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163A -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163A
KR20200004163A KR1020180077261A KR20180077261A KR20200004163A KR 20200004163 A KR20200004163 A KR 20200004163A KR 1020180077261 A KR1020180077261 A KR 1020180077261A KR 20180077261 A KR20180077261 A KR 20180077261A KR 20200004163 A KR20200004163 A KR 2020000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reaction system
fenton reaction
electrod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570B1 (ko
Inventor
김종식
이승용
김상훈
박보인
최윤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4Sulfides
    • B01J27/043Sulfides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B01J35/023
    • B01J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083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음성도가 황(S) 원소의 전기음성도 이하인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적어도 한 종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BIMETALIC SULFIDE CATALYST FOR ELECTRO-FENTON REACTION SYSTEM,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FENTON REAC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난분해성 유기물의 분해를 위한 이종금속 황화물(M1M2S, 여기서, M1, M2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임)을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러한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러한 전극을 이용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또는 독성을 가지는 유기 물질들을 산화시켜 분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고급 산화처리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은 높은 활성도를 가지는 라디칼(radical) 산화제를 사용하여 반응물들을 산화시켜 H2O 및 CO2로 최종 분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표적인 AOP들 중 하나로써 제안된 펜톤 반응(Fenton reaction)의 경우, 하/폐수 처리장에 상용화되어 있는 단일 촉매공정으로써, 이온화된 2가 철이온(Fe2+)이 과산화수소수(H2O2)와 반응하여 OH라디칼(·OH)이 유기 물질들을 분해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하기의 식은 펜톤 반응의 화학반응식을 나타낸다.
Fe2+ + H2O2 → Fe3+ + OH- + ·OH
그러나, 펜톤 반응의 경우, 긴 반응시간 동안 생성되는 Fe(OH)3 슬러지(sludge)를 이온화된 2가 철 이온(Fe2+)으로 재생시키는 기술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펜톤 반응시 pH를 3 이하로 조절하여 슬러지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반응 후 이온화된 2가 철 이온(Fe2+)의 회수가 어려워 Fe2+의 펜톤 반응 촉매로의 적용 횟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물에 녹지 않는 철(Fe) 기반의 고체가 2가 철 이온(Fe2+)의 공여체로 사용되는 유사 펜톤 반응(Fenton-like reaction)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수(H2O2)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한 점, 3가 철 이온(Fe3+)-과산화수소수 간의 반응이 2가 철 이온(Fe2+)-과산화수소수 간의 반응보다 우세하여 기존의 펜톤 반응에 비하여 OH라디칼(·OH)의 생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OH라디칼(·OH)의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화학양론적 황화철을 이용한 펜톤 반응용 촉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는 전기적 펜톤 반응의 반복 시, 황화철의 박리(leaching)에 따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를 제조하여 OH라디칼의 생성율을 증가시키고 반응시 결정입자의 박리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촉매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있어서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육방정계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적어도 한 종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가 제공된다.
