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90B1 - 구조 유닛 - Google Patents

구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390B1
KR101495390B1 KR1020107024032A KR20107024032A KR101495390B1 KR 101495390 B1 KR101495390 B1 KR 101495390B1 KR 1020107024032 A KR1020107024032 A KR 1020107024032A KR 20107024032 A KR20107024032 A KR 20107024032A KR 101495390 B1 KR101495390 B1 KR 10149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locking member
structural unit
groov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702A (ko
Inventor
디르크 소콜리흐스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0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 B60G2206/1112Manually, for alignment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9Redundant disconnection b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29Rotarily connected, differentially translatable members, e.g., turn-buckle, etc.
    • Y10T403/295Rotarily connected, differentially translatable members, e.g., turn-buckle, etc. having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 1 회전 방향의 내부 나사산(1)을 가진 관(2)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조절 슬리브(3)가 관(2)의 내부 나사산(1)의 단부 내로 조여지고, 상기 조절 슬리브(3)는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내부 나사산(4) 및 그 안에 나사로 조여진 생크(5)를 가지며, 상기 생크의 조절 거리는 록킹 부재(6)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절 슬리브(3)는 생크(5)에 의해 관통되는 록킹 부재(6)를 가지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생크(5)의 외주 면에 있는 홈(7) 내에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Description

구조 유닛{STRUCTURAL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 199 00 264 A1에는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 1 회전 방향의 내부 나사산을 가진 관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이 개시되며, 대응 외부 나사산을 가진 조절 슬리브가 상기 관의 단부 내로 조여진다. 볼 조인트의 생크가 상기 조절 슬리브 내로 나사로 조여진다. 이를 위해, 생크는 제 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외부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외부 나사산은 조절 슬리브의 내부 나사산에 대응한다. 공구의 장착을 위한 스패너 플랫(spanner flat)을 가진 조절 슬리브의 운동에 의해, 관과 생크가 축 방향으로 서로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즉, 조절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 관과 생크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게 운동한다. 상기 상황은 반대 방향의 나사산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조절 가능성에 의해 구조 유닛은 관, 조절 슬리브 및 생크의 공통 종방향 중심 축선과 관련해서 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고, 이는 특히 상기 간행물에 설명된,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트랙을 조절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관과 생크 사이에 조절 슬리브를 삽입함으로써, 2개의 상이한 나사산 직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스패너 플랫을 통해 도입된 힘이 부품들을 서로 상대 조절하기 위해, 볼 조인트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나사산을 통해 관으로 전달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따라서, 직경이 더 작은 나사산이 약점이 되고, 이 약점은 그러한 타이 로드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의 다른 단점은 생크가 실수로 생크를 수용하는 조절 슬리브로부터 멀리 빼내짐으로써, 단 하나의 작은 나사산 섹션만이 힘 전달에 이용되거나 또는 생크가 조절 슬리브로부터 완전히 풀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은 나사산의 손상에 의해 더 커진다.
생크가 조절 슬리브로부터 너무 멀리 빼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E 77 32 250 U1에는 생크에 대한 관의 축 방향 조절 거리를 제한하는 해결책이 제시된다. 상기 간행물에 제시된, 전술한 타이 로드와 유사하게 구성된 구조 유닛은 스패너 플랫을 통한 조절 슬리브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 생크와 관은 축 방향으로 서로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특수성은 통상 타이 로드에 있는, 구조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가 록킹 부재를 타이 로드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록킹 부재는 본 실시예에서 휘어진 단부 부분을 가진 박판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휘어진 단부 부분은 이를 위해 생크에 형성된 편평한 표면 상에 놓인다. 생크는 또한 그 인출 방향으로 볼 때 홈을 가지며, 생크가 허용되는 축 방향 이동 거리를 벗어나서 나사 결합부로부터 풀려지면, 상기 박판의 휘어진 단부 부분이 상기 홈 내로 맞물린다. 상기 간행물에 설명된 해결책은 구조 유닛의 조절시 축 방향 거리를 명확히 제한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생크에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기술상 비용이 단점이다. 또한, 이 실시예는 많은 조립 비용을 필요로 한다. 다른 단점은 박판 스트립이 타이 로드 외부에 있어서 자동차에서 타이 로드의 사용시 박판 스트립의 손상 또는 변형이 배제될 수 없고, 그 결과 스트립이 그 기능을 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박판 섹션이 심한 환경적 영향에 노출됨으로써, 이것이 부식되거나 마모될 위험이 있다.
