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014A - 비강 장치 - Google Patents

비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014A
KR20200007014A KR1020197036687A KR20197036687A KR20200007014A KR 20200007014 A KR20200007014 A KR 20200007014A KR 1020197036687 A KR1020197036687 A KR 1020197036687A KR 20197036687 A KR20197036687 A KR 20197036687A KR 20200007014 A KR20200007014 A KR 2020000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nasal device
distal
hold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240B1 (ko
Inventor
미카엘 헬만
알렉시스 루인
Original Assignee
노즈옵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즈옵션 에이비 filed Critical 노즈옵션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00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61M15/085Fix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호흡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비강 장치는 연장된 지지 부재 및 각각이 연장된 지지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 배열된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를 포함한다. 홀더 부재는 콧 구멍으로 향하는 원위 단부 및 콧 구멍 개구에 인접한 근위 단부를 갖는 콧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홀더 부재는 원위-근위 연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종-형 단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강 장치
본 발명은 독립항의 서문에 따른 비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환경과 상황에서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를 정화, 여과 및 / 또는 탈취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군사 업무 등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이 많이 있다. 다른 상황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여 호흡하는 공기 중의 먼지, 꽃가루, 가스, 스모그, 악취 또는 기타 유해하고 자극적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안면 마스크부터 입 덮개 및 코 플러그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형의 호흡 또는 여과 장치가 존재한다. 이들 중 다수는 부피가 크고 불편하며 외관이 변하기 때문에 미학적이다. 또한, 종종 이러한 장치는 공기 누출로 인해 효과가 없는 경향이 있다.
비강 먼지 필터의 예는 US 4,200,150에 기술되어 있으며, 비강 필터는 비강 통로에 삽입되어 격벽에 장력을 가하는 클립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비강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필터에는 외부 표면이 덮여있는 우산 모양의 둥근 컵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예는 US 7,207,333에 도시되어 있으며, 콧 구멍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스토퍼 형 단부를 갖는 비강 클립이 개시되어있다. 일실시 예에서, 스토퍼는 각각 중앙 차축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라운드 필터를 포함한다.
US 2016/0256715는 공기 여과를 위한 또 다른 유형의 노즈 플러그를 개시하고있다. 이 장치는 플립-뚜껑, 그 사이에 끼워진 필터 및 노즈 클립을 갖는 내부 및 외부 플러그를 포함한다. CN204246706U는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내부 홈을 포함하는 컵 모양의 프레임이 있는 노즈 플러그를 보여준다.
공기 여과용 추가 노즈 플러그는 US 2015/0182766에 도시되어 있으며, 공기 여과 장치는 오목한 볼록 또는 평면 필터를 갖는 2 개의 환형 또는 컵형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지지 구조물은 콧 구멍에 삽입되고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개선된 착용감 및 유용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비강 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알려진 노즈 플러그의 대부분은 플러그와 콧 구멍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자극과 불편을 유발한다. 다른 것들은 각각의 코 플러그 주위의 공기 흐름에 대해 밀봉하는 데 비 효과적인 경향이 있어서, 장치를 공기를 여과, 안내 또는 방해하는데 효과적이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 외관이 편안하고 착용하기에 편한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콧 구멍에 안전하게 맞는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콧 구멍을 자극할 위험이 최소인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가 제공될 때 코를 통과하는 공기의 효과적인 필터링을 제공하며, 꽃가루, 먼지, 스모그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P41706025EP00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효율적인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독립항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흡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비강 장치는 연장된 지지 부재, 및 연장된 지지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 각각 배열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홀더 부재를 포함한다. 홀더 부재는 콧 구멍으로 향하는 원위 단부 및 콧 구멍 개구에 인접한 근위 단부를 갖는 콧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홀더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각각 원위-근위 연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종-형 단면을 포함한다. 또한, 홀더 부재 각각은 둥근 원위 부분, 근위 부분의 외주 둘레에 원주상으로 배치되고 홀더 부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림을 포함하는 개방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 사이에 배치된 중간 허리 부분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은 원위-근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인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를 갖고, 상기 외주는 적어도 상기 원위 및 근위 부분의 각각의 가장 큰 외주보다 작다.
도 1a-1d는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a-2h는 다른 비강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3d은 추가의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4d는 또 다른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를 도시한다.
도 5는 비강 장치가 코의 콧 구멍에 배치되도록 어떻게 조정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정전기 필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평면 A-A 또는 A'-A '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정전기 필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평면 B-B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기계식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평면 A-A 또는 A'-A '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기계식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평면 B-B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콧 구멍에 배치된 비강 장치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콧 구멍에 배치된 비강 장치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9c는 상이한 형태의 콧 구멍을 가진 코의 밑면에서 본 비강 장치의 홀더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d는 코의 밑면에서 본 비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평면 B-B를 따라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11d는 추가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a-12d는 다른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3a-13d는 또 다른 비강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비강 장치의 제조 동안 성형 도구 및 비강 장치의 2 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15 및 16은 2 개의 상이한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공기 필터, 스토퍼 (stopper)와 같은 다양한 용도로 약물 또는 다른 물질을 사용자에게 투여하고 호흡 등을 용이하게 하는 비강 장치이다. 비강 장치는 작도록 설계되고, 콧 구멍에 확실한 부착과 최소한의 자극으로 콧 구멍 개구부에 대한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편리하고 개별적이다.
