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52A -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 Google Patents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52A
KR20200005052A KR1020180078237A KR20180078237A KR20200005052A KR 20200005052 A KR20200005052 A KR 20200005052A KR 1020180078237 A KR1020180078237 A KR 1020180078237A KR 20180078237 A KR20180078237 A KR 20180078237A KR 20200005052 A KR20200005052 A KR 2020000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ips
central axis
clip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436B1 (ko
Inventor
황재윤
Original Assignee
황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윤 filed Critical 황재윤
Priority to KR102018007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회전 및 역회전에 필요한 토크가 상이한 비대칭 토크 힌지를 제안한다. 본 발명 힌지는,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원호부분과, 상기 원호부분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성형되는 키부분을 각각 구비하고, 대칭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클립;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클립을 사이에 두고 중심축이 내부로 결합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대칭 형성이고 클립의 키부분이 각각 들어가는 키홈을 구비하는 하우징로 구성된다. 그리고 클립의 키부분과 연결되는 원호부분의 외측에 대응하는 축공에는 각각 제1확장부분 및 제2확장부분이 형성되어, 중심축에 대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필요한 토크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상기 하우징과 클립의 원호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가공되며, 다수의 나사조절편으로 구성되는 나사조절부를 구비하는 가압튜브와; 그리고 가압튜브의 나사조절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조절너트를 더 포함하고, 조절너트를 조임으로써 나사조절부가 축소되면서 클립의 원호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Hinge having controllable asymmetry torque}
본 발명은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움직이기 위하여 필요한 토크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음과 같이 이러한 비대칭 토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대칭 토크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어떠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동일한 토오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제품에 따라서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필요한 토크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서 이와 같이 회전 방향에 따라 다른 크기의 토크를 필요로 하는 부품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한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20-2001-0022886호에 의하면 회동 각도 및 방향에 따라서 필요한 토크가 상이한 힌지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힌지에 의하면, 토크가 상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판 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을 사용하게 되면,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이에 따르는 단점이 제기됨은 물론이고,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변하게 되면 힌지 자체의 신뢰성도 문제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회전 방향에 따라 필요한 토크의 크기가 상이한 비대칭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비대칭 토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비대칭 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대칭 토크 힌지는,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원호부분과, 상기 원호부분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성형되는 키부분을 각각 구비하고, 대칭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클립; 상기 한 쌍의 클립을 사이에 두고 중심축이 내부로 결합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대칭 형성이고 클립의 키부분이 각각 들어가는 키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클립의 원호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가공되며, 다수의 나사조절편으로 구성되는 나사조절부를 구비하는 가압튜브; 그리고 상기 가압튜브의 나사조절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조절너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클립의 키부분과 연결되는 원호부분의 외측에 대응하는 축공에는 각각 제1확장부분 및 제2확장부분이 형성되어, 중심축에 대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필요한 토크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조절너트를 조임으로써 나사조절부가 축소되면서 클립의 원호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튜브는, 하우징의 일단에 접촉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나사조절부는 플랜지의 일측에서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각각의 키홈과 확장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중심축과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키홈에 해당하는 하우징의 외측에는 다른 구조물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확장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중심축에 대하여 하우징 및 클립의 정방향 회전시와 역방향 회전시의 마찰력이 상이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을 위한 필요 토크가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비대칭토크를 가지는 본 발명의 힌지는 구성 부품의 구조에 의한 것이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품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에도 신뢰도가 저하되지 않는 정확한 비대칭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확장부분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클립도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양 