또한, DE 102 11 066 A1에는 자동차의 타이 로드에 있어서, 제 1 회전 방향의 내부 나사산을 가진 관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이 공개되어 있으며, 조절 슬리브가 상기 관의 단부 내로 조여진다. 조절 슬리브는 제 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내부 나사산과 그 안에 나사로 조여진 생크를 갖는다. 상기 생크의 조절 거리는 생크에 의해 관통되는, 조절 슬리브에 할당된 록킹 부재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축 방향 조절 거리를 간단히 형성하고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는, 2개의 서로 상대 조절 가능한 부재를 가진 구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 1 회전 방향의 내부 나사산을 가진 관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으로서, 상기 관의 단부 내로 조절 슬리브가 조여지고, 상기 조절 슬리브는 제 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내부 나사산 및 그 안에 나사로 조여진 생크를 가지며, 상기 생크의 조절 거리는 록킹 부재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조절 슬리브는 생크에 의해 관통되는 록킹 부재를 가지는, 구조 유닛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가 생크의 외주 면에 있는 홈 내에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구조 유닛의 개별 부품의 원치 않는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부품들 간의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축 방향 조절 거리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간단히 규정된다. 생크가 록킹 부재를 관통하는 상황으로 인해, 록킹 부재는 구조 유닛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구조 유닛의 전체 수명 동안 기계적 또는 열적 또는 화학적 영향에 대한 확실한 보호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예컨대 구조 유닛의 적절치 않은 조절 운동 방지 또는 구조 유닛의 간단한 구성과 같은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생산은 큰 비용 없이 직접 대량 생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한 제 1 실시예에서, 홈은 생크의 외주 면을 따라 환형으로 구현된다. 이 변형예는 특히 간단한 제조 가능성을 제공한다. 환형의 홈과 더불어, 홈이 생크의 외주 면의 원주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해결책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록킹 부재는 바람직하게 조절 슬리브의 내주 면 내에 형성된 홈 내로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최종 조립 전에, 조절 슬리브가 록킹 부재와 함께 예비 조립된 구조 유닛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립이 전체적으로 간단해진다.
상기 해결책의 개선 예에서는 록킹 부재가 축 방향 유격은 없지만 방사 방향 유격을 가지고 조절 슬리브의 내주 면에 있는 홈 내로 삽입된다. 록킹 부재의 수용을 위한 홈 내부에서 방사방향 유격은 구조 유닛의 조립을 위해 중요한, 록킹 부재의 고유 탄성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유 탄성은, 본 발명의 개선 예에 따라 록킹 부재가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의 내부 폭이 생크의 홈의 외부 치수에 상응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조립된 구조 유닛에서, 록킹 부재의 관통구의 표면이 생크의 홈의 표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홈 내부에서 축 방향 가동성이 주어짐으로써, 구조 유닛의 조절 거리가 규정된다. 조절 운동 동안, 록킹 부재의 관통구가 생크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조립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생크는 버섯 갓 모양의 단부 부분을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의 외부 폭은 록킹 부재의 관통구의 내부 폭보다 크다. 이와 관련해서, 록킹 부재가 고유 탄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구조 유닛의 조립시, 생크의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이 록킹 부재의 관통구 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록킹 부재는 그 고유 탄성으로 인해 조절 슬리브의 홈 내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확대되고, 상기 록킹 부재를 통해 생크의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이 안내될 수 있다. 생크의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의 통과 후에, 록킹 부재는 그 고유 탄성으로 인해 수축됨으로써, 록킹 부재는 생크 내부의 홈의 외주 면의 원주에 상응하는 관통구를 갖는다. 따라서, 록킹 부재는 생크의 홈 내에서 홈의 표면에 직접 접촉한다. 생크의 홈은 2개의 측면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구조 유닛의 축 방향 조절 거리를 제한한다. 플랜지들은 록킹 부재용 스토퍼로서 사용된다.
