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291A -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291A
KR20200006291A KR1020180079849A KR20180079849A KR20200006291A KR 20200006291 A KR20200006291 A KR 20200006291A KR 1020180079849 A KR1020180079849 A KR 1020180079849A KR 20180079849 A KR20180079849 A KR 20180079849A KR 20200006291 A KR20200006291 A KR 2020000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ecompression
channel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846B1 (ko
Inventor
홍진표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46B1/ko
Priority to US16/506,015 priority patent/US11427455B2/en
Publication of KR2020000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4Automatic carbon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16K47/06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with a throttle in the form of a helical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83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electrically or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는, 음료가 유입되는 인렛 및 음료가 취출되는 아웃렛이 형성된 감압 케이스; 감압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바디와, 이너바디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감압 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감압 이너부재; 및 감압 케이스와 감압 이너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인렛과 연통되는 입구 및 아웃렛과 연통되는 출구를 가지며,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DECOMPRESSION DEVICE AND BAVERAGE M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은 취출되는 발효 음료를 감압시키는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효 음료가 취출되는 과정에서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감압 기구와, 상기 감압 기구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는, 음료의 유동 방향을 따라 내부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하여 음료의 압력을 서서히 감압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는, 음료가 유입되는 인렛 및 음료가 취출되는 아웃렛이 형성된 감압 케이스;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바디와, 상기 이너바디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감압 이너부재; 및 상기 감압 케이스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과 연통되는 입구 및 상기 아웃렛과 연통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경은 상기 인렛에서 상기 아웃렛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감압 케이스에는 상기 감압 이너부재가 인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렛과 상기 아웃렛 중 상기 인렛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이너부재는, 상기 개방부를 막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케이스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 사이의 틈을 막는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이너부재에는, 상기 이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돌출되고 상기 실링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인렛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둘레 중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골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골 중에서 상기 입구에 대응되는 제1지점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골 중에서 상기 출구에 대응되는 제2지점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지점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지점의 곡률 반경의 1.1배 이상 1.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감압 채널의 길이는, 상기 제1지점의 곡률 반경의 100배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 모듈과 연통된 제1음료 취출채널; 상기 제1음료 취출채널에 설치된 음료 취출밸브; 상기 음료 취출밸브를 통과한 음료가 유입되는 감압 기구; 상기 감압 기구를 통과한 음료가 유입되고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기구는,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연통되는 인렛 및 상기 디스펜서와 연통되는 아웃렛이 형성된 감압 케이스;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한 이너바디와, 상기 이너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이너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감압 이너부재; 및 상기 감압 케이스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 및 아웃렛과 연통되며 상기 인렛에서 상기 아웃렛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기구는, 음료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상기 디스펜서 중 상기 음료 취출밸브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압 기구 및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상기 인렛을 연결하는 제1피팅; 및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아웃렛을 연결하는 제2피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피팅 및 제2피팅은 상기 감압 기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감압 채널의 내부 단면적이 서서히 증가하므로, 감압 채널을 통과하는 음료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경되지 않아 음료의 거품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감압 채널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는 이너 바디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감압 채널의 길이가 길어지면서도 감압 기구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실링에 의해 감압 기구로 유입된 음료가 감압 케이스의 개방부와 감압 이너부재의 커버부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압 기구가 제1피팅 및 제2피팅에 의해 지지되어, 별도의 감압기구 지지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음료 취출밸브의 오픈 시 디스펜서에서 취출되는 음료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밸브 및 감압기구를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112)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에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된 튜브(115A)가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튜브(115A)의 하단은 발효 컨테이너(12)의 바닥에 인접할 수 있고, 음료의 취출 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튜브(115A)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온도 조절기(13)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3)는 발효조(112)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냉각 사이클 장치와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13)는 열전소자(TEM)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온도조절기(13)의 냉각사이클 장치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이나 포드(po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컨테이너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재료 컨테이너(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재료 컨테이너(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재료 컨테이너(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입구(31A)에는 제1메인 채널(41)이 연결되고,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출구(31B)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입구(32A)와 연통되고,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출구(32B)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입구(33A)와 연통되고,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발효 모듈(1)과 연통된 제1음료 취출채널(61A)과, 제1음료 취출채널(61A)에 설치된 음료 취출밸브(64)와, 제1음료 취출채널(61A)에 연결된 감압기구(90)와, 감압기구(90)를 통과한 음료가 유동되는 제2음료 취출채널(61B)과, 제2음료 취출채널(61B)에 연결된 디스펜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음료 취출채널(61A)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되어 발효 모듈(1)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음료 취출채널(61A)은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제1음료 취출채널(61A)의 일 단(60)은 제2메인 채널(42)에 재료 공급기(3)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감압기구(90)에 연결될 수 있다.
