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94U -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박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694U KR20200002694U KR2020200001736U KR20200001736U KR20200002694U KR 20200002694 U KR20200002694 U KR 20200002694U KR 2020200001736 U KR2020200001736 U KR 2020200001736U KR 20200001736 U KR20200001736 U KR 20200001736U KR 20200002694 U KR20200002694 U KR 2020000269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layer
- blade
- plate
- roll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제1 판, 점착층 및 제2 판을 이 순번으로 갖는 적층체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2 판으로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제2 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제1 판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점착층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상기 억제 부재를 전진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점착층을 통하여 제1 판과 제2 판을 접합하는 경우가 있다. 제2 판은 예를 들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등이다. 한편, 제1 판은,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을 보호하는 투명판이다. 표시 장치는, 점착층을 통하여 투명판과 접합된 다음 출하되어도 되고, 출하된 후에, 점착층을 통하여 투명판인 창 유리 등에 접합되어도 된다. 유저는, 투명판과 투명한 점착층을 통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본다.
점착층을 통하여 투명판과 표시 장치를 접합한 후에, 투명판 또는 표시 장치를 새 것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불필요해진 표시 장치를 창 유리 등으로부터 제거하는 등의 목적으로, 투명판과 표시 장치를 박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층이 사용되어 있어, 접합한 투명판과 표시 장치의 박리는 용이하지 않다. 박리에 요하는 힘이 너무 크면, 투명판 또는 표시 장치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점착층을 통하여 접합된 투명판과 표시 장치를 박리하기 위해, 점착층에 이온을 도입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적층체를 침지시켜, 점착층이 노출되어 있는 측면으로부터 이온을 도입시킨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점착층의 중심 부근에는 이온이 충분히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고, 점착층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박리성이 나빠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점착층이 투명판 및 표시 장치의 각각의 표면에 남는다. 그 때문에, 박리한 투명판 또는 표시 장치를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에 남는 점착층을 제거하게 되어,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점착층이 이온과 착체 형성 가능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어, 적용 대상이 제한된다.
특허문헌 2에는, 점착층을 통하여 투명판과 표시 장치를 접합한 표시 유닛을, 투명판과 표시 장치로 분리하는 박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박리 장치는,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과 평행하게 점착층을 절단하는 금속판을 갖는다. 금속판의 두께는 점착층의 두께보다도 얇고, 점착층은 두께 방향 중앙에서 절단된다.
그런데, 점착층을 통하여 접합된 제1 판과 제2 판을 박리하기 위해, 제1 판과 점착층 사이, 또는 제2 판과 점착층 사이에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을 삽입하고, 블레이드를 전진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블레이드가 제2 판과 제1 판에 끼여서 압궤되어, 블레이드의 전진이 방해되어 버린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전진 중에 블레이드가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는,
제1 판, 점착층 및 제2 판을 이 순번으로 갖는 적층체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2 판으로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제2 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제1 판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점착층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상기 억제 부재를 전진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는,
제1 판, 점착층 및 제2 판을 이 순번으로 갖는 적층체를, 상기 제2 판과,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1 판으로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제2 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제1 판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2 판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제2 판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상기 억제 부재를 전진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하면, 전진 중에 블레이드가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에 의해 박리될 적층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하는 박리 장치를 Z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와 제1 롤과 제2 롤과 제3 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1 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하는 박리 장치를 Z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와 제1 롤과 제2 롤과 제3 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1 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이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지지대(20)의 투명판(2)을 지지하는 지지면(21)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다. X축 방향은 블레이드(31)의 진퇴 방향이며, X축 정방향이 전진 방향, X축 부방향이 후퇴 방향이다. Y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Z축 방향은, 지지면(2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에 의해 박리될 적층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적층체(1)는 투명판(2)과 표시 장치(3)를 점착층(5)을 통하여 접합한 것이다. 적층체(1)는 투명판(2)과, 점착층(5)과, 표시 장치(3)를 이 순번으로 갖는다. Z축 방향으로 보아, 투명판(2)은 점착층(5) 및 표시 장치(3)와 동일한 크기를 갖지만, 다른 크기를 가져도 된다. Z축 방향으로 보아, 투명판(2)과 표시 장치(3)는 어느 쪽이 커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판(2)이 특허 청구에 범위에 기재된 제1 판에 상당하고, 표시 장치(3)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2 판에 상당한다. 또한, 제1 판 및 제2 판은 판상의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제1 판이 표시 장치(3)이며, 제2 판이 투명판(2)이어도 된다.
투명판(2)은 예를 들어 표시 장치(3)의 화상 표시면을 보호하는 보호 패널이다. 투명판(2)의 두께는, 표시 장치(3)의 두께보다도 두꺼워도 된다. 그 때문에, 투명판(2)은 표시 장치(3)에 비하여 변형되기 어렵다. 투명판(2)은 Z축 방향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이며,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2개의 긴 변과,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2개의 짧은 변을 갖는다.
투명판(2)은 표시 장치(3)로 향하는 제1 주표면(6)과, 표시 장치(3)와는 반대 방향의 제2 주표면(7)을 갖는다. 투명판(2)의 제1 주표면(6)은 투명한 점착층(5)을 통하여, 표시 장치(3)의 화상 표시면과 접합된다. 표시 장치(3)는 점착층(5)을 통하여 투명판(2)과 접합된 다음 출하되어도 되고, 출하된 후에, 점착층(5)을 통하여 투명판(2)인 창 유리 등에 접합되어도 된다. 유저는, 투명판(2) 및 투명한 점착층(5)을 통하여, 표시 장치(3)의 표시 화면을 본다.
투명판(2)의 제1 주표면(6)에는, 표시 장치(3)의 배선 등을 유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숨기는 차광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유저로부터 보아서, 차광층은, 프레임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연은 표시 장치(3)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영역의 외주연과 겹치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명판(2)의 제1 주표면(6)에는, 미러로서 기능하는 금속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투명판(2)의 제2 주표면(7)에는, 저반사층이나 방오층 등의 기능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저반사층 및 방오층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어도 되고, 양쪽이 형성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투명판(2)의 제2 주표면(7)에는, 저반사층과 방오층이 이 순으로 형성된다.
