 및 고체 투입 물질 (원료 및/또는 중간물)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회수가 중간물을 제조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시스템이 이를 위해 적합한 경우, 이는 유체 및 고체 원료 및 또한 유체 및 고체 중간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투입 물질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수단 (V.2)는, 특히 명시된 질량 유량의 형태로, 고체 또는 유체 물질의 한정된 양의 회수를 허용한다. 이 목적을 위해, 수단 (V.2)는 물질 유동을 모니터하고 또한 조절 및 조정할 수 있는, 칭량 유닛 (예를 들어, 로드 셀) 및/또는 질량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투입 물질과 관련하여, 특정한 질량 유량계의 치수화는 여기서 물질 유동 및 투입 물질의 점도에 좌우된다. 물질 유동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운반 수단, 예를 들어 펌프, 폭넓은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는 운반 용량, 및/또는 유동 단면의 감소를 통해 운반 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기 밸브를 통해 조절된다. 정확히 개별 요소, 예를 들어 조절기 밸브가 전체 구성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이는 개별 기준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들은 운반 수단에 바로 근접하게 위치해 있을 수 있지만, 또한 하기에 추가로 언급된 바와 같은 수단 (X) (특히 수집 라인)에 바로 근접하게 그리고 따라서 배관 섹션 (V.3) 내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심지어 수단 (X) 내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언급된 경우에, 이들이 그 때 배관 섹션 (V.3) 또는 수집 라인 (X)에 위치하더라도, 이들의 기능은 이들이 수단 (V.2)에 명확히 할당된 것을 의미한다. 공지된 시스템의 계량 정확도는 첨가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1%이다. 또한, 계량투입 속도를 표적 값으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체 투입 물질과 관련하여, 질량 유동은 고체 용기에 위치해 있는 콘의 진동 및/또는 고체 용기 또는 디바이스 (V)의 일부분일 수 있는 스크류의 전력 공급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진동 유닛 등 (고체의 유동 특성을 보조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은 디바이스 (V)에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공지된 시스템의 계량 정확도는 첨가 값을 기준으로 적어도 2%이다. 또한, 계량투입 속도를, 예를 들어, 초당 1 킬로그램으로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따라서 수단 (V.2)는 우선 회수 양 (특히 로드 셀)의 결정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실제 회수 메카니즘을 위한 제어 수단 (즉, 예를 들어 로딩 유닛 (sL)에 배열된 콘 또는 스크류)을 포함한다. 이어서 제어 수단은 특히 로드 셀에 의해 결정된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회수 메카니즘을 제어하고 사양에 따라 회수 과정을 조절 및 조정하는 전자식 제어 유닛을 통해 형성될 것이다.
디바이스 (V)는 (V.2)로부터 유닛 (1)로 한정된 양을 이송하는 수단 (V.3)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유체 물질과 관련하여, 수단 (V.3)은 특히 유체-전도 배관 시스템일 수 있고, 이는 이어서 궁극적으로 수단 (X), 특히 수집 라인으로 개방된다.
고체 물질의 이송과 관련하여, 수단 (V.3)은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수직홈통 또는 상기 수직홈통의 일부분이고, 수직홈통의 다른 일부분은 이후에 공식적으로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수단 (X)이다.
이미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 (1)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중간물의 제조에 적합하고, 특히 고체 원료의 사용과 관련하여 그에 따라 설계된다. 제공 서브유닛 (2.4)는 배합물 (즉, 원료 및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포괄적 용어로서,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는, 마찬가지로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피스 물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닛 (2.4)를 통해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모든 필요한 투입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닛 (2)는 바람직하게는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 서브유닛 (2.5)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원료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의 그의 이송 후 전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닛 (1)에서 중간물의 제조 후,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직접적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유닛 (2)에서 수용되는 중간물을 전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특히 상기 언급된 로딩 유닛은 보유 유닛 (2.1)에서의 그의 위치로부터 원하는 전처리의 장소로 수송되고, 거기서 전처리되고, 이어서 제조를 위해 거기서 제공되기 위해 디바이스 (V)로 수송된다. 전처리는, 예를 들어, 피스 물품의 균질화, 예컨대 교반, 진탕, 회전 및/또는 요동, 및 또한 피스 물품의 가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제조될 배합물 또는 제조될 중간물의 현재 레시피 요구사항에 따라, 마찬가지로 자동화될 수 있다. 이는 제조 순서가 사용될 원료 또는 사용될 중간물이 주어진 시간에 제조를 위해 제공되어야 하고 그러한 원료 또는 중간물의 전처리가 필요하거나 또는 요구된다는 것을 명시한 경우, 전처리 유닛으로의 수송 및 제공 유닛으로의 후속 수송에 더하여 전처리의 과정은 전처리된 원료 또는 중간물의 최적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방식으로 조직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체 투입 물질로서 이용가능한 물질이 수득되는 정도로 점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정의에 따라 기본 조건 하에 유체가 아닌 투입 물질의 경우에 전처리가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기본 조건 하에 이미 유체인 투입 물질의 점도를 또 다시 낮추고/거나 균질화를 달성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할 수 있다.
실제 전처리는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물질이 위치해 있는 실제 로딩 유닛은 적절한 디바이스에 의해 진탕, 교반 또는 요동될 수 있다. 로딩 유닛에 교반 디바이스를 도입하고 이어서 이를 또 다시 제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전처리는 또한 로딩 유닛에 통합된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로딩 유닛 (sL 유체)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교반 디바이스 또는 가열 디바이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따라서 전처리 유닛은 단지 로딩 유닛을 위한 베이 및,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또는 압축된 공기를 통해 상기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로딩 유닛에 통합되고 전처리에 적합한 수단을 위한 적절한 연결부를 포함해야 한다.
유닛 (2)는 제조 시스템의 유닛과 서브유닛 내에 및 그들 사이에 로딩 유닛의 자동화된 수송을 위한 수단 (M)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단은 명시된 자동화된 수송에 적합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기재된 수송 단계 및 이송 단계는 유닛과 서브유닛 내에서 및 그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이 궁극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닛 (2.1)에서 보유되고 원료 및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은, 제조 공정으로의 특정한 원료 또는 중간물의 공급을 허용하기 위해 제조될 배합물 또는 제조될 중간물의 현재 레시피 요구사항에 따라, 자동화된 방식으로 유닛 (2.4) 및 그에 따른 디바이스 (V)로 수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유닛 (3)과 (2.1) 사이에 또는 유닛 (1)과 (2.1), 특히 유닛 (1.4)과 (2.1), 또는 유닛 (2)과 (4) 사이에 비어있는 및 충전된 로딩 유닛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의 가능한 수송 경로 및 이송 경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단 (M)을 기술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알고 있지만; 그러나, 서브유닛 (2.1)과 서브유닛 (2.4) 사이의 로딩 유닛 및 그에 따른 디바이스 (V)의 자동화된 수송에 기초하여 간단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하이-랙 저장 시설 (2.1)에서 회랑 내에 위치해 있는 것은 저장-및-인출 기계이고, 이는 회랑을 통해 자동화된 방식 (전자식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됨)으로 안내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유닛 (2.1)의 보유 위치에서 로딩 유닛을 저장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로부터 이들을 저장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하이-랙 저장 시설은 저장으로의 배치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중앙 구역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이를 통해 로딩 유닛은 하이-랙 저장 시설로 안내되거나 또는 중앙집중형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거기서부터, 로딩 유닛은 이어서, 저장으로의 계획된 배치의 경우, 저장-및-인출 기계에 의해 개별 보유 위치로 가져오게 된다. 저장으로부터의 제거의 경우에는 반대로 진행된다. 이어서 로딩 유닛은, 이미 언급된 저장-및-인출 기계와 유사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하이-랙 저장 시스템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그의 밖으로 공급되고 따라서 또한 서브유닛 (2.4) 및 그에 따른 디바이스 (V)로의 자동화된 수송을 보장한다.
