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121A -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121A
KR20200006121A KR1020197036825A KR20197036825A KR20200006121A KR 20200006121 A KR20200006121 A KR 20200006121A KR 1020197036825 A KR1020197036825 A KR 1020197036825A KR 20197036825 A KR20197036825 A KR 20197036825A KR 20200006121 A KR20200006121 A KR 20200006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ortion
bottle
curved
curl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632B1 (ko
Inventor
도시유키 하세가와
마사오미 다무라
도모히코 나카무라
노부히로 사사지마
다케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틀캔의 컬부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높은 캔 내 압력 혹은 가열 살균 시에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여, 캡 개전 시의 흘러넘치는 것이 일어나기 어렵게 하여, 리시일의 오인을 억제한다. 보틀캔(1)은, 구부(1D)의 개구단에 컬부(10)를 마련하고, 컬부(10)는, 상단 만곡부(11)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외벽부(12)를 구비하며, 외벽부(12)가, 상단 만곡부(11)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외향 볼록하게 걸림고정부를 형성하는 제1 만곡부(12A)와, 제1 만곡부(12A)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12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틀캔의 제조는, 알루미늄제나 그 합금제의 금속판을 드로잉 가공과 아이어닝 가공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상의 성형체를 얻고, 그 후, 개구부가 넥 성형 가공됨으로써 견부(肩部)나 구부(口部)가 형성된다. 또한, 그 구부에는, 나사 성형 가공이 실시됨과 함께, 구부의 개구단에는, 컬 성형 가공에 의하여 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캔체의 구부에 형성되는 컬부는, 구부에 피착되는 캡의 시일재와의 밀봉성 등을 고려하여, 각종의 가공 형상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되접어 꺾어 형성되는 컬부가, 보틀캔의 캔축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외면 측벽부와, 외면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하는 외면 측 철곡부와, 외면 측 철곡부로부터 또한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하는 내면 측 철곡부를 구비하고, 외면 측벽부를 소정 길이 이상으로 함과 함께, 압궤 가공에 의하여 직선상으로 성형되는 외면 측벽부와 외면 측 철곡부와의 접속부를, 보틀캔의 상단(구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간시킨 형상으로 한 것이 나타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17305호
상술한 종래 기술은, 컬부에 있어서의 외면 측벽부와 외면 측 철곡부와의 접속부를, 보틀캔의 상단으로부터 이간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접속부를 시일 포인트로 하고, 내면에 라이너재가 배설된 캡이 피착된 캡을 갖는 보틀캔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내용물이 충전된 캡을 갖는 보틀캔의 캔 내 압력이 높아지면, 압력에 의한 캡의 부상으로 상술한 시일 포인트가 라이너재로부터 멀어져, 캔축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외면 측벽부만이 라이너재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때, 라이너재와 외면 측벽부와의 접촉 길이는, 내용물의 충전 온도나 캡핑 공정에서의 탑(top) 하중 등의 조건으로 다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들 조건에 따라서는 충분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내용물 충전 후에 가열 살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살균 중에 캔 내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밀봉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 캡을 갖는 보틀캔은, 비탄산 음료에 있어서의 캔 내를 양압(陽壓)으로 하여 박육화(薄肉化)하기 위하여, 캔 내의 헤드 스페이스에 액체 질소를 충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캔 내의 헤드 스페이스가 질소로 가압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용물이 충전된 캡을 갖는 보틀캔을 흔들거나 하여, 캔 내의 내용물이 거품이 인 상태가 되면, 캡 개전(開栓) 시에 거품이 인 내용물이 캔 내 압력으로 흘러넘치는 불편이 발생하기 쉽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캡 개전 직후에, 캔 내압이 대기 개방되므로, 상술한 흘러넘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캡의 라이너재를 컬부의 하방에서 캔축 측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는 형상(언더 컷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흘러넘치는 문제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언더 컷 형상에 있어서 언더 컷 양을 크게 하면, 캡을 일단 개전하고, 리시일할 때에, 라이너재의 언더 컷 부분이 저항이 되어 리시일 토크가 상승하게 되어, 리시일을 완료했다고 느끼는 시점에서 