도 1a에는 콧 구멍에 삽입될 때 일반적인 구성의 비강 장치의 제 1 측면이 도시되어있다. 구체적으로, 비강 장치는 반-강성이고 연장된 지지 부재 (2)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 (2)의 양 단부에는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 (3)가 제공되며, 각 둥근 홀더 부재의 폐쇄 단부 (4)는 각각의 콧 구멍에 원 위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게, 각각의 둥근 홀더 부재 (3)의 개방 단부는 근위 단부로 지칭되며, 콧 구멍에 삽입될 때 콧 구멍 개구부, 즉 코의 외부를 향하여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림 1b는 원위 방향에서 본 비강 장치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근위- 원위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지시된 평면 (A 및 A ')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또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 부재 (2)는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홀더가 콧 구멍에 삽입했을 때 초기에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고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전 비강 장치의 초기 구성은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연장된 지지 구조물 (2)이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두 개의 홀더 부재 (3)의 폐쇄 단부 (4)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또한 초기 구성은 도 2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즉 평면 A 및 A '가 서로 평행한 원위 방향에서 볼 때 홀더 부재 (3)가 평행 구성으로 배열된 상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 (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비강 장치가 콧 구멍에 삽입될 때 일반적으로 U 자형이다. 지지 부재 (2)는 도 1a의 일반적인 구성에서 홀더 부재 (3)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 중에 비강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코 격막에 클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도면에서, 지지 부재 (2)는 각각의 홀더 부재 (3)의 측벽의 내부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 (2)는 대안적으로 근위 단부에 인접하고, 원위 단부의 내부에 인접하는 등 홀더 부재 (3)의 다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지지 부재는 도 4a-4d와 관련하여 후술된 바와 같이 홀더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2h, 3a-3d 및 4a-4d는 추가의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이들 장치는 도 1a-1d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특징 중 다수를 포함하고, 비강 장치는 설명된 특징의 임의의 호환 가능한 조합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예시를 위해 선택된 소수의 변형만이 도시되어 있다.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한, 유사한 구성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고 이해된다.
도 2a-2d는 각각 다른 비강 장치 (31)를 사시도, 원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비강 장치 (31)는 지지 부재 (32), 둥근 원위 단부 (34)를 갖는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 (33), 및 상기 비강 장치와 유사한 개방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도 2b는 원위 방향에서 본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근위-원위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지시 된 평면 A 및 A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한 각도로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행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e-2h는 각각 사시도, 원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 비강 장치 (31)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도 3a-3d는 각각 사시도, 원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 유사한 비강 장치 (41)를 도시한다. 비강 장치 (40)는 도 1b, 도 2b 또는 도 2f에 도시된 비강 장치의 것보다 도 3b에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원위 방향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더 둥근 형태를 갖는다. 홀더 부재의 형상의 이러한 측면이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 4a-4d는 각각 다른 유사한 비강 장치 (51)를 사시도, 원 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지지 부재 (52)는 상기 지지 부재 (52)를 형성하도록 다른 홀더 부재 (53)와 대향하는 측면에서 림 (58)의 일부를 연장함으로써 홀더 부재 (53)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c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인접한 홀더 부재 (53)의 외부 림 (58)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연장부는 곡선형 지지 부재 (52)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더 부재 (3, 33, 43, 53)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2 개의 홀더 부재 및 지지 부재 (2, 32, 42, 52)는 모두 단일 일체형 부재로 성형되거나 형성된다. 적어도 홀더 부재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생체 적합성, 가요성 중합체이다.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폴리에틸렌 (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염화비닐 (PVC), 폴리우레탄 (PUR), 플루오로폴리머 (PTFE, FEP, PFA, EFTE, ECTFE, PVDF), 폴리 아미드 (PA), 폴리 프로필렌 (PP), 폴리스티렌 (PS), 폴리락트산 (PLA),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이다. 또한, 홀더 부재 (3) 및 / 또는 지지 부재 (2)의 재료는 전분계 재료, 예를 들어 폴리락티드 (PLA) 플라스틱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 에이트 (PHA) 플라스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재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료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 중합체 (SMP)와 같은 형상 기억 재료 (S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는 비강 장치에 적용될 때 비강 장치가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투명한 또는 피부색 재료이다. 그러나, 비강 장치가 대조적인 색 또는 특정 패턴을 갖도록 재료가 선택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재료 상부로 덮인 금속 와이어 코어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비강 장치는 일부 적용에서 보다 안전한 맞춤을 얻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상이한 비강 장치에 설명된 각각의 홀더 부재 (3, 33, 43, 53)는 원위-근위 연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종-모양의 단면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a, 2a, 2e, 3a 및 4a는 각각의 비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c, 2c, 2g, 3c 및 4c는 각각의 비강 장치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1d, 2d, 2h, 3d 및 4d는 해당 측면도로부터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홀더 부재 (3, 33, 43, 53)가 일반적으로 둥글거나 종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예시된 목적을 위해 3 개의 상이한 일체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둥근 원위 부분 (5), 개방 근위 부분 (7) 및 원위 부분 (5)과 근위 부분 (7) 사이에 배열 된 중간 허리 부분 (9). 중간 부분 (9)은 적어도 원위 상단 부분 (5)에 비해 좁은 허리 부분을 형성한다. 즉, 중간 부분 (9)은 적어도 원위 부분 (5)의 각각의 가장 큰 외부 원주보다 작은 원위 근위 방향에 본질적으로 횡 방향 인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원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 (9)은 또한 근위 부분 (7)의 각각의 가장 큰 외부 둘레보다 작은 원위 근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인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둘레를 갖는다. 이는 도면에서 홀더 부재 (3, 33, 43, 53)의 좁은 중간 부분 (9)으로 보여진다.