<화학식 1>
M1xM2(1-x)S (0<x<1)
(단, M1 및 M2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은 전기음성도가 황(S)원소의 전기음성도 이하인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은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아연(Zn), 구리(Cu), 니켈(Ni), 코발트(Co), 이트륨(Y),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뎀(Mo), 테크네륨(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은(Ag),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의 황(S)의 몰 농도는 50mol%이고, M1 및 M2는 몰 농도의 합이 50mol% 일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표면에 돌기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직경이 직경이 0.1nm 내지 5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상기 전이금속과 상기 황 원소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해 H2O2에 대해서 전기적 인력이 작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으로서,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가 담지되는 담지체, 상기 촉매가 담지된 담지체가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담지체와 기판의 코팅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지체는 탄소(C), Al2O3, MgO, ZrO2, CeO2,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담지체 100중량부 대비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0.0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물에 대해서 불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상기 촉매가 형성된 전극및 전해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Electro-Fenton) 반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수용액의 pH는 5 내지 10이고, 2W이하의 전력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를 제조하여 OH라디칼의 생성율을 증가시키고 반응시 결정입자의 박리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촉매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있어서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X-선 회절분석법 패턴(XRD pattern)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촉매를 사용한 전기펜톤 페놀분해반응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기펜톤 페놀분해반응 속도상수 및 반응 도중 박리되는 촉매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기펜톤 페놀분해반응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펜톤 페놀분해반응의 recycle reaction run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Electro-Fenton) 반응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종금속 황화물 및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촉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적어로 한 종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M1xM2(1-x)S (0<x<1)
(단, M1 및 M2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임)
한편, 본 발명의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에 포함되는 전이금속은, 전기음성도가 황 원소 이하일 수 있다. 전이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하는 황(S) 원자의 전기음성도는 2.5 또는 2.4로 알려져 있다. 황화물 결정입자를 형성하는 전이금속이 황보다 작은 값의 전기음성도를 가질 경우, 전이금속 황화물의 전자분포가 황쪽으로 향하게 된다. 즉,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전이금속이 부분적으로 δ+ 전하(δ+ charge)를 가지게 되고, 황은 δ- 전하(δ- charge)를 띠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M1, M2의 전이금속과 황 원소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해 과산화수소수(H2O2)에 대한 전기적 인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의 전자분포는 OH라디칼 생성반응에 있어서 전이금속의 부분적인 δ+ 전하와 반응물인 과산화수소수(H2O2)의 산소(O)원자 사이에 전기적 인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전이금속과 과산화수소수(H2O2) 사이의 반응에 의한 OH라디칼 생성반응의 속도가 증가하며, 최적화된 조성을 가지는 이종금속 황화물인 M1M2S은 단일금속 황화물인 M1S, M2S와 대비하여 전기적 펜톤 반응의 성능이 극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황(S) 원소의 전기음성도 이하의 값을 가지는 전이금속을 포함하여 이종금속황화물 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적용하여 종래의 철을 이용한 촉매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열합성법 (hydrothermal synthesis), 용매열합성법 (solvothermal synthesis), 볼-밀링법 (mechano-chemical method (ball-milling)), 비템플레이트 또는 템플레이트합성법 (non-templated or templated method), 함침법 (impregnation method), 딥코팅법 (dip coating), 열분해 (thermolysis of MS coordination chemistry-driven complex), 또는 기계화학적 합성 (mechano-chemical synthesis)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반응속도가 빠를수록, 과산화수소수(H2O2)와 이종금속황화물에 존재하는 금속종 (M1 or M2)이 OH라디칼 (·OH)을 빠르고 많이 형성하여 유해물질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에 포함되는 전이금속은, 황의 전기음성도보다 작은 4주기 내지 6주기의 전이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이금속은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아연(Zn), 구리(Cu), 니켈(Ni), 코발트(Co), 이트륨(Y),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뎀(Mo), 테크네륨(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은(Ag),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금속 황화물인 M1M2S의 황(S)의 몰 농도는 50mol%이며, M1 및M2의 몰농도의 합이 50mol%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M1 및 M2의 몰 농도의 합이 50mol% 이되, M1 및 M2의 조성은 0 mol% 보다 초과하고 50mol%보다 미만의 범위에서 조성이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금속 황화물은 는 Fe 및 Ni로 구성된, Fe0.2Ni0.8S, Fe0.4Ni0.6S, Fe0.5Ni0.5S, Fe0.6Ni0.4S, Fe0.8Ni0.2S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고, 황화철 결정입자는 직경이 0.1 nm 내지 500㎛일 수 있다.
