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708A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 Google Patents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708A
KR20200005708A KR1020180078995A KR20180078995A KR20200005708A KR 20200005708 A KR20200005708 A KR 20200005708A KR 1020180078995 A KR1020180078995 A KR 1020180078995A KR 20180078995 A KR20180078995 A KR 20180078995A KR 20200005708 A KR20200005708 A KR 2020000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s
stage
pad
substrate
m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870B1 (ko
Inventor
강석주
김병무
유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870B1/ko
Priority to US16/502,259 priority patent/US11203175B2/en
Priority to CN201910602232.7A priority patent/CN110689808B/zh
Publication of KR2020000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64Mechanical properties, e.g.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being a fluid inflatable bag or bladder, a diaphragm or a vacuum bag for applying isostat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66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onforming the layers or laminate to a convex or concave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합착 장치는,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된 상부 챔버, 상기 상부 챔버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부 챔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며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스테이지,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패드, 표시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성형 부재,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1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며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2 부분을 가압한다.

Description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BONDING DEVICE AND METHOD OF BOND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부재 및 표시모듈을 합착하는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표시(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진공 형광 표시(vaccum fluorescent display panel, VFD) 등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랩 탑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나, 슬림형 텔레비전, 전시용 표시, 광고판과 같은 전자 제품에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들어,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으며, 평탄한 제1 표시영역과 제1 표시영역으로부터 밴딩된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한 윈도우 부재가 개발되고 있다. 즉, 윈도우 부재의 전면 및 측면을 통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 및 성형 부재를 이용하여 윈도우 부재 및 표시모듈을 합착하는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은,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중,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복수 개의 개구부들을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성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제1 개구부들 및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들 및 상기 제2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 부분은 제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1 서브 부분 및 상기 제2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2 서브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1 서브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2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2 서브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제3 개구부들 및 제4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4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3 서브 부분, 상기 제4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를 통해 상기 제4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4 서브 부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에 연결된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배치된 상기 패드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패드 상에 배치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개구부들에 상기 공기가 동시에 주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기판이 안착된 상부 챔버 및 상기 스테이지가 안착된 하부 챔버를 서로 합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는,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된 상부 챔버, 상기 상부 챔버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부 챔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며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스테이지,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패드, 표시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성형 부재,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1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며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2 부분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 부재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공간은 외부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들에 각각 삽입된 복수 개의 노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노즐들에 상기 공기가 주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 및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들 및 복수 개의 제4 개구부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며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성형 부재의 일단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챔버에 정의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수직 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기 수직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상기 스테이지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성형 부재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 부재는 탄성을 갖는 막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를 통해 윈도우 부재의 평탄 영역 및 표시모듈의 평탄 영역이 합착된 후에,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성형 부재를 통해 윈도우 부재의 밴딩 영역 및 표시모듈의 밴딩 영역이 합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부재 및 표시모듈 간의 합착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다른 예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다른 예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다른 예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다른 예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챔버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고정 부재 및 성형 부재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모듈 및 윈도우 부재 간의 합착 방법을 보여주는 예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지나치게 형식적인(이상적으로)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평면영역(NBA) 및 평면영역(NBA)으로부터 밴딩된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은 동일 방향으로 평면영역(NBA)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평면영역(NBA)은 표시장치(DD)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은 표시장치(DD)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평면영역(NBA)은 제1 표시면(IS1)을 포함하고, 제1 밴딩영역(BA1)은 제2 표시면(IS2a)을 포함하고, 제2 밴딩영역(BA2)은 제3 표시면(IS2b)을 포함한다.