생크의 단부 부분의 버섯 갓 모양 실시예는 생크의 단부 부분이 구형 또는 원추형 윤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생크의 외부 폭이 그 단부로부터 홈을 향해 확대됨으로써, 구조 유닛이 조립될 때 상기 단부 부분이 통과하는 록킹 부재의 관통구가 그 고유 탄성으로 인해 확대되는 것만이 중요하다.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 후방에 생크의 홈이 있고, 상기 홈 내로 록킹 부재가 맞물린다.
공지된 방식으로, 조절 슬리브는 관으로부터 돌출한 그 자유 외측면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스패너 플랫을 갖는다. 상기 스패너 플랫은, 회전 운동이 조절 슬리브로 전달되고 상기 조절 슬리브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으로 인해 생크와 관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운동을 야기함으로써, 구조 유닛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사용 가능성은 구조 유닛이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구성 부품이고, 생크가 상기 타이 로드의 볼 조인트 하우징 생크의 단부인 것이다. 이러한 사용에서는 전술한 장점이 얻어지며, 상기 장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많은 추가 비용 없이 직접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이미 사용되고 있고 선행 기술의 간행물과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은 타이 로드에서는, 부품들, 관, 조절 슬리브 및 생크가 이미 존재한다. 다만, 생크 내에 홈이 형성되어야 하고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며, 홈이 구조 유닛의 내부 슬리브 내에 형성되어야 하고, 이 홈 내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부재가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적은 변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이 직접 많은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시된 변형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는 매우 간단한 원리도만이 도시되고,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은 부품들은 생략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그러한 부품들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축 방향 조절 거리를 간단히 형성하고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는, 2개의 서로 상대 조절 가능한 부재를 가진 구조 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자동차용 타이 로드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을 가진 타이 로드의 단부 부분.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확대도는 자동차의 타이 로드의 구성 부품을 도시한다. 도 1은 도 2의 부분Ⅰ에 상응한다.
도시된 구조 유닛은 내부 나사산(1)을 가진 관(2)을 포함한다. 상기 관(2)의 내부 나사산(1)에 대응하게 조절 슬리브(3)에 있는 조절 슬리브(3)의 외부 나사산(17)이 상기 내부 나사산(1) 내로 조여진다. 조절 슬리브(3)는 그 내주 면(8)에 내부 나사산(4)을 가지며, 상기 내부 나사산(4)은 생크(5)를 조절 슬리브(3) 내로 조여 넣기 위해 사용된다. 생크(5)는 그 외주 면에 외부 나사산(18)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관(2)의 내부 나사산(1) 및 조절 슬리브(3)의 내부 나사산(4)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인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관(2)의 내부 나사산(1)은 오른 나사이며, 조절 슬리브(3)의 내부 나사산(4)은 왼 나사이다. 이로 인해, 부품들, 즉 관(2), 조절 슬리브(3) 및 생크(5)의 도시되지 않은 공통의 종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조절 슬리브(3)의 회전 운동시, 생크(5)는 관(2)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 로드의 축 방향 조절 운동이 가능하다. 조절 슬리브(3)는 단부에 홈(9)을 가지며, 제한된 탄성을 가진 록킹 부재(6)가 상기 홈 내로 삽입된다. 록킹 부재(6)는 홈(9) 내에서 방사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홈(9) 내부에서 록킹 부재(6)의 축 방향 가동성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록킹 부재(6)의 양 측면은 홈(9)의 대응 제한 면에 접촉한다. 또한 홈(7)이 생크(5) 내에 형성되고, 홈은 생크(5)의 단부 섹션의 영역 내에 있다. 상기 홈(7)의 양측은 각각 하나의 플랜지(19 또는 20)에 의해 제한된다. 플랜지들(19, 20) 사이의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의 최대로 가능한 조절 거리를 나타낸다. 록킹 부재(6)는 또한 관통구(1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의 내부 표면은 생크(5)의 홈(7)의 외부 표면에 직접 접촉한다. 홈(7) 내에서 축 방향 슬라이딩 운동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크(5)의 단부 부분(11)이 버섯 갓 모양으로 구현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생크(5)의 단부 부분(11)의 버섯 갓 모양 윤곽이 서로 이어지는 다수의 형상에 의해 주어진다. 생크(5)의 단부에서 시작해서,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상이한 기울기를 가진 2개의 원추형 형상이 서로 교대한다. 단부 부분(11)의 원추형 형상에 이어서, 단부 부분은 원통형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횡단면은 홈 측에서 플랜지(20)로 이어진다.