저장-및-인출 기계는 일반적으로 레일-가이드, 단일-차선 차량이다. 이들은 또한 스위치 시스템 및/또는 리로케이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다수의 회랑 또는 심지어 전체 하이-랙 저장 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어쨌든, 저장-및-인출 기계는 3개의 축으로, 즉 회랑을 따라 (통로의 종방향, 이동 유닛), 수직 방향으로 (리프팅 유닛) 및 통로의 측면 방향으로 (보유 위치의 내부 또는 외부로 로딩 유닛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한다. 이러한 단일-차선 차량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저장 시설에서의 이동은, 예를 들어, 수송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레일 상의 저장 시설을 통해 및 엘리베이터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시스템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유닛 (2)는 배합물을 위한 산업적 제조 방법의 맥락에서 피스 물품 및 로딩 유닛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제공되고, 결과적으로 제조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전체 공정이 보장된다. 이는 이러한 전체 공정의 품질이, 실제 제조 이외에, 특히 또한 피스 물품 및 로딩 유닛의 공급, 제공,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임의적으로는 전처리의 시간적으로 및 공간적으로 효과적인 협조된 조직화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유닛 (1)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은 배합물, 바람직하게는 배합물 (즉, 제품) 및 중간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이미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유닛 (1)을 포함한다.
이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닛 (1)은 유닛 (2)로부터 이송된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의 한정된 양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송은 상기 기재된 수단 (V.3)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따라서 결과적으로 유닛 (1)은 상기 수단을 통해 수단 (V.3)에 그리고 그에 따라 유닛 (2)에 연결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적절한 배관을 통해, 개별 경우에 이러한 연결이 얼마나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는지는 개별 기준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유닛 (1)의 상기 수단은 또한 수단 (X)로서 지칭된다.
유닛 (1)은 궁극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공지된 임의의 제조 및 충전 라인일 수 있다.
유닛 (1)에서, 따라서, 예를 들어, 배합물이 절차의 시작시 모든 물질을 조합하는 것에 기초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취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방법의 단점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닛 (1) 내에서,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 및 혼합 코트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취출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의 제조에서, 안료 페이스트, 틴팅 페이스트, 기능성 페이스트 및 혼합 코트와 같은 중간물을 먼저 제조하고 이어서 요구사항에 따라 효율적으로 혼합한다. 이어서 제품 (배합물)에 이르기 위해, 단지 특정 색상-조정 단계 또는 마무리 단계 (예를 들어, 틴팅 단계 또는 점도 조정)가 이어서 임의적으로 필요하다. 이 방법의 장점은 각각의 중간물이, 각 경우에, 개별적으로 조정되고 최적화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또한, 유닛 (1)은, 이미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물을 제조하는데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제조 및 취출 내에서 사용가능하고 요구되는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준비, 분산 및 마무리 단계를 위해 공지된 탱크, 반응기, 용해기, 교반기 밀, 회전자-고정자 조립체, 및 고정식 및 이동식 교반기 리셉터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단지 주목해야 한다. 제품의 여과 및 적절한 취출을 위한 적절한 필터 스테이션 및, 임의적으로는, 마킹 수단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유닛 (1)의 바람직한 구성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유닛 (1)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투입 물질, 특히 고체 원료 (고체)의 적어도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서브유닛 (1.1)을 포함한다. 관련 중간물은 착색된 안료 페이스트, 즉, 색채, 무채색 및/또는 효과-부여 안료 페이스트 (착색 페이스트 및/또는 효과 페이스트), 또는 달리 기능성 페이스트, 즉, 예를 들어, 기능성 충전제를 함유하고 결과적으로 그의 착색 때문이 아니라 그의 기능 때문에 단독으로 또는 주로 코팅에 사용되는 페이스트이다. 착색된 안료 페이스트 및 기능성 페이스트의 정의는 겹쳐지고; 서로의 명확한 구별은 불가능하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다. 관련 중간물은 또한 순수 안료 혼합물 및/또는 충전제 혼합물이다.
적절하게 고체 원료는 특히 그 자체가 공지된 안료 및 충전제이다.
분명히, 사용은 일반적으로 또한 유체 투입 물질, 즉, 원료 또는 미리 제조된 중간물의 이러한 제조에서 이루어진다.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된 투입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유닛 (2.5)에서 수행한다.
예로서, 수지, 용매 및 첨가제 및 또한 특정 혼합 코트가 여기서 언급될 수 있다.
서브유닛 (1.1)은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의 제조와 관련하여 공지된 기본 디바이스, 즉, 혼합 리셉터클 (공정 혼합기) 및 혼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용해기, 예컨대 표준 용해기 또는 인라인 용해기 및 임의적으로는 공정 혼합기에서 고체 및 유체 원료 및 유체 중간물의 분산 및 혼합을 위해 제공되는 교반기 밀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투입 물질, 특히 원료를 서브유닛 (1.1)에 공급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어쨌든,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서브유닛 (2.4)를 통해 그리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 (V) 및 또한 수단 (X)를 통해 수행한다. 자명하게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의 자동화된 이송은, 모듈 (2) 내에서, 상기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부터 서브유닛 (1.1)로 수행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명시된 구성요소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능하다. 질량 유동 및 그에 따라 단위 시간당 또는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투입 물질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사양은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레시피 사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어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은 미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듈 (3)에서 (원래 용기로부터 또는 대부피 사일로 또는 탱크로부터) 투입 물질로 충전되었고 임의적으로 전처리되었다.
여기서 고체 원료는 먼저 유닛 (3) 내에서 원래 용기 (예를 들어, 자루)로부터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재충전되고 이어서 서브유닛 (2.4)를 통해 그리고 그에 따라 수단 (V.3) 및 또한 수단 (X)를 통해 서브유닛 (1.1)로 이송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고체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그리퍼를 통해 로딩 유닛에서 피스 물품 (예를 들어, 자루 내 분말상 안료)을 픽업할 수 있고 이어서 절삭 공구와 같은 수단의 개입으로 로딩 유닛을 개방한 다음 피스 물품을 로딩 유닛 (sL)로 이송할 수 있는 로봇을 사용하여 유닛 (3)에서 재충전된다.
특정 원료, 특히 유체 원료의 추가적인 이송은, 예를 들어, 또한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송은 수단 (V.2)에 대해 이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질량 유동의 모니터링 및 조절을 위한 기술 수단의 개입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투입 물질의 질량 유동을 설정하기 위한 사양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레시피 사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단 (V.3)을 통해, 예를 들어 그 자체가 공지된 유체-전도 배관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수집 라인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수집 라인 (그 때 수단 (X)에 상응함)을 통해, 투입 물질은 이어서 공정 혼합기에 공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되는 추가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을 수집 라인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명하게, 고체 투입 물질의 공급은 명시된 수집 라인을 통해 수행하지 않고; 대신, 이들은 수단 (V.3)으로부터, 예를 들어 개별 공급 라인/배관 (그 때 수단 (X)에 상응함)을 통해 공정 혼합기로 직접적으로 이송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단 (X)를 통한 투입 물질의 공급은, 예를 들어, 투입 물질을 서로 별도로 공정 혼합기에 공급하기 위해, 자동화된 및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순차적으로, 병렬로, 부분적으로 병렬로) 수행할 수 있고, 이 투입 물질은 고순도 또는 고농축 및/또는 불상용성인 경우에 서로 반응한다.
상기로부터 결과적으로 서브유닛 (1.1)에서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불연속 방식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는 투입 물질을 적절한 공정 혼합기에 완전히 공급한 후 상기 언급된 혼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중간물을 배치식으로 제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서브유닛 (1.1)에서 완성되고 고체 원료를 함유하는 중간물은 이어서 그 자체가 공지된 충전 라인을 통해 이를 위해 의도된 저장 유닛으로 이송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는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취출되고 이어서 서브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며, 여기서 이들은 이어서 제품 (배합물)의 제조를 위해 서브유닛 (2.1)에서 보유될 수 있다.
