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97U -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97U
KR20200002797U KR2020190002493U KR20190002493U KR20200002797U KR 20200002797 U KR20200002797 U KR 20200002797U KR 2020190002493 U KR2020190002493 U KR 2020190002493U KR 20190002493 U KR20190002493 U KR 20190002493U KR 20200002797 U KR20200002797 U KR 20200002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former
film
screw rod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835Y1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Priority to KR2020190002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3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0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 B65B11/10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 B65B11/105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the axis of the tube being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떡과 같은 식품 등을 자동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일단에 회전 가능한 롤러가 구비되며, 상면은 매끈한 판상면을 이루는 공급대; 상기 공급대의 타단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게 프레임 상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포머가 마련되되, 상기 포머는 상호간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간격조정수단이 구비되는 필름 폭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머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삼각형상을 이루고 체결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 상단에서 연결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포장필름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필름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포밍테일과, 상기 몸체의 전단에서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도플레이트를 갖게 되고, 상기 공급대는 상기 필름 폭 조정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위치 고정을 위한 락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with a hybrid former}
본 고안은 떡과 같은 식품 등을 자동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떡과 같은 식품류는 유통기한이 짧기 때문에 떡집 등의 소형 점포와 같은 곳에서 매일 매일 생산한 제품을 하나씩 개별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소형의 포장장치가 널리 사용되며, 롤 상으로 감긴 필름이 공급되게 하면서 제품을 필름 위에 올린 후 필름이 소정의 폭으로 접히도록 유도한 후 필름의 양단을 열융착시켜서 밀봉 포장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되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735호의 "포장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장치에는 제품적재부(100)가 구비되며, 제품적재부와 이격되어 포장안내부(200)가 마련된다. 하지만 제품적재부는 포장안내부로부터 길게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보관 및 운반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 혹은 포장장치의 구조에 따라 포장필름의 공급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즉, 포장필름이 제품적재부로부터 곧바로 포장안내부로 진입되거나, 제품적재부와 포장안내부 사이의 틈을 통해 포장필름이 하방으로 유도된 후 다시 상승하면서 포장안내부로 진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포장필름의 이동방식에 따라 포장장치는 별도로 두개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735호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여건이나 필요에 따라 제품 포장을 위해 포장필름을 공급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는, 일단에 회전 가능한 롤러가 구비되며, 상면은 매끈한 판상면을 이루는 공급대; 상기 공급대의 타단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게 프레임 상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포머가 마련되되, 상기 포머는 상호간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간격조정수단이 구비되는 필름 폭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머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삼각형상을 이루고 체결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 상단에서 연결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포장필름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필름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포밍테일과, 상기 몸체의 전단에서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도플레이트를 갖게 되고, 상기 공급대는 상기 필름 폭 조정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위치 고정을 위한 락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조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부 구간은 오른나사이고 또 다른 일부구간은 왼나사로 이루어지는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나사봉의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중심은 상기 회전나사봉의 오른나사쪽에 나사결합되고, 좌우 양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는 제1이동블록과, 중심은 상기 회전나사봉의 왼나사쪽에 나사결합되고, 좌우 양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는 제2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 레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대의 타단에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천공되는 곡선홀이 형성되어 상기 락 레버는 상기 곡선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대를 0도에서 90도까지 각도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는 포장필름의 공급방식을 필요에 따라 두가지 방식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포장장치로 두 대의 포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3은 공급대와 필름폭 조정부의 사시도.
도 4는 필름폭 조정부의 저면도.
도 5는 포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포머의 사용 예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공급대와 필름폭 조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필름폭 조정부의 저면도이며, 도 5는 포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포머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떡 포장장치와 같은 필름을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좌우를 필요에 맞게 적당량 접히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공급대(100), 필름 폭 조정부(200)로 이루어지는데, 공급대(100)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일단에 회전 가능한 길다란 롤러(110)가 결합되고, 상면은 매끈한 판상면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대(100)의 타단에는 후술될 필름 폭 조정부(200)를 이루는 프레임(210)의 일단과 연결되는 힌지(120)가 형성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힌지(120) 주위에 1/4 원을 이루는 곡선홀(130)이 형성된다.