평면영역(NBA)의 제1 표시면(IS1)은 제1 표시영역(DD-DA1)과 제1 표시영역(DD-DA1)에 인접한 제1 베젤영역(DD-NDA1)을 포함한다. 이하, 표시영역은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베젤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다만, 베젤영역은 인쇄층을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평면영역(NBA)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DR3)은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각 부재들의 전면(상면)과 배면(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밴딩영역(BA1)의 제2 표시면(IS2a)은 제2 표시영역(DD-DA2a)과 제2 표시영역(DD-DA2a)에 인접한 제2 베젤영역(DD-NDA2a)을 포함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표시영역(DD-DA2a)은 제1 표시영역(DD-DA1)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되며, 제2 베젤영역(DD-NDA2a)은 제1 베젤영역(DD-NDA1)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제2 밴딩영역(BA2)의 제3 표시면(IS2b)은 제3 표시영역(DD-DA2b)과 제3 표시영역(DD-DA2b)에 인접한 제3 베젤영역(DD-NDA2a)을 포함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표시영역(DD-DA2b)은 제1 표시영역(DD-DA1)의 타측으로부터 밴딩되며, 제3 베젤영역(DD-NDA2b)은 제1 베젤영역(DD-NDA1)의 타측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들(DD-DA1, DD-DA2a, DD-DA2b) 각각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영역(DD-DA1)은 시계창 및 곰 형상의의 제1 이미지(IM1)를 표시하고, 제2 표시영역(DD-DA2a)은 이모티콘의 제2 이미지(IM2)를 표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표시영역(DD-DA2b) 역시 제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이미지들은 동일한 이미지이거나, 서로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들(DD-DA1, DD-DA2a, DD-DA2b) 각각으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a를 통해 제1 내지 제3 베젤영역들(DD-NDA1, DD-NDA2a, DD-NDA2b)이 도시되었으나, 제1 내지 제3 베젤영역들(DD-NDA1, DD-NDA2a, DD-NDA2b)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모두 생략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표시장치(DDa)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비교하여, 제2 방향(DR2)에서 평면영역(NBA)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각도가 달라진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 보다 도 1b에 도시된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이 평면영역(NBA)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덜 밴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a)는 평면영역(NBA),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IM)로 시계창 및 곰 형상이 도시되었다.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b)는 메인 표시영역(DD-DA1) 및 메인 표시영역(DD-DA1)으로부터 밴딩된 제1 내지 제4 표시영역들(DD-DA2a, DD-DA2b, DD-DA2c, DD-DA2d)을 포함한다. 메인 표시영역(DD-DA1)은 표시장치(DDb)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표시영역들(DD-DA2a, DD-DA2b, DD-DA2c, DD-DA2d)은 표시장치(DDb)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D-DA2a) 및 제2 표시영역(DD-DA2b)은 서로 마주보며, 제2 방향(DR2)에서 메인 표시영역(DD-DA1)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제3 표시영역(DD-DA2c) 및 제4 표시영역(DD-DA2d)은 서로 마주보며, 제1 방향(DR1)에서 메인 표시영역(DD-DA1)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b)는 제1 내지 제4 베젤영역들(DD-NDA1, DD-NDA2, DD-NDA3, DD-ND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베젤영역들(DD-NDA1, DD-NDA2, DD-NDA3, DD-NDA4) 역시 표시장치(DDb)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베젤영역(DD-NDA1)은 제1 표시영역(DD-DA2a) 및 제4 표시영역(DD-DA2d)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베젤영역(DD-NDA2)은 제2 표시영역(DD-DA2b) 및 제4 표시영역(DD-DA2d)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베젤영역(DD-NDA3)은 제1 표시영역(DD-DA2a) 및 제3 표시영역(DD-DA2c) 사이에 배치된다. 제4 베젤영역(DD-NDA4)은 제2 표시영역(DD-DA2b) 및 제3 표시영역(DD-DA2c)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영역(DD-DA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정의된 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영역들(DD-DA2a, DD-DA2b, DD-DA2c, DD-DA2d) 및 제1 내지 제4 베젤영역들(DD-NDA1, DD-NDA2, DD-NDA3, DD-NDA4)은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표시장치(DDc)는 도 1c에 도시된 표시장치(DDb)와 비교하여, 메인 표시영역(DD-DA1)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영역들(DD-DA2a, DD-DA2b, DD-DA2c, DD-DA2d) 각각의 중앙 부분의 두께가 양측 밴딩 부분들의 두께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합착 장치를 통해 합착된 다른 예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표시모듈(DM), 및 접착 부재(AM)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접착 부재(AM)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에서 영상이 실제 시인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WM)는 기판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판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모듈(D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양면 접착제로서,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모듈(DM)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M)는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접착 부재(AM)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 및 외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한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또는 퀀텀로드를 포함한다.