이종금속 황화물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및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이하에서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은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으로서,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가 담지되는 담지체, 상기 촉매가 담지된 담지체가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담지체와 기판의 코팅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촉매 및 촉매가 형성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촉매는 기판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촉매는 기판의 양면에 코팅될 수 있다. 기판은 전기화학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도전성물질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파이트 또는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촉매는 함침법(impregnation method)를 이용하여 기판에 코팅될 수 있다. 이때, 과산화수소수 및 촉매반응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기판으로부터 산소(O2)의 원활한 수급이 가능하도록 코팅되는 촉매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은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기판 100중량부 대비 촉매는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에 포함되는 촉매의 함량을 조절하여 OH라디칼의 생성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촉매와 기판의 코팅시, 바인더(binder)를 사용하여 촉매와 기판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실질적으로 없는 불용성 물질 고분자 일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1-메틸-2피롤리디논(1-Methyl-2-pyrrolidin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알긴산(alginate), 스티렌부타디엔고무-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tyrene butadiene rubber-carboxymethyl 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매(160)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Electro-Fenton) 반응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100)은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160), 촉매(160)가 형성되는 전극(130, 140) 및 전해질 수용액(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촉매(160)가 코팅된 전극(130, 140)을 사용하고, 전극 표면에서 발생하는 과산화수소수와 전이금속 황화물 촉매의 즉각적인 반응을 구현한다. 이로 인하여, 특정한 반응조건에서 과산화수소수의 분해를 불균일계 촉매를 이용하고, 라디칼(예를 들어, ·OH, ·OOH, ·O2 - )의 생성속도를 증대시켜 유기 물질의 고효율 분해가 가능하다.
도 11를 참조하면,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100)은, 전해조(110), 전해질 수용액(120), 제1전극(anode)(130) 및 제2 전극(cathode)(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130) 및 제 2 전극(140)은 전원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극(130) 및 제 2 전극(14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파이트일 수 있다. 제 2 전극(140)의 적어도 일면에는 촉매(160)가 코팅될 수 있으며, 촉매(1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촉매일 수 있다.
전해질 수용액(120)은 전기적 펜톤 반응에 사용되는 수용액으로, 2가의 전이금속 황화물에 포함된 금속종과 과산화수소수가 반응하여 OH라디칼이 형성되고, 유기 물질이 라디칼에 의해 분해되는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전해질 수용액으로, 10-4 내지 10 mol/L의 농도를 가지는 Na2SO4, NaNO3, NH4F, KF, KCl, KBr, KI, NaF, NaCl, NaBr, NaI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100)에서 일어나는 촉매반응을 통해 유기 물질이 분해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100)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하기의 반응식 (1) 내지 (4)로 정리하였다.
반응식(1): 2H2O -> O2 + 4H+ + 4e-
반응식(2): O2+2H++2e- -> H2O2
반응식(3): M3++e- -> M2+
반응식(4): M2+ + H2O2 -> M3+ + OH- + -·OH