감압 기구(90)는 음료의 취출 방향에 대해 음료 취출밸브(64)의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감압 기구(90)는,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음료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감압 기구(90)는 음료 취출밸브(6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감압 기구(90)는 음료의 유동 방향에 대해 음료 취출밸브(64)와 디스펜서(62) 중 음료 취출밸브(64)에 더 인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취출밸브(64)와 감압 기구(9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감압 기구(90)를 통과하는 음료의 압력은 서서히 낮아지며, 감압 기구(90)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되며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감압 기구(9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제1음료 취출채널(61A)에는, 제1음료 취출채널(61A)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제2음료 취출채널(61B)은 감압 기구(90)와 디스펜서(62)를 연결할 수 있다. 감압 기구(90)를 통과한 음료는 제2음료 취출채널(61B)을 통해 디스펜서(62)로 안내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는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620)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부(620)를 조작하여 음료의 취출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620)를 개방하면 디스펜서(62)에서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동될 수 있고, 오픈된 가스 배출밸브(73)로 배출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발효 단계시 가스 배출밸브(73)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또는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통과하며 잔수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발효조(112)가 아닌 발효 리드(107)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 중 음료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음료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수조(51)는 발효 모듈(1)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51)와 발효 모듈(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수조 리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발효 리드(107)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통일감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부품을 수조 리드(110)와 발효 리드(107)로 각각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01)(202)(210)(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1)(202)(210)(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작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201)(202)(210)(22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와,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51)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9)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커버(202)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수조 리드(110)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와 수조 리드(110)를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방측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의 양 측단은 각각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에 접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음료 제조기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사이를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배면은 리어 커버(2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디스펜서(62)는 프론트 커버(2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음료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의 레버(620)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디스펜서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장착부(214)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와 제2음료 취출채널(61B)로 연결된 감압기구(90)(도 1 참조)는 프론트 커버(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감압기구(90)는 좌우 방향으로 발효 모듈(1)과 수조(5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감압 기구(9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감압 기구(90)는 감압 케이스(91)와, 상기 갑압 케이스(91)의 내부로 인입되는 감압 이너부재(92)와, 상기 감압 케이스(91)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92)의 사이에 형성된 감압 채널(61C)을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케이스(9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감압 케이스(9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압 케이스(9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 또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압 케이스(91)에는 감압 이너부재(92)가 인입되는 개방부(91D)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감압 케이스(91)의 내부는 상기 개방부(91D)와 연통된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감압 케이스(91)의 개방부(91D)는 후술할 인렛(91A) 및 아웃렛(91B) 중 인렛(91A)에 더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방부(91D)는 감압 케이스(91)의 저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압 케이스(91)에는 음료가 유입되는 인렛(91A) 및 음료가 취출되는 아웃렛(91B)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91A)에는 제1음료 취출채널(61A)(도 1 참조)이 연결될 수 있고, 아웃렛(91B)에는 제2음료 취출채널(61B)(도 1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인렛(91A) 및 아웃렛(91B)은 감압 채널(61C)과 연통될 수 있다. 인렛(91A)으로 유입된 음료는 감압 채널(61C)을 통과하여 아웃렛(91B)으로 취출될 수 있다.