입력 감지 유닛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스타일러스 펜,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공간 터치(예를 들어, 호버링)도 입력의 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모듈(DM)은 표시기판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표시기판은 휘어지거나 밴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입력 감지 유닛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WM, 이하 기판으로 설명됨)는 평면 부분(WM-P),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WM-B1) 및 제2 밴딩 부분(WM-B2)을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판(WM)의 제1 및 제2 밴딩 부분들(WM-B1, WM-B2)은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90도까지 밴딩될 수 있다. 표시기판(DM)의 제1 및 제2 서브 부분들(DM-B1, DM-B2)이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a)으로부터 90도까지 밴딩될 수 있다.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은 도 1a에 도시된 평면영역(NBA)에 중첩될 수 있으며, 제1 밴딩 부분(WM-B1) 및 제2 밴딩 부분(WM-B2)은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에 각각 중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 이하 표시기판으로 설명됨)은 제1 부분(DM-P) 및 제1 부분(DM-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서브 부분(DM-B1) 및 제2 서브 부분(DM-B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부분(DM-B1) 및 제2 서브 부분(DM-B2)은 제2 부분으로 설명될 수 있다.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은 도 1a에 도시된 평면영역(NBA)에 중첩될 수 있으며, 제1 서브 부분(DM-B1) 및 제2 서브 부분(DM-B2)은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에 각각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로, 기판(WM)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WM)의 제1 밴딩 부분(WM-B1)은 도 1c에 도시된 제1 표시영역(DD-DA2a)에 대응될 수 있다. 기판(WM)의 제2 밴딩 부분(WM-B2)은 도 1c에 도시된 제2 표시영역(DD-DA2b)에 대응될 수 있다. 기판(WM)의 제3 밴딩 부분(미도시)은 도 1c에 도시된 제3 표시영역(DD-DA2c)에 대응될 수 있다. 기판(WM)의 제4 밴딩 부분(미도시)은 도 1c에 도시된 제4 표시영역(DD-DA2d)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기판(WMa)의 제1 및 제2 밴딩 부분들(WM-B1a, WM-B2a)이 기판(WMa)의 평면 부분(WM-Pa)으로부터 90도 이상 밴딩된 구조가 도시된다. 또한, 표시기판(DMa)의 제1 및 제2 서브 부분들(DM-B1a, DM-B2a)이 표시기판(DMa)의 제1 부분(DM-Pa)으로부터 90도 이상 밴딩된 구조가 도시된다. 접착 부재(AMa)는 도 2b에 도시된 기판(WMa) 및 표시기판(DMa) 사이에 배치되어, 기판(WMa) 및 표시기판(DMa)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챔버 및 상부 챔버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고정 부재 및 성형 부재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먼저,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합착 장치(LD)는 상부 챔버(UCB), 하부 챔버(DCB), 지지 부재(MU), 스테이지(ST), 패드(PD), 및 성형 부재(PU)를 포함한다.
상부 챔버(UCB)는 기판(WM)이 배치되는 안착면(UCB-IS)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UCB-IS)은 상부 챔버(UCB)의 내측면으로 정의되며, 안착면(UCB-IS) 상에 평면 부분(WM-P) 및 밴딩 부분들(WM-B1, WM-B2)을 포함한 기판(WM)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평면 형상의 기판(WM-T)이 제공된다. 외부 기구물에 의해 평면 형상의 기판(WM-T)은 평면영역(NBA) 및 평면영역(NBA)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기판(WM-T)을 성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성형된 기판(WM)은 상부 챔버(UCB)의 안착면(UCB-I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챔버(DCB)는 상부 챔버(UCB)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가 결합됨에 따라,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 간에 내부 공간(OP)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OP)은 기판(WM)과 표시기판(DM) 간의 합착 공정이 이뤄지는 실질적 공간을 의미하며,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의 결합으로 인해 내부 공간(OP)은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챔버(DCB)에는 지지 부재(MU)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이 정의될 수 있다.
스테이지(ST), 패드(PD), 및 성형 부재(PU) 각각은 내부 공간(OP)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합착 장치(LD)에 의해 성형되는 기판(WM) 및 표시기판(DM) 역시 내부 공간(OP)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스테이지(ST)는 하부 챔버(D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지(ST)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AU)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들(AU)을 통해 내부 공간(OP)으로 공기가 분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b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패드(PD)는 스테이지(ST)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PD)는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PD)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스테이지(ST)에 정의된 개구부들(AU)은 평면상에서 패드(PD)와 중첩하지 않으며, 패드(PD)에 인접하게 스테이지(ST)의 상면에 정의될 수 있다.