리시일이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은 리시일의 오인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리시일의 오인은, 리시일했다고 생각하고 내용물이 남아있는 캡을 갖는 보틀캔을 가방 속 등에서 눕혀버려, 액 누출로 가방 속 등을 적셔 버리는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라이너재의 언더 컷 양을 최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언더 컷 양은 내용물의 충전 온도, 캡핑 조건 등에 의하여 변동하여,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즉, 보틀캔의 컬부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높은 캔 내 압력 혹은 가열 살균 시에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 캡 개전 시의 흘러넘치는 것이 일어나기 어렵게 하는 것, 리시일의 오인을 억제하는 것 등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구부의 개구단에 컬부를 마련한 보틀캔으로서, 상기 컬부는, 상단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외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가, 상기 상단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외향 볼록하게 걸림고정부를 형성하는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보틀캔의 컬부의 외벽부에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를 마련함으로써, 걸림고정부에 라이너재의 언더 컷이 걸리는 작용에 의하여, 높은 캔 내 압력 혹은 가열 살균 시에도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의 사이의 라이너재의 언더 컷으로 캡 개전 시의 흘러넘치는 것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에 의한 언더 컷 양의 조정으로 리시일 토크의 상승을 억제하여, 리시일의 오인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틀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틀캔의 컬부를 나타낸 설명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캡을 갖는 보틀캔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보틀캔의 컬부를 나타낸 설명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보틀캔의 컬부를 나타낸 설명도(단면도)이다.
도 6은 컬부의 성형 방법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a)가 제1 단계의 성형을 나타내고, (b)가 제2 단계의 성형을 나타냄)이다.
도 7은 도 6의 성형을 행하기 위한 아우터 툴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a)가 정면도, (b)가 (a)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도에 있어서의 동일 부호는 동일 기능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도에 있어서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캔(1)은, 예를 들면, 바닥부(1A), 동부(胴部)(1B), 견부(1C), 구부(1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틀캔(1)은,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을 원형상으로 펀칭하고, 그것을 드로잉 가공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상체를 얻어, 그것을 다시 드로잉, 아이어닝 가공하여, 소정 두께의 원통상의 캔을 일단 얻는다. 그 후, 넥 인 가공에 의하여, 원통상의 캔의 개구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축경시켜 견부(1C) 및 구부(1D)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부(1D)에, 스커트부(21) 및 나사부(22)를 스피닝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어서, 나사부(22)의 상방에, 상향 내측으로 경사진 넥 숄더부(20)가 넥 인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넥 숄더부(20)의 상방의 개구단에 컬부(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틀캔(1)의 컬부(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컬부(10)는, 넥 숄더부(20)의 상방을 외측으로 만곡시킨 상단 만곡부(11)를 갖고, 또한, 상단 만곡부(11)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외벽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 만곡부(11)는,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이 Ra인 내측 만곡부(11A)와 곡률 반경이 Rb인 외측 만곡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벽부(12)는, 상단 만곡부(11)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외향 볼록한 제1 만곡부(12A)(곡률 반경 R1)와, 제1 만곡부(12A)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12B)(곡률 반경 R2)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의 예에서는, 외벽부(12)는, 제1 만곡부(12A)와 제2 만곡부(12B)에 더하여, 외향 볼록한 제3 만곡부(12C)(곡률 반경 R3), 외향 볼록한 제4 만곡부(12D)(곡률 반경 R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틀캔(1)에 의하면, 컬부(10)의 외벽부(12)에는, 외향 볼록한 제1 만곡부(12A)와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12B)를 구비함으로써, 걸림고정부(제1 걸림고정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의 걸림고정부란, 물체 외표면의 상부보다 하부를 가늘게 잘록하게 한 형태를 가리키고 있다. 