저반사층은,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다. 저반사층은, 예를 들어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외광의 비침을 방지하는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표시 장치(3)로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오층은, 오염이 붙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3)가 터치 패널일 경우에, 지문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방오층은,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다. 불소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은, 방오성, 발수성, 발유성 등을 갖는다.
또한, 투명판(2)의 제2 주표면(7)에는, 태양광이나 조명광 등의 외광을 확산 반사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도 된다. 외광의 비침을 방지하는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시 장치(3)로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철면은, 에칭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요철면에, 저반사층이나 방오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투명판(2)은 예를 들어, 소다석회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의 무기 유리로 형성되어도 된다. 무기 유리는,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강화 유리여도 된다. 강화 유리는, 화학 강화 유리, 물리 강화 유리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화학 강화 유리는,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유리, 구체적으로는, 소다석회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으로 형성된다. 화학 강화 유리는, 유리 표면의 이온 반경이 작은 알칼리 금속 이온(예를 들어 Na 이온)을 이온 반경이 큰 알칼리 금속 이온(예를 들어 K 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유리 표면에 압축 응력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투명판(2)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유기 유리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투명판(2)은 복수의 유리판이 접합된 접합 유리여도 된다.
표시 장치(3)는 Z축 방향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이며,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2개의 긴 변과,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2개의 짧은 변을 갖는다. 표시 장치(3)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를 갖고, 액정 패널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화소마다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패널은, 예를 들어, 어레이 기판과, 액정층과, 컬러 필터 기판을 이 순으로 갖는다. 어레이 기판은, 액정층측에, TFT 등의 스위칭 소자와, 투명한 화소 전극을 갖는다. 컬러 필터 기판은, 액정층측에, 컬러 필터와, 투명한 대향 전극을 갖는다.
액정 패널은, 어레이 기판의 액정층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1 편광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액정층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2 편광판을 갖는다. 제1 편광판의 편광축과 제2 편광판의 편광축은, 예를 들어 90°로 교차한다.
백라이트는, 액정 패널의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액정 패널을 비춘다. 백라이트는, 에지 라이트형의 것, 직하형의 것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백라이트는, 발광 소자에 추가로, 각종 광학 필름을 가져도 된다. 광학 필름은, 광의 강도를 균일화하거나, 시야각을 변경하거나, 광의 이용 효율을 개선하거나 한다.
또한, 표시 장치(3)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터치 센서는, 투명판(2)에 대한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 또는 접근을 검출한다. 표시 장치(3)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나 케이스 등을 가져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3)는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된다.
점착층(5)은 투명판(2)과 표시 장치(3)를 접착한다. 점착층(5)의 재료로서는, 표시 장치(3) 등의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점착층(5)은 전형적으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경화물을 포함한다. 점착층(5)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다층 구조의 경우, 동일한 재료를 적층한 구조여도 되고, 다른 재료를 적층한 구조여도 된다. 점착층(5)이 다층 구조일 경우, 점착층(5)을 구성하는 층의 수는 2층 이상이면 된다.
주파수 1Hz, 25℃에서의 점착층(5)의 저장 탄성률 G'는, 5×102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3Pa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G'가 5×102Pa 이상이면, 점착층(5)이 충분한 경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블레이드(31)가 점착층(5)을 찢을 일 없이 점착층(5)과 투명판(2) 사이에 침입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1)가 박리 계면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G'는 1×107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6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G'가 1×107Pa 이하이면 투명판(2)과 표시 장치(3)의 접합 시에, 표시 장치(3)와 점착층(5)의 계면 또는 투명판(2)과 점착층(5)의 계면 등에 있어서 기포가 발생했다고 해도, 그 기포가 단시간에 소실되기 쉽다. 또한, 점착층(5)이 어느 정도 유연하기 때문에, 블레이드(31)를 점착층(5)과 투명판(2) 사이에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어, 용이하게 박리 기점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5)의 인장 신율이 커서, 투명판(2)을 점착층(5)으로부터 박리한 후, 표시 장치(3)로부터 점착층(5)을 인장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도, 박리의 도중에 점착층(5)이 끊어지기 어려워, 점착층(5) 전체를 한번에 박리할 수 있다.
점착층(5)이 다층 구조인 경우,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 각각의 저장 탄성률 G'는, 5×102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3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5)이 다층 구조인 경우,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 각각의 저장 탄성률 G'는, 1×107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6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5)의 겔 분율은, 1%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5)의 겔 분율이 1% 이상이면, 점착층(5)의 내열성이 보다 우수하다. 점착층(5)의 겔 분율이 50% 이하이면 점착층(5)을 사용하여 투명판(2)과 표시 장치(3)를 접합한 때에, 표시 장치(3) 또는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에 단차가 있더라도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여, 단차에서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점착층(5)의 겔 분율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한 변이 60㎜인 정사각형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메쉬 필름을 2매 준비하고, 2매의 사이에 한 변이 50㎜인 정사각형의 점착층(질량 A)을 끼우고, 주위를 스테이플러로 고정하여, 점착층의 유출을 억제한다. 이것을 톨루엔에 1일간 침지한 뒤, 톨루엔을 교환한다. 이것을 2회 반복하고, 톨루엔을 포함한 상태의 질량(질량 B)을 측정한다. 톨루엔을 포함한 겔상의 점착층을 가열에 의해 충분히 건조시킨 후, 다시 질량(질량 C)을 측정한다. 질량 A(초기 질량)와 질량 C(건조 후 겔량)의 비(100×C/A)로부터 겔 분율을 산출한다.