먼저, 제1 전극(130)에서 외부전원에 의한 산화반응으로 반응식 (1)의 물이 산소(O2)와 수소이온(H+)으로 분해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산소(O2)와 수소이온(H+)은 제 2 전극(140)에서 환원 반응하여 과산화수소수(H2O2)를 형성하게 된다. 생성된 과산화수소수는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 입자에 포함된 2가 금속종(M2+)과 반응하여 3가 금속종(M3+) 및 OH 을 형성하고, 3가 금속종(M3+)은 전자 (e-)에 의하여 환원되어 2가 금속종(M2+)을 회복한다. 이는 종래의 2가 금속종(M2+)과 과산화수소수(H2O2)의 반응시 형성되는 3가 금속종(M3+)의 2가 금속종(M2+)으로의 회복문제를 해결하고, 물의 전기분해로 인한 산소(O2)의 공급으로 지속적인 과산화수소수(H2O2)의 공급이 가능하다. 즉, OH라디칼의 생성율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인 반응이 가능하여 유기 물질의 분해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OH라디칼은 난분해성 또는 독성의 유기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유기물질은 페놀을 기반으로 한 독성물질, 발암물질 및 돌연변이성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일고리형(monocyclic) 또는 다중고리형(polycyclic) 방향족(aromatics)물질의 탄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산소(O), 질소(N) 또는 황(S)으로 치환된 구조를 주사슬(backbone)로 가지되, 알케인(alkane), 알켄(alkene), 알카인(alkyne), 아민(amine), 아마이드 (amide), 니트로 (nitro), 알코올(alcohol), 에터(ether), 할라이드(halide), 싸이올(thiol), 알데히드(aldehyde), 케톤(ketone), 에스터(ester),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등의 다양한 작용기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의 반응이 일어나는 전해질 수용액의 pH는 5 내지 10이고, 전기적 펜톤 반응은2W이하의 전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기적 펜톤 반응의 전해질 수용액(120)에서 OH라디칼 생성이 일어나고, 유기 물질의 분해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전해질 수용액(120)의 pH가 산성(pH<5) 또는 염기성(pH>10)이거나 외부의 전력이 2W 초과일 경우, 전극(130, 140)에 코팅된 촉매(160)에서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박리에 의해 단일계(Homogeneous) 2가 금속 이온(M2+) 및 황이온(S2-)이 전해질 수용액의 pH를 변화시키고, OH라디칼 생성반응의 주요반응물이 될 수 있다. 본 박리 현상은 장기간 펜톤 반응 진행시, M(OH)3 슬러지 등의 형성으로 OH라디칼의 생성율이 감소하게 되고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의 유기 물질 분해 효율 및 내구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유기 물질 분해를 위하여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은 전해질 수용액(120)의 pH가 5 내지 10에서 2W 이하의 전력이 입력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수용액(120)의 pH가 7에서 0.04W 이하의 전력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아래의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촉매의 전기적 펜톤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서로 다른 조성의 Fe X Ni 1-X S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서로 다른 조성(composition)의 FeXNi1-XS 촉매들 (X=0.2, 0.4, 0.5, 0.6, and 0.8)을 기계화학적 합성법 (mechano-chemical synthesis)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기 단계에서 표 1에 제시된 양의 Fe, Ni, S 전구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촉매 합성에 사용될 Fe-Ni-S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Fe-Ni-S 혼합물 5g과 50g의 지르코니아 볼을 80mL 챔버에 투입하고, 350rpm에서 15 시간 동안 볼-밀링한 후, 최종 합성된 FeXNi1-XS 이종금속 황화물 분말을 지르코니아 볼로부터 분리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Fe0.8Ni0.2S Fe0.6Ni0.4S Fe0.5Ni0.5S Fe0.4Ni0.6S Fe0.2Ni0.8S
Fe 전구체
(Fe 분말)
2.53 1.88 1.56 1.25 0.62
Ni 전구체
(Ni 분말)
0.66 1.32 1.64 1.96 2.60
S 전구체(S 분말) 1.81 1.80 1.80 1.79 1.78
비교예 1: Fe 1 S 촉매
3.18g의 Fe분말과 1.82g의 S분말을 사용하여 Fe-S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Fe1S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Ni1S 촉매
3.23g의 Ni분말과 1.77g의 S분말을 사용하여 Ni-S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Ni1S를 제조하였다.