이와 같은 컬부(10)를 구비하는 보틀캔(1)은, 상술한 걸림고정부(제1 걸림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캡핑한 후, 캡의 라이너재가 걸림고정부 아래에 파고 들어가 언더 컷(제1 언더 컷)을 형성하여, 걸림고정부에 언더 컷이 걸리도록 작용함으로써, 캔 내 압력이 높은 경우나 가열 살균 시에도 캡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어,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언더 컷에 의하여, 캡 개전 직후에 캡이 부상해도 언더 컷과 걸림고정부와의 밀착이 확보되므로, 캡 개전 시에 캔 내에서 거품이 인 내용물이 캔 내 압력으로 밖으로 흘러넘치는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컬부(10)의 외벽부(12)는, 제2 만곡부(12B)의 존재에 의하여, 라이너재의 언더 컷 양을 규정할 수 있으므로, 리시일 토크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언더 컷에 의하여 리시일 시의 저항이 과잉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리시일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만곡부(12A)와 제2 만곡부(12B)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드 깊이(제1 만곡부(12A)의 최외부와 제2 만곡부(12B)의 최내부와의 차) t는, 0.05∼0.2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 깊이 t가 0.05mm 미만이면, 상술한 언더 컷의 작용을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열 살균 시의 밀봉성의 저하나 캡 개전 시의 흘러넘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비드 깊이 t가 0.2mm를 초과하면, 라이너재와 제2 만곡부(12B)에 의한 오목부(비드)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져, 그 이상 비드 깊이 t를 깊게 해도 언더 컷에 의한 걸림 작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적정한 비드 깊이 t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만곡부(12A)의 곡률 반경 R1을 0.5∼3mm로 하고, 제2 만곡부(12B)의 곡률 반경 R2를 0.5∼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 피착 시의 시일 포인트는, 상단 만곡부(11)가 되기 때문에, 시일 포인트에서 상단 만곡부(11)가 라이너재에 파고 드는 양을 적정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단 만곡부(11)에 있어서의 내측 만곡부(11A)의 곡률 반경 Ra를 외측 만곡부(11B)의 곡률 반경 Rb보다 크게 하여(Ra>Rb), Ra를 0.5∼2mm, Rb를 0.3∼0.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b가 0.3mm 미만이 되면, 상단 만곡부(11)의 라이너재에 대한 파고 듦이 과도하게 커져, 라이너재의 손상을 초래하기 쉬워지고, Rb가 0.8mm보다 커지면, 상단 만곡부(11)의 라이너재에 대한 파고 듦이 작아져, 시일 포인트에 있어서 원하는 밀봉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또, 상단 만곡부(11)의 형상은, 낙하 충격 시의 변형 내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Ra가 0.5 미만이 되면, 낙하 충격 시에 축방향 분력이 커져, 컬부(10)의 축방향 변형이 커진다. Ra가 2mm를 초과하면, 상단 만곡부(11)가 라이너재에 파고 드는 양이 작아지므로, 시일 포인트에 있어서의 원하는 밀봉성이 얻기 어려워짐과 함께, 넥 숄더부(20)의 각도가 완만해짐으로써, 좌굴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는 예와 같이, 컬부(10)의 외벽부(12)가, 제3 만곡부(12C)와 제4 만곡부(12D)를 갖는 것으로는, 제3 만곡부(12C)의 최외부의 하방에 걸림고정부(제2 걸림고정부)가 형성되게 되므로, 캡의 라이너재를 제2 걸림고정부까지 씌워 제2 언더 컷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높은 내압 시의 밀봉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캡 개전 시의 흘러넘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언더 컷과 제2 언더 컷을 병설시켜 밀봉성을 높임으로써, 양쪽 모두의 언더 컷 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리시일 시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리시일의 오인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만곡부(12C)와 제4 만곡부(12D)는 각각 상이한 곡률 반경 R, 혹은 하나의 곡률 반경 R로 형성해도 되고, 제3 만곡부(12C)의 곡률 반경 R3과 제4 만곡부(12D)의 곡률 반경 R4를 0.3∼2mm로 하는 것이 상술한 제1 언더 컷과 동일하게, 제2 언더 컷의 작용을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3은, 캡을 갖는 보틀캔을 나타내고 있다. 캡을 갖는 보틀캔은, 보틀캔(1)의 구부(1D)에 캡(2)을 돌려져 체결한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캡(2)은, 천판부의 내측에 라이너재(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보틀캔(1)의 컬부(10)가 외벽부(12)에 제1 만곡부(12A)와 제2 만곡부(12B)와 제3 만곡부(12C)와 제4 만곡부(12D)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려져 체결된 캡(2)의 라이너재(3)가, 제1 만곡부(12A)와 제2 만곡부(12B)와 제3 만곡부(12C)와 제4 만곡부(12D)를 덮도록 피착되어 있다.