인렛(91A) 및 아웃렛(91B)은 감압 케이스(9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렛(91A) 및 아웃렛(91B)의 연장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인렛(91A)과 아웃렛(91B)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인렛(91A)은 감압 케이스(91)의 하부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아웃렛(91B)은 감압 케이스(9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91C)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웃렛(91B)이 감압 케이스(91)의 상부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감압 케이스(91)의 내경은 인렛(91A)에서 아웃렛(91B)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례로 감압 케이스(91)의 내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감압 케이스(91)의 하단 내경(D1)은 감압 케이스(91)의 상단 내경(D2)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감압 케이스(91)의 상단은 돌출부(91C)를 제외한 부분의 상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감압 이너 부재(92)는 감압 케이스(91)의 개방부(91D)를 통해 감압 케이스(9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감압 이너부재(92)는 감압 케이스(91)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 바디(93)와, 상기 이너 바디(93)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93)는 대략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감압 기구(90)의 중량을 낮추기 위해, 이너 바디(93)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바디(93)는 이너 케이스(91)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이너 바디(9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94)는 음료가 감압 채널(61C)을 따라 유동하도록 음료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94)는 이너 바디(93)의 외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94)는 이너바디(93)의 하부에서 상부로 나선형으로 감아 올라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부(94)는 나사산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94)는 이너 케이스(91)의 내둘레에 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이드부(94)는 감압 케이스(91)의 내둘레에 접하는 마루(94A)와, 일 마루(94A)와 타 마루(94A)의 사이에 위치하며 갑압 케이스(91)의 내둘레와 이격된 골(94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94)의 상기 구성에 의해, 감압 채널(61C)은 감압 이너부재(92)와 감압 케이스(9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감압 채널(61C)은 가이드부(94)와 감압 케이스(91)의 내둘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감압 채널(61C)은 감압 이너 부재(92)의 외둘레를 감아 올라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선 구조에 의해 감압 채널(61C)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감압 채널(61C)의 길이가 길어지면서도 감압 기구(90)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감압 채널(61C)은 인렛(91A) 및 아웃렛(91B)을 통해 제1음료 취출채널(61A)(도 1 참조) 및 제2음료 취출채널(62B)(도 1 참조)과 각각 연통될 수 있다. 감압 채널(61C)은 제1음료 취출채널(61A)에서 인렛(91A)을 통해 유입된 음료를 아웃렛(91B)으로 안내할 수 있고, 음료는 아웃렛(91B)을 통해 제2음료 취출채널(61B)로 취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감압 채널(61C)은 인렛(91A)과 연통되는 입구(PI) 및 아웃렛(91B)과 연통되는 출구(PO)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채널(61C)은 입구(PI)에서 출구(PO)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감압채널(61C)의 입구(PI)의 단면적은 출구(PO)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감압 채널의 출구의 단면적은, 감압채널의 입구의 단면적의 1.2배 이상 2.3배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6배에 근접할 수 있다.
이로써 감압 채널(61C)을 유동하는 음료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감되지 않고 완만히 저감되어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94)의 골(94B)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94)의 골(94B) 중에서 감압 채널(61C)의 입구(PI)에 대응되는 제1지점(P1)의 곡률반경(R1)은, 상기 가이드부(94)의 골(94B) 중에서 감압 채널(61C)의 출구(PO)에 대응되는 제2지점(P2)의 곡률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가이드부(94)의 골(94B)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점(P2)의 곡률 반경(R2)은, 상기 제1지점(P1)의 곡률 반경(R1)의 1.1배 이상 1.5배 이하일 수 있고, 1.25배에 근접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제1지점(P1)의 곡률 반경(R1)은 대략 3.5mm일 수 있고, 상기 제2지점(P2)의 곡률 반경(R2)은 대략 4.5mm일 수 있다.
또한, 감압 채널(61C)의 길이는 가이드부(94)의 골(94B)의 곡률 반경보다 훨씬 길 수 있다. 이는 감압 채널(61C)을 유동하는 음료를 충분히 서서히 감압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감압 채널(61C)의 길이는, 상기 제1지점(P1)의 곡률 반경(R1)의 100배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0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점(P1)의 곡률 반경(R1)은 대략 3.5mm일 수 있고, 감압 채널의 길이는 대략 432mm일 수 있다.