구조 유닛의 조립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개별 부품들이 제조된다. 그리고 나서, 록킹 부재(6)는 이를 위해 조절 슬리브(3)에 제공된 홈(9) 내로 삽입된다. 록킹 부재(6)는, 생크(5)를 조절 슬리브(3) 내로 조여 넣을 때 먼저 생크(5)의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11)이 록킹 부재(6)의 관통구(10)를 통해 안내될 수 있게 하는 고유 탄성을 갖는다. 상기 고유 탄성으로 인해 록킹 부재(6)가 홈(9)의 내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확대된다. 록킹 부재(6)의 관통구(10)는 단부 부분(11)의 원추형 형상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11)의 통과 후에, 록킹 부재(6)는 생크(5)의 홈(7) 내로 맞물리고 그 고유 탄성으로 인해 다시 수축됨으로써, 홈(7)의 표면 상에 놓인다. 이렇게 형성된 부분 유닛은 조절 슬리브(3)의 외부 나사산(7)에 의해 관(2)의 내부 나사산(1) 내로 조여질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자동차용 타이 로드(13)의 실시예에서 구조 유닛이 도시된다. 여기에는 단 하나의 단부 부분만이 도시된 타이 로드(13)는 관(2)을 포함하고, 상기 관 내로 조절 슬리브(3)가 조여진다. 조절 슬리브(3)의 조절을 위해, 그 외주 면에 스패너 플랫(12)이 있다. 볼 조인트 하우징 생크를 형성하는 생크(5)에 의해 볼 조인트(14)가 조절 슬리브(3)와 연결된다. 부품들 간의 고정을 위해, 관(2)의 외주 면에 장착되는 클램프(15)가 사용된다. 클램프(15)는 나사 결합부(16)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구조 유닛 전체를 고정한다. 따라서, 클램프를 조인 후에는 조절 운동이 더 이상 실시될 수 없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유닛은 도시된 타이 로드(3)의 관(2) 내부에 배치되므로, 구조 유닛이 오염 및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1 내부 나사산(관)
2 관
3 조절 슬리브
4 내부 나사산(조절 슬리브)
5 생크
6 록킹 부재
7 홈(생크 내)
8 내주 면(조절 슬리브의)
9 홈(조절 슬리브 내)
10 관통구(록킹 부재의)
11 단부 부분
12 스패너 플랫
13 타이 로드
14 볼 조인트
15 클램프
16 나사 결합부
17 외부 나사산(조절 슬리브의)
18 외부 나사산(생크의)
19, 20 플랜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 1 회전 방향의 내부 나사산(1)을 가진 관(2)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으로서, 상기 관(2)의 단부 내로 조절 슬리브(3)가 조여지고, 상기 조절 슬리브(3)는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내부 나사산(4) 및 그 안에 나사로 조여진 생크(5)를 가지며, 상기 생크의 조절 거리는 록킹 부재(6)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조절 슬리브(3)는 상기 생크(5)에 의해 관통되는 록킹 부재(6)를 갖는, 구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6)는 상기 생크(5)의 외주 면에 있는 홈(7) 내에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7)은 상기 생크(5)의 외주 면을 따라 환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6)는 상기 조절 슬리브(3)의 내주 면(8) 내에 형성된 홈(9)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6)는 상기 조절 슬리브(3)의 종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유격 없이 또는 유격을 가지고 그리고 방사 방향 유격을 가지고 상기 홈(9)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6)는 제한된 고유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6)는 관통구(10)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의 내부 폭은 상기 생크(5)의 상기 홈(7)의 외부 치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5)는 버섯 갓 모양 단부 부분(11)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11)의 외부 폭은 상기 록킹 부재(6)의 상기 관통구(10)의 내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5)의 상기 단부 부분(11)은 구형 또는 원추형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슬리브(3)는 상기 관(2)으로부터 돌출한 그 자유 외측면에 공구의 장착을 위한 스패너 플랫(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유닛은 자동차용 타이 로드(13)의 구성 부품이고, 상기 생크(5)는 상기 타이 로드(13)의 볼 조인트 하우징 생크의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유닛.