물론 공정 혼합기로부터 회수된 혼합물은 기본적으로 공지된 습식-연삭 기계, 예컨대, 예를 들어, 교반기 밀 및/또는 인라인 용해기를 통해 취출 전에 또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의 유닛 (1)은 고체 투입 물질의 적어도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서브유닛 (1.1)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적어도 하나의 공정 혼합기,
b.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의 분산 및 혼합을 위한, 공정 혼합기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혼합 디바이스,
c. 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1)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는 수단 (X1),
d. 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2)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고,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순차적, 병렬 및/또는 부분 병렬 이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을 포함하는 수단 (X2), 및
e.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집 라인으로의 유체 투입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
유닛 (1)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배합물 및 중간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 서브유닛 (1.2)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유닛 (2.5)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투입 물질을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관련 배합물은 클리어 코트 및 착색 및/또는 효과-부여 안료 및/또는 충전제를 함유하는 코트 (예를 들어, 충전제, 베이스 코트)이다. 관련 중간물은 수지, 용매 및 첨가제와 같은 원료로 이루어지나, 안료 또는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혼합 코트이다. 관련 중간물은 또한 서브유닛 (1.1)에서 이전에 제조된 중간물 및 추가 원료 및/또는 중간물로 이루어진 안료 페이스트 및 기능성 페이스트 (예컨대 유체 안료 페이스트)이다.
서브유닛 (1.2)는 바람직하게는 명시된 배합물 및 중간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공지된 디바이스, 즉, 공정 혼합기 및 또한 혼합 디바이스, 예컨대,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에서 투입 물질의 혼합 및 균질화를 위한 용해기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을 서브유닛 (1.2)에 공급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어쨌든,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서브유닛 (2.4)를 통해 그리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 (V) 및 또한 수단 (X)를 통해 수행한다.
따라서,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의 자동화된 이송은 모듈 (2) 내에서 상기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부터 서브유닛 (1.2)로 수행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명시된 구성요소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능하다. 질량 유동 및 그에 따른 단위 시간당 또는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투입 물질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사양은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레시피 사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어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은 미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듈 (3)에서 (원래 용기로부터 또는 대부피 탱크로부터) 투입 물질로 충전되었고 임의적으로 전처리되었다.
특정 유체 원료의 추가적인 이송은, 예를 들어, 또한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송은 수단 (V.2)에 대해 이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질량 유동의 모니터링 및 조절을 위한 기술 수단의 개입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투입 물질의 질량 유동을 설정하기 위한 사양은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레시피 사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단 (V.3)을 통해 하나 이상의 수집 라인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수집 라인 (그 때 수단 (X)에 상응함)을 통해, 투입 물질은 이어서 공정 혼합기에 공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되는 추가 유체 투입 물질 (또는 전처리 후 유체인 투입 물질)을 수집 라인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수단 (X)를 통한 원료의 공급은, 예를 들어, 투입 물질을 서로 별도로 공정 혼합기에 공급하기 위해, 자동화된 및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순차적으로, 병렬로, 부분적으로 병렬로) 수행할 수 있고, 이 투입 물질은 고순도 또는 고농축 및/또는 불상용성인 경우에 서로 반응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공정 혼합기의 현재 내용물은 수집 라인을 통해 재순환되고 추가 투입 물질을 위한 캐리어 유동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유닛 (1.2)에서의 제조는 불연속 방식으로 엄격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배합물 및 중간물은 투입 물질을 적절한 공정 혼합기에 완전히 공급한 후 상기 언급된 혼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중간물을 배치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이 완성된 배합물 및 중간물은 그 자체가 공지된 충전 라인을 통해 이를 위해 의도된 저장 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물은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취출된 다음 서브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될 수 있다. 거기서, 서브유닛 (2.1)의 중간물은 제품 (배합물)의 제조를 위해 보유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변형에서, 중간물은, 특히 유체-전도 배관 및 임의적으로는 펌프 및 밸브와 같은 운반 수단의 개재를 통해 서브유닛 (1.3)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또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으로 취출되고,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수용 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고, 장기 저장을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제거 유닛 (2.3)을 통해 유닛 (4)로 이송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서브유닛 (1.2)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유닛 (1.2)는 리셉터클로서 단지 이미 기재된 공정 혼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유닛 (1.2)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리셉터클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러한 조합 내에서, 제1 리셉터클은 공정 혼합기이고 제2 리셉터클은 공정 혼합기로부터 배출된 유체 혼합물을 위한 버퍼 탱크이다.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는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혼합물, 예를 들어 중간물 또는 배합물이, 버퍼 탱크로 특히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적절한 유체-전도 배관 및 펌프 및 밸브와 같은 운반 수단의 개재를 통해 문제-없는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달성가능하다.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연결 유닛 내에서, 또 추가의 혼합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인라인 용해기를 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상기 인라인 용해기는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재순환될 물질 유동의 혼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자명하게, 이어서 투입 물질의 혼합 및 그에 따른 유체 중간물 및 배합물의 제조를 보장하거나 (공정 혼합기) 또는 침착 과정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된 조성물을 균질화되게 유지하는 (버퍼 탱크) 전형적인 혼합 디바이스가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에 배열된다.
이어서 투입 물질을 공정 혼합기에 공급하는 것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히 또한 적절한 수집 라인의 개입으로 수행한다. 이어서 서브유닛 (1.3)으로의 취출 또는 직접 공급은 마찬가지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고, 이 경우에, 배합물 및 중간물은 공정 혼합기로부터가 아니라, 버퍼 탱크로부터 배출된다.
조합 내에서, 버퍼 탱크는 공정 혼합기보다 큰 용량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버퍼 탱크는, 공정 혼합기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용량 부피,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배 용량 부피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공정 혼합기는, 예를 들어, 0.1 내지 60 톤, 예컨대, 예를 들어, 0.5 내지 30 톤 또는 달리 1 내지 15 톤 또는 2 내지 5 톤의 용량 부피를 갖는다.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조합의 기재된 설치 개념의 장점은 배합물 및 중간물을 특히 효과적이고, 정확하며, 공정 제어 내에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이와 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제조될 물질의 제1 부분-배치가 특히 전자식으로 문서화된 레시피 사양에 기초하여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되는 경우, 상기 부분-배치는 버퍼 탱크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부분-배치의 특성 (실제 상태), 전체적으로 제조될 물질의 원하는 특성 (표적 상태) 및 전체적으로 제조될 부분-배치의 수 및/또는 추가 부분-배치의 크기 (질량, 부피)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의 구체적 조정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된 원료 또는 중간물의 특성에서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게 하고, 이 변동은, 한정된 사용 양의 경우에, 표적 상태에서 벗어난 실제 상태를 갖는 제1 부분-배치의 제조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맥락에서 하기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 (1.2)는, 특히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따라서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유체 배합물 또는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중간물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갖는다. 측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유체-전도 배관 (연결)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배관 (또는 상응하는 연결 라인 시스템)을 통해, 제조된 유체 물질이 분기되고 궁극적으로 측정 디바이스로 이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 디바이스로의 이송은 자동화된 또는 달리 수동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에서, 이어서 점도, pH, 전도도, 밀도, 온도와 같은 유체 물질의 다양한 특성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자동화된 또는 수동 방식으로 개시된다. 측정 디바이스는 라인 시스템 내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분석은 유체 물질의 특성의 포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 (1.2)는, 특히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및 측정 디바이스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물질의 특성 (실제 상태) 및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상응하는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평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가는 또한 예를 들어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제 상태와 기준 값과의 비교).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유닛 (1.2)는, 특히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측정 디바이스 및 또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평가 디바이스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의 조절을 위한 특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절을 위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정보 전송 유닛을 통해 평가 유닛에 연결되고, 즉, 이와 통신할 수 있다.