한편, 감압 이너부재(92)는 감압 케이스(91)의 개방부(91D)를 막는 커버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95)는 이너 바디(9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95)는 가이드부(94)와 이격될 수 있다.
커버부(95)의 크기는 감압 케이스(91)의 개방부(91D)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감압 케이스(91)에는 제1체결부(96)가 형성되고, 커버부(95)에는 상기 제1체결부(96)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9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96)는 개방부(91D)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체결부(96)는 감압 케이스(9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96)는 감압 케이스(91)의 하부 외둘레에서 감압 케이스(9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96)는 체결 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보스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부(97)는 제1체결부(9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체결부(97)는 커버부(95)의 외둘레에서 커버부(95)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9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의 개수는 상기 체결보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체결부(96)와 제2체결부(97)가 서로 체결될 수 있고, 감압 케이스(91)와 감압 이너부재(92)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감압 기구(90)는 감압 케이스(91)의 개방부(91D)와 감압 이너부재(92) 사이의 틈을 막는 실링(9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99)은 오 링(O-ring)을 포함할 수 있고, 감압 이너부재(92)에는 실링(99)이 고정되는 고정부(98)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98)는 가이드부(94)와 이격될 수 있고, 감압 케이스(91)의 인렛(91A)은 이너 바디(93)의 외둘레 중 가이드부(94)와 고정부(98)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98)는 이너 바디(93)의 외둘레에서 이너 바디(93)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링(99)은 고정부(98)와 커버부(95)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고정부(98)는 이너 바디(93)에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실링(99)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링(99)의 구성에 의해, 인렛(91A)으로 유입된 음료가 감압 채널(61C)로 유동되지 않고 개방부(91D)와 커버부(95)의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음료 취출밸브의 오픈 시 디스펜서에서 취출되는 음료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 바디(600), 승강바디(610), 레버(620) 및 리미트 스위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에는 음료 취출채널(61)과 연결된 디스펜서 채널(611)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채널(611)는 디스펜서 바디(600)을 따라 수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제1디스펜서 채널(612)과, 제1디스펜서 채널(612)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꺾이게 형성된 제2디스펜서 채널(613)을 포함할 수 있다.
감압 기구(90)를 통과하여 제2음료 취출채널(61B)로 안내된 음료는, 승강바디(610)의 개방시 제1디스펜서 채널(612)와 제2디스펜서 채널(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디스펜서 채널(613)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는 디스펜서 바디(600) 내부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 에는 승강바디(610)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10A)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 바디(600)에 내장되어 승강바디(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밸브 스프링(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640)는 디스펜서 바디(600)의 가이드부(61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를 하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레버(620)는 승강바디(6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승강바디(6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레버(620)는 승강바디(610)의 상부에 힌지(621) 연결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승강바디(61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600) 에는 리미트 스위치(630)가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부(630A)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에는 그 상승시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631)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4)가 돌출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면 조작돌기(614)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가 접점될 수 있고,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면 리미트 스위치(630)의 단자가 접점 해제될 수 있다.
레버(620)가 수평하게 눕혀질 경우, 승강바디(610)는 상승되어 리미트 스위치(630)를 온 시킬 수 있고, 레버(62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바디(610)는 하강되어 리미트 스위치(63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630)는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온, 오프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레버(620)를 조작하면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며 리미트 스위치(630)가 접점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디스펜서(62)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킬 수 있고, 제1음료 취출채널(61A)의 음료는 음료 취출밸브(64), 감압 기구(90), 제2음료 취출채널(6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 채널(611)로 유동될 수 있고,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레버(620)를 조작하면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며 리미트 스위치(630)가 접점 해제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디스펜서(62)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고, 제1음료 취출채널(61A)의 음료는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할 수 없다.