지지 부재(MU)는 이동부(CT) 및 이동부(CT)에 결합된 제어부(MT)를 포함한다. 이동부(CT)는 하부 챔버(DCB)에 정의된 홀에 삽입되어 스테이지(ST)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CT)는 제어부(MT)에 제어 하에, 제3 방향(DR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MT)의 제어 하에, 이동부(CT)가 제3 방향(DR3)을 따라 스테이지(ST)를 수직 상승시킬 경우, 패드(PD) 역시 수직 상승될 수 있다.
성형 부재(PU)는 개구부들(AU) 및 패드(PD)를 감싸며 스테이지(ST)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부재(PU)는 탄성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 부재(PU)는 외부 압력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다이어프램(Diaphragm)으로 제공되거나 연신율과 내구성을 높인 고무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성형 부재(PU)는 연신으로 인한 부피 팽창이 가능한 다향한 형태의 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성형 부재(PU) 상에는 표시기판(DM)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기판(DM)은 성형 부재(PU) 및 패드(PD)를 통해 가압됨으로써, 기판(WM)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8d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성형 부재(PU)는 패드(PD)를 전체적으로 감싸며 스테이지(ST)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 부재(PU)의 일 부분은 패드(PD)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끝단 부분은 고정 부재를 통해 스테이지(ST)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합착 장치(LD)는 스테이지(ST)의 상면에 배치된 고정 부재(F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FS)는 성형 부재(PU)의 끝단 부분(PUz)과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 고정 부재(FS) 및 스테이지(ST) 사이에 결합 공간이 형성된다. 성형 부재(PU)의 끝단 부분(PUz)이 결합 공간에 삽입된 후, 고정 부재(FS)의 일 부분(FS-P)이 성형 부재(PU)의 끝단 부분(PUz)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부재(FS)의 일 부분(FS-P)과 끝단 부분(PUz)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외부 공간과 성형 부재(PU)에 의해 감싸진 내부 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FS)와 성형 부재(PU) 간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 부재(FS) 및 성형 부재(PU)를 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FS)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성형 부재(PU)는 스테이지(ST)의 상면 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FS) 및 성형 부재(PU) 간의 결합으로 인해, 성형 부재(PU) 및 스테이지(ST) 사이의 공간이 외부 공간과 서로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부재(PU) 및 스테이지(ST) 사이의 공간은 성형 부재(PU)에 의해 감싸진 내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스테이지(ST)의 상면에 정의된 개구부들(AU)로부터 공기가 분출될 경우, 분출된 공기가 성형 부재(PU) 및 스테이지(ST)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성형 부재(PU) 및 스테이지(ST) 사이에 채워진 공기(기체)의 밀도에 따라, 성형 부재(PU)의 팽창 또는 수축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부재(PU)가 팽창됨으로써, 성형 부재(PU)가 표시기판(DM)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스테이지(ST)는 상면(ST-US) 및 하면(ST-DS)을 포함한다. 스테이지(ST)의 상면(ST-US)은 패드(PD, 도3 참조)가 배치되는 제1 영역(P1) 및 제1 영역(P1)에 인접한 제2 영역(P2)을 포함한다. 제2 영역(P2)은 평면상에서 제1 영역(P1)을 에워싸며 제1 영역(P1)에 비해 적은 면적을 가진다.