또한, 둥근 홀더 부재 (3, 33, 43, 53)의 가요성 림 (8, 38, 48, 58)은, 림이 근위 부분 (7)의 외주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홀더 부재 (3, 38, 48, 58) 및 비강 장치 (1, 31, 41, 51)는 콧 구멍 개구에 대해 단단히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림 (8, 38, 48, 58)은 근위 부분 (7)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 플러그가 콧 구멍 개구내로 삽입될 때, 비강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는 경우 홀더 부재를 통해서만 실질적으로 통과하도록 지시될 것이다. 림은 홀더 부재의 전체 프로파일의 콧 구멍 개구에 대한 밀봉 효과를 향상시켜, 홀더 부재가 콧 구멍 개구에서 실질적으로 밀봉 방식으로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림은 콧 구멍 내의 공기 압력이 낮아서, 사용자가 흡입할 때 콧 구멍 개구에 대해 비강 장치의 외부를 기밀하게 밀봉할 것이다. 도 5는 코 (10)에 배치된 비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지지 부재 (2, 32, 42, 52) 및 근위 부분 (7)의 림 (8, 38, 48, 58)의 일부만이 실질적으로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중간 부분 (9)의 협소한 프로파일의 한 가지 장점은 콧 구멍 개구에 배치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넓은 원위 부분 (5)이 콧 구멍 개구의 내부에 배열되고 더 넓은 근위 부분 (7)의 림 (8)이 콧 구멍 밖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협소한 중간 섹션 (9)으로 인해 홀더 부재 (3, 33, 43, 53)가 제자리에 효과적으로 유지 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섹션 (9)이 콧 구멍의 일반적인 형상에 잘 적응되기 때문에, 형상은 홀더 부재 (3, 33, 43, 53) 외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한다. 적응성의 추가 세부 사항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비강 장치는 콧 구멍 개구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홀더 부재의 형상은 비강 장치가 콧 구멍 내로 더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비강 장치는 콧 구멍의 내부 표면과의 최소 접촉을 가지므로, 코 통로를 자극하거나 불편을 유발할 위험을 최소화한다. 또한, 비강 장치는 콧 구멍이 흡입 공기를 데우고 습하게 하는 것과 같은 콧 구멍의 자연적인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비강의 내부 표면에 존재하는 코 모발에 영향을 주거나 자극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홀더 부재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종형 프로파일과 돌출된 외부 림의 조합은 콧 구멍 내부에 자극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콧 구멍 개구부에 편안하고 안전하게 맞출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둥근 부분 (5)의 원위 표면에는 공기가 상기 원위 부분을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 (6, 36, 46, 56)이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도 1b, 2b, 2f, 3b 및 4b의 원 위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은 공기가 원위 부분을 통과하여 비강 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는 비강 장치가 콧 구멍 개구에 배치될 때 공기가 콧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에서 필터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관통 구멍 (6, 36, 46, 56)의 세트는 메쉬 구조, 또는 예를 들어 허니콤-모양의 구멍, 꽃의 꽃잎 모양의 구멍, 둥근 구멍,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멍, 타원형 구멍, 삼각형 구멍과 같은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강 장치의 원위도를 나타내는 몇몇 바람직한 구조가 도 1b, 2b, 2f 및 3b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다. 도시된 구멍 구조는 구멍 사이의 최소 재료 및 편안한 착용감 및 둥근 형태로 인해 효과적인 공기 흐름을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둥근 원위 부분 (5)에는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더 큰 관통 구멍이 있거나 전혀 구멍이 없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홀더 부재 (33, 43, 53)의 원위 부분 (5)은 원위-근위 연장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관통-통과 접근 구멍 (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접근 구멍 (100)은 제조 방법의 결과이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그러나, 또한 이들 구멍은 상기 원위 관통 구멍 (6, 36, 46, 56)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시 비강 장치를 통해 추가의 공기 흐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b, 2b 및 2f에서, 홀더 부재 각각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오발(oval)형 또는 타원형 또는 더 둥근 형태를 가질수 있다. 약간 변형 가능한 / 탄성 재료와 조합된 이러한 형상은 홀더 부재 (3, 33, 43, 53)에 상이한 형상의 콧 구멍에 대한 적응성을 제공하여, 단일 크기의 비강 장치에 대한 광범위한 사용 범위를 제공한다. 이것은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또한, 2 개의 홀더 부재 (3)는 서로에 대해 2 개의 콧 구멍의 배향에 일치하도록 서로에 대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b에 2 개의 평면A 및 A '로 도시되며, 이는 서로에 대해 1 내지 40 도의 범위 내, 또는 10 내지 35 도의 범위 내, 또는 20 내지 30 도의 범위 내에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비강 장치 매트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 개의 홀더 부재 (3)가 제공된다. 이는 2 개의 평면 A 및 A '로서 도 2b, 2f, 3b 및 4b에 도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특히, 사용 동안 가요성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사용자의 콧 구멍에 삽입될 때 홀더 부재의 각도는 서로에 대해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비강 장치, 특히 홀더 부재 (3, 33, 43, 53)의 전체 형상은 사용자의 콧 구멍에 사용 및 적용이 용이하고 콧 구멍 개구에 안전하게 앉는 비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성은 원위 부분 (5)에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비강 장치를 위해 공기 흐름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콧 구멍에 삽입될 때 사용자에 의한 효과적인 호흡을 허용한다. 또한, 홀더 부재 (3)는 특히 사용자가 흡입할 때 콧 구멍 개구에 대해 단단히 밀봉된다. 동시에, 허리 부분이 좁아진 홀더 부재의 종 모양은 비강 장치가 사용 중에 콧 구멍에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비강 장치 (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영 목적인 경우 부재를 통한 공기의 공기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부재와 함께 또는 스토퍼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유형의 인서트 또는 어태치먼트(inserts or attachments)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콧 구멍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6a 및 7a는 평면 A-A 또는 A'-A '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 및 7b는 평면 B-B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비강 장치에도 적용된다. 도 6a, 6b,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 장치 (1)는 실질적으로 필터를 통해 비강 장치 (1)를 통과하는 모든 공기가 지향되도록 원위 부분 (5)의 내부 표면에 배열된 필터 부재 (20, 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위 부분은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한 세트의 관통 구멍 (6)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에서, 필터는 원위 부분 (5)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필터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돌출부 (22)와 같은 내부 돌출부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이들 돌출부 (22)는 홀더 부재 (3)의 내주 주위에서 연속적(즉, 림)이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부재는 또한 지지 부재 (2)의 원위 부분에 대항하거나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강 장치는 상응하는 다른 홀더 부재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부재의 원위 부분 (5)의 내부 표면에 대해 상기 방식으로 배열된 필터 부재 (20, 21)를 상응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b, 2f, 3b, 4b, 11b 또는 13b의 것들과 같이 관통 구멍이 있다.