이제, 제1 제조된 부분-배치가 관련 특성에 대하여 측정되고, 상기 특성이 표적 상태와 비교되고 부분-배치가 버퍼 탱크로 이송된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는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을 조절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어서 사양 내의 물질, 즉, - 허용가능한 오차 한계 내에서 - 표적 상태를 갖는 물질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가 유닛에 의해 포착된 바와 같은, 제1 부분-배치의 실제 상태와 표적 상태 사이의 편차를 통해,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배치에서 공정 혼합기에 전체적으로 및/또는 단위 시간당 공급되는 투입 물질의 양의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부분-배치의 제조의 맥락에서, 지나치게 높은 비율의 제1 투입 물질이 사용된 경우, 모두 사양 내의 물질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배치에서 공급되는 양을 상응하여 과도하게 비례하여 낮추는 것을 수행한다. 지나치게 낮은 비율의 투입 물질의 경우에, 그 반대가 따라서 일어난다.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은, 한편으로, 수단 (V.2)를 통한 투입 물질의 회수된 양의 자동화된 조정 및 또한 그에 따른 수단 (V.3)으로부터의 이송의 조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입 물질의 기본적으로 공급되는 양은 수단 (V.2)에서 질량 유동의 조절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투입 물질의 질량 유동은 물론 보정되고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이는 평가 유닛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탱크로부터 수집 라인으로의 유체 투입 물질의 직접 공급의 경우에, 관련 공급 밸브는 마찬가지로 질량 유동에 대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이미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 물질의 기본적인 이송은, 수단 (V.2)에 대해 이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질량 유동의 모니터링 및 조절을 위한 기술 수단의 개입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가 유닛으로부터 얻은 정보는 또한 질량 유동을 보정하고 따라서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평가 유닛으로부터의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정보 전송 유닛의 개입으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평가 유닛으로부터 전자식으로 전송된 특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들을 필요한 경우에 추가 관련 입력 파라미터, 특히 제조될 부분-배치의 수 및 크기와 관련시키고, 투입 물질의 조정된 양을 결정하고, 이어서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을 전자식으로 개시하는 전자식 제어 유닛으로서 설계된다. 자명하게, 이 목적을 위해 질량 유동의 보정 및 그에 따른 조정을 위한 기술 수단 (예를 들어, 탱크로부터 수집 라인으로 이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V) 또는 적절하게 제어된 투여 유닛)을 포함하는 실제 투여 메카니즘은 전자식 제어 유닛을 통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의 유닛 (1)은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배합물 및 중간물을 제조하기 위한 서브유닛 (1.2)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a.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서,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가 혼합 디바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조합,
b. 공정 혼합기로부터 버퍼 탱크로의,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배합물 및 중간물의 부분-배치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c. 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3)으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고,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순차적, 병렬 및/또는 부분적 병렬 이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을 포함하는 수단 (X3),
d.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집 라인으로의 유체 투입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
e.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유체 배합물 또는 유체 중간물의 부분-배치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디바이스,
f.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디바이스,
g.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평가 유닛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제조된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고 추가 부분-배치의 수 및 크기를 고려하여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되는 양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및
h. 버퍼 탱크로부터 제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조 유닛으로의 중간물의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유닛.
자명하게, 상기로부터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 g.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부분-배치 (즉, 총 배치)의 제조 후, 총 배치가 표적 상태를 갖도록 (즉, 사양 내에 있도록) 실제 조정과 관련하여 설정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는 총 배치의 표적 상태의 설정에 필요한 투입 물질의 적절한 조정된 양이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다음, 이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투입 물질의 공급의 적절한 조정을 야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하고 백색인 배합물 및 중간물이 유닛 (1.2)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백색인 배합물 및 중간물이 독점적으로 제조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배합물 및 중간물이 독점적으로 제조된다. 투명한 배합물은, 예를 들어, 클리어 코트가고; 투명한 중간물은, 예를 들어, 배합물의 제조를 위해 나중에 사용될 혼합 코트이다. 백색 배합물은, 예를 들어, 일반 백색 베이스 코트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조합을 갖는 기재된 설치 개념이 그 자체가 공지된 CIP (제자리 세정) 방법에 따라 수동 개입 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다음의 서브유닛 (1.3)과 관련하여 유닛의 최적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유닛 (1)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착색된 및/또는 효과-부여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 서브유닛 (1.3)을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유닛 (2.5)에서 수행한다.
관련 배합물은 특히 착색 및/또는 효과-부여 안료를 함유하는 코트, 예를 들어 일반 베이스 코트 또는 효과-부여 베이스 코트이다. 일반적으로 백색 안료 및/또는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충전제와 같은 코트는 기본적으로 착색된 배합물에 또한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가능한 투입 물질은 특히 서브유닛 (1.1)에서 제조된 중간물, 예를 들어 착색 페이스트 및/또는 효과 페이스트, 및 서브유닛 (1.2)에서 제조된 혼합 코트를 포함한다. 자명하게, 유체 원료의 사용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서브유닛 (1.3)은 배합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이미 상기에 기재되고 공지된 디바이스, 즉, 공정 혼합기 및 또한 혼합 디바이스, 예컨대,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에서 투입 물질의 혼합 및 균질화를 위한 용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투입 물질의 공급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수단 (V.3) 및 (X)를 통해 및/또는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완성된 배합물은 공지된 충전 라인을 통해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또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으로 취출될 수 있고, 이어서, 예를 들어, 수용 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고 장기 저장을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제거 유닛 (2.3)을 통해 유닛 (4)로 이송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서브유닛 (1.3)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유닛 (1.3)은 이로써 궁극적으로 불연속 제조를 보장하기 위해 혼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기재된 공정 혼합기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유닛 (1.3)은 착색된 및/또는 효과-부여 배합물의 연속 제조를 위해 하기 기재된 수단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유닛 (1.3)은 우선 혼합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소부피 공정 혼합기 (kP)를 포함한다. 여기서, 혼합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인라인 용해기, 정적 혼합기 또는 회전자-고정자 혼합기이다. 여기서, 소부피란 용어는 제조를 위해 산업적 규모로 사용된 공정 혼합기와 비교하여 상당히 더 적은 용량 부피 (통상 수톤의 용량 부피)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는 0.1 내지 100 리터, 예컨대, 예를 들어, 0.5 내지 50 리터 또는 달리 1 내지 20 리터, 특히 1 내지 10 리터, 예를 들어 5 리터의 용량 부피를 갖는다. 공정 혼합기는 혼합 디바이스가 투입 물질의 공급을 위한 유입구와 제조된 배합물의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사이에 배열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공정 혼합기 (kP)로 유동하는 투입 물질은 공정 혼합기에서 나가기 전에 혼합 디바이스를 통과해야 한다. 공정 혼합기의 작은 크기에 의해 좌우된 작은 혼합 부피 및 혼합 디바이스로 인한 상응하는 높은 에너지 유입량은 배합물의 연속 제조의 맥락에서 투입 물질의 효율적인 혼합을 달성할 수 있다. 연속 제조는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이 연속적, 특히 조정가능한 질량 유동으로 공정 혼합기 (kP)에 유입되고, 이어서 투입 물질이 혼합 디바이스를 통과한 후 혼합물의 형태로, 즉, 배합물로서, 마찬가지로 연속 질량 유동으로 유출구(들)를 통해 공정 혼합기를 떠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혼합 디바이스, 예를 들어 회전자-고정자 혼합기의 전형적인 유출량은 1 내지 250 kW, 특히 5 내지 200 kW,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 kW,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5 kW 또는 달리 85 내지 95 kW의 범위이고, 통상의 기술자는 유출량을 문제-없는 방식으로 공정 혼합기 (kP)의 다른 파라미터, 예를 들어 용량 부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은 용량 부피는 오히려 더 적은 유출량에 상응함). 회전 속도는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전형적인 회전 속도는 1000-10000 rpm, 특히 2000-6000 rpm 또는 달리 3000-4000 rp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정 혼합기는 제조 동안 완전히 충전되고 따라서 공기가 없고, 이는 제조가 발포 현상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입 물질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우선, 서브유닛 (1.2)에서 제조된 중간물, 특히 투명한 중간물을 주요 물질 유동으로서, 특히 유체-전도 배관 및 임의적으로는 펌프 및 밸브와 같은 운반 수단의 개재를 통해 상기 서브유닛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한다. 