KR1020107024032A 2008-04-25 2009-04-07 구조 유닛 KR101495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1381.1 2008-04-25
DE102008001381A DE102008001381B3 (de) 2008-04-25 2008-04-25 Baueinheit
PCT/DE2009/050019 WO2009129808A1 (de) 2008-04-25 2009-04-07 Bau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02A KR20110005702A (ko) 2011-01-18
KR101495390B1 true KR101495390B1 (ko) 2015-02-24

Family

ID=4079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032A KR101495390B1 (ko) 2008-04-25 2009-04-07 구조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96232B2 (ko)
KR (1) KR101495390B1 (ko)
CN (1) CN102015418B (ko)
BR (1) BRPI0911641A8 (ko)
DE (1) DE102008001381B3 (ko)
MX (1) MX2010011559A (ko)
RU (1) RU2464195C2 (ko)
WO (1) WO2009129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8228B2 (en) * 2013-03-26 2015-04-07 Powers and Sons, LLC Steering attenuat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9821843B1 (en) * 2017-01-06 2017-11-21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Llc Tie rod
US11242889B2 (en) 2019-08-29 2022-02-08 The Boeing Company Adjustable tie rods and related methods
RU2020103575A (ru) * 2020-01-28 2021-07-28 Зе Боинг Компани Регулируемые узлы соединительных тяг, имеющие шарнирный конец,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434U (ko) * 1997-11-26 1999-06-15 김충열 충격(워터햄머)흡수 장치의 제조방법
US20020136596A1 (en) 2001-03-20 2002-09-26 Dana Industrial S/A Adjustable steering tie-rod with longitudinal locking device
KR100456921B1 (ko) 2002-05-31 2004-11-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JP4436983B2 (ja) 1999-01-07 2010-03-24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ドラッグリ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59898B (ko) * 1972-01-19 1973-09-10 Sandqvist Sune Allan
US3829824A (en) * 1973-05-18 1974-08-13 E Pillischafske Clamp bolt for an automotive vehicle battery
US4097163A (en) * 1977-01-10 1978-06-27 Tyee Aircraft, Inc. Method of swage joining a rod end to a tube and the product thereof
DE7732250U1 (de) * 1977-10-19 1978-02-09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Spurstange fuer lenkgestaenge in kraftfahrzeugen
FR2649062A1 (fr) * 1989-06-29 1991-01-04 Irigny Mecanique Dispositif de liaison d'un joint a rotule a une barre d'accouplement de timonerie de direction de vehicules automobiles
IT1240533B (it) * 1990-08-07 1993-12-17 Fiat Auto Spa Dispositivo per limitare l'angolo di sterzatura delle ruote di un veicolo.