필터 부재는 홀더 부재 내에, 바람직하게는 원위 부분 (5) 내에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돌출부가 홀더 부재 내에 제공될 수 있어서, 필터 부재는 이러한 돌출부의 근위 측면에 인접하여 또는 그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0 및 10b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필터 부재 (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 (20, 21, 26)는 정전기 필터, 기계식 필터, 플리머(flimmer) 필터, 서브미크론(submicron) 필터 또는 나노 필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공기 필터일 수 있다. 필터 부재는 미립자 오염물, 상이한 유형의 먼지 또는 생물학적 오염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는 그을음, 담배 연기, 기름 연기, 비산회, 시멘트 먼지, 부유 대기 먼지, 무거운 먼지, 모래, 스모그, 오염, 오일 미스트, 담배 연기 또는 먼지, 야금 먼지, 살충제, 기체 분자, 동물 알레르겐 또는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곰팡이 포자, 꽃가루, 화학 증기, 냄새 등과 같은 알레르기 항원을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중 질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유형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병원체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부재 (20, 21, 26)는 0.01 나노 미터 직경 이상의 크기 범위의 입자를 필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정전식 필터와 같은 얇은 유형의 필터 (20)를 구비한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기계적 필터와 같은 더 두껍거나 더 많은 3 차원 필터 (21)를 구비한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특히, 비강 장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둘 이상의 필터 부재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둘 이상의 필터 부재는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강 장치는 또한 필터 부재 또는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습 또는 제습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른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필터 부재 (20, 21)는 홀더 부재의 내부 형상에 적응 가능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 부재 (20, 21)는 홀더 부재 (3)의 내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전체 오발(oval)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필터는 레이저 절단 또는 다른 절단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필터 (20, 21)의 강성 또는 단단한 에지를 야기하는 절단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홀더 부재 (3) 내부에 더 잘 맞을 수 있다.
홀더 부재 (3)의 둥근 원위 형상 및 그 안에 배치된 임의의 필터의 이점은, 평평한 필터 표면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호흡 공기에 노출된 표면적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호흡 능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강 장치 (1)를 통과하는 공기의 강화된 필터링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필터 부재 (20, 21)는 좁은 중간 부분 (9)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며, 실질적으로 중간 부분 (9)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주 림 (24)을 형성한다. 좁은 중간 부분 (9)은 필터 부재 (20, 21)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홀더 부재 (3) 내의 필터 부재 (20, 21)의 프레스-핏(press-fit) 배열과 조합하여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에서, 필터 부재 (20, 21)는 부착 부재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부착 부재는 핀, 나사산, 접착제 또는 접착제, 프레임 또는 홀더, 또는 지지 부재 (2)의 연장부의 비 제한적 예일 수 있다. 필터 부재는 실질적으로 체크 밸브로서 기능하면서 공기가 배출될 때 필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필터 부재는 사용자가 흡입할 때 비강 장치를 통과하는 모든 공기가 필터 부재를 통해 지향되어 흡입된 공기의 효과적인 여과를 보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적어도 일부 공기가 필터 부재 주위 또는 외부를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이들 기준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필터 부재는 사용자가 흡입할 때 홀더 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해 단단히 가압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숨을 내릴 때 더 느슨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가 도 10a 및 10b에 도시되어있다. 도 6b 및 7b에 도시된 비강 장치와 유사하게, 도 10a 및 10b는 평면 B-B를 따라 도 1b에 도시된 비강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2b, 2f, 3b, 4b, 11b 또는 13b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관통 구멍을 갖는 임의의 다른 홀더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강 장치 (1)는 필터 부재 (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부재는 핀 (25)을 제자리에 유지하고, 핀 (25)의 원위 단부에서 홀더 부재 (3)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고 핀 (25)의 근위 단부에서 필터 부재 (20)에 부착된다. 도 10a은 콧 구멍에 비강 장치를 적용한 사용자가 흡입할 때의 초기 상태 및 구성을 도시하며, 여기서 필터 부재 (20)는 홀더 부재 (3)의 원위 단부 내부에 배치된 돌출부 (23)에 대해 안착된다. 따라서 콧 구멍을 통과하는 모든 공기는 필터 부재 (20)를 통과할 것이다. 그러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근위 방향을 통과하는 공기는 필터 부재 (20)의 가장자리를 돌출부 (23)로부터 멀어지게 할 것이며, 공기가 필터 부재 (20)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필터 부재 (20) 주위를 통과하게 한다.
일부 사용자는 이러한 체크 밸브 배열을 사용하여 호흡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측면에 따른 비강 장치가 콧 구멍 개구에 적합하게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도 8a은 도 6a 및 6b에 도시된 비강 장치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비강 장치를 단면 정면도로 도시한다. 각각의 홀더 부재 (3)는 더 넓은 원위 단부 (5)가 콧 구멍 내부에 배열되고 근위 부분, 특히 림 (8)이 콧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코 (10)의 콧 구멍 개구 (11)에 끼워진다. 도 8b에서, 지지 부재 (2)는 코 및 콧 구멍에 비강 장치의 추가 고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9a-9d는 비강 장치, 특히 홀더 부재 (3, 33, 43, 53)의 상이한 형상의 콧 구멍에 대한 적응성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 도면은 코 밑면, 즉 근위 방향에서 본 투시도를 보여준다. 도 1a, 2a 및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 장치가 상이한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비강 장치의 형상의 적응성은 많은 비강 장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을 제공할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도 1a, 2a 또는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a는 비강 장치의 타원형 홀더 부재의 초기 형상을 도시한다. 도 9b는 직사각형인 콧 구멍 (11)에 삽입될 때 동일한 홀더 부재를 도시한다. 도 9c는 둥근 형상을 갖는 콧 구멍 (11)에 삽입될 때 동일한 홀더 부재를 도시한다. 홀더 부재의 형상은 변형 가능하고 가요성인 재료로 조합되어 실질적으로 임의의 콧 구멍 형상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홀더 부재를 임의의 방향으로 약간 압착하여 필요에 따라 형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d는 동일한 도면에서 2 개의 홀더 부재 (3)와 지지 부재 (2)를 구비한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일부 측면에서, 상기 비강 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는 길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비강 장치는 코 및 콧 구멍의 상이한 크기 및 형태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또한 여러 다른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a-11d, 12a-12d 및 13a-13d는 추가적인 비강 장치를 도시한다. 이들 장치는 도 1-4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많은 특징을 포함하고, 비강 장치는 설명된 특징의 임의의 호환 가능한 조합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예시를 위해 선택된 소수의 변형만이 도시되어 있다. 명시적으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 한 유사한 형상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비강 장치는 예를 들어 도 5, 8a, 8b 및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벨 형상을 갖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고, 콧 구멍에 안전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도 11a 내지 11d는 각각 다른 비강 장치 (61)를 사시도, 원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비강 장치 (61)는 지지 부재 (62),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 (63) 및 개방 근위 단부 (7)를 포함한다.