도 4는, 컬부(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외벽부(12)에 있어서의 제2 만곡부(12B)와 제3 만곡부(12C)의 사이에 평면부(12F)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제1 만곡부(12A)로부터 제2 만곡부(12B)에 이르는 부분에 제1 걸림고정부가 형성되고, 평면부(12F)의 하방으로부터 제3 만곡부(12C)에 있어서, 제2 걸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면부(12F)를 마련하는 것으로서도, 라이너재의 언더 컷 양을 조정하여, 리시일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컬부(10)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외벽부(12)의 하단 내측 에지(12P)가 넥 숄더부(20)에 선접촉(線接觸)하고 있으며, 외벽부(12)의 하단면(12E)과 넥 숄더부(20)의 사이에 벌어진 각도 θt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각도 θt는, 예를 들면, 10° 내지 70°의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에 의하면, 상술한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12B)에 의한 비드에 의하여, 컬부(10)의 가로 압축 강성이 높아져 있음으로써, 컬부(10)의 낙하 충격에 의한 변형 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외벽부(12)의 하단 내측 에지(12P)를 넥 숄더부(20)에 접촉시켜, 외벽부(12)의 하단면(12E)과 넥 숄더부(20)의 사이에 벌어진 각도 θt를 마련함으로써, 낙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컬부(10)가 외측으로 붕괴되는 것 같이 변형되기 쉬워져, 라이너재와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벽부(12)의 하단 내측 에지(12P)와 넥 숄더부(20)의 접촉은 선접촉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용물 충전 및 캡핑 후에 전도 낙하한 경우의 밀봉성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의하여, 보틀캔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컬부의 성형 방법을 설명한다. 컬부(10)는, 캔체의 개구단에 스피닝 가공에 의한 컬 형상의 1차 가공을 행한 후,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컬부의 리폼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리폼 성형은 캔 내측에 이너 툴(30)을 배치하고, 캔 외측에 배치한 아우터 툴(40)을 컬부(10)에 꽉 누름으로써, 컬부(10)의 상단 만곡부(11)와 외벽부(12)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때, 리폼 성형의 제1 단계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축을 따른 평탄면(41)을 갖는 아우터 툴(40)(40A)을 컬부(10)에 꽉 눌러, 제1 단계의 성형을 행하고, 리폼 성형의 제2 단계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42)를 갖는 아우터 툴(40)(40B)을 컬부(10)에 꽉 눌러, 상단 만곡부(11)의 곡률 반경을 조정하는 동시에, 외벽부(12)에 있어서의 제1 만곡부(12A)와 제2 만곡부(12B)(나아가서는 제3 만곡부(12C)와 제4 만곡부(12D))를 성형한다.