디스펜서 바디(600)는 프론트 커버(213)에 형성된 디스펜서 장착부(214)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장착부(214)는 프론트 커버(2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펜서(62)는 프론트 커버(21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 장착부(214)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는 디스펜서 바디(600) 또는 제2음료취출 채널(61B)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밸브 및 감압기구를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음료 취출밸브(64) 및 감압 기구(90)는 프론트 커버(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취출밸브(64) 및 감압 기구(90)는 좌우 방향으로 발효 모듈(1)과 수조(51)(도 2 참조)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프론트 커버(21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감압 기구는 프론트 커버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감압 기구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음료 취출밸브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압 기구의 인렛 및 아웃렛은 감압 케이스에서 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료 취출밸브(64)와 감압 기구(90)는 프론트 커버(210)에 인접하거나 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의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제1음료 취출채널(61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피팅(65A)과, 제2음료 취출채널(61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피팅(6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피팅(65A)의 내부 채널은 제1음료 취출채널(61A)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제2피팅(65B)의 내부 채널은 제2음료 취출채널(62A)을 구성할 수 있다.
제1피팅(65A)은 감압 기구(90)의 인렛(91A)과 음료 취출밸브(64)를 연결할 수 있고, 제2피팅(65B)은 감압 기구(90)의 아웃렛(91B)과 디스펜서(6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피팅(65A) 및 제2피팅(65B)은 감압 기구(9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감압 기구(90)는 제1피팅(65A) 및 제2피팅(65B)에 의해 지지되어 허공에 매달려 있을 수 있고, 감압 기구(90)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구조가 없이도 위치가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음료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는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에어 주입펌프(82)를 온시킬 수 있고, 에어공급 개폐밸브(159)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때, 배기밸브(156)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에어 주입펌프(82)의 온 시, 에어는 에어 주입채널(81) 및 에어 공급채널(154)를 차례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튜브(115A)를 통해 메인채널 연결부(115)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에서 메인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하여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밸브(40)를 통과하여 제1음료 취출채널(61A)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음료 취출채널(61A)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감압기구(90)의 인렛(9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인렛(91A)으로 유입된 음료는 감압 케이스(91)와 감압 이너부재(92) 사이에 형성된 나선형의 감압 채널(61C)을 따라 유동되며, 내압이 서서히 감소할 수 있다. 감압 채널(61C)을 통과한 음료는 아웃렛(91B)으로 유출될 수 있고, 제2음료 취출채널(61B)에 의해 디스펜서(62)의 디스펜서 채널(611)로 안내될 수 있다.
디스펜서 채널(611)로 유입된 음료는 제1디스펜서 채널(612)과 제2디스펜서 채널(6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통해 음료를 일부 취출한 후 디스펜서(62)를 클로즈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리미트 스위치(630)는 접점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메인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모듈 6: 음료 취출기
61A: 제1음료취출 채널 61B: 제2음료취출 채널
61C: 감압 채널 62: 디스펜서
65A: 제1피팅 65B: 제2피팅
90: 감압 기구 91: 감압 케이스
91A: 인렛 91B: 아웃렛
91D: 개방부 92: 감압 이너부재
93: 이너바디 94: 가이드부
95: 커버부 96: 제1체결부
97: 제2체결부 98: 고정부
99: 실링 PI: (감압채널의) 입구
PO: (감압채널의) 출구

Claims (17)

  1. 음료가 유입되는 인렛 및 음료가 취출되는 아웃렛이 형성된 감압 케이스;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바디와, 상기 이너바디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감압 이너부재; 및
    상기 감압 케이스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과 연통되는 입구 및 상기 아웃렛과 연통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하는 감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경은 상기 인렛에서 상기 아웃렛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는 감압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케이스에는 상기 감압 이너부재가 인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렛과 상기 아웃렛 중 상기 인렛에 더 인접한 감압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이너부재는, 상기 개방부를 막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감압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케이스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감압 기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 사이의 틈을 막는 실링을 더 포함하는 감압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이너부재에는, 상기 이너 바디의 외둘레에서 돌출되고 상기 실링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감압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인렛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둘레 중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를 향하는 감압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과 아웃렛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감압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골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골 중에서 상기 입구에 대응되는 제1지점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골 중에서 상기 출구에 대응되는 제2지점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감압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점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지점의 곡률 반경의 1.1배 이상 1.5배 이하인 감압 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채널의 길이는, 상기 제1지점의 곡률 반경의 100배 이상인 감압 기구.