제2 영역(P2)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AUa, AUb)이 정의되며, 고정 부재(FS)가 제2 영역(P2)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고정 부재(FS)는 패드(PD) 및 개구부들(AUa, AUb)을 에워싸며 제2 영역(P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들(AU)은 패드(PD)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된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6b를 참조하면, 스테이지(ST)에 정의된 제1 개구부들(AUa)에 복수 개의 제1 노즐들(NZa) 및 제1 노즐들(NZa)에 연결된 제1 관들(CN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들(CNa)은 지지 부재(MU)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MU)로부터 제공된 공기는 제1 관들(CNa)을 통해 제1 노즐들(NZa)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ST)에 정의된 제2 개구부들(AUb)에 복수 개의 제2 노즐들(NZb) 및 제2 노즐들(NZb)에 연결된 제2 관들(CNb)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관들(CNb)은 지지 부재(MU)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MU)로부터 제공된 공기는 제2 관들(CNb)을 통해 제2 노즐들(NZb)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노즐들(NZa) 및 제1 관들(CNa)이 서로 다른 구성인 것으로 설명되나, 두 구성들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노즐들(NZb) 및 제2 관들(CNb)이 서로 다른 구성인 것으로 설명되나, 두 구성들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노즐들(NZa) 및 제2 노즐들(NZb) 각각은 스테이지(ST)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스테이지(ST)의 상면(ST-US)에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노즐들(NZa) 및 제2 노즐들(NZb) 각각은 스테이지(ST)의 상면(ST-US)으로부터 일 부분 돌출되거나 전체적으로 노출되어, 공기를 분출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2a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WM)은 외부에 이미지가 각각 시인되는 평면 부분(WM-P) 및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들(WM-B1, WM-B2)을 포함한다.
표시기판(DM)은 기판(WM)에 영상을 출력하며, 접착 부재(AM, 도2a 참조)를 통해 평면 부분(WM-P) 상에 부착되는 제1 부분(DM-P) 및 밴딩 부분들(WM-B1, WM-B2)에 부착되는 서브 부분들(DM-B1, DM-B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 및 기판(WM)의 평면 부분(WM-P)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제1 부분(DM-P) 및 평면 부분(WM-P) 간의 합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기판(DM)의 서브 부분들(DM-B1, DM-B2) 및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B1, WM-B2) 각각은 곡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서브 부분들(DM-B1, DM-B2) 및 밴딩 부분들(WM-B1, WM-B2) 간의 합착 시에, 표시기판(DM) 또는 기판(WM)에 쓸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합착 장치(LD)는 패드(PD)를 이용하여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을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합착 장치(LD)는 성형 부재(PU)를 이용하여 표시기판(DM)의 서브 부분들(DM-B1, DM-B2)을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B1, WM-B2)에 부착시킬 수 있다. 서브 부분들(DM-B1, DM-B2) 및 밴딩 부분들(WM-B1, WM-B2) 간의 합착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되며, 표시장치의 전반적인 불량 발생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모듈 및 윈도우 부재 간의 합착 방법을 보여주는 예들이다.
도 7를 통해 설명되는 합착 방법은 평면 부분 및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갖도록 성형된 기판 상에 다른 기판을 부착하는 방식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는 기판(WM)이 도 4를 통해 도시된 성형 방식을 통해 상부 챔버(UCB)에 사전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 패드(PD) 및 성형 부재(PU)를 이용한 표시모듈에 대응하는 표시기판(DM)의 성형을 통해 표시기판(DM)이 기판(WM) 상에 부착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판(WM)은 도 2a에 도시된 평면 부분(WM-P), 제1 밴딩 부분(WM-B1), 및 제2 밴딩 부분(WM-B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며, 표시기판(DM)은 도 2a에 도시된 제1 부분(DM-P), 제1 서브 부분(DM-B1), 및 제2 서브 부분(DM-B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WM)이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며, 표시기판(DM)이 표시모듈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은 다양한 기판/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8d를 통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판(WM) 및 표시기판(DM) 사이에는 도 2a를 통해 도시된 접착 부재(AM)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은 접착 부재(AM)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10)에서, 평면 부분(WM-P) 및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들(WM-B1, WM-B2)을 포함하는 기판(WM)이 제공된다. 기판(WM)은 상부 챔버(UCB)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단계(S120)에서, 기판(WM)이 안착된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 챔버(UCB)가 하강하여 하부 챔버(DCB)와 합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챔버(DCB)가 상승하여 상부 챔버(UCB)와 합착될 수 잇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됨에 따라,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 사이에 내부 공간(OP)이 정의될 수 있다. 스테이지(ST), 패드(PD), 성형 부재(PU),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은 내부 공간(OP)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됨에 따라, 내부 공간(OP)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합착 장치(LD)는 내부 공간(OP)을 진공 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됨에 따라, 성형 부재(PU) 상에 배치된 표시기판(DM)이 기판(WM)의 일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기판(DM)의 일 부분과 기판(WM)의 일 부분이 접촉된 영역은 접촉 영역(CTS)으로 설명된다. 