질량 유동의 설정에 대한 사양은 레시피 사양을 통해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특정 질량 유동의 실현을 위한 기술 수단은, 특히 수단 (V.2)의 경우에,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유닛 (1.1)에서 제조된 중간물, 예를 들어 착색 페이스트 및/또는 효과 페이스트를, 바람직하게는 착색 안료 및/또는 효과 안료 및 기능성 충전제의 도입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물은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 (2.1)의 표준화된 저장 유닛 (sL)에서 보유되고, 이어서 서브유닛 (2.4)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투입 물질은 수단 (V.3)을 통해, 예를 들어 개별 공급 라인/배관 (그 때 수단 (X)에 상응함)을 통해 공정 혼합기에 이송된다. 수단 (V.2)를 통해 질량 유동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단위 시간당 또는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투입 물질의 양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사양은 전자 제어된 방식으로 레시피 사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물론 유체 중간물 및 원료를 상이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또한 기본적으로 구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론 투명한 중간물을 표준화된 저장 유닛 (sL)로부터 서브유닛 (2.4)를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어서 공정 혼합기 (kP)에서 방출된 질량 유동은 유체-전도 배관을 통해, 침착 과정의 방지를 위해 혼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버퍼 탱크로 이송된다. 이와 관련하여, 버퍼 탱크는, 예를 들어, 1 내지 20 톤의 용량 부피를 갖고 공정 혼합기에서 방출된 물질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전된다.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조합의 기재된 설치 개념의 장점은 배치 크기와는 상관없이, 배합물 및 중간물을 특히 효과적이고, 정확하며, 공정 제어 내에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이와 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특히 전자식으로 문서화된 레시피 사양에 기초하여 공정 혼합기 (kP)를 통해 제조될 물질의 배치를 연속 제조하기 위한 시작이 이루어진다. 배치 제조의 시작시 제조되는 물질의 특성 (실제 상태), 전체적으로 제조될 물질의 원하는 특성 (표적 상태) 및 배치의 크기 (질량, 부피)에 따라,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의 구체적 조정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된 중간물의 특성에서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게 하고, 이 변동은, 한정된 질량 유동의 경우에, 표적 상태에서 벗어난 실제 상태를 갖는 물질의 제조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버퍼 탱크의 비교적 대용량 부피 또는 버퍼 탱크의 조정될 개별 용량 부피는 배치의 크기가 여전히 소급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이는 시작시 제조된 물질의 실제 상태가 특히 표적 상태에서 상당히 벗어난 경우에 스스로 나타난다. 이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맥락에서 하기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서브유닛 (1.3)은, 특히 연속 제조를 위한 공정 혼합기 (kP) 및 버퍼 탱크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유체 배합물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를 갖는다. 측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유체-전도 배관 (연결부)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배관 (또는 상응하는 연결 라인 시스템)을 통해, 제조된 유체 물질이 분기되고 궁극적으로 측정 디바이스로 이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 디바이스로의 이송은 자동화된 또는 달리 수동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측정 디바이스에서, 이어서 점도, pH, 색, 밀도, 전도도 및 온도와 같은 유체 물질의 다양한 특성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자동화된 또는 수동 방식으로 개시된다. 측정 디바이스는 라인 시스템 내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분석은 유체 물질의 특성의 포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 (1.3)은, 특히 공정 혼합기 (kP)와 버퍼 탱크 및 측정 디바이스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물질의 특성 (실제 상태) 및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상응하는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평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가는 또한 예를 들어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제 상태와 기준 값과의 비교).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유닛 (1.3)은, 특히 공정 혼합기 (kP)와 버퍼 탱크, 측정 디바이스 및 또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평가 디바이스의 명시된 조합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특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정보 전송 유닛을 통해 평가 유닛에 연결되고, 즉, 이와 통신할 수 있다.
이제, 예를 들어, 연속 배치 제조의 시작시 제조된 물질이 관련 특성에 대해 측정되고 상기 특성이 표적 상태와 비교되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을 조정하면서 추가 연속 제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간격으로 또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제조된 물질의 특성을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표적 상태와 비교하여 이로써 투입 물질의 공급의 반복 조정을 보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이어서 사양 내의 물질의 배치, 즉, - 허용가능한 오차 한계 내에서 - 표적 상태를 갖는 물질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궁극적으로 사양 내의 물질을 수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투입 물질의 질량 유동을 과도하게 비례하여 낮추거나 또는 높이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버퍼 탱크와 비교하여 매우 작은 공정 혼합기 (kP)로 인해, 높은 유량에도 불구하고, 질량 기준 5 퍼센트의 배치 부피가 제조되기 전에 표적 상태를 수득하기 위해 물질 유동 설정을 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이어서, 표적 상태를 얻기 위해 설정을 보존하면서 추가 제조를 수행하고 버퍼 탱크로의 배출을 수행한 경우, 질량 유동의 과도하게 비례하는 조정 없이, 사양 내의 물질의 배치를 수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이 배치에서 시작시 제조된 물질이 블렌딩되었다.
질량 유동의 조정 및 전자식 제어 유닛으로서의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은 서브유닛 (1.2)에 대해 기재된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어서 완성된 배합물은 그 때,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로부터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또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으로 취출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수용 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고, 장기 저장을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제거 유닛 (2.3)을 통해 유닛 (4)로 이송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의 유닛 (1)은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착색된 및/또는 효과-부여 배합물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서브유닛 (1.3)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소부피 공정 혼합기 (kP) 및 버퍼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서,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가 혼합 디바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조합,
b. 공정 혼합기로부터 버퍼 탱크로의 공정 혼합기에서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c. 공정 혼합기 (kP)로의 착색 및/또는 효과-부여 안료 및/또는 충전제를 함유하는 유체 중간물의 이송을 위한 수단 (X4)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는 수단 (X4),
d. 유닛 (1.2)에서 제조된 유체 중간물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 (kP)와 서브유닛 (1.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e. 공정 혼합기 (kP)에서 연속 제조된 유체 배합물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디바이스,
f.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공정 혼합기 (kP)에서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디바이스, 및
g.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 (kP)로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평가 유닛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연속 제조된 부분량의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여 추가 부분량의 연속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되는 양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유닛 (1)에, 제조된 중간물 및 배합물, 특히 서브유닛 (1.1), (1.2) 및 (1.3)에서 제조된 중간물 및 배합물의 자동화된 취출 및 마킹을 위한 서브유닛 (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서브유닛의 설명의 맥락에서 이미 상기에 언급된 취출은 서브유닛 (1.4)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닛 (1.4)는 필요한 경우에 이어서 자동화된 방식으로 충전되는, 이용가능한 저장 유닛을 갖는다. 전달 유닛은 특히 충전될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및 또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일 수 있다.
따라서 서브유닛 (1.4)는 기본적으로 충전 라인을 대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단지 유닛은 제조된 물질 (예를 들어, 배합물)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 (충전 랜스를 갖는 충전 헤드) 및 제조된 물질로 충전하기 위한 전달 패키징의 품목의 제공을 위한 위치를 자명하게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자동화된 취출은, 예를 들어, 충전될 전달 유닛이 자동화된 방식으로 개방가능하고 폐쇄가능한 유입구, 예를 들어 상응하는 벙홀 폐쇄부를 갖는 벙홀을 포함하는 경우에 매우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닛 (1.4)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유닛의 유입구의 자동화된 개폐를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벙홀 폐쇄부의 제거에 의해 벙홀을 개방하고 폐쇄부를 보유할 수 있는 도구일 수 있다. 충전 랜스를 갖는 충전 헤드를 운반하고 이를 전달 패키징의 품목의 유입구에 도입하도록 설정된 수단 또는 도구가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취출은 제조된 물질을 방출 수단 (충전 랜스를 갖는 충전 헤드)을 통해 제조 유닛, 예를 들어 공정 혼합기 또는 버퍼 탱크로부터, 전달 패키징의 품목으로 이송함으로써 달성된다. 질량 유동은 이미 상기에 언급된 운반 수단, 예컨대 펌프 및 전자식으로 제어가능한 밸브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취출되는 양은, 예를 들어, 저울 및/또는 질량 유량계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취출 후, 벙홀은 유입구의 자동화된 개폐를 위해 수단, 즉, 폐쇄부를 보유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해 폐쇄된다.