방향으로 회전시 상이하게 설정되는 토크의 크기 변화를 최대한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즉, 제1방향으로 회전시 필요한 토크를 최대화시키면서도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 필요한 토크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압튜브와 조절너트를 이용하여, 클립의 원호부분을 중심축으로 더욱 가압함으로써, 하우징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키홈과 확장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을 더욱 외측에 설계함으로써, 중심축과 하우징의 축공 사이의 거리를 부분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클립의 부분적인 가공 오차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비대칭 토크 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비대칭 토크 힌지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비대칭 토크 힌지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A-A 선 단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먼저 도 4를 중심으로 하여 비대칭 토크를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이러한 비대칭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는, 중심축(30)과, 상기 중심축(30)을 수납할 수 있는 축공(12)을 구비하고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관 형상의 하우징(10), 그리고 상기 중심축(30)과 하우징(10) 사이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회전시 토크를 발생시키는 한 쌍의 클립(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축공(12)에는 외측(방사 방향)으로 한 쌍의 키홈(14:14A,14B)이 연통하도록 성형되어 있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키홈(14)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인 180도 간격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다른 부분(구조물)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11A,11B)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11)는 본 발명의 비대칭 힌지가 결합되는 다른 부품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볼록하게 외측으로 연장 성형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과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오목한 결합부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 힌지의 중심축(30)은 하우징(10)의 축공(12)에 결합되어 양자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중심축(30)은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렇게 돌출된 중심축(30)의 양단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중심축(30)에는, 윤활유가 머물 수 있는 윤활홈이 성형되는데, 이러한 윤활홈은 클립(20)의 중심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둘레에 성형되고 있다. 이러한 윤활홈의 기능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클립(20)은 중심축(30)에 마찰력을 감소시켜 중심축(30)과 클립(20)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힌지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심축(30)과 하우징(10) 사이에는 한 쌍의 클립(20:20A,20B)이 개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한 쌍의 클립(20)은 중심축(20)의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심축(20)의 일정 구간 내에서는 다수 쌍의 클립(20)이 하우징(10)의 동일 구간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클립(20)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클립(20A)과 제2클립(20B)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클립(20A,20B)은, 각각 중심축(30)에 결합되기 위한 원호부분(22:22A,22B)과, 상기 원호부분(22A,22B)의 일단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 키부분(24:24A,24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클립(20)의 원호부분(22)의 외측단은 자유단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키부분(24)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클립(20)의 원호부분(22)은 중심축(30)에 끼워지고, 원호형 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30)의 일부를 접촉 상태로 감싸게 된다.
그리고 조립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중심축(30)에 결합된 제1클립(20A)과 제2클립(20B)을 하우징(10)의 축공(12) 내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클립(20A,20B)이 하우징(10)의 축공(12) 내부에 결합되면, 각각의 클립(20A,20B)은 축공(12)의 단면 중에서 반원보다 작은 범위에서 중심축(30)과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되면, 클립(20)의 원호부분(22)은 축공(12) 내부에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클립(20)의 키부분(24)은 축공(12)에서 연속 성형된 키홈(14)에 끼워지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고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축공(12) 주변 구조와 클립(20A,20B) 및 하우징(10)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공(12)의 내부에는 한 쌍의 클립(20A,20B)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확장 부분(12A,12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확장 부분(12A,12B)이란, 원형 단면의 축공(12)에서 지름이 더 커지도록 일부 원호 구간에 대하여 외측으로 확장한 부분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클립(20A,20B)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확장부분(12A,12B)도 한 쌍으로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제1클립(20A)에 대응하는 제1확장부분(12A)은 제1클립(20A)의 키부분(24A)이 삽입되는 키홈(14A)과 연결되는 또는 키홈(14A)에 인접한 원호부분(22A)을 따라 축공(12)에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클립(20B)에 대응하는 제2확장부분(12B)은 제2클립(20B)이 삽입되는 키홈(14B)과 인접한 원호부분(22)을 따라 축공(12)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확장부분(12A,12B)은 제1클립(20A) 및 제2클립(20B)의 각 키부분(24A,24B)과 원호부분(22A,22B)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일정한 크기의 원호상 길이로 성형된다.