접촉 영역(CTS)은 표시기판(DM)과 기판(WM) 간의 정렬을 위한 기준 영역일 수 있다. 즉,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합착될 경우, 패드(PD)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기판(DM)의 일 부분이 기판(WM)의 일 부분과 접촉 영역(CTS)에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제1 부분(DM-P) 및 제2 방향(DR2)에서 제1 부분(DM-P)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서브 부분(DM-B1)과 제2 서브 부분(DM-B2)을 포함하는 표시기판(DM)이 스테이지(ST) 상부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표시기판(DM)은 성형 부재(PU) 상에 배치되며, 패드(P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 단계(S130)에서, 스테이지(ST)의 상면 및 표시기판(DM) 사이에 배치된 패드(PD)를 이용하여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이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스테이지(ST)의 하면에 연결된 지지 부재(MU)를 통해 스테이지(ST)의 두께 방향, 즉 법선 방향을 따라 스테이지(ST)가 상승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 부재(MU)에 포함된 이동부(CT) 및 제어부(MT)가 모두 상승됨에 따라 스테이지(ST)가 상승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테이지(ST)에 연결된 지지 부재(MU)를 통해 스테이지(ST)가 상승 운동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ST)가 상승됨에 따라, 스테이지(ST) 상에 배치된 패드(PD) 또한 상승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패드(PD)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패드(PD)는 스테이지(ST)의 상승에 따라 압착될 수 있으며, 패드(PD)의 압착된 힘이 성형 부재(PU)를 통해 표시기판(DM)에 전달될 수 있다.
즉, 패드(PD)의 압착된 힘을 통해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에 중첩한 성형 부재(PU)가 제1 부분(DM-P)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부분(DM-P)이 패드(PD)를 통해 가압됨에 따라, 제1 부분(DM-P)이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은 도 8b에 도시된 접촉 영역(CTS)을 통해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에 일차적으로 부착된다. 이 경우,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은 패드(PD)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과 기판(WM)의 평면 부분(WM-P) 간에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 후, 표시기판(DM)의 제1 부분(DM-P)이 도 8c에서 설명된 패드(PD)의 압착을 통해 기판(WM)의 평면 부분(WM-P)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기판(DM) 및 기판(WM) 간의 합착 시에, 표시기판(DM) 및 기판(WM)의 정렬이 어긋나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도 7 및 도 8d를 참조하면, 제4 단계(S140)에서, 스테이지(ST) 상면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을 통해 공기가 각각 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MU)에 의해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에 공기가 동시에 주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을 통해 공기가 동시에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a를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이, 성형 부재(PU)는 패드(PD) 및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을 감싸며 스테이지(ST)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성형 부재(PU) 및 스테이지(ST) 사이의 공간은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을 통해 공기가 분출될 경우, 성형 부재(PU)는 팽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개구부들(AUa)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성형 부재(PU)가 팽창되고, 이 경우 성형 부재(PU)는 표시기판(DM)의 제1 서브 부분(DM-B1)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기판(DM)의 제1 서브 부분(DM-B1)이 기판(WM)의 제1 밴딩 부분(WM-B1)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개구부들(AUb)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성형 부재(PU)가 팽창되고, 이 경우 성형 부재(PU)는 표시기판(DM)의 제2 서브 부분(DM-B2)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기판(DM)의 제2 서브 부분(DM-B2)이 기판(WM)의 제2 밴딩 부분(WM-B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성형 부재(PU)가 팽창됨에 따라, 표시기판(DM)의 제1 서브 부분(DM-B1) 및 표시기판(DM)의 제2 서브 부분(DM-B2)이 기판(WM)의 제1 밴딩 부분(WM-B1) 및 기판(WM)의 제2 밴딩 부분(WM-B2)에 동시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착 장치(LD)는 패드(PD)를 통해 1차적으로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을 부착한 후, 2차적으로 공기에 의한 성형 부재(PU)의 가압을 통해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합착 장치(LD)가 평면 부분 및 밴딩 부분을 포함한 두 기판들 간의 합착 방식에 대해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착 장치(LD)는 평면 부분만을 포함하는 두 기판들 간의 합착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형 부재가 패드를 감싸며 스테이지 상에 고정됨에 따라, 패드를 이용한 평면 부분만을 포함한 두 기판들 간의 합착 시에 성형 부재에 의해 패드의 마모가 덜 진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테이지(STa)의 상면(ST-US)은 패드(PD, 도3 참조)가 배치되는 제1 영역(P1) 및 평면상에서 제1 영역(P1)을 에워싸는 제2 영역(P2)을 포함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제2 영역(P2)에 정의된 제1 개구부들(ANa) 및 제2 개구부들(ANb)은 도 5a에 도시된 제1 개구부들(AUa) 및 제2 개구부들(AU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스테이지(ST)와 비교하여, 스테이지(STa)의 제2 영역(P2)에 제3 개구부들(ANc) 및 제4 개구부들(ANd)이 더 정의된다. 제3 개구부들(ANc) 및 제4 개구부들(ANd)은 패드(PD)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스테이지(STa)는 앞서 도 1c 및 도 1d를 통해 설명된 표시장치(DDb, DDc)의 합착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기판(WM)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평면 부분(WM-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1c를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이, 기판(WM)의 제1 밴딩 부분은 제1 표시영역(DD-DA2a)에 대응된다. 기판(WM)의 제2 밴딩 부분은 제2 표시영역(DD-DA2b)에 대응된다. 기판(WM)의 제3 밴딩 부분은 제3 표시영역(DD-DA2c)에 대응된다. 기판(WM)의 제4 밴딩 부분은 제4 표시영역(DD-DA2d)에 대응된다. 또한, 표시기판(DM)의 제1 서브 부분은 제1 표시영역(DD-DA2a)에 대응된다. 표시기판(DM)의 제2 서브 부분은 제2 표시영역(DD-DA2b)에 대응된다. 표시기판(DM)의 제3 서브 부분은 제3 표시영역(DD-DA2c)에 대응된다. 표시기판(DM)의 제4 서브 부분은 제4 표시영역(DD-DA2d)에 대응된다.