림 (68)은 상기 기술된 비강 장치와 유사하게 근위 부분 (7)의 외주 둘레에 원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 비강 장치에서 하나의 단일의 큰 관통 구멍 (66)이 원위 단부 (5)에 제공된다.
도 11b는 원위 방향에서 본 비강 장치 (61)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근위-원위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지시된 평면 A 및 A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각도로, 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행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는 콧 구멍 확장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를 통해 호흡하는 향상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폐쇄 또는 외상의 결과 작거나 단단한 콧 구멍이 있는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에는 또한 에지가 홀더 부재의 측면으로 통합되거나 몰딩 된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호환 가능한 예에 따른 필터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부재는 홀더 부재를 통과하는 모든 공기, 또는 공기의 선택된 부분 또는 한 방향으로만 공기를 여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2a-12d는 각각 다른 비강 장치 (71)를 사시도, 원 위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비강 장치 (71)는 지지 부재 (72),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 (73) 및 개방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림 (78)은 전술한 비강 장치와 유사하게 근위 부분 (7)의 외주 주위에 원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 비강은 폐쇄된 원위 단부 (5)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비강 장치와 상이하다. 따라서, 사용될 때 콧 구멍의 마개 역할을 한다. 특히, 스토퍼 부재는 추가의 지지를 위해 비강 장치 내에, 또는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비강 장치에 차단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스토퍼 비강 장치는 코를 통한 호흡 또는 통과가 바람직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다. 이것은 수상 스포츠 또는 기타 수상 활동 중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의료 상황에서, 사용자가 약물을 투여할 때와 같이 코를 통하지 않고 입을 통해 호흡하도록 강요하거나 장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위-원위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지시된 평면 A 및 A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한 각도로,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행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3a-13c는 또 다른 비강 장치 (81)를 각각 사시도, 원위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비강 장치 (81)는 지지 부재 (82), 2 개의 둥근 홀더 부재 (83) 및 개방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림 (88)은 전술한 비강 장치와 유사하게 근위 부분 (7)의 외주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홀더 부재 (83)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의 더 큰 관통 구멍 (86)이 제공된다. 도 13d는 도 13b의 선 A 또는 A '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홀더 부재 (83)는 공기가 구멍 (86)을 통해 홀더 부재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원위 단부에 관통 구멍 (86)를 갖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 조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비강 장치에서, 홀더 부재 (86) 및 관통 구멍 (86)은 튜브 또는 커플 링 부재의 부착에 적합할 수 있다. 부착에 대한 이러한 적합성은 예를 들어 일체형 연결 또는 프레스 핏, 루어 락, 스냅 락 또는 나사산 스크류 부재로 통해야 한다. 명백하게, 이러한 비강 장치는 산소 또는 다른 가스, 마취제, 약물 또는 코 투여에 적합한 다른 물질을 투여하는데 유용하다. 사용의 다른 예는 물, 식염수 또는 다른 물질을 투여하여 콧 구멍을 세정 및 / 또는 수화시키는 것이다.
도 13a 및 13b에서, 양쪽 홀더 부재 (83)에는 관통 구멍 (86)이 제공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홀더 부재 (83) 및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홀더 부재 (73), 즉 관통 구멍을 갖는 하나의 홀더 부재 및 스토퍼 부재의 형태로 하나의 홀더 부재를 구비한 비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하나의 콧 구멍에 튜브가 연결되고 다른 콧 구멍은 막히기 때문에 한 콧 구멍에 물질의 투여를 향상시키는 데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비강 장치가 동일한 유형의 2 개의 홀더 부재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2 개의 상이한 유형의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을 단일 비강 장치로 서로 결합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상기 일예와 같이, 튜브의 부착에 적합한 홀더 부재 (83)와 결합된 스토퍼 홀더 부재 (73)가 설명되었다. 다른 예는, 예를 들어 물질을 동시에 투여하면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예를 들어, 튜브를 통한 산소 또는 마취인 필터 부재 (20, 21)가 제공된 홀더 부재 (3, 33, 43)와 결합 된 튜브의 부착에 적합한 홀더 부재 (83)를 구비한 비강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는 2 개의 콧 구멍이 다른 크기 또는 모양인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홀더 부재를 다른 크기 및 / 또는 모양과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는 하나의 홀더 부재를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하여, 단일 홀더 부재가 지지 부재에 의해 추가로 고정될 수 있고, 이어서 콧 구멍 격막에 클립핑 된다.
특히, 도 1 내지 10에 대해 설명된 홀더 부재와 유사하게, 도 11, 12 및 13에 도시된 홀더 부재는 일반적으로 둥글거나 종 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예시를 위해 3 개의 상이한 일체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둥근 원위 부분 (5), 개방 근위 부분 (7) 및 원위 부분 (5)과 근위 부분 (7) 사이에 배열된 중간 허리 부분 (9). 중간 부분 (9)은 적어도 원위 상단 부분 (5)에 비해 좁은 허리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중간 부분 (9)은 적어도 원위 부분 (5)의 각각의 최대 외부 원주보다 작은 원위 근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원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 (9)은 또한 근위 부분 (7)의 각각의 가장 큰 외부 둘레보다 작은 원위 근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둘레를 갖는다. 이는 도면에서 홀더 부재 (63, 73, 83)의 좁은 중간 부분 (9)으로 보여진다.