여기서 제1확장부분(12A) 및 제2확장부분(12B)은, 하우징(10)의 양방향 회전시 토크가 상이한 크기로 걸리도록 성형되는 부분이다. 하우징(10)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이한 토크가 걸리는 움직임에 대하여, 도 3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서, 하우징(10)이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는 하우징(10)은 고정된 중심축(30)에 대하여 키부분(24A,24B)을 반시계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립(20A,20B)의 키부분(24A,24B)이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확장부분(12A) 내측의 원호부(22A) 및 제2확장부분(12B) 내측의 원호부(22B)는, 중심축(3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확장부분(12A) 내에서 미세하게 탄성 변형하게 된다. 즉, 클립(20A,20B)의 각각의 키부분(24A,24B)과 인접한 확장부분(12A,12B)은 중심축(3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확장부분(12A) 및 제2확장부분(12B)의 범위 내에서, 원호부(22A,22B)가 중심축(3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탄성 변형되면, 실질적으로 중심축(30)을 중심으로 클립(20) 및 하우징(10)이 회전하는데 대한 반력(마찰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확장부분(12A,12B)에 의하여, 하우징(10)의 순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 회전이 필요한 토크는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에 하우징(10)가 시계 방향[도 3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시계 방향의 힘을 받는 하우징(10)은, 키홈(14)을 통하여 키부분(24A,24B)에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클립에 가해지는 힘은, 실질적으로 키홈(12A,12B)에 근접한 원호부분(22A,22B)을 중심축(30)으로 가압함으로써, 전체 원호부분(22A,22B)이 중심축(3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그 사이의 마찰력은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토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오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키홈(24A,24B)과 확장부분(12A,12B)이 서로 만나는 연결부분(13A,13B)은 더욱 외측으로 확장함으로써 중심축(30)과의 간격이 더욱 넓게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둔각을 가지는 유선형으로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분(13A,13B)에서 중심축(30)과의 사이가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클립(20A,20B)의 자유단부가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대칭 힌지에서, 상술한 클립(20A,20B)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하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 비대칭 힌지에서,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은 실질적으로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즉, 양 방향 회전에 있어서,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이 중심축(30)에 밀착되는 면적에 기초하여 하우징(10)을 회전시키는 토크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토크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또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로 클립(20A,20B)의 원호 부분을 가압하는 힘도 고려할 수 있음에 착안하였다. 이러한 힘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0)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의 크기도 제어할 수 있다는 착상에 기초하여, 상기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을 착안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의 외측에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토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호부분(22A,22B)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최초 설정된 토크로 하우징(1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토크 조절이 연속적으로 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에 힘을 가하여 하우징(10)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도 3, 그리고 도 5를 주로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상술한 클립(20) 및 하우징(10)의 내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에서, 본 발명 힌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축공(12) 내부에는 가압튜브(15)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튜브(15)는, 하우징(10)의 단부에 걸리는 플랜지(15b)와,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가공된 나사결합부(15a)로 구성된다. 나사결합부(15a)는, 조절너트(16)과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수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성형된 슬릿에 의하여 한 쌍의 나사결합편(15d)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나사 결합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5b)에는 중심축(30)이 통과하는 통과공(15c)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너트(16)는,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선단부(16b)와,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고 회전 조작을 위하여 예를 들면 한 쌍의 직선형 절취부(16c)를 가지는 본체부(16a)로 구성된다. 조절너트(16)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가공되어 있고, 이러한 조절너트(16) 내부는 가압튜브(15)의 나사결합부(15a)과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조절너트(16)는 가압튜브(15)의 나사결합부(15a)를 내측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나사결합부(15a)가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을 누를 수 있게 된다.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이 눌러지면 중심축(30)과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하우징(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토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절너트(16)는 나사결합부(15a)에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부(15a)를 더 조이게 되면, 나사결합부(15a)의 내면이 수축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나사결합부(15a)의 내경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등의 구성을 통하여, 또는 공지된 구조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 조절너트(16)의 선단부(16c)와 하우징(10)의 내측 사이에는 스프링(17)을 개재시킴으로써, 조절너트(16)가 정해진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조절너트(16)를 회전시켜, 가압튜브(15)의 나사결합부(15a)와의 나사 결합이 깊어질수록 나사결합부(15a)를 더욱 조여서 그 지름이 축소된다. 즉, 조절너트(16)가 나사결합부(15a)를 조이게 되면, 다수의 나사결합편으로 구성되는 나사결합부(15a)가 수축되고(나사결합부의 내면이 수축되고), 이에 따라서 나사결합부(15a)의 내측면은 클립(20A,20B)의 원호부분(22A,22B)을 수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0)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클립(20A,20B)을 이용하여, 양방향 회전시 필요로 하는 토크의 크기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클립의 원호부분의 외측면을 조절너트 및 가압튜브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기본적으로 양방향 회전시 토크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부분(12A,12B)의 원호상 길이에 기초하고 있다. 즉, 확장부분(12A,12B)의 길이가 상이하게 설정되면, 양 방향 회전시 중심축(30)과 접촉하는 클립(12A,12B)의 면적이 상이하게 결정되어 궁극적으로 양방향 회전시의 토크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절너트(16) 및 가압튜브(15)를 이용하여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A, 11B ..... 결합부
12 ..... 축공
12A, 12B ..... 확장부분
14A, 14B ..... 키홈
15 ..... 가압튜브
15a ..... 나사조절부
15b ..... 플랜지
16 ..... 조절너트
16a ..... 본체부
16b ..... 선단부
17 ..... 스프링
20 ..... 클립
22A, 22B ..... 원호부분
24A, 24B ..... 키부분
30 ..... 중심축

Claims (4)

  1.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원호부분과, 상기 원호부분의 일단에서 연속하여 성형되는 키부분을 각각 구비하고, 대칭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클립;
    상기 한 쌍의 클립을 사이에 두고 중심축이 내부로 결합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대칭 형성이고 클립의 키부분이 각각 들어가는 키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클립의 원호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가공되며, 다수의 나사조절편으로 구성되는 나사조절부를 구비하는 가압튜브; 그리고
    상기 가압튜브의 나사조절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조절너트로 구성되어;
    클립의 키부분과 연결되는 원호부분의 외측에 대응하는 축공에는 각각 제1확장부분 및 제2확장부분이 형성되어, 중심축에 대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필요한 토크가 상이하게 설정되고;
    상기 조절너트를 조임으로써 나사조절부가 축소되면서 클립의 원호부분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비대칭 토크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튜브는, 하우징의 일단에 접촉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나사조절부는 플랜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비대칭 토크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홈과 확장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은, 중심축과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성형되는 비대칭 토크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키홈에 해당하는 하우징의 외측에는 다른 구조물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비대칭 토크 힌지.