일 예로, 제3 개구부들(ANc)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성형 부재(PU)가 팽창되고, 이 경우 성형 부재(PU)는 표시기판(DM)의 제3 서브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기판(DM)의 제3 서브 부분이 기판(WM)의 제3 밴딩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4 개구부들(ANd)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성형 부재(PU)가 팽창되고, 이 경우 성형 부재(PU)는 표시기판(DM)의 제4 서브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기판(DM)의 제4 서브 부분이 기판(WM)의 제4 밴딩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M: 표시모듈
WM: 윈도우 부재
LD: 합착 장치
ST: 스테이지
PD: 패드
PU: 성형 부재
UCB: 상부 챔버
DCB: 하부 챔버
FS: 고정 부재

Claims (20)

  1.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기판 중,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복수 개의 개구부들을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성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제1 개구부들 및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들 및 상기 제2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부분은 제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1 서브 부분 및 상기 제2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2 서브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1 서브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2 서브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정의된 제3 개구부들 및 제4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부들 및 상기 제4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3 서브 부분; 및
    상기 제4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 상기 성형 부재를 통해 상기 제4 밴딩 부분에 부착된 제4 서브 부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에 연결된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에 배치된 상기 패드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패드 상에 배치된 상기 성형 부재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개구부들에 상기 공기가 동시에 주입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이 안착된 상부 챔버 및 상기 스테이지가 안착된 하부 챔버를 서로 합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1.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된 상부 챔버;
    상기 상부 챔버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부 챔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제1 영역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며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스테이지;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패드;
    표시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성형 부재; 및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의 가압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1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개구부들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성형 부재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성형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며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한 상기 표시기판의 제2 부분을 가압하는 합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재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공간은 외부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에 각각 삽입된 복수 개의 노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노즐들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합착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 및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합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정의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들 및 복수 개의 제4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는 합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합착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에워싸며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성형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는 합착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챔버에 정의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수직 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기 수직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스테이지의 상승 운동에 따라 상기 성형 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재는 탄성을 갖는 막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 장치.