점착층(5)의 주표면의 면적은, 10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층(5)의 주표면 면적이 클수록, 점착층(5)과 표시 장치(3)의 접촉 면적 또는 점착층(5)과 투명판(2)의 접촉 면적이 커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0)의 유용성이 높다. 점착층(5)의 주표면 면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00㎟여도 된다.
점착층(5)의 두께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5)의 두께가 0.2㎜ 이상이면, 블레이드(31)의 침입에 의한 표시 장치(3)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판(2)을 점착층(5)으로부터 박리한 후, 표시 장치(3)로부터 점착층(5)을 인장하여 박리하는 경우에, 박리의 도중에 점착층(5)이 끊어지기 어렵다. 한편, 점착층(5)의 두께가 1.5㎜ 이하이면 박리 공정에 있어서 표시 장치(3)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는 외에, 블레이드(31)가 점착층(5)을 찢을 일 없이 점착층(5)과 투명판(2) 사이에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어, 용이하게 박리 기점을 확대할 수 있다.
점착층(5)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광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을 경화하여 얻어진다. 이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미리 경화되어, 시트의 형태로, 표시 장치(3)와 투명판(2) 사이에 삽입되어도 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란, 노광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의미한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란, 가열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의미한다. 「광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란, 노광 및 가열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의미한다. 「노광」은,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화성 조성물로서는, 저온에서 경화할 수 있고, 경화 속도가 빠른 점에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가열을 행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무용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용제형」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또는 용제의 함유 비율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100질량%) 중 5질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용제」란, 비점이 150℃ 이하인 액체(휘발성 희석제)를 의미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건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점,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점에서,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경화성기를 갖는 경화성 화합물(A)과, 광중합 개시제(B)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B) 이외의 다른 비경화성 성분이 포함되어도 된다. 비경화성 성분으로서는, 비경화성 폴리머(C), 연쇄 이동제(D), 다른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화합물(A)로서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층(5)의 저장 탄성률 G'를 5×102Pa 이상 1×107Pa 이하의 범위 내에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경화성 화합물(A)은 실리콘계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5)의 겔 분율을 1%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에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경화성 화합물(A)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2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하는 박리 장치를 Z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박리 장치(10)는 적층체(1)를 투명판(2)과, 표시 장치(3) 및 점착층(5)으로 박리한다. 박리 후의 투명판(2)에는 점착층(5)의 잔사가 거의 부착되지 않으므로, 잔사의 제거가 용이하다.
박리 장치(10)는 예를 들어, 지지대(20)와, 블레이드 유닛(30)과,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와, 제1 롤(51A)과, 제2 롤(51B)과, 제3 롤(51C)과, 히터(60)와, 연동 기구(70)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롤(51A)과 제2 롤(51B)과 제3 롤(51C)이 X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X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롤의 수는 3개에는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지지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3)를 위로 향하게 하여 투명판(2)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면(21)을 갖는다. 그 지지면(21) 상에는, 투명판(2)과 점착층(5)과 표시 장치(3)가 이 순번으로 배치된다. 지지대(20)는 투명판(2)과 표시 장치(3)의 박리의 동안, 투명판(2)을 평탄하게 계속하여 지지하므로, 투명판(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투명판(2)을 단지 적재하는 것으로서 투명판(2)을 흡착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판(2)을 흡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블레이드 유닛(30)은 블레이드(31)와, 블레이드 홀더(3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1)는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 또는 점착층(5)과 표시 장치(3) 사이에 삽입된다. 이하, 블레이드(31)를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에 삽입하는 예를 설명한다.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에는 블레이드(31)의 날끝(33)보다도 얇은 심 플레이트(8)가 삽입되고, 심 플레이트(8)에 의해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에 블레이드(31)의 날끝(33)이 삽입된다. 그 후, 심 플레이트(8)가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로부터 인발되면,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가 지지대(20)를 도 2a에 도시하는 수평 상태로부터 도 4a에 도시하는 경사 상태(전방 하강의 상태)로 하여, 블레이드(31)가 중력에 의해 전진시켜진다.
블레이드(31)는 제1 면인 평행면(34)과, 제2 면인 경사면(35)을 갖는다. 평행면(34)은 지지대(20)의 지지면(21)에 대하여 대략 평행 내지는 약간의 경사를 갖고서 투명판(2)의 제1 주표면(6)에 선으로 접촉하고, 경사면(35)은 평행면(34)에 대하여 경사지고, 평행면(34)과 경사면(35)은 날끝(33)에서 교차한다. Y축 방향으로 보아 평행면(34)과 경사면(35)이 이루는 각을 날끝 각도 α라고도 칭한다. 날끝 각도 α는, 예를 들어 1° 이상 60° 이하이다.
경사면(35)은 점착층(5)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점착층(5)과의 밀착성을 저감하기 위해 조면화된다. 조면화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쇼트 블라스트법, 연마, 에칭, 스퍼터, 증착, 또는 방전 처리 등이 사용된다. 경사면(35)의 표면 조도 Ra는, 예를 들어 0.7㎛ 이상이면 된다. 표면 조도 Ra는, 일본 공업 규격(JIS B0601:2013)에 기재된 산술 평균 조도이다. 경사면(35)의 표면 조도 Ra가 0.5㎛ 이상 있으면, 블레이드(31)와 점착층(5)의 밀착성을 저감할 수 있고, 블레이드(31)를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경사면(35)의 표면 조도 Ra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다. 또한, 경사면(35)의 표면 조도 Ra는, 가공성의 관점에서, 50㎛ 이하이면 된다.
경사면(3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층(5)과 접촉할 수 있다. 그래서, 경사면(35)에는, 코팅막(36)이 형성되어도 된다. 코팅막(36)의 재료로서, 블레이드(31)의 재료보다도 큰 수접촉각을 갖는 것이 사용되므로, 블레이드(31)와 점착층(5)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블레이드(31)를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31)의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세라믹이다. 한편, 코팅막(36)의 재료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이다.