또한 가요성 림 (68, 78, 88)은 홀더 부재 (63, 73, 83) 및 따라서 비강 장치 (33, 43, 53)가 콧 구멍 개구에 대해 단단히 밀봉되도록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림 (68, 78, 88)은 근위 부분 (7)에 일체로 형성된다. 림은 홀더 부재의 전체 프로파일의 콧 구멍 개구에 대한 밀봉 효과를 향상시켜, 홀더 부재가 콧 구멍 개구에서 실질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림은 콧 구멍의 공기 압력이 낮아서, 사용자가 흡입할 때 콧 구멍 개구에 대해 비강 장치의 외부를 기밀하게 밀봉할 것이다.
본원의 비강 장치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강 장치는 다수의 방식으로 추가로 제조될 수 있다. 비강 장치를 제조하는 방식의 비 제한적인 예는 사출 성형, 다이 캐스팅, 성형, 3D-프린팅,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회전 성형, 진공 성형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강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에 사용될 수 있는 몰드의 예로서 도 2, 3 또는 4의 비강 장치는 도 14a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몰드 (200) 및 결과적인 비강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결과적인 비강 장치의 비 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2b에서 라인 A-A 또는 A'-A '의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을 통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비강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에 사용될 수 있는 몰드의 다른 예로서 도 2, 3 또는 4의 비강 장치는 도 14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몰드 (200) 및 결과적인 비강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결과적인 비강 장치의 비 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2f에서 라인 A-A 또는 A'-A '의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의 개별 부품 (200a, 200b)을 갖는 몰드 (200)는 홀더 부재 (33, 43, 53)와 같은 홀더 부재를 형성하고 동시에 필터 부재 (26)를 일체로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홀더 부재는 동일한 몰드에서 지지 부재 (32, 42, 52) (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비강 장치에 따른 비강 장치의 제조 방법은 원하는 비강 장치에 적합한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 몰드 내에 필터 부재 (20, 21, 26)를 배치하는 단계; 및 필터 부재가 비강 장치와 일체화되도록 몰드를 재료로 실질적으로 충전함으로써 비강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필터 부재 (20, 21, 26)는 비 절단 필터 부재로서 제공되며, 몰드의 상부 및 하부가 성형 전 또는 성형 중에 몰드에서 조립되거나 함께 제공될 때 몰드는 필터를 절단 또는 펀칭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서, 홀더 부재의 형상으로 미리 절단된 필터 부재가 성형 전에 몰드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몰드를 충전하기 전에 몰드에서 필터 부재 (26)의 원위측에 공극-형성 부재 (200c)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극 형성 부재 (200c)는 제공된 몰드 (200)의 필수 부분일 수 있고; 그러나, 그것은 또한 별도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형을 채우기 전에 금형의 한쪽에서 삽입될 수 있다. 비강 장치를 위한 원하는 재료로 몰드를 충전함으로써 비강 장치를 형성한 후, 공동으로부터 비강 장치를 제거하기 전 또는 후에 비강 충전 부재 (200c)가 비강 장치로부터 제거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필터 부재 (26)와 둥근 원위 부분 (5)의 내부 사이에 공극 (101)을 생성한다.
결과적인 비강 장치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근위 연장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관통-통과 접근 구멍 (100)을 갖는 원위 부분 (5)을 갖는 홀더 부재 (33, 43, 53) 및 필터 부재와 원위 단부 (5)의 내부 표면 사이의 내부 공극 (101)을 포함한다. 접근 구멍 (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강 장치의 제조 동안 공극 형성 부재를 제공한 결과이다. 다시 말해서, 필터 부재 (26)는 하나 이상의 관통-통과 접근 구멍 (100)의 근위에 배열된다.
관통 부재 (36, 46, 56)를 통해 필터 부재 (26)와 원위 단부 (5) 사이에 공극 (101)을 제공하는 이점은 비강 장치를 통한 공기 저항의 감소 및 이에 의해 필터 부재 (26)를 통한 향상된 공기 흐름이다. 가시적인 접근 구멍 (100)은 또한 사용자가 비강 장치의 삽입 방향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 즉 비교적 큰 관통 구멍 (36)을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공기 흐름이 최소로 영향을 받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공기 흐름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필터는 필터 부재 (26)의 원주 모두에서 일체로 연결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모든 관통 구멍 (36) 주위에 홀더 부재의 원위 단부에 추가로 부착되거나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터 부재의 홀더 부재에 대한 향상된 부착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강 장치는 비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에 분산되거나 표면에 배치된 방출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질은 비강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고/되거나 확산 또는 기화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방출성 물질은 비강 장치 자체의 재료에 혼합되거나,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에 코팅될 수 있다.
필터 부재 (20, 21)는 원하는 물질에 침지, 분무, 적하 또는 침지함으로써 조립 전에 제조될 수 있다.