KR1020180078995A 2018-07-06 2018-07-06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57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95A KR102570870B1 (ko) 2018-07-06 2018-07-06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US16/502,259 US11203175B2 (en) 2018-07-06 2019-07-03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bond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1910602232.7A CN110689808B (zh) 2018-07-06 2019-07-05 接合装置及使用接合装置接合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95A KR102570870B1 (ko) 2018-07-06 2018-07-06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08A true KR20200005708A (ko) 2020-01-16
KR102570870B1 KR102570870B1 (ko) 2023-08-28

Family

ID=6910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995A KR102570870B1 (ko) 2018-07-06 2018-07-06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03175B2 (ko)
KR (1) KR102570870B1 (ko)
CN (1) CN1106898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68A (ko) * 2020-03-31 2021-10-0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합착 장치 및 윈도우 패널 합착 방법
US11930689B2 (en) 2020-09-08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243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구조물
CN112309242A (zh) * 2019-07-26 2021-02-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面板和终端设备
USD976225S1 (en) * 2019-09-24 2023-01-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7805S1 (en) * 2019-09-24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390S1 (en) * 2019-09-24 2022-03-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2989S1 (en) * 2019-10-15 2022-09-0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252284B (zh) * 2020-01-19 2022-0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面贴合夹具、曲面贴合装置和曲面贴合方法
CN113442543B (zh) * 2020-03-24 2022-10-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贴合装置及显示基板的贴合方法
US11485123B2 (en) * 2020-07-07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apparatus
CN112382202B (zh) * 2020-11-23 2022-04-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仿形器具和仿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17B1 (ko) * 2016-11-24 2017-02-16 주식회사 오디아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KR101737355B1 (ko) * 2016-02-16 2017-05-18 안성룡 플렉서블 패널 부착장치
KR101828833B1 (ko) * 2016-08-24 2018-03-29 안성룡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731B2 (ja) * 2012-12-04 2016-09-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剥離装置、剥離システムおよび剥離方法
KR101619783B1 (ko) 2014-02-26 2016-05-23 안성룡 플렉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
KR101677014B1 (ko) * 2014-08-14 2016-11-17 안성룡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1697488B1 (ko) 2014-10-14 2017-02-01 안성룡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WO2016104122A1 (ja) * 2014-12-26 2016-06-30 旭硝子株式会社 積層体の剥離開始部作成方法、及び剥離開始部作成装置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578442B1 (ko) * 2015-04-22 2015-12-21 (주)제이스텍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엣지 윈도우 타입 패널의 합착장치
CN204622748U (zh) * 2015-04-28 2015-09-09 东莞摩雷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屏上曲面玻璃的气囊式贴合治具
KR101653597B1 (ko) * 2016-04-06 2016-09-09 주식회사 톱텍 체적가변 가압패드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1839112B1 (ko) 2016-07-18 2018-03-27 안성룡 곡면형 패널에 플렉서블 소재 부착방법
KR102183540B1 (ko) * 2016-08-30 2020-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34737A (ko) * 2016-09-26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152734B1 (ko) * 2016-11-17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8118414A1 (en) * 2016-12-20 2018-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CN107020785B (zh) * 2017-06-06 2019-02-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上曲面玻璃的气囊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08198515A (zh) * 2018-02-07 2018-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55B1 (ko) * 2016-02-16 2017-05-18 안성룡 플렉서블 패널 부착장치
KR101828833B1 (ko) * 2016-08-24 2018-03-29 안성룡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KR101706617B1 (ko) * 2016-11-24 2017-02-16 주식회사 오디아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68A (ko) * 2020-03-31 2021-10-0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합착 장치 및 윈도우 패널 합착 방법
US11930689B2 (en) 2020-09-08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89808A (zh) 2020-01-14
KR102570870B1 (ko) 2023-08-28
US20200009803A1 (en) 2020-01-09
US11203175B2 (en) 2021-12-21
CN110689808B (zh)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870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49476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US2023018246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the same
JP5134327B2 (ja) 表示装置
KR102529080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167504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US626612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259052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表示装置
KR101384186B1 (ko) 패널 접합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접합 장치 및 패널 접합 방법
US8188983B2 (en) Touch panel, and electro-optic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anel
US1160569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97903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346372B (zh) 显示装置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JP2004046254A (ja) 液晶表示装置の製法
US115521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20118734A1 (en)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58784A (ko)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0001009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法
KR20210044414A (ko) 커버 글라스 인쇄용 지그
TW202403410A (zh) 液晶顯示裝置
KR20200120896A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20110029668A (ko) 패널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