공급대(100)와 연결되는 필름 폭 조정부(200)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프레임(210)을 가지게 되고, 편평한 프레임(210) 상면에 마주보게 한 쌍의 포머(220)가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포머(220) 상호간에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간격조정수단(230)이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대(100)와 필름 폭 조정부(200)는 힌지(120)로 연결되어 공급대(100)가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며, 또한 공급대(100)의 각도를 0도 내지 90도 사이에서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락 레버(140)가 구비된다.
포머(22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삼각형상을 이루고 하단측에 체결부(221)가 형성되는 몸체(220a)와, 몸체(220a)의 후단 상단에서 연결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절개부(222)가 형성되어 포장필름(F)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포장필름(F)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포밍테일(220b)이 마련되고, 몸체(220a)의 전단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유도플레이트(220c)가 구비된다. 몸체(220a)에 형성되는 체결부(221)를 이용하여 간격조정수단(230)의 이동블록과 연결되도록 한다.
몸체(220a)의 전단에 형성되는 유도플레이트(220c)는 포장필름(F)이 하부에서 유도되어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간격조정수단(230)은 두 포머(220)를 동시에 이동시켜 상호간 이격거리를 원하는 정도로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회전나사봉(231), 회전레버(232), 가이드바(233), 제1이동블록(234), 제2이동블록(235)을 포함하게 된다.
회전나사봉(231)은 프레임(210) 하부에 폭 방향으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회전나사봉(231) 총 길이 중 일부구간은 오른나사(231a)가 되게 하며, 또 다른 일부구간은 왼나사(231b)로 이루어도록 한다.
회전나사봉(231)의 일단에 회전레버(232)가 연결되어 회전레버(232)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회전나사봉(231)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회전나사봉(231)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포머(220)는 동시에 이동되고, 두 포머(220)의 이격거리는 좁혀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한편, 회전나사봉(231)의 좌우에 평행하게 가이드바(233)가 하나씩 배치되며, 가이드바(233)는 제1이동블록(234)과 제2이동블록(235)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제1이동블록(234)의 중심에는 회전나사봉(231)의 오른나사가 나사결합되며, 좌우 양단은 가이드바(233)가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체결부(221)와 상면에 체결된다.
한편, 제2이동블록(235)의 중심은 회전나사봉(231)의 왼나사가 결합되며, 좌우 양단은 가이드바(233)에 끼워지고 상면에 체결부(221)가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구조로 인해 회전레버(232)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이동블록(234) 및 제2이동블록(235)에 연결된 두 포머(220)는 프레임(210) 상면에 형성되는 장공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서로간 거리가 멀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한편, 락 레버(140)는 곡선홀(130)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공급대(100)의 각도를 조정 후 락 레버(140)를 조이게 되면 위치가 고정되므로 사용시에만 공급대를 펼쳐서 필름 및 제품이 공급되게 하여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의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에서는 포장 필름의 공급 방식을 아래와 같이 두가지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것이 가능한 것은 포머(220)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포장필름 공급에 있어서의 제1방식은 도 /과 같이 공급대(100)와 필름 폭 조정부(200)의 사이로 포장필름(F)이 하향 후 상승되면서 두 포머(220) 사이로 포장필름이 진입하면서 접힙게 할 수 있다.