방출성 물질은 홀더 부재, 지지 부재 및 필터 부재 중 하나 이상에 배열될 수 있다. 방출성 물질은 향기 또는 향수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냄새를 제공한다. 물질은 또한 멘톨 또는 다른 매력적인 향기일 수 있다. 또한, 방출성 물질은 의약 화합물 또는 조성물일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방출성 물질은 콧 구멍을 수화시키기 위해 물 또는 식염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8)

  1. 연장된 지지 부재 (2, 32, 42, 52, 62, 72, 82), 및
    상기 연장된 지지 부재 (2, 32, 42, 52, 62, 72, 82)의 각각의 단부에 각각 배열된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는 콧 구멍으로 향하는 원위 단부 및 상기 콧 구멍 개구부에 인접한 근위 단부와 함께 상기 콧 구멍에 삽입되도록 영역이 배치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는 일체로 형성되고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는 각각 원위-근위 연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종-형 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 각각은
    둥근 원위 부분 (5), 및
    근위 부분 (7)의 외주 둘레에 원주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림 (8, 38, 48, 58, 68, 78, 88)을 포함하는 개방 근위 부분 (7), 및
    상기 원위 부분 (5) 및 상기 근위 부분 (7)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 (9)으로서, 상기 중간 부분 (9)은 원위-근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인 평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주를 갖고, 상기 외주는 적어도 상기 원위 부분 (5)의 각각의 가장 큰 외주보다 작고,
    상기 근위 부분 (7)의 상기 외주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외부 림 (8, 38, 48, 58, 68, 78, 88)은 비강 장치가 콧 구멍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콧 구멍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콧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장치(1, 31, 41, 51, 61, 71, 8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 (9)의 상기 외주는 각각의 상기 원위 부분 (5) 및 근위 부분 (7) 의 가장 큰 외주 보다 작은
    비강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는 원위-근위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인 평면에서 일반적으로 오발(oval)형 또는 타원형인
    비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원위 부분 (5)에는 공기가 상기 원위 부분 (5)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 (6, 36, 46, 56, 66, 86)이 제공되는
    비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원위 부분 (5)에는 공기가 상기 원위 부분 (5)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6, 36, 46, 56)이 제공되며, 및 상기 원위 부분 (5)에서의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6, 36, 46, 56)은 허니콤 패턴을 형성하는
    비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2, 32, 42, 52, 62, 72, 82)의 길이는 조정 가능한
    비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는 상기 지지 부재 (2, 32, 42, 52, 62, 72, 82)와 결합되는
    비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림 (58)의 연장부는 상기 지지 부재 (52)를 형성하는
    비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부재 (20, 21, 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부재 (20, 21, 26)는 적어도 공기가 원위 방향으로 흐를 때 실질적으로 상기 비강 장치를 통과하는 모든 공기가 상기 필터 부재 (20, 21, 26)를 통과하도록 상기 원위 부분 (5) 또는 상기 중간 부분 (9) 내부에 배열된
    비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 (20, 21)는 상기 중간 부분 (9)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주 림 (24)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비강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 (20, 21)는 부착 부재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비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 (20, 21, 26)는 상기 홀더 부재에 일체로 부착되는
    비강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의 상기 원위 부분 (5)은 원위-근위 연장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관통-통과 접근 구멍 (100)을 더 포함하는
    비강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 (20, 21, 26)는 정전 필터인
    비강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 (20, 21, 26)는 기계적 필터인
    비강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 장치는 상기 비강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재료에 분산되거나 표면에 배치된 방출성 물질을 포함하는
    비강 장치.
  17. 연장된 지지 부재 (2, 32, 42, 52, 62, 72, 82),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홀더 부재 (3, 33, 43, 53, 63, 73, 83), 각각은 상기 연장된 지지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 배열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부재는 콧 구멍으로 향하는 원위 단부 및 콧 구멍 개구에 인접한 근위 단부를 갖는 콧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더 부재는 둥근 원위 부분 (5), 개방 근위 부분 (7) 및 상기 원위 부분 (5) 및 상기 근위 부분 (7)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 (9)을 포함하는 비강 장치 (1, 31, 41, 51, 61, 71, 81)의 형상에 적합한 몰드 (200)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필터 부재 (20, 21, 26)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필터 부재가 상기 비강 장치와 일체가 되도록 재료로 상기 몰드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비강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로 상기 재료를 충전하기 전에 상기 몰드 내의 상기 필터 부재 (26)의 원위 및 인접에 공극-형성 부재 (200c)가 제공되며, 및 상기 공극-충전 부재 (200c)는 상기 몰드를 충전한 후에 제거되어, 상기 필터 부재 (26) 및 상기 둥근 원위 부분 (5) 사이에 공극 (101)이 형성되는
    비강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7036687A 2017-05-12 2018-05-03 비강 장치 KR102583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750584-3 2017-05-12
SE1750584A SE542541C2 (en) 2017-05-12 2017-05-12 Nasal device
PCT/EP2018/061324 WO2018206388A1 (en) 2017-05-12 2018-05-03 Nas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14A true KR20200007014A (ko) 2020-01-21
KR102583240B1 KR102583240B1 (ko) 2023-09-25

Family

ID=6219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87A KR102583240B1 (ko) 2017-05-12 2018-05-03 비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71714B2 (ko)
EP (1) EP3621702A1 (ko)
JP (1) JP2020519421A (ko)
KR (1) KR102583240B1 (ko)
CN (1) CN110740787A (ko)
BR (1) BR112019023609B1 (ko)
CA (1) CA3062970C (ko)
MX (1) MX2019013361A (ko)
SE (1) SE542541C2 (ko)
WO (1) WO2018206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5184B1 (en) * 2019-05-30 2022-02-01 Gregory Gary Caputy Intranasal cannula apparatus for filtering air