도 1의 (a) 내지 (g)는 비교예 1, 2와,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Fe1S, Ni1S 및 FeXNi1-XS (X= 0.2, 0.4, 0.5, 0.6, 0.8)의 SEM 이미지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비교예 1, 2 및 실시예 3에 따른 Fe1S, Ni1S 및 Fe0.5Ni0.5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해서 입자의 표면이 작은 돌기로 인해 다공성이며 더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다. 입자가 다공성이고 돌기가 형성된 거친 표면을 가질 경우, 표면적이 증가하여 과산화수소수(H2O2)와의 반응이 빨라지기 때문에 OH라디칼의 생성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에 더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코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이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비교예 에 비해 다공성의 거친 표면특성을 가짐에 따라 전극으로부터의 박리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전기적 펜톤 반응이 수행되는 전해질 수용액의 와류 및 외부의 전력에 의한 촉매의 박리(leaching)현상이 감소하여 전극의 수명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촉매가 전극으로부터 박리될 경우, OH라디칼(·OH) 생성의 주반응이 박리된 촉매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라디칼 생성의 효율이 감소하고 전기적 펜톤 반응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박리현상이 감소할수록, OH라디칼 생성의 주반응이 전극에 코팅된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에 의한 비균일촉매 반응(heterogeneous catalysis)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전기적 펜톤 반응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X-선 회절 패턴(XRD pattern)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들이 전형적인 육방정(hexagonal) FeS 혹은 육방정(hexagonal) NiS의 결정구조(crystal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조된 촉매들이 육방정(hexagonal) FeS 혹은 육방정(hexagonal) NiS의 고용체(solid solution)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전기적 펜톤 반응을 이용한 페놀(Phenol) 분해실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를 OH라디칼(·OH) 생성 촉매로, 전극은 그래파이트(Graphite) 전극, 유기 물질은 페놀(Phenol, C6H5OH), 그리고 Na2SO4 전해질 수용액을 사용하여 전기적 펜톤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촉매를 전극에 코팅시킬 때,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사용하였다. 촉매는 0.2g을, 페놀 0.1mmol 및 Na2SO4 0.2mol이 용해된 100mL 수용액을 반응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전기적 펜톤 반응 실험은 pH 5 내지 7에서 0.04W 전력으로 수행하였다. 상기의 실험시 얻어지는 페놀의 전환율(Conversion, XPHENOL) 결과 및 유사1차반응 피팅(Pseudo-1st-order kinetic fitting, -ln(CPHENOL/CPHENOL,0)VS. time)그래프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2에 페놀의 전환율(Conversion, XPHENOL) 결과를 요약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Fe1S Ni1S Fe0.8Ni0.2S Fe0.6Ni0.4S Fe0.5Ni0.5S Fe0.4Ni0.6S Fe0.2Ni0.8S
120분 경과시
페놀의 전환율
(Xphenol, %)
27.0 19.1 29.4 35.4 45.8 35.8 28.6
한편 페놀이 분해되는 반응의 속도상수(KAPP, Phenol consumption reaction rate constant, min-1)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속도상수는 페놀의 분해반응이 유사 1차반응(Pseudo-1st-order kinetic model)으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유사1차반응 피팅 그래프의 기울기는 페놀이 분해되는 반응의 속도상수와 같다.
도 4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 (bimetallic sulfide)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2 (monometallic sulfide)에 비하여, 120분이 경과하였을 때 더욱 많은 양의 페놀이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5: 29% 이상; 비교예 1 내지 2: 27% 이하). 또한, 실시예 3의 Fe0.5Ni0.5S가 실시예 1 내지 2 및 실시예 4 내지 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페놀이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46%; 실시예 1, 2, 4, 5: 36%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보다 큰 페놀의 분해반응 속도상수를 제공한다 (실시예 1 내지 5: 3.9 X 10-3min-1 이상; 비교예 1 내지 2: 3.8 X 10-3min-1 이하) 또한, 실시예 3의 Fe0.5Ni0.5S가 실시예 1 내지 2 및 실시예 4 내지 5에 비하여 더욱 큰 페놀의 분해반응 속도상수를 제공한다 (실시예 3: 5.2 X 10-3 min-1; 실시예 1, 2, 4, and 5: 4.3 X 10-3 min-1 이하). 이는 본 발명의 이종금속 황화물인 FeXNi1-XS가 종래의 단일금속 황화물인 Fe1S 또는 Ni1S에 촉매에 비하여 높은 난분해성 유기물질 분해 성능(phenol conversion)과 효율(phenol consumption rate constant)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본 발명의 Fe0.5Ni0.5S가 FeXNi1-XS (X=0.2, 0.4, 0.6, and 0.8)들에 비하여 향상된 난분해성 유기물질 분해 성능(phenol conversion)과 효율(phenol consumption rate constant)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실시예 3(Fe0.5Ni0.5S) 및 실시예 4(Fe0.4Ni0.6S)가 비교예들에 비하여 페놀분해 반응 시 박리되는 촉매성분의 양이 작았으며 따라서 우수한 촉매 내구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이금속 황화물 촉매에 의한 비균일 촉매반응 검증실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촉매들과 촉매를 포함하지 않은 전극(이하, 비교예 3이라고 한다.)