코팅막(36)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 200㎛ 이하이다. 코팅막(36)의 두께가 2㎛ 이상이면, 코팅막(36)이 찢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코팅막(36)의 내구성이 양호하다. 한편, 코팅막(36)의 두께가 200㎛ 이하이면 코팅막(36)의 표면은, 조면화 완료된 경사면(35)을 따르므로, 경사면(35)과 동일한 표면 조도 Ra를 갖는다.
또한, 조면화 및 코팅은, 블레이드(31)의 표면 전체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점착층(5)에 접하는 면에 실시되면 된다. 즉, 블레이드(31)가 투명판(2)과 점착층(5)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조면화 및 코팅은, 적어도 도 3에 있어서의 경사면(35)에 실시되면 된다. 한편, 블레이드(31)가 점착층(5)과 표시 장치(3)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조면화 및 코팅은, 적어도 평행면(34)에 실시되면 된다. 또한, 조면화 및 코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홀더(32)에도 실시되어도 된다. 블레이드 홀더(32)도, 블레이드(31)와 마찬가지로, 점착층(5)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레이드(31)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고, 블레이드 홀더(32)는 복수의 블레이드(31)를 보유 지지한다. 블레이드 유닛(30)은 빗살 모양으로 형성된다. 인접하는 블레이드(31)끼리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점착층(5)의 Y축 방향 일부만이 블레이드(31)와 접촉하므로,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점착층(5)의 Y축 방향 전체의 10% 이상 50% 이하가 블레이드(31)와 접촉해도 된다.
또한, 블레이드 유닛(30)이 빗살 모양의 형상을 채용하지 않고, 1매의 블레이드(31)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블레이드(31)의 날끝(33)으로부터 1㎜ 이상 30㎜ 이하의 부분이 점착층(5)과 접촉해도 된다.
블레이드(31)를 전진시키는 구동력으로서는, 모터 등의 구동력을 이용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력을 이용한다. 이 경우, 블레이드(3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추가 설치되어도 된다. 블레이드(31) 및 블레이드(31)와 함께 전진하는 모든 부재의 합계의 무게가 커질수록, 블레이드(31)를 전진시키는 구동력이 커진다.
도 4a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에 이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는 지지대(20)의 지지면(21)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β를 조정한다. 지지면(21)이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할 때 경사 각도 β는 0°이며, 지지면(21)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할 때 경사 각도 β는 90°이다. 경사 각도 β가 클수록, 중력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분력이 크고, 블레이드(31)를 전진시키는 구동력이 커진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는 지지대(20)의 회전 중심선인 핀(41)을 갖는다. 핀(41)은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는 제1 링크(42)와, 제2 링크(43)를 갖는다. 제1 링크(42)는 수평하게 고정되고, 제2 링크(43)에는 지지대(20)가 고정된다. 핀(41)은 제1 링크(42)에 대하여 제2 링크(4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링크(42)와 제2 링크(43)가 이루는 각이 경사 각도 β이다.
경사 각도 조정 기구(40)는 제2 링크(43)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예를 들어 신축 실린더(45)를 갖는다. 신축 실린더(45)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또는 공기압 실린더 등의 유체압 실린더이다. 신축 실린더(45)는 일단부에서 제1 링크(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제2 링크(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신축 실린더(45)의 신축에 따라서 경사 각도 β가 변화한다. 경사 각도 β의 조정 후, 경사 각도 β가 고정된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블레이드와 제1 롤과 제2 롤과 제3 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롤(51A)은 블레이드(31)의 전단인 날끝(33)보다도 후방에서 점착층(5)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점착층(5)과 블레이드(31)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의 일례이다.
제1 롤(51A)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므로, 날끝(33)으로부터 제1 롤(51A)까지의, 표시 장치(3) 및 점착층(5)의 자중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3) 및 점착층(5)과, 투명판(2)이 쐐기상으로 벌어지므로,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5)과 블레이드(31)의 접촉을 항상 억제할 수 있어,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2)은 점착층(5)과는 달리 점착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투명판(2)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예를 들어 마찰 저항)은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31)는 투명판(2)과 접촉해도 된다.
또한, 블레이드(31)가 점착층(5)과 표시 장치(3)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롤(51A)은 블레이드(31)의 전단인 날끝(33)보다도 후방에서 표시 장치(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표시 장치(3)와 블레이드(31)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도, 제1 롤(51A)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므로, 날끝(33)으로부터 제1 롤(51A)까지의, 표시 장치(3)의 자중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3)와, 점착층(5) 및 투명판(2)이 쐐기상으로 벌어지므로, 전진 중에 블레이드(31)가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롤(51A)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롤(51A)로 제1 롤군(50A)이 구성된다. 인접하는 제1 롤(51A)끼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점착층(5)의 Y축 방향 일부만이 제1 롤(51A)과 접촉하므로, 전진 중에 제1 롤(51A)이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롤(51A)은 원통상이므로, 점착층(5)과 선으로 접촉한다. 억제 부재로서 다각 주상의 것이 사용되고, 억제 부재와 점착층(5)이 면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억제 부재와 점착층(5)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어, 전진 중에 억제 부재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롤(51A)은 원주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제1 롤(51A)과 점착층(5)은 선으로 접촉하므로,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2 롤(51B)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억제 부재(예를 들어 제1 롤(51A))보다도 후방에서 점착층(5)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점착층(5)과 투명판(2)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의 일례이다.
제2 롤(51B)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므로, 제1 롤(51A)로부터 제2 롤(51B)까지의, 표시 장치(3) 및 점착층(5)의 자중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착층(5)과 투명판(2)의 재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롤(51B)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롤(51B)로 제2 롤군(50B)이 구성된다. 인접하는 제2 롤(51B)끼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점착층(5)의 Y축 방향 일부만이 제2 롤(51B)과 접촉하므로, 전진 중에 제2 롤(51B)이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롤(51B)은 원통상이므로, 점착층(5)과 선으로 접촉한다. 격리 부재로서 다각 주상의 것이 사용되고, 격리 부재와 점착층(5)이 면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격리 부재와 점착층(5)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어, 전진 중에 격리 부재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51B)은 원주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2 롤(51B)과 점착층(5)은 선으로 접촉하므로,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블레이드(31)가 점착층(5)과 표시 장치(3)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제2 롤(51B)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억제 부재(예를 들어 제1 롤(51A))보다도 후방에서 표시 장치(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표시 장치(3)와 점착층(5)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로서 사용된다.