WO2021045701A1 (en) * 2019-09-05 2021-03-11 Islam Ahmet Intranasal splint comprising angled wing structure
US11707592B2 (en) * 2019-09-30 2023-07-25 Worldwide Health Innovations, LLC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an enriched gas within a nasal vestibule
IL294485A (en) 2020-01-22 2022-09-01 Seelos Therapeutics Inc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nmda antagonists
US11918502B2 (en) * 2020-04-02 2024-03-05 Peter Catalano Bi-flow nasal stent
CN111632291A (zh) * 2020-06-10 2020-09-08 方卉蓉 一种鼻塞式呼吸防护器及制作方法
CN112755373B (zh) * 2021-01-12 2022-10-04 天津中医药大学 一种鼻塞
TW202310825A (zh) 2021-05-14 2023-03-16 美商西羅斯醫療公司 減少nmda受體拮抗劑之副作用
WO2022241214A1 (en) 2021-05-14 2022-11-17 Seelo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nmda receptor antagonists
CN113907953B (zh) * 2021-11-05 2023-01-3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鼻部护理的通气型鼻部包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61A (ko) * 1999-02-05 1999-05-25 김조천 피흡연자용휴대형코마개
WO1999048562A2 (en) * 1998-03-20 1999-09-30 Louis Van Den Bergh Nose protection element
KR20020064400A (ko) * 2001-02-01 2002-08-09 이장현 임의 탈거 및 과다삽입을 방지하고 거부감이 없는 코마개
KR20160129261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에이플렉스 휴대용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3094A (en) 1930-01-27 1931-09-15 Dylong John Inhaler
FR1211911A (fr) 1958-12-22 1960-03-18 Protecteur des voies respiratoires
US4221217A (en) * 1978-05-01 1980-09-09 Amezcua Saul O Nasal device
US4200150A (en) 1978-10-19 1980-04-29 Texaco Inc. Methods and hydraulically expandable self-cleaning sand screens
US4327719A (en) 1980-12-15 1982-05-04 Childers Irene J Nose filter
JPS59184841U (ja) 1983-05-30 1984-12-08 日東工器株式会社 鼻腔装着用酸素富化具
DE8804725U1 (ko) * 1988-04-11 1988-05-26 Weng, Kuo-Chin, Chiayi City, Tw
US5425359A (en) * 1994-08-29 1995-06-20 Liou; Nan-Tien Nose plug structure with filter
CN2250782Y (zh) 1995-09-28 1997-04-02 代春义 呼吸防尘具
US5890491A (en) * 1997-09-03 1999-04-06 Amtec Products, Inc. Nose filter
JP3877431B2 (ja) * 1998-06-01 2007-02-07 花王株式会社 鼻フィルター
AUPQ582100A0 (en) 2000-02-24 2000-03-16 Irm Technologies Pty Ltd Nasal filter and sampler
USD451193S1 (en) 2001-01-26 2001-11-27 Mccormick Toby Nasal filter
DE20101539U1 (de) 2001-01-30 2001-06-13 Zimerman Augustin Nasenfilter
US8403954B2 (en) * 2001-05-22 2013-03-26 Sanostec Corp. Nasal congestion, obstruction relief, and drug delivery
GB0203524D0 (en) * 2002-02-14 2002-04-03 Soper Adrian J Filtration device
CN1655849B (zh) 2002-05-22 2010-05-05 生物国际株式会社 鼻罩
CN2617418Y (zh) * 2003-05-09 2004-05-26 赵明洲 鼻塞式呼吸过滤器
US7156098B2 (en) * 2004-03-19 2007-01-02 Dolezal Creative Innovations, Llc Breathing air filtration system
US8833369B2 (en) 2004-03-19 2014-09-16 Airware, Inc. Breathing air filtration devices
US7918225B2 (en) * 2004-03-19 2011-04-05 Airwave, Inc. Breathing air filtration devices
US9095735B2 (en) * 2005-05-17 2015-08-04 Boris Kashmakov Nose filter
SE535611C2 (sv) * 2010-06-24 2012-10-16 Nose Option Ab Näsplugg
US9433808B2 (en) * 2010-09-13 2016-09-06 Ideas & Innovations, Llc Nasal filtration system
US9259501B2 (en) * 2013-03-15 2016-02-16 Al Santelli, JR. Antimicrobial nasal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203417413U (zh) * 2013-08-01 2014-02-05 台湾奈米滤材科技股份有限公司 鼻罩
JP3186912U (ja) * 2013-08-19 2013-10-31 台湾奈米濾材科技股▲ふん▼有限公司 鼻マスク
US20160256716A1 (en) * 2013-10-17 2016-09-08 Wang Lei Nasal filter
TWM476614U (en) * 2014-01-10 2014-04-21 Taiwan Nano Filter Tech Co Ltd Nose mask
PL3102275T3 (pl) * 2014-03-21 2020-11-02 Nasal Medical Limited Ekspander do nosa
CN203935538U (zh) * 2014-06-24 2014-11-12 徐玉泉 一种用于过滤空气的内置型鼻罩
CN204246706U (zh) 2014-10-15 2015-04-08 袁中义 一种鼻塞过滤器
TWM501266U (zh) 2015-03-04 2015-05-21 Chao Chao Chih 空氣過濾裝置及其組件
CN105413081A (zh) 2015-12-14 2016-03-23 海峡医疗器械工程研究中心(常州)有限公司 用于微细悬浮粒辅助净化的湿式鼻腔呼吸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8562A2 (en) * 1998-03-20 1999-09-30 Louis Van Den Bergh Nose protection element
KR19990037861A (ko) * 1999-02-05 1999-05-25 김조천 피흡연자용휴대형코마개
KR20020064400A (ko) * 2001-02-01 2002-08-09 이장현 임의 탈거 및 과다삽입을 방지하고 거부감이 없는 코마개
KR20160129261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에이플렉스 휴대용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23609A2 (pt) 2020-05-26
SE542541C2 (en) 2020-06-02
KR102583240B1 (ko) 2023-09-25
CA3062970C (en) 2023-11-21
CA3062970A1 (en) 2018-11-15
EP3621702A1 (en) 2020-03-18
JP2020519421A (ja) 2020-07-02
CN110740787A (zh) 2020-01-31
MX2019013361A (es) 2020-08-03
WO2018206388A1 (en) 2018-11-15
BR112019023609B1 (pt) 2023-12-12
US20200206547A1 (en) 2020-07-02
SE1750584A1 (en) 2018-11-13
US11471714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2970C (en) Nasal device
US10716700B2 (en) Nasal insert and cannula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US20170065838A1 (en) Filtering facemask holder
JP5930479B2 (ja) 鼻栓
US9433808B2 (en) Nasal filtration system
JP2014158968A (ja) 吸気濾過装置
JPH09511424A (ja) 吸入装置の弁
WO2009096875A1 (en) Nose device
JP5801827B2 (ja) ブリージングプロテクター
WO2005004993A1 (fr) Filtre nasal
WO2016042623A1 (ja) 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ーバッグ及び通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WO2018194788A1 (en) Nasal filtration system
US6986348B2 (en) Cough-a-lizer
US20180071174A1 (en) Cough spread control device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US11420081B1 (en) Nasal filtration apparatus
US11794042B2 (en) Nose filtering device
US20220000720A1 (en) Pacifier with fluid passageway and exchangeable housing
JP2007503230A (ja) 鼻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