을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기적 펜톤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1시간 동안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 후,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전극을 촉매가 없는 전극으로 교체하고 반응 수용액을 필터링하고 다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페놀이 분해되는 양을 모니터링하여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간에 따라 분해되는 페놀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촉매를 포함한 전극의 1시간 경과 이후 페놀이 분해되는 양이 각각 220±15μM, 165±15μM, 220±10μM, 185±5μM, 200±5μM, 230±35μM, 195±15μM로 관찰된다. 이 값들은 비교예 3, 구체적으로 전이금속 황화물 촉매를 포함하지 않고 진행한 반응에서 관찰되는 1시간 경과 이후 페놀의 분해량인 200±40μM와 비슷하다. 이는 OH라디칼 생성의 주된 반응이 전극에 코팅되어 박리되지 않은 전이금속 황화물에 의한 비균일촉매 현상(heterogeneous catalysis)을 바탕으로 일어남을 의미한다.
실험예 3: Fe 0.5 Ni 0.5 S 촉매의 재사용성 검증 실험
실시예 3의 Fe0.5Ni0.5S 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실험시 얻어지는 페놀의 전환율 (conversion, XPHENOL), 유사1차반응 피팅 (pseudo-1st-order kinetic fitting, -ln(CPHENOL/CPHENOL,0)VS.time) 그래프들 및 페놀분해 반응속도상수 (phenol consumption reaction rate constant, min-1)를 각각 도 9, 도 10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속도상수는 페놀분해반응을 유사 1차반응 (pseudo-1st-order kinetic model)으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유사 1차반응 피팅 그래프의 기울기는 페놀이 분해되는 반응의 속도상수와 같다. 또한 표 3에 상기의 실험 결과를 요약하였다.
구분 실시예 5
H2O-insoluble PVDF
1st 2nd 3rd
120분 경과시 페놀의 전환율
(XPHENOL, %)
45.8 32.2 25.1
페놀분해반응 속도상수
(X 10-3 min-1)
5.1 3.6 3.1
도 9 내지 도 10 및 표 3을 참조하면, 전기적 펜톤 시스템 반응 실험을 반복할수록 페놀의 전환율 및 분해반응 속도상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나, 반복적인 사용에도 반응의 성능 및 효율이 많이 저하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촉매의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가 유기 물질을 분해 속도, OH라디칼의 생산성 및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물에 녹지 않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전극에 코팅되는 촉매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촉매가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여 OH라디칼의 생성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물에 녹지 않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전극으로부터 박리되는 황화철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반응이 수행되는 전해질 수용액의 pH 변화가 거의 없고, 전극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포함하는 촉매를 제조하여, OH라디칼의 생성율을 증가시키고, 반응시 결정입자의 박리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에 있어서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110: 전해조
120: 전해질 수용액
130: 제 1 전극
140: 제 2 전극
160: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Claims (13)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를 적어도 한 종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화학식 1>
    M1xM2(1-x)S(0<x<1)
    (단, M1 및 M2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전기음성도가 황(S)원소의 전기음성도 이하인 2가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철(Fe), 구리(Cu),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바나듐(V), 티타늄(Ti), 세륨(Ce), 크롬(Cr), 스칸듐(Sc), 아연(Zn), 이트륨(Y),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뎀(Mo), 테크네륨(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은(Ag), 카드뮴(Cd), 하프늄(Hf), 탄탈럼(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및 금(A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인,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황(S)의 몰 농도는 50mol%이고,
    M1 및 M2는 몰 농도의 합이 50mol% 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표면에 돌기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직경이 0.1nm 내지 500㎛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금속 황화물 결정입자는 상기 전이금속과 상기 황 원소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해 H2O2에 대해서 전기적 인력이 작용되는 것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8. 촉매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으로서,