제2방식에서는 포장필름(F)이 공급대(100)에서 필름 폭조정부(200)로 바로 진입되게 하는데, 포머(220)의 몸체(220a) 후단 상단에서 연결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절개부(222)가 형성되는 포밍테일(220b)에 포장필름(F)이 끼워진 후 지나가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포장필름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하나의 포장장치에서 포장필름의 공급방식을 두 가지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장치로 두 대의 포장장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식품 포장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공급대
110 : 롤러 120 : 힌지
130 : 곡선홀 140 : 락 레버
200 : 필름 폭 조정부
210 : 프레임 220 : 포머
221 : 체결부 222 : 절개부
220a: 몸체 220b: 포밍테일
220c: 유도플레이트
230 : 간격조정수단 231 : 회전나사봉
231a: 오른나사 231b : 왼나사
232 : 회전레버 233 : 가이드바
234 : 제1이동블록 235 : 제2이동블록

Claims (3)

  1. 포장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회전 가능한 롤러가 구비되며, 상면은 매끈한 판상면을 이루는 공급대;
    상기 공급대의 타단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게 프레임 상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포머가 마련되되, 상기 포머는 상호간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간격조정수단이 구비되는 필름 폭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머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삼각형상을 이루고 체결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 상단에서 연결되며 상하 수직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포장필름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필름이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포밍테일과, 상기 몸체의 전단에서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도플레이트를 갖게 되고,
    상기 공급대는 상기 필름 폭 조정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위치 고정을 위한 락 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부 구간은 오른나사이고 또 다른 일부구간은 왼나사로 이루어지는 회전나사봉과,
    상기 회전나사봉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나사봉의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중심은 상기 회전나사봉의 오른나사쪽에 나사결합되고, 좌우 양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는 제1이동블록과,
    중심은 상기 회전나사봉의 왼나사쪽에 나사결합되고, 좌우 양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는 제2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 레버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대의 타단에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천공되는 곡선홀이 형성되어 상기 락 레버는 상기 곡선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대를 0도에서 90도까지 각도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KR2020190002493U 2019-06-18 2019-06-18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KR200493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93U KR200493835Y1 (ko) 2019-06-18 2019-06-18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93U KR200493835Y1 (ko) 2019-06-18 2019-06-18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97U true KR20200002797U (ko) 2020-12-29
KR200493835Y1 KR200493835Y1 (ko) 2021-06-11

Family

ID=7408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93U KR200493835Y1 (ko) 2019-06-18 2019-06-18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38A (ko) 2021-08-31 2023-03-07 한성기업주식회사 크래미 제조용 포머 및 이를 이용한 크래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27A (ja) * 1993-01-25 1994-08-09 Nippon Seiki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101809093B1 (ko) * 2017-10-12 2018-01-18 정진수 삼면 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527A (ja) * 1993-01-25 1994-08-09 Nippon Seiki Co Ltd ベルトコンベア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101809093B1 (ko) * 2017-10-12 2018-01-18 정진수 삼면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35Y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1593B2 (en) Flexible package transport device for packaging machines
US4761937A (en) Adjustable forming unit for packaging machines for wrappers of the flow-pack type and the like
US9260211B2 (en) Plastic film wrapping device
CN106218978A (zh) 一种四边角封箱机
KR20200002797U (ko) 하이브리드 포머를 갖는 포장장치
KR101566420B1 (ko) 박스 하부 자동 테이핑장치
KR101243710B1 (ko) 포장 박스용 테이핑기
US5291720A (en) Article rotating assembly
KR101484102B1 (ko) 박스 테이핑 장치
KR20200001985U (ko) 포장장치용 필름 폭 조정장치
KR101714449B1 (ko)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US3494096A (en) Folding apparatus of packing films
KR102229370B1 (ko) 박스 제함 장치
US2803279A (en) Bun slicer having adjustable blades
CN107681185A (zh) 一种电池套膜机构
US10668685B2 (en) Folding arrangement, f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folding
JP5044143B2 (ja) 包装袋のシール装置
CN110015473A (zh) 热缩包装机及其自动整理机构
US2263739A (en) Packaging apparatus
US20140020343A1 (en) Tangent stream thermal shrinking device
ITMI20010692A1 (it) Dispositivo per la presa di contenitori allineati in fila unica e l'alimentazione degli stessi ad una pluralita' di corsie parallele
CN202783944U (zh) 风切热收缩装置
JPH086723Y2 (ja) 包装機のフィルムガイド搭載装置
KR102404912B1 (ko)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US9969515B1 (en) Pass-through system for an automated wrapp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