도 7은, 아우터 툴(40)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아우터 툴(40)은, 캔축과 평행한 회전축(Os)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1회전 중에서, 제1 각도 θ1의 범위(예를 들면, θ1=120°)에서 도 6의 (a)에 나타낸 제1 단계의 성형을 행하고, 거기에 계속되는 제2 각도 θ2의 범위(예를 들면, θ2=120°)에서 도 6의 (b)에 나타낸 제2 단계의 성형을 행한다. 이와 같은 아우터 툴(40)을 이용함으로써, 비드의 위치를 위치 결정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컬부(10)의 성형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특별히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술을 유용하여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보틀캔
1A: 바닥부
1B: 동부
1C: 견부
1D: 구부
10: 컬부
11: 상단 만곡부
11A: 내측 만곡부
11B: 외측 만곡부
12: 외벽부
12A: 제1 만곡부
12B: 제2 만곡부
12C: 제3 만곡부
12D: 제4 만곡부
12E: 하단면
12F: 평면부
12P: 하단 내측 에지
20: 넥 숄더부
21: 스커트부
22: 나사부
30: 이너 툴
40(40A, 40B): 아우터 툴
41: 평탄면
42: 돌기부

Claims (12)

  1. 구부의 개구단에 컬부를 마련한 보틀캔으로서,
    상기 컬부는, 상단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외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가,
    상기 상단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외향 볼록하게 걸림고정부를 형성하는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내향 볼록한 제2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와 상기 제2 만곡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드 깊이가, 0.05∼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가,
    상기 걸림고정부를 제1 걸림고정부로 하고, 상기 제2 만곡부의 하방으로 외향 볼록하게 제2 걸림고정부를 형성하는 제3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만곡부의 하방으로 외향 볼록한 제4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부와 상기 제3 만곡부의 사이에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의 곡률 반경이 0.5∼3mm이며, 상기 제2 만곡부의 곡률 반경이 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만곡부는, 내측 만곡부와 외측 만곡부를 갖고, 상기 내측 만곡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외측 만곡부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만곡부의 곡률 반경이 0.5∼2mm이며, 상기 외측 만곡부의 곡률 반경이 0.3∼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하단면과 상기 넥 숄더부의 사이에 벌어진 각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하단 내측 에지가 넥 숄더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틀캔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고정부를 라이너재가 덮도록 언더 컷을 형성하는, 라이너재를 구비하는 캡이 돌려져 체결된 캡을 갖는 보틀캔.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틀캔의 제조 방법으로서,
    캔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우터 툴을 컬부에 꽉 눌러, 상기 컬부의 리폼 성형을 행하고,
    상기 아우터 툴은, 1회전 중에서, 제1 각도 θ1의 범위에서 평탄면을 꽉 눌러 제1 단계의 성형을 행하며, 거기에 계속되는 제2 각도 θ2의 범위에서 캔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기하는 돌기부를 꽉 눌러 제2 단계의 성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캔의 제조 방법.
KR1020197036825A 2017-05-19 2018-05-02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KR102322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9482A JP6515952B2 (ja) 2017-05-19 2017-05-19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JPJP-P-2017-099482 2017-05-19
PCT/JP2018/017507 WO2018211993A1 (ja) 2017-05-19 2018-05-02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121A true KR20200006121A (ko) 2020-01-17
KR102322632B1 KR102322632B1 (ko) 2021-11-05

Family

ID=6427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825A KR102322632B1 (ko) 2017-05-19 2018-05-02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0607B2 (ko)
EP (1) EP3626641A4 (ko)
JP (1) JP6515952B2 (ko)
KR (1) KR102322632B1 (ko)
CN (1) CN110650893B (ko)
TW (1) TWI669247B (ko)
WO (1) WO201821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4340B2 (ja) * 2017-08-25 2020-09-09 東洋製罐株式会社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7027229B2 (ja) * 2018-03-30 2022-03-01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ボトル型缶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7203570B2 (ja) * 2018-10-31 2023-01-13 大和製罐株式会社 キャップ
JP7447443B2 (ja) * 2018-12-04 2024-03-12 アルテミラ製缶株式会社 缶体
JP7075508B2 (ja) * 2019-01-28 2022-05-25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缶体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21007501A2 (pt) * 2019-03-29 2021-10-26 Henkel IP & Holding GmbH Back-off para evitar adesivos resseláveis
USD931382S1 (en) * 2019-11-15 2021-09-21 Huanqun Chen Toy car
USD931383S1 (en) * 2019-11-15 2021-09-21 Huanqun Chen Toy car
JP2021084636A (ja) * 2019-11-26 2021-06-03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ボトル缶及びその製造方法
USD926891S1 (en) * 2020-02-05 2021-08-03 Ontel Products Corporation Toy race car
CN111558664B (zh) * 2020-06-08 2021-07-20 广东欧亚包装有限公司 一种瓶口旋压的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019A (ja) * 2002-04-30 2003-11-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キャップ付ボトル缶