US5156482A (en) * 1991-05-21 1992-10-20 Owings Samuel S Lockable turnbuckle
US5286133A (en) * 1991-08-15 1994-02-15 Trw Inc. Joint for vehicle steering linkage
US5251995A (en) * 1992-11-12 1993-10-12 Chi Yi C Coupling of a head set
US5603583A (en) * 1995-11-06 1997-02-18 Trw Inc. Tie rod assembly for vehicle steering linkages
US6264402B1 (en) * 1995-12-26 2001-07-24 Vickars Development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iles in place
US6595714B2 (en) * 2000-12-09 2003-07-22 Tyee Aircraft Swivel insert for a control rod
BR0101186B1 (pt) * 2001-03-16 2009-08-11 barra de direção ajustável, com travamento helicoidal.
US6902325B1 (en) * 2001-09-06 2005-06-07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Constant velocity joint and wheel hub assembly
US6902341B1 (en) * 2002-12-12 2005-06-07 Mark C. Rauschert Turnbuckle linkage assembly
US7024827B2 (en) * 2003-02-20 2006-04-11 Gregory Enterprises, Inc. Preconstruction anchor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US6966567B2 (en) * 2003-05-09 2005-11-22 The Pullman Company One end adjustable torque rod
US7841144B2 (en) * 2005-03-30 2010-11-30 Valinge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panel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DE102009001535A1 (de) * 2009-03-13 2010-09-16 Zf Friedrichshafen Ag Baueinheit, Verfahren zur Anwendung dieser Baueinheit und Werkzeug zur Anwendung des Verfahr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434U (ko) * 1997-11-26 1999-06-15 김충열 충격(워터햄머)흡수 장치의 제조방법
JP4436983B2 (ja) 1999-01-07 2010-03-24 ツェットエフ レムフェルダー メタルヴァーレ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用のドラッグリンク
US20020136596A1 (en) 2001-03-20 2002-09-26 Dana Industrial S/A Adjustable steering tie-rod with longitudinal locking device
KR100456921B1 (ko) 2002-05-31 2004-11-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01381B3 (de) 2010-01-07
US20110038665A1 (en) 2011-02-17
MX2010011559A (es) 2010-11-12
CN102015418A (zh) 2011-04-13
BRPI0911641A2 (pt) 2018-03-27
WO2009129808A1 (de) 2009-10-29
RU2464195C2 (ru) 2012-10-20
RU2010147867A (ru) 2012-05-27
CN102015418B (zh) 2015-06-17
BRPI0911641A8 (pt) 2019-01-29
KR20110005702A (ko) 2011-01-18
US8696232B2 (en)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749B2 (en) Bracket-less clamping assembly
KR101671550B1 (ko) 타이 로드
KR101512506B1 (ko) 프로파일링된 클램프
US9188261B2 (en) Safety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iping, an end-coupler for such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ut therefor
KR101495390B1 (ko) 구조 유닛
KR20070086384A (ko) 애드-온과 지지부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6102488A (en) Torque angle limiting wheelnut
CN111742152B (zh) 公差补偿装置
US7182544B2 (en) Turnbuckle assembly
US6575659B1 (en) Conical screw connection for multi-disk shaft couplings
EP2831434B1 (en) Spherical bearing comprising a support
US11226009B2 (en) Steering shaft assembly
US9624982B2 (en) Hollow shaft coupling
JP2017145885A (ja) 接合部の補強治具および接合部の補強構造
US8733518B1 (en) Drive pin assembly
US7260879B2 (en) Wheel bearing on an axle body for vehicles
US20030133744A1 (en) Ball joint with dual tapered connection
US20180216666A1 (en) Bearing arrangement
JP6083632B1 (ja) 緩み止めナット
US20160348702A1 (en) Device configured for preloading bearing interfaces coupling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JP7360253B2 (ja) 流体圧シリンダ
US11422013B2 (en) Sensor housing
KR20170101454A (ko) 금구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14261A (ko) 풀림방지 너트
JP2004340132A (ja) 内燃機関のガス交換弁を操作するための弁調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