제3 롤(51C)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억제 부재(예를 들어 제1 롤(51A))보다도 후방에서 점착층(5)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점착층(5)과 투명판(2)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의 일례이다. 제3 롤(51C)은 제2 롤(51B)보다도 후방에 배치된다.
제3 롤(51C)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므로, 제2 롤(51B)로부터 제3 롤(51C)까지의, 표시 장치(3) 및 점착층(5)의 자중 변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착층(5)과 투명판(2)의 재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롤(51C)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제3 롤(51C)로 제3 롤군(50C)이 구성된다. 인접하는 제3 롤(51C)끼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점착층(5)의 Y축 방향 일부만이 제3 롤(51C)과 접촉하므로, 전진 중에 제3 롤(51C)이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롤(51C)은 원통상이므로, 점착층(5)과 선으로 접촉한다. 격리 부재로서 다각 주상의 것이 사용되고, 격리 부재와 점착층(5)이 면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격리 부재와 점착층(5)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어, 전진 중에 격리 부재가 점착층(5)으로부터 받는 저항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 롤(51C)은 원주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제3 롤(51C)과 점착층(5)은 선으로 접촉하므로,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블레이드(31)가 점착층(5)과 표시 장치(3)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제3 롤(51C)은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억제 부재(예를 들어 제1 롤(51A))보다도 후방에서 표시 장치(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표시 장치(3)와 점착층(5)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로서 사용된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제1 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2 롤(51B)의 단면도 및 제3 롤(51C)의 단면도는, 제1 롤(51A)의 단면도(도 6)와 마찬가지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제1 롤(51A)은 외주의 곡면(52A)에서 점착층(5)과 접촉한다. 곡면(52A)은 점착층(5)과 접촉하므로, 점착층(5)과의 밀착성을 저감하기 위해 조면화된다. 곡면(52A)의 표면 조도 Ra가 0.5㎛ 이상이면, 제1 롤(51A)과 점착층(5)의 밀착성을 저감할 수 있고, 제1 롤(51A)을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곡면(52A)의 표면 조도 Ra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다. 또한, 곡면(52A)의 표면 조도 Ra는, 가공성의 관점에서, 50㎛ 이하이면 된다.
제1 롤(51A)의 외주의 곡면(52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층(5)과 접촉한다. 그래서, 곡면(52A)에는 코팅막(53A)이 형성되어도 된다. 코팅막(53A)의 재료로서, 제1 롤(51A)의 재료보다도 큰 수접촉각을 갖는 것이 사용되므로, 제1 롤(51A)과 점착층(5)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1 롤(51A)을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제1 롤(51A)의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세라믹이다. 한편, 코팅막(53A)의 재료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이다.
코팅막(53A)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이상 200㎛ 이하이다. 코팅막(53A)의 두께가 2㎛ 이상이면, 코팅막(53A)이 찢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코팅막(53A)의 내구성이 양호하다. 한편, 코팅막(53A)의 두께가 200㎛ 이하이면 코팅막(53A)의 표면은, 조면화 완료된 곡면(52A)을 따르므로, 곡면(52A)과 동일한 표면 조도 Ra를 갖는다.
또한, 조면화 및 코팅은, 제2 롤(51B)의 외주의 곡면, 및 제3 롤(51C)이 외주의 곡면에도 실시되어도 된다. 제2 롤(51B) 및 제3 롤(51C)도, 외주의 곡면에서 점착층(5)과 접촉하기 때문이다.
도 7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히터(60)는 시트상이며,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날끝(33)보다도 전방에서 표시 장치(3)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점착층(5)을 상방으로부터 가열한다. 점착층(5)은 가열되면 연화되므로, 블레이드(31)를 전진시키는 때에, 블레이드(31)를 받아들이도록 변형되기 쉽다.
히터(60)는 표시 장치(3)와 마찬가지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이다. 히터(60)의 Y축 방향 치수는 표시 장치(3)의 Y축 방향 치수보다도 크고, 히터(60)는 표시 장치(3)의 Y축 방향 전체를 가열한다. 한편, 히터(60)의 X축 방향 치수는 표시 장치(3)의 X축 방향 치수보다도 작고, 히터(60)는 표시 장치(3)의 X축 방향 일부만을 가열한다.
히터(60)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31)의 경사면(35)에 올라 앉도록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60)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끝(33)보다도 후방에 있어서도 표시 장치(3)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다. 히터(60)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러버 히터가 사용된다.
히터(60)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0℃ 이상 230℃ 이하이다.
연동 기구(70)는 블레이드(31)와 연동하고, 제1 롤(51A), 제2 롤(51B), 제3 롤(51C), 및 히터(60)를 전진시킨다. 또한, 연동 기구(70)는 블레이드(31)와 연동하고, 적어도 제1 롤(51A)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하, 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연동 기구(7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동 기구(70)는 가이드(71)와, 슬라이더(72)를 갖는다. 가이드(71)와, 슬라이더(72)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71)는 각각, 지지대(20)에 대하여 고정되고,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72)는 한 쌍의 가이드(71)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블레이드 홀더(32)는 한 쌍의 슬라이더(72)에 걸쳐지고, 한 쌍의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31)가 X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연동 기구(70)는 높이 조정 핀(73)을 갖는다. 높이 조정 핀(73)은 한 쌍의 슬라이더(72) 각각에 마련되고,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블레이드 홀더(32)에는 블레이드 홀더(32)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에 높이 조정 핀(73)이 삽입 통과된다. 한 쌍의 높이 조정 핀(73)에 대응하여 한 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블레이드 홀더(32)는 한 쌍의 높이 조정 핀(73)을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 결과, 지지대(20)의 지지면(21)에 대한 블레이드(3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블레이드(31)의 높이는, 투명판(2)의 두께에 따라서 결정된다.