충전될 전달 패키징의 품목은 바람직하게는 전자식 및 주문-주도 방식으로 모듈 (2)로부터 저장-제거 서브유닛 (2.3)을 통해 서브유닛 (1.4)로 및, 그 안에서, 제조된 물질로 충전하기 위한 전달 패키징의 품목을 제공하기 위한 위치로 수송된다. 충전 후, 전달 패키징의 품목은, 예를 들어, 수용 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고, 장기 저장을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제거 유닛 (2.3)을 통해 유닛 (4)로 이송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예를 들어, 또한 팰릿 상에 배열된 전달 패키징의 품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전달 패키징의 다수의 품목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충전되고, 이어서 동시에 유닛 (1.4)로부터 외부로 이송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완성된 배합물은 그 때,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로부터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또는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으로 취출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수용 유닛 (2.2)를 통해 유닛 (2)에서 수용되고 장기 저장을 위해 유닛 (2)로부터 저장-제거 유닛 (2.3)을 통해 유닛 (4)로 이송되거나 또는 고객에게 직접 운송될 수 있다.
서브유닛 (1.4)에서, 제조된 중간물 및 배합물은 또한 마킹된다. 이러한 마킹은 상이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달 유닛 및/또는 팰릿의 라벨링을 위한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고, 이것에 취출될 물질의 아이덴티티 데이터 또는 식별 데이터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중앙 전자식 제어 유닛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예를 들어 팰릿 상의 물질의 특성, 주문 번호, 용기 유형 및/또는 용기의 수가, 라벨링을 위해 디바이스에서 처리되고 취출에 사용된 전달 유닛 및/또는 팰릿에 대한 라벨의 생성에 사용된다. 라벨링 대신, 다른 유형의 마킹이, 예를 들어 바코드의 인쇄가 또한 가능하다. 이어서 실제 라벨링은, 예를 들어 유닛 (4) 내에서 나중에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라벨링은 필요할 경우, 즉, 고객에게 운송될 때만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예를 들어, 수송-특정 및/또는 고객-특정 특수성이 라벨의 생성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고, 이 특수성은 아직 제조 시점에 공지되어 않았다.
마킹의 가능하고 바람직한 방법은 전달 유닛 및 팰릿, 특히 팰릿의 개별 식별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따라서 전체 시스템 내에서 사용된 팰릿은 각 경우에 개별 식별자, 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RFID 트랜스폰더를 갖는다. 취출된 물질 및 팰릿 (및 그 위에 배열된 전달 유닛)의 명확한 할당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중앙 전자식 제어 유닛을 통해 달성된다. 상응하는 데이터는 전자식으로 저장된다. 이어서 실제 라벨링은, 필요한 경우에 특히 유닛 (4)에서 나중에 수행할 수 있다.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합물 및 중간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의 주요 특징 및 설계는 제조 시스템의 설명에서 이미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특정힌 설계 및 특징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적용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수단 (M)을 사용하여 보유 서브유닛 (2.1)로부터 제공 서브유닛 (2.4)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이송하는 단계
(2)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1)로부터 디바이스 (V)로 도킹하고,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투입 물질의 한정된 양을 회수하고, 상기 양을 유닛 (1)로 이송하는 단계
(3) (2)로부터의 투입 물질의 적어도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여 유닛 (1)에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을 제조하고 취출하는 단계.
추가 바람직한 방법 단계는 제조 시스템의 상기 기재된 특징으로부터 즉각적으로 명백하다.
예를 들어, 방법은 하기 단계 (1)을 포함하는 것이 또 다시 바람직하다:
(1a) 수단 (M)을 사용하여 보유 서브유닛 (2.1)로부터 제공 서브유닛 (2.4)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이송하는 단계
(1b) 수단 (M)을 사용하여 보유 서브유닛 (2.1)로부터 전처리 서브유닛 (2.5)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이송하고, 투입 물질을 전처리하고, 수단 (M)을 사용하여 전처리 서브유닛 (2.5)로부터 제공 서브유닛 (2.4)로, 전처리된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이송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 및/또는 순서를 포함한다.
서브유닛 (1.1)을 사용하여, 하기 순서를 바람직하게 수행한다.
고체 투입 물질, 특히 안료 및 충전제의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는 중간물의 배치-기반 제조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의 분산 및 혼합을 위한 혼합 디바이스가 있는 공정 혼합기로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을 이송하며, 여기서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은 모두 디바이스 (V)를 사용하여 한정된 양의 회수에 의해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부터 적어도 비례적으로 이송되는 것인 단계,
- 공정 혼합기에서 투입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중간물을 제조하는 것인 단계,
-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 중간물을 취출하고 충전된 로딩 유닛을 유닛 (2)로 이송하는 것인 단계.
서브유닛 (1.2)를 사용하여, 하기 순서를 바람직하게 수행한다.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는 배합물 및 중간물의 제조로서, 배합물 또는 중간물의 제조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유체 투입 물질의 분산 및 혼합을 위한 혼합 디바이스가 있는 공정 혼합기로 투입 물질을 이송하며, 여기서 투입 물질은 디바이스 (V)를 사용하여 한정된 양의 회수에 의해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부터 적어도 비례적으로 이송되는 것인 단계,
- 공정 혼합기에서 투입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중간물 또는 배합물의 제1 부분-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유체-전도 연결부를 통해 혼합 디바이스를 갖는 버퍼 탱크로 부분-배치를 이송하는 단계,
-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버퍼 탱크로 이송하기 전, 동안 또는 후에 부분-배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평가 유닛에 의해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
- 표적 상태로부터 제1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고 추가 부분-배치의 수 및 크기를 고려하여, 총 배치의 표적 상태의 설정에 필요한 투입 물질의 조정된 양을 결정하는 단계,
- 공정 혼합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배치를 제조하며, 결정된 조정된 양이 공정 혼합기로의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에 의해 추가 부분-배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고려되는 것인 단계,
- 제1 부분-배치와의 조합을 위해 버퍼 탱크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배치를 이송하고 총 배치의 제조를 위해 모든 부분-배치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언급된 의미에서 조정된 양은 분명히 양 또는 음일 수 있다. 양의 조정된 양은 표적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더 높은 비율의 특정한 투입 물질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에서 더 높은 비율의 투입 물질에 의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에서 더 낮은 비율의 다른 투입 물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음의 조정된 양의 경우에, 조치는 따라서 반대가 된다.
하기 유리한 절차는 측정 디바이스에서 특성의 비-자동화된 측정과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3개의 부분-배치가 전체적으로 제조되며, 제1 부분-배치 및 제2 부분-배치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2 부분-배치의 제조 동안, 제1 부분-배치의 특성이 측정되고 표적 상태로부터의 편차에 대하여 평가된다. 또한, 조정된 양이 결정된다. 이어서 제3 부분-배치의 제조는 조정된 양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배치의 물질이 측정되기에 충분한 시간이 있다.
서브유닛 (1.3)을 사용하여, 하기 순서를 바람직하게 수행한다.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는 착색된 및/또는 효과-부여 배합물의 연속 제조로서, 배합물의 제조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투입 물질의 혼합을 위한 혼합 디바이스가 있는 소부피 공정 혼합기 (kP)로 투입 물질을 연속 이송하며, 여기서 투입 물질은 디바이스 (V)를 사용하여 한정된 양의 회수에 의해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부터 적어도 비례적으로 이송되는 것인 단계,
- 공정 혼합기 (kP)에서 투입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배합물을 연속 제조하고 공정 혼합기 (kP)와 버퍼 탱크 사이의 유체-전도 연결부를 통해 혼합 디바이스를 갖는 버퍼 탱크로 배합물을 이송하는 단계,
-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평가 유닛에 의해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
- 표적 상태로부터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고 임의적으로는 전체적으로 제조될 배합물 양의 양을 고려하여, 총량의 표적 상태의 설정에 필요한 투입 물질의 조정 양을 결정하는 단계,
- 공정 혼합기에서 추가 양의 배합물을 연속 제조하며, 결정된 조정 양이 공정 혼합기로의 투입 물질의 공급의 조정에 의해 고려되는 것인 단계.