KR1020180078237A 2018-07-05 2018-07-05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KR10208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37A KR102082436B1 (ko) 2018-07-05 2018-07-05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37A KR102082436B1 (ko) 2018-07-05 2018-07-05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52A true KR20200005052A (ko) 2020-01-15
KR102082436B1 KR102082436B1 (ko) 2020-02-27

Family

ID=6915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37A KR102082436B1 (ko) 2018-07-05 2018-07-05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532B1 (ko) 2022-09-28 2023-01-31 오세훈 개폐용 토크 힌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36Y1 (ko) * 2000-03-02 2000-08-01 곽수만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100492085B1 (ko) * 2002-10-11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장치
JP4188274B2 (ja) * 2004-03-31 2008-11-26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トルク伝達機構
CN104527477A (zh) * 2014-11-18 2015-04-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头枕以及扶手的嵌入式铰链及其制造方法
JP5973059B2 (ja) * 2013-11-01 2016-08-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1876520B1 (ko) * 2017-11-30 2018-07-09 황재윤 비대칭 토크 힌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36Y1 (ko) * 2000-03-02 2000-08-01 곽수만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100492085B1 (ko) * 2002-10-11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장치
JP4188274B2 (ja) * 2004-03-31 2008-11-26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トルク伝達機構
JP5973059B2 (ja) * 2013-11-01 2016-08-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N104527477A (zh) * 2014-11-18 2015-04-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头枕以及扶手的嵌入式铰链及其制造方法
KR101876520B1 (ko) * 2017-11-30 2018-07-09 황재윤 비대칭 토크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532B1 (ko) 2022-09-28 2023-01-31 오세훈 개폐용 토크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436B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2175B1 (en) Connecting device between components of a piece of furniture
AU725339B2 (en) Friction hinge with detent capability
JP6536771B1 (ja) 自在継手、伸縮リンク及びサスペンション
US6722810B1 (en) Coupling structure of extensible shafts
US20150139573A1 (en) Gas-dynamic air bearing
KR20040076282A (ko) 지지 부싱
JP6594444B2 (ja) 軸継手
MX2014009661A (es) Un dispositivo conector seguro, en particular para tuberias, un acoplador del extremo para tal dispositivo, y un metodo para fabricar una tuerca para el mismo.
JP3254450B1 (ja) 指 輪
KR102082436B1 (ko) 토크 조절이 가능한 비대칭 토크 힌지
JP2003322165A (ja) ブッシュ軸受
US5267759A (en) Connector assembly
JPH0359286B2 (ko)
CN105492790A (zh) 包括中空轴、输入轴和夹持装置的布置
WO2019044150A1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ムフォロア
KR100457198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KR101495390B1 (ko) 구조 유닛
KR20200005049A (ko) 비대칭 토크 힌지
JP5123625B2 (ja) 顕微鏡対物レンズ
KR101876520B1 (ko) 비대칭 토크 힌지
JP2010059926A (ja) クリップ
US20120304419A1 (en) Apparatus for limiting pivotal rotation angle
JP2005106248A (ja) パーキング機構付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64032Y1 (ko) 클립형 힌지장치
RU190255U1 (ru) Червячная передач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зазо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