연동 기구(70)는 제1 회전 지지 기구(75A)를 갖고, 제1 회전 지지 기구(75A)가 제1 롤(5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롤(51A)은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제1 롤(51A)의 회전에 의해, 제1 롤(51A)에 대하여 점착층(5)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송출된다. 일반적으로 구름 저항은 미끄러짐 저항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제1 롤(51A)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롤(51A)을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 기구(75A)는 예를 들어 제1 회전축(76A)을 갖고, 제1 회전축(76A)이 제1 롤(5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롤(51A)에는 제1 롤(51A)을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에 제1 회전축(76A)이 삽입 통과된다. 제1 회전축(76A)은 원통상의 제1 롤(51A)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회전축(76A)은 제1 롤(51A)과 함께 회전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롤(51A)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제1 회전축(76A)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너셔가 작아, 제1 롤(51A)이 회전하기 쉽다. 또한, 제1 회전축(76A)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1 롤(51A)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76A)이 제1 롤(51A)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 지지 기구(75A)는 베어링을 더 가져도 되고, 베어링이 제1 회전축(76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 롤(5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동 기구(70)는 제1 거리 조정 기구(77A)를 갖고, 제1 거리 조정 기구(77A)가 블레이드(31)의 진퇴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날끝(33)과 제1 롤(51A)의 제1 거리 LA(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1 거리 LA는, 예를 들어 날끝(33)과 제1 롤(51A)의 중심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제1 거리 LA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블레이드(31)와 접촉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1 거리 LA가 짧게 설정된다. 제1 거리 LA가 짧을수록,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1 거리 L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이상 280㎜ 이하이다.
제1 거리 조정 기구(77A)는 예를 들어,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와,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제1 거리 조정 클램퍼(80A)를 갖는다.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와,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 제1 거리 조정 클램퍼(80A)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는 슬라이더(72)에 대하여 고정되고,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는 슬라이더(72)의 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블레이드(31)는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롤(51A)은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거리 조정 클램퍼(80A)는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함께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클램프하고,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에 대하여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1 거리 LA가 결정된다.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제1 롤(51A)을 전진시킬 때에는, 제1 거리 조정 클램퍼(80A)가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클램프한다. 클램프력으로서,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 유압, 또는 공기압 등이 사용된다. 한편, 제1 거리 LA를 조정하는 때에는, 제1 거리 조정 클램퍼(80A)가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의 클램프를 해제한다. 클램프의 실행과 해제는, 수동으로 행하여져도 되고, 모터 또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원으로 행하여져도 된다.
제1 거리 LA를 조정하는 때에는,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이동은, 수동으로 행하여져도 되고, 모터 또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원으로 행하여져도 된다.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함께 제1 롤(51A)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거리 LA를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롤(51A)은 동시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제1 거리 LA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거리 조정 기구(77A)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롤(51A)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는 슬라이더(72)의 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연동 기구(70)는 제1 높이 조정 기구(81A)를 갖고, 제1 높이 조정 기구(81A)가 지지대(20)의 지지면(21)에 대한, 제1 롤(51A)의 제1 높이 HA(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1 높이 HA는, 예를 들어 제1 롤(51A)이 투명판(2)으로부터 점착층(5)을 들어 올리는 높이이다.
제1 높이 HA는, 제1 거리 LA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블레이드(31)와 접촉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1 높이 HA가 높게 설정된다. 제1 높이 H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이상 100㎜ 이하이다.
제1 높이 조정 기구(81A)는 예를 들어,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와,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와, 제1 높이 조정 클램퍼(84A)를 갖는다.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와,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 제1 높이 조정 클램퍼(84A)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는 예를 들어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에 대하여 고정되고,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는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1 롤(51A)은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높이 조정 클램퍼(84A)는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와 함께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를 클램프하고,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에 대하여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1 높이 HA가 결정된다.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제1 롤(51A)을 전진시킬 때에는, 제1 높이 조정 클램퍼(84A)가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를 클램프한다. 클램프력으로서,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 유압, 또는 공기압 등이 사용된다. 한편, 제1 높이 HA를 조정하는 때에는, 제1 높이 조정 클램퍼(84A)가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의 클램프를 해제한다. 클램프의 실행과 해제는, 수동으로 행하여져도 되고, 모터 또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원으로 행하여져도 된다.
제1 높이 HA를 조정하는 때에는,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를 따라서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이동은, 수동으로 행하여져도 되고, 모터 또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구동원으로 행하여져도 된다. 제1 높이 조정 슬라이더(83A)와 함께 제1 롤(51A)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높이 HA를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롤(51A)은 동시에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제1 높이 HA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높이 조정 기구(81A)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롤(51A)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되고, 이 경우, 제1 높이 조정 가이드(82A)는 슬라이더(72)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블레이드(31)의 전진 중에 제1 높이 H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되지만, 변경되어도 된다. 블레이드(31)가 전진하고, 미박리의 면적이 좁아지면, 응력 집중이 일어난다. 그래서, 응력이 과대해지지 않도록, 블레이드(31)가 전진한 만큼, 제1 높이 HA가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작게 변경되어도 된다.