    상기 촉매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이고,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가 담지되는 담지체;
    상기 촉매가 담지된 담지체가 코팅되는 기판; 및
    상기 담지체와 기판의 코팅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바인더;
    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탄소(C), Al2O3, MgO, ZrO2, CeO2,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 100중량부 대비 상기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는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물에 대해서 불용성 고분자인,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전극.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상기 촉매가 형성된 전극; 및
    전해질 수용액을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수용액의 pH는 5 내지 10이고,
    2W 이하의 전력이 입력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KR1020180077261A 2018-07-03 2018-07-03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KR10213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61A KR102136570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61A KR102136570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63A true KR20200004163A (ko) 2020-01-13
KR102136570B1 KR102136570B1 (ko) 2020-07-23

Family

ID=6915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261A KR102136570B1 (ko) 2018-07-03 2018-07-03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7119A (zh) * 2021-05-08 2021-07-09 北京启元汇通水务科技股份有限公司 促进芬顿氧化的方法、促进芬顿氧化反应体系及应用
CN113441125A (zh) * 2020-03-25 2021-09-28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包含表面含有官能团的金属氧化物的芬顿反应系统用催化剂及利用其的芬顿反应系统
KR20210119757A (ko) * 2020-03-25 202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질산 이온으로 기능화된 전이금속 산화물들로 이루어진 난분해성 오염물 분해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난분해성 오염물 분해 시스템
KR20210119756A (ko) * 2020-03-25 202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황산이온으로 기능화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KR20210141289A (ko) * 2020-05-14 2021-11-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에 기능기를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펜톤 반응 시스템
KR20210156025A (ko) 2020-06-17 2021-12-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 S 또는 P 도펀트가 혼입되고 다중기공성 탄소담체에 담지된, d0 오비탈 기반 전이금속 산화물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CN114715980A (zh) * 2022-04-01 2022-07-08 同济大学 一种活化过硫酸盐和o2协同降解全氟化合物的电化学方法
CN115779897A (zh) * 2022-11-28 2023-03-14 青岛科技大学 一种利用电催化降解水中有机污染物的双金属纳米材料的制备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083A (ja) * 2010-04-28 2011-11-17 Keiichiro Asaoka 有機性廃棄物の分解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微生物活性剤
CN106944098A (zh) * 2017-03-27 2017-07-14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碳材料负载铜钴双金属硫化物复合材料及其制法和在废水处理中的应用
KR20190079113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매,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083A (ja) * 2010-04-28 2011-11-17 Keiichiro Asaoka 有機性廃棄物の分解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微生物活性剤
CN106944098A (zh) * 2017-03-27 2017-07-14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碳材料负载铜钴双金属硫化物复合材料及其制法和在废水处理中的应用
KR20190079113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매,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 V. Nidheesh et al., RSC Adv., 2015, 5, 40552.* *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1125B (zh) * 2020-03-25 2023-11-24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包含表面含有官能团的金属氧化物的芬顿反应系统用催化剂及利用其的芬顿反应系统
CN113441125A (zh) * 2020-03-25 2021-09-28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包含表面含有官能团的金属氧化物的芬顿反应系统用催化剂及利用其的芬顿反应系统
WO2021194043A1 (ko) * 2020-03-25 2021-09-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에 기능기를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펜톤 반응 시스템
KR20210119757A (ko) * 2020-03-25 202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질산 이온으로 기능화된 전이금속 산화물들로 이루어진 난분해성 오염물 분해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난분해성 오염물 분해 시스템