JP2004175386A (ja) * 2002-11-26 2004-06-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キャップ、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JP2004217305A (ja) 2002-11-22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2009196679A (ja) * 2008-02-22 2009-09-03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と容器蓋との組合せ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4528A (en) * 1954-08-20 1958-12-16 Continental Can Co Metal can for food products
US4856667A (en) 1987-06-17 1989-08-15 Tri-Tech Systems International Inc. Container and cap
DE9200027U1 (ko) 1992-01-03 1993-06-17 Tubex Gmbh Tuben- Und Metallwarenfabrik, 7456 Rangendingen, De
JPH0847970A (ja) 1994-08-04 1996-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口部をカ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US6010026A (en) * 1994-11-22 2000-01-04 Aluminum Company Of America Assembly of aluminum can and threaded sleeve
TW448120B (en) 1999-11-26 2001-08-01 Takeuchi Press Metal container with thread
JP3521402B2 (ja) * 1999-11-26 2004-04-19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高い密閉性を保持できるねじ付金属缶
KR101246992B1 (ko) * 2001-12-28 2013-03-25 유니버설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병 용기, 병, 및 나사 성형 장치
JP2003237752A (ja) 2002-02-20 2003-08-27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
CN101421169B (zh) * 2006-04-17 2011-08-10 东洋制罐株式会社 金属罐
JP5046320B2 (ja) * 2006-09-21 2012-10-10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金属製包装体
JP5290569B2 (ja) 2007-12-19 2013-09-18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ねじ付金属ボトル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2378722B (zh) * 2009-04-06 2014-07-16 武内普莱斯工业株式会社 金属瓶罐
ES1071736Y (es) 2009-11-11 2010-06-25 Picher Pedro Simon Botella
JP5414616B2 (ja) 2010-05-14 2014-02-12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金属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CN102616421B (zh) * 2011-01-27 2016-10-26 环宇制罐株式会社 瓶罐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以及瓶罐
EP2500292A1 (en) 2011-03-16 2012-09-19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Method for making a container, such container, a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and the filled container
JP6137958B2 (ja) * 2013-06-19 2017-05-31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ライナ付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6476219B2 (ja) 2017-02-10 2019-02-27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ボトル缶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019A (ja) * 2002-04-30 2003-11-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キャップ付ボトル缶
JP2004217305A (ja) 2002-11-22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2004175386A (ja) * 2002-11-26 2004-06-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キャップ、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JP2009196679A (ja) * 2008-02-22 2009-09-03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と容器蓋との組合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893A (zh) 2020-01-03
CN110650893B (zh) 2021-09-17
WO2018211993A1 (ja) 2018-11-22
TW201900507A (zh) 2019-01-01
EP3626641A4 (en) 2021-03-03
US11130607B2 (en) 2021-09-28
JP2018193101A (ja) 2018-12-06
TWI669247B (zh) 2019-08-21
JP6515952B2 (ja) 2019-05-22
EP3626641A1 (en) 2020-03-25
KR102322632B1 (ko) 2021-11-05
US20200172282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121A (ko) 보틀캔, 캡을 갖는 보틀캔, 및 보틀캔의 제조 방법
RU2630572C2 (ru) Язычок легкого открывания для торцевой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а
JP7363870B2 (ja) 金属製の容器の製造方法
CN210618740U (zh) 带盖的瓶形罐及其制造装置
US20020158071A1 (en) Beverage can end with outwardly extending reinforcing bead
CN210133384U (zh) 带盖瓶型罐
CA2817582A1 (en) Metallic beverage can end closure with offset countersink
JP3788371B2 (ja) キャップ付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
WO2018159278A1 (ja) ボトル型缶
JP7103102B2 (ja)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JP2022177092A (ja) ボトル缶体、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体、ボトル缶体のキャッピング方法
CN111032520B (zh) 瓶罐及带盖瓶罐
KR20120097510A (ko) 컨테이너용 패널과 이러한 패널이 구비된 컨테이너 및 그 제조방법
JP4585126B2 (ja) 天面壁が補強された容器蓋
JP4990736B2 (ja) 金属容器
JP2012101854A (ja) 缶の二重巻締め部構造
JP2023023472A (ja) 缶胴及び缶の製造方法
JP2018135153A (ja)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WO2018062432A1 (ja) 缶体、缶体の製造方法および缶体の製造装置
JP2018020334A (ja) 缶蓋、これを用いた缶の巻締め部構造及び缶蓋の巻締め方法
JP2008105740A (ja) 易開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2252126A1 (en) Beverage can end with outwardly extending reinforcing b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