연동 기구(70)는 제2 회전 지지 기구(75B)를 갖고, 제2 회전 지지 기구(75B)가 제2 롤(5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롤(51B)은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제2 롤(51B)의 회전에 의해, 제2 롤(51B)에 대하여 점착층(5)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송출된다. 일반적으로 구름 저항은 미끄러짐 저항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제2 롤(51B)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2 롤(51B)을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제2 회전 지지 기구(75B)는 예를 들어 제2 회전축(76B)을 갖고, 제2 회전축(76B)이 제2 롤(5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롤(51B)에는 제2 롤(51B)을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에 제2 회전축(76B)이 삽입 통과된다. 제2 회전축(76B)은 원통상의 제2 롤(51B)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회전축(76B)은 제2 롤(51B)과 함께 회전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롤(51B)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제2 회전축(76B)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너셔가 작아, 제2 롤(51B)이 회전하기 쉽다. 또한, 제2 회전축(76B)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2 롤(51B)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76B)이 제2 롤(51B)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제2 회전 지지 기구(75B)는 베어링을 더 가져도 되고, 베어링이 제2 회전축(76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롤(5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동 기구(70)는 제2 거리 조정 기구(77B)를 갖고, 제2 거리 조정 기구(77B)가 블레이드(31)의 진퇴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날끝(33)과 제2 롤(51B)의 제2 거리 LB(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2 거리 LB는, 예를 들어 날끝(33)과 제2 롤(51B)의 중심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제2 거리 LB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투명판(2)과 재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2 거리 LB가 짧게 설정된다. 제2 거리 LB가 짧을수록,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2 거리 L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0㎜ 이상 700㎜ 이하이다.
제2 거리 조정 기구(77B)는 예를 들어, 제1 거리 조정 기구(77A)와 마찬가지로,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와, 제2 거리 조정 클램퍼(80B)를 갖는다.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 제2 거리 조정 클램퍼(80B)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는 슬라이더(72) 및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의 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는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 뿐만 아니라,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도 안내한다. 단,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에 전용의 가이드가 마련되어도 된다. 어쨌든, 제2 롤(51B)은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거리 조정 클램퍼(80B)는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와 함께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클램프하고,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에 대하여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2 거리 LB가 결정된다.
또한, 제2 거리 조정 기구(77B)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롤(51B)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는 슬라이더(72)의 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연동 기구(70)는 제2 높이 조정 기구(81B)를 갖고, 제2 높이 조정 기구(81B)가 지지대(20)의 지지면(21)에 대한, 제2 롤(51B)의 제2 높이 HB(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2 높이 HB는, 예를 들어 제2 롤(51B)이 투명판(2)으로부터 점착층(5)을 들어 올리는 높이이다.
제2 높이 HB는, 제2 거리 LB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투명판(2)과 재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2 높이 HB가 높게 설정된다. 제2 높이 H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이상 200㎜ 이하이다.
제2 높이 조정 기구(81B)는 예를 들어,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와,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와, 제2 높이 조정 클램퍼(84B)를 갖는다.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와,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 제2 높이 조정 클램퍼(84B)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는 예를 들어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에 대하여 고정되고,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는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2 롤(51B)은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높이 조정 클램퍼(84B)는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와 함께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를 클램프하고,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에 대하여 제2 높이 조정 슬라이더(83B)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2 높이 HB가 결정된다.
또한, 제2 높이 조정 기구(81B)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롤(51B)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되고, 이 경우, 제2 높이 조정 가이드(82B)는 슬라이더(72)에 대하여 고정된다.
연동 기구(70)는 제3 회전 지지 기구(75C)를 갖고, 제3 회전 지지 기구(75C)가 제3 롤(51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 롤(51C)은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제3 롤(51C)의 회전에 의해, 제3 롤(51C)에 대하여 점착층(5)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송출된다. 일반적으로 구름 저항은 미끄러짐 저항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제3 롤(51C)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제3 롤(51C)을 원활하게 전진시킬 수 있다.
제3 회전 지지 기구(75C)는 예를 들어 제3 회전축(76C)을 갖고, 제3 회전축(76C)이 제3 롤(51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 롤(51C)에는 제3 롤(51C)을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에 제3 회전축(76C)이 삽입 통과된다. 제3 회전축(76C)은 원통상의 제3 롤(51C)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 회전축(76C)은 제3 롤(51C)과 함께 회전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롤(51C)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제3 회전축(76C)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너셔가 작아, 제3 롤(51C)이 회전하기 쉽다. 또한, 제3 회전축(76C)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3 롤(51C)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3 회전축(76C)이 제3 롤(51C)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제3 회전 지지 기구(75C)는 베어링을 더 가져도 되고, 베어링이 제3 회전축(76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3 롤(51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동 기구(70)는 제3 거리 조정 기구(77C)를 갖고, 제3 거리 조정 기구(77C)가 블레이드(31)의 진퇴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날끝(33)과 제3 롤(51C)의 제3 거리 LC(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3 거리 LC는, 예를 들어 날끝(33)과 제3 롤(51C)의 중심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제3 거리 LC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투명판(2)과 재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3 거리 LC가 짧게 설정된다. 제3 거리 LC가 짧을수록,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3 거리 L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 이상 1500㎜ 이하이다.
제3 거리 조정 기구(77C)는 예를 들어, 제1 거리 조정 기구(77A)와 마찬가지로,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와, 제3 거리 조정 클램퍼(80C)를 갖는다.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 제3 거리 조정 클램퍼(80C)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는 슬라이더(72),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 및 제2 거리 조정 슬라이더(79B)의 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는 제1 거리 조정 슬라이더(79A) 뿐만 아니라,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도 안내한다. 단,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에 전용의 가이드가 마련되어도 된다. 어쨌든, 제3 롤(51C)은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 거리 조정 클램퍼(80C)는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와 함께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클램프하고,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에 대하여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3 거리 LC가 결정된다.
또한, 제3 거리 조정 기구(77C)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롤(51C)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이 경우,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는 슬라이더(72)의 전방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정 가이드(78A)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연동 기구(70)는 제3 높이 조정 기구(81C)를 갖고, 제3 높이 조정 기구(81C)가 지지대(20)의 지지면(21)에 대한, 제3 롤(51C)의 제3 높이 HC(도 5 참조)를 조정한다. 제3 높이 HC는, 예를 들어 제3 롤(51C)이 투명판(2)으로부터 점착층(5)을 들어 올리는 높이이다.