KR20210119756A (ko) * 2020-03-25 202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황산이온으로 기능화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US11897793B2 (en) 2020-03-25 2024-02-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talysts for Fenton system containing metal oxide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n surface and Fenton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141289A (ko) * 2020-05-14 2021-11-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에 기능기를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펜톤 반응 시스템
KR20210156025A (ko) 2020-06-17 2021-12-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 S 또는 P 도펀트가 혼입되고 다중기공성 탄소담체에 담지된, d0 오비탈 기반 전이금속 산화물를 포함하는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CN113087119A (zh) * 2021-05-08 2021-07-09 北京启元汇通水务科技股份有限公司 促进芬顿氧化的方法、促进芬顿氧化反应体系及应用
CN114715980B (zh) * 2022-04-01 2023-08-08 同济大学 一种活化过硫酸盐和o2协同降解全氟化合物的电化学方法
CN114715980A (zh) * 2022-04-01 2022-07-08 同济大学 一种活化过硫酸盐和o2协同降解全氟化合物的电化学方法
CN115779897A (zh) * 2022-11-28 2023-03-14 青岛科技大学 一种利用电催化降解水中有机污染物的双金属纳米材料的制备及应用
CN115779897B (zh) * 2022-11-28 2024-05-24 青岛科技大学 一种利用电催化降解水中有机污染物的双金属纳米材料的制备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70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570B1 (ko)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이종금속 황화물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KR102209270B1 (ko) 황산화처리된 전이금속 산화물들로 이루어진,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JP4971898B2 (ja) 燃料電池用の担持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前記担持触媒を含む燃料電池用電極、前記電極を含む膜電極接合体及び前記膜電極接合体を含む燃料電池
KR102070919B1 (ko) 촉매,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US20220259746A1 (en) A method for efficient electrocatalytic synthesis of pure liquid product solutions including h2o2, oxygenates, ammonia, and so on
Pei et al. Glycerol oxidation-assisted electrochemical CO 2 reduction for the dual production of formate
JP4997454B2 (ja) 半導体電極とそれを用いたエネルギ変換システム
Lee et al. In situ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Pt-MoO3− x nanostructure catalysts for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reaction
Lee et al. Oxygen vacancies induced NiFe-hydroxide as a scalable, efficient, and stable electrode for alkaline overall water splitting
WO2017182923A1 (en) Oxygen evolution electrocatalysts with carbon coated cobalt (ii, iii) oxide layers
Dong et al. Evidence of local corrosion of bimetallic Cu–Sn Catalysts and its effects on the selectivity of electrochemical CO2 reduction
Coutanceau et al. Modification of palladium surfaces by bismuth adatoms or clusters: Effect on electrochemical activity and selectivity towards polyol electrooxidation
JP5679639B2 (ja) ガス拡散電極およびその製法
KR102070920B1 (ko)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펜톤 반응 시스템
CN111225741B (zh) 电催化剂、其制备以及其在燃料电池中的用途
JP5220771B2 (ja) 酸素の電気化学的還元用の触媒
Nouralishahi et al. Enhanced methanol electro-oxidation reaction on Pt-CoOx/MWCNTs hybrid electro-catalyst
Kogularasu et al. Unlocking catalytic potential: exploring the impact of thermal treatment on enhanced electrocatalysis of nanomaterials
Menéndez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t/Pt: CeO 2− x nanorod catalysts for short chain alcohol electrooxidation in alkaline media
Mandari et al. Ag3PO4-Bi2WO6-TiO2 as a high performance electrocatalyst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Tada et al. Antimony-doped tin oxide catalysts for green and sustainable chemistry
Heo et al. Heterostructured 2D material-based electro-/photo-catalysts for water splitting
JP2007042519A (ja) 燃料電池用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用電極及び燃料電池
JP3793800B2 (ja) ヨウ素化合物と半導体光触媒による水素及び酸素の製造方法
KR102383440B1 (ko) 표면에 기능기를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펜톤 반응 시스템용 촉매,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펜톤 반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