상기 언급된 의미에서 조정 양은 분명히 양 또는 음일 수 있다. 양의 조정 양은 전체적으로 제조될 배합물 양에 대해 표적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더 높은 비율의 특정한 투입 물질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연속 추가 제조에서 더 높은 비율의 투입 물질에 의해 및/또는 연속 추가 제조에서 더 낮은 비율의 다른 투입 물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음의 조정된 양의 경우에, 조치는 따라서 반대가 된다.
신규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유닛 (2) 및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피스 물품으로서 발생하는 투입 물질 및 제품의 처리의 효과적이고 반자동화된 또는 완전 자동화된 조직화를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보장되는 것은 복잡한 제조 시스템 내 적절한 곳에서 적절한 시간에 피스 물품 및 로딩 유닛의 공급, 보유 및 제공,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임의적으로는 전처리이다. 실제 제조 유닛 (1)의 구체적 구성의 맥락에서, 유닛 (2)의 장점은 훨씬 더 중요해져 - 투입 물질의 공급에서부터 시작하여 저장으로부터 제품의 제거까지 전체적으로 매우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모듈식 제조 시스템의 추가 주목할 만한 장점은 연속 확장 또는 확대를 위한 그의 용량이다. 초기에 지역 및 비교적 작은 제조 현장으로서 구축된 시스템은 개별 유닛 및 서브유닛에 할당될 수 있는 추가 구역 (추가적인 구역)의 첨가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완전한 확장 구역은 주어진 요구사항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장 구역은, 서브유닛 (1)에 대하여, 단지 서브유닛 (1.1) 및 (1.4)에 할당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역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안료 페이스트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기 때문이다. 제2 확장 구역은, 예를 들어 서브유닛 (1)에 대하여, 단지 서브유닛 (1.2) 및 (1.4)에 할당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역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명한 중간물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중간물이 서브유닛 (1.3)으로 직접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확장 구역에서 유닛 (4)에 할당될 수 있는 결정된 추가적인 구역을 생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1 내지 3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 및 로딩 유닛의 이동
도 1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유닛 (1) 및 (2)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서브유닛 (2.5)를 포함함) 및 또한 임의적인 유닛 (3), (4) 및 (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서브유닛 (1.4)는 3개의 구역 (모듈 또는 유닛 또는 서브유닛의 상기 주어진 정의와 일치함, 이 정의는 공간적 배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유닛의 특성 및 기능에 관한 것임)으로 나타냈다. 또한, 도면은 시스템 내에서 로딩 유닛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하게 발생하는 이동 순서를 보여주고, 이 이동 순서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 및 물질의 이동 (로딩 유닛 없음)
도 2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면은 시스템 내에서 투입 물질 (원료 및 중간물) 및 제품 (배합물)의 전형적이고 바람직하게 발생하는 이동 순서를 보여주고, 이 이동 순서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도 3: 확장 구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
도 3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이 경우에 제조 시스템의 제1 원래 구역 뿐만 아니라, 가변적으로 설계된 확장 구역을 보여주며, 확장 구역은 각각 전체 시스템의 개별 유닛 및/또는 서브유닛에 할당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역을 포함한다.

Claims (15)

  1. 배합물을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으로서, 하기를 포함하며:
    (1) 배합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유닛 및 또한
    (2) 하기를 포함하는, 피스 물품 (S) 및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 및 피스 물품 (S)의 제공을 위한, 유닛 (1)에 결합된 유닛:
    (2.1)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한 서브유닛,
    (2.2)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한 수용 서브유닛,
    (2.3)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으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저장-제거 서브유닛, 및 또한
    (2.4)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 서브유닛,
    상기 제공 유닛은 디바이스 (V)를 갖고,
    상기 디바이스 (V)는
    (V.1)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의 자동화된 도킹을 위한 수단,
    (V.2)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피스 물품의 한정된 양의 자동화된 회수를 위한 수단 및
    (V.3) (V.2)로부터 유닛 (1)로의 한정된 양의 이송을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 (2)는 제조 시스템의 유닛과 서브유닛 내에 및 그들 사이에 로딩 유닛의 자동화된 수송을 위한 수단 (M)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유닛 (1)이 배합물 및 중간물의 제조 및 취출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2.1)이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보유를 위해 설정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iv) 원료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및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2.2)가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을 위해 설정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iv) 원료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및
    (vii) 비어있는 원래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2.3)이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의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설정되며, 이는 적어도, 그러나 절대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게,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i) 비어있는 원래 용기, 및
    (viii) 비어있는 오염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함유하는 모듈식 제조 시스템:
    (i) 비어있는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 배합물로 충전된 전달 패키징의 일회용 품목 및 전달 패키징의 재사용가능한 품목,
    (iii) 원료로 충전된 원래 용기,
    (iv) 원료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 중간물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 비어있는 세정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vii) 비어있는 원래 용기, 및
    (viii) 비어있는 오염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래 용기로부터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로의 원료의 재충전을 위한, 유닛 (2)에 결합된 유닛 (3)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모듈식 제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저장 및 모듈식 제조 시스템의 내부 및 외부로의 비어있는 로딩 유닛 (L) 및 피스 물품 (S)로 충전된 로딩 유닛 (L)의 수용 및 저장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한 유닛 (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모듈식 제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벌크 물품으로서 전달되는 고체 및/또는 유체 원료의 저장을 위한 유닛 (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모듈식 제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닛 (2)가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피스 물품 (S)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 서브유닛 (2.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닛 (1)이, 고체 투입 물질의 적어도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서브유닛 (1.1)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a. 적어도 하나의 공정 혼합기,
    b. 고체 및 유체 투입 물질의 분산 및 혼합을 위한, 공정 혼합기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혼합 디바이스,
    c. 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1)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는 수단 (X1),
    d. 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2)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고,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순차적, 병렬 및/또는 부분 병렬 이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을 포함하는 수단 (X2), 및
    e.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유닛 (5)로부터의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집 라인으로의 유체 투입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닛 (1)이,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배합물 및 중간물을 제조하기 위한 서브유닛 (1.2)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a.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서,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가 혼합 디바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조합,
    b. 공정 혼합기로부터 버퍼 탱크로의,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배합물 및 중간물의 부분-배치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c. 유체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이송을 위한 수단 (X3)으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고,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순차적, 병렬 및/또는 부분 병렬 이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을 포함하는 수단 (X3),
    d.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유닛 (5)로부터의 탱크와 같은 대부피 리셉터클로부터 수집 라인으로의 유체 투입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
    e.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유체 배합물 또는 유체 중간물의 부분-배치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디바이스,
    f.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공정 혼합기에서 제조된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디바이스,
    g.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로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평가 유닛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제조된 부분-배치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고 추가 부분-배치의 수 및 크기를 고려하여 추가 부분-배치의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되는 양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및
    h. 버퍼 탱크로부터 제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조 유닛,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 (1.3)으로의 중간물의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닛 (1)이, 유체 투입 물질 및/또는 전처리의 결과로서 유체 투입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투입 물질을 사용하여 착색된 및/또는 효과-부여 배합물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서브유닛 (1.3)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닛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제조 시스템:
    a. 소부피 공정 혼합기 (kP) 및 버퍼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서, 공정 혼합기 및 버퍼 탱크가 혼합 디바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조합,
    b. 공정 혼합기로부터 버퍼 탱크로의 공정 혼합기에서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와 버퍼 탱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c. 공정 혼합기 (kP)로의 착색 및/또는 효과-부여 안료 및/또는 충전제를 함유하는 유체 중간물의 이송을 위한 수단 (X4)로서, 수단 (V.3)에 연결되어 있는 수단 (X4),
    d. 유닛 (1.2)에서 제조된 유체 중간물의 이송을 위한 공정 혼합기 (kP)와 서브유닛 (1.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전도 연결부,
    e. 공정 혼합기 (kP)에서 연속 제조된 유체 배합물의 특성의 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디바이스,
    f.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공정 혼합기 (kP)에서 연속 제조된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의 결정을 위한, 측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디바이스, 및
    g. 투입 물질의 공정 혼합기 (kP)로의 공급의 조정을 위한, 평가 유닛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미리 한정된 표적 상태의 특성으로부터 연속 제조된 부분량의 배합물의 특성의 편차를 고려하여 추가 부분량의 연속 제조에서 투입 물질의 공급되는 양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모듈식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합물 및 중간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방법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 수단 (M)을 사용하여 보유 서브유닛 (2.1)로부터 제공 서브유닛 (2.4)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의 제조를 위한 투입 물질로 충전된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이송하는 단계
    (2)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을 (1)로부터 디바이스 (V)로 도킹하고, 표준화된 로딩 유닛 (sL)에 존재하는 투입 물질의 한정된 양을 회수하고, 상기 양을 유닛 (1)로 이송하는 단계
    (3) (2)로부터의 투입 물질의 적어도 비례적 사용을 수반하여 유닛 (1)에서 배합물 및/또는 중간물을 제조하고 취출하는 단계.