  13. 발효 모듈;
    상기 발효 모듈과 연통된 제1음료 취출채널;
    상기 제1음료 취출채널에 설치된 음료 취출밸브;
    상기 음료 취출밸브를 통과한 음료가 유입되는 감압 기구;
    상기 감압 기구를 통과한 음료가 유입되고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기구는,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연통되는 인렛 및 상기 디스펜서와 연통되는 아웃렛이 형성된 감압 케이스;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한 이너바디와, 상기 이너바디의 외둘레에서 상기 이너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 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감압 이너부재; 및
    상기 감압 케이스와 상기 감압 이너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 및 아웃렛과 연통되며 상기 인렛에서 상기 아웃렛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감압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기구는, 음료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상기 디스펜서 중 상기 음료 취출밸브에 더 인접한 음료 제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압 기구 및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된 음료 제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체결된 음료 제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취출밸브와 상기 인렛을 연결하는 제1피팅; 및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아웃렛을 연결하는 제2피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피팅 및 제2피팅은 상기 감압 기구를 지지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180079849A 2018-07-10 2018-07-10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9A KR102630846B1 (ko) 2018-07-10 2018-07-10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US16/506,015 US11427455B2 (en) 2018-07-10 2019-07-09 Decompression mechanism and beverage maker having decompression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849A KR102630846B1 (ko) 2018-07-10 2018-07-10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91A true KR20200006291A (ko) 2020-01-20
KR102630846B1 KR102630846B1 (ko) 2024-01-30

Family

ID=6913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849A KR102630846B1 (ko) 2018-07-10 2018-07-10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27455B2 (ko)
KR (1) KR1026308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498A (ja) * 2000-03-10 2001-09-18 Nippon Tansan Gas Co Ltd 炭酸飲料抽出用減圧器
JP2006513936A (ja) * 2003-03-13 2006-04-27 ラミナール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飲料注ぎ出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3115A (en) * 1942-05-20 1943-06-2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Hydraulic resistance apparatus
US2447920A (en) * 1946-07-03 1948-08-24 Cash A W Co Flow-proportioning valve
US3840209A (en) * 1970-07-29 1974-10-08 Anglo Amer Corp South Africa Flow controlling devices
US3878360A (en) * 1973-08-31 1975-04-15 Sunbeam Corp Liquid heating and dispensing appliance
US4044991A (en) * 1975-10-06 1977-08-30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High energy loss fluid flow control device
US4506423A (en) * 1980-12-24 1985-03-26 Hitachi, Ltd. Method of producing a fluid pressure reducing device
US4634434A (en) * 1985-02-19 1987-01-06 Biomedical Dynam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in medical apparatus
US6981689B2 (en) * 2004-04-08 2006-01-03 Gueorgui Milev Mihaylov Hybrid flow metering valve
AU2006219331C1 (en) * 2005-02-28 2009-05-28 Daikin Industries, Ltd.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device
DK2173849T3 (en) * 2007-08-01 2018-03-19 Williamswarn Holdings Ltd COMBINED BREWING SYSTEM
CN104433811B (zh) * 2013-09-16 2018-03-1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咖啡饮水机
CN107400584B (zh) * 2016-05-18 2021-06-29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498A (ja) * 2000-03-10 2001-09-18 Nippon Tansan Gas Co Ltd 炭酸飲料抽出用減圧器
JP2006513936A (ja) * 2003-03-13 2006-04-27 ラミナール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飲料注ぎ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46B1 (ko) 2024-01-30
US20200017346A1 (en) 2020-01-16
US11427455B2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595B1 (ko) 음료 제조기
KR102304274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74637A (ko) 음료 제조기
KR20200138129A (ko) 음료 제조기
US20200181547A1 (en) Fermentation container and beverage maker having fermentation container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457236B1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200068299A (ko) 음료 제조기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07187A (ko) 음료 취출기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288718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1262B1 (ko) 음료 제조기
KR102359639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50B1 (ko) 음료 제조기
KR20190014762A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