KR1020197037089A 2017-05-19 2018-05-02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585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1923 2017-05-19
EP17171923.0 2017-05-19
PCT/EP2018/061136 WO2018210559A1 (de) 2017-05-19 2018-05-02 Modulares produktionssystem und verfahren für formulier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330A true KR20200010330A (ko) 2020-01-30
KR102585682B1 KR102585682B1 (ko) 2023-10-06

Family

ID=5877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089A KR102585682B1 (ko) 2017-05-19 2018-05-02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44856B2 (ko)
EP (1) EP3625158B1 (ko)
JP (1) JP7068343B2 (ko)
KR (1) KR102585682B1 (ko)
CN (1) CN110636983B (ko)
CA (1) CA3061671A1 (ko)
ES (1) ES2959312T3 (ko)
MX (1) MX2019013792A (ko)
WO (1) WO20182105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098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슬러리 로트 정보 추적관리시스템 및 추적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8343B2 (ja) * 2017-05-19 2022-05-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配合物のモジュール生産システム
BR112019023666A2 (pt) 2017-05-19 2020-06-02 Basf Coatings Gmbh Sistema de produção para fabricação de formulações, e, processo para fabricar formulações
RU2731588C1 (ru) 2017-05-19 2020-09-04 БАСФ Коатингс ГмбХ Способ и смес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нованного на дозированных замеса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екучего покр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ES2887379T3 (es) 2017-05-19 2021-12-22 Basf Coatings Gmbh Sistema de producción para elaborar formulaciones
CN114555479A (zh) * 2019-10-29 2022-05-27 巴斯夫涂料有限公司 用于将固体原料由容器再填充和转移到混合器的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5071A (en) * 1984-05-31 1985-06-25 Crawford & Russell, Inc. Additive inventory control, batching and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785A (en) * 1970-07-02 1972-06-20 Valspa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inting paint
US5268849A (en) * 1989-11-06 1993-12-07 Dunn-Edwards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colorants into a paint can, and quality control therefor
US5203387A (en) * 1989-11-06 1993-04-20 Dunn Edwards Corp. & Fluid Management Ltd. Part.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colorants into a paint can, and quality control therefor
US5163484A (en) * 1989-11-06 1992-11-17 Dunn Edwards, Corp. & Fluid Management Ltd. Part.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colorants into a paint can, and quality control therefor
US5083591A (en) * 1989-11-06 1992-01-28 Dunn Edwards, Corp., & Fluid Management Ltd. Part. Process for dispensing liquid colorants into a paint can, and quality control therefor
BR9800361A (pt) 1998-02-13 2000-09-26 Renner Du Pont Tintas Automoti Processo continuo e automatico para a produção de tintas automotivas e outros
SG148839A1 (en) 2000-07-31 2009-01-29 Celer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lending process materials
US6888636B2 (en) 2001-03-19 2005-05-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lor properties of fluids
US6418958B1 (en) * 2001-04-02 2002-07-16 Betzdearborn, Inc. Dual solid chemical feed system
EP1604253B1 (en) 2003-03-07 2011-10-19 The Sherwin-William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aint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color
CA2731074C (en) * 2008-07-17 2017-01-03 Intercat Equipment, Inc. Material delivery system to one or more units and methods of such delivery
JP5779454B2 (ja) * 2010-09-15 2015-09-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混合装置、流延ドープの製造方法及び溶液製膜方法
WO2013081812A1 (en) 2011-11-29 2013-06-06 U.S. Coatings Ip Co. Llc Real time measurement and quality control process for producing liquid composition
CN202490593U (zh) * 2012-03-06 2012-10-17 昆山大世界油墨涂料有限公司 自动预混、添加系统
SG2013096755A (en) 2013-01-08 2014-08-28 Reliance Ind Ltd A computer implemented ble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a hydrocarbon blend
ES2616700T3 (es) * 2013-07-04 2017-06-14 F.Lli Sacchi Di Sacchi Angelo E C. S.N.C. Sistema para preparar recetas con componentes procedentes de recipientes cerrados
ITUB20150282A1 (it) * 2015-04-20 2016-10-20 Inkmaker S R L Sistema e metodo per l’erogazione di fluidi, in particolare fluidi colorati
TWI607202B (zh) * 2016-05-11 2017-12-01 Intelligent modular metering system
ES2887379T3 (es) 2017-05-19 2021-12-22 Basf Coatings Gmbh Sistema de producción para elaborar formulaciones
RU2731588C1 (ru) 2017-05-19 2020-09-04 БАСФ Коатингс ГмбХ Способ и смес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нованного на дозированных замеса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екучего покр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BR112019023666A2 (pt) 2017-05-19 2020-06-02 Basf Coatings Gmbh Sistema de produção para fabricação de formulações, e, processo para fabricar formulações
JP7068343B2 (ja) * 2017-05-19 2022-05-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コーティ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配合物のモジュール生産システム
US10843150B1 (en) * 2019-10-21 2020-11-24 Yin Nie O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mixing of colours to achieve desired colour consist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5071A (en) * 1984-05-31 1985-06-25 Crawford & Russell, Inc. Additive inventory control, batching and deliver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098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슬러리 로트 정보 추적관리시스템 및 추적관리방법
KR20230020841A (ko) *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슬러리 로트 정보 추적관리시스템 및 추적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59312T3 (es) 2024-02-23
CA3061671A1 (en) 2018-11-22
RU2019141223A3 (ko) 2021-09-30
RU2019141223A (ru) 2021-06-21
JP2020521241A (ja) 2020-07-16
EP3625158A1 (de) 2020-03-25
CN110636983B (zh) 2022-08-16
KR102585682B1 (ko) 2023-10-06
BR112019024130A2 (pt) 2020-06-02
WO2018210559A1 (de) 2018-11-22
US20200094206A1 (en) 2020-03-26
US11344856B2 (en) 2022-05-31
EP3625158B1 (de) 2023-07-12
MX2019013792A (es) 2020-01-30
CN110636983A (zh) 2019-12-31
JP7068343B2 (ja)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682B1 (ko)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US10293317B2 (en) Multi-channel gravimetric batch blender
CN110651232B (zh) 用于制备配制剂的制备系统
CN110622093B (zh) 用于制备配制剂的制备系统
CN106986072A (zh) 模块化移动式混料包装方法及设备
US9718040B2 (en) System for preparing recipes with components coming from closed containers
CN103442793A (zh) 自动染料计
CN210884307U (zh) 一种锰锌铁氧体自动配料输送系统
US20090231951A1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mixtures
RU2776169C2 (ru) Модульна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ставов
BR112019024130B1 (pt) Sistema de produção modular para formulações, e, processo para produzir formulações e intermediários
CN104938795A (zh) 一种卧式猪预混饲料生产工艺及装置
CN102607677B (zh) 物料自动称量和出料装置
CN215654976U (zh) 配料组件、配料装置和配料系统
CN109291294A (zh) 自动制胶系统及制胶方法
US20240008448A1 (en) High-speed dosing
US20230071789A1 (en) Machine for preparing fluid products and method for preparing a formulation of fluid products by means of such a machine
CN116494414A (zh) 一种配料系统
JPH05345315A (ja) ペースト製造システム及びペースト製造方法
JPH0217931A (ja) ベッセル装填装置
JP2001321654A (ja) 自動調合装置
JPH05296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