제3 높이 HC는, 제3 거리 LC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3)의 두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표시 장치(3)의 굴곡 강성이 낮으므로, 표시 장치(3)가 현수되기 쉽고, 점착층(5)이 투명판(2)과 재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3)의 두께가 얇을수록, 제3 높이 HC가 높게 설정된다. 제3 높이 H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이상 200㎜ 이하이다.
제3 높이 조정 기구(81C)는 예를 들어,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와,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와, 제3 높이 조정 클램퍼(84B)를 갖는다.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와,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 제3 높이 조정 클램퍼(84B)는,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는 예를 들어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에 대하여 고정되고,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는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3 롤(51C)은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 높이 조정 클램퍼(84B)는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와 함께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를 따라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를 클램프하고,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에 대하여 제3 높이 조정 슬라이더(83C)를 정지시킨다. 그 정지 위치에서 제3 높이 HC가 결정된다.
또한, 제3 높이 조정 기구(81C)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롤(51C)이 슬라이더(7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레이드(31)가 제3 거리 조정 슬라이더(79C)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되고, 이 경우, 제3 높이 조정 가이드(82C)는 슬라이더(72)에 대하여 고정된다.
연동 기구(70)는 히터 지지 기구(85)를 갖고, 히터 지지 기구(85)는 블레이드(31)에 연동하여 히터(60)를 전진시킨다. 히터(60)는 블레이드(31)와 연동하여 전진하므로, 박리 전선보다도 훨씬 후방을 불필요하게 가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박리 전선보다도 훨씬 전방을 불필요하게 가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6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히터 지지 기구(85)는 히터 홀더(86)를 포함하고, 히터 홀더(86)는 히터(60)의 전방에 배치되고, 히터(60)를 이끌고 전진한다. 히터 홀더(86)는, 히터(60)가 표시 장치(3)에 접촉한 채, 히터(60)를 전방으로 끌고 간다. 히터(60)를 후방으로부터 눌러서 전진시키는 경우와는 달리, 히터(60)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히터(60)의 주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히터(60)로부터 표시 장치(3)에의 전열을 촉진할 수 있다.
히터 지지 기구(85)는 지지 기둥(87)과, 지지 암(88)을 갖는다. 지지 기둥(87)과, 지지 암(88)은, 각각,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마련된다. 지지 기둥(87)은 슬라이더(72)에 대하여 고정되고, 지지 암(88)은 지지 기둥(87)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고, 히터(60)의 전방에 있어서 히터 홀더(86)를 지지한다. 히터 홀더(86)는, 한 쌍의 지지 암(88)에 걸쳐지고, 슬라이더(75)와 함께 전진한다.
히터 홀더(86)는, 히터(60)에 비하여 딱딱하므로, 표시 장치(3)에 흠집을 입히지 않도록, 표시 장치(3)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히터 지지 기구(85)는 가요성 시트(89)를 포함하고, 가요성 시트(89)가 히터 홀더(86)와 히터(60)를 연결한다. 가요성 시트(89)가 휘므로, 히터(60)의 X축 방향 전체가 표시 장치(3)에 접촉하고, 히터(60)의 열이 낭비 없이 표시 장치(3)에 전해진다. 또한, 가요성 시트(89)는 절연성을 갖고, 발열하지 않는다.
이상, 본 개시에 관계되는 박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 수정, 치환, 부가, 삭제, 및 조합이 가능하다.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원은 2019년 6월 3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0390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03908호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1: 적층체
2: 투명판(제1 판)
3: 표시 장치(제2 판)
5: 점착층
10: 박리 장치
20: 지지대
21: 지지면
31: 블레이드
51A: 제1 롤(억제 부재)
51B: 제2 롤(격리 부재)
51C: 제3 롤(격리 부재)
60: 히터
70: 연동 기구
75A: 제1 회전 지지 기구
77A: 제1 거리 조정 기구
81A: 제1 높이 조정 기구
85: 히터 지지 기구
86: 히터 홀더
89: 가요성 시트
2: 투명판(제1 판)
3: 표시 장치(제2 판)
5: 점착층
10: 박리 장치
20: 지지대
21: 지지면
31: 블레이드
51A: 제1 롤(억제 부재)
51B: 제2 롤(격리 부재)
51C: 제3 롤(격리 부재)
60: 히터
70: 연동 기구
75A: 제1 회전 지지 기구
77A: 제1 거리 조정 기구
81A: 제1 높이 조정 기구
85: 히터 지지 기구
86: 히터 홀더
89: 가요성 시트
Claims (15)
- 제1 판, 점착층 및 제2 판을 이 순번으로 갖는 적층체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2 판으로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제2 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제1 판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판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점착층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상기 억제 부재를 전진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 박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상기 억제 부재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점착층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제1 판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를 갖는 박리 장치.
- 제1 판, 점착층 및 제2 판을 이 순번으로 갖는 적층체를, 상기 제2 판과,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제1 판으로 박리하는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제2 판을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제1 판을 하방으로부터 평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제2 판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인 날끝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제2 판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상기 억제 부재를 전진시키는 연동 기구를 갖는 박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연동하여 전진하고, 상기 억제 부재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제2 판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점착층의 재부착을 방지하는 격리 부재를 갖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원통상 또는 원주상의 롤인, 박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블레이드의 진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날끝과 상기 억제 부재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면에 대한, 상기 억제 부재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날끝보다도 전방에서 상기 제2 판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상기 점착층을 상방으로부터 가열하는 시트상의 히터를 갖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블레이드에 연동하여 상기 히터를 전진시키는 히터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지지 기구는, 상기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를 이끌고 전진하는 히터 홀더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홀더는 상기 제2 판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히터 지지 기구는, 상기 히터 홀더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박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인, 박리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상기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을 보호하는 투명판이며,
상기 점착층은 투명한,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03908A JP2020197636A (ja) | 2019-06-03 | 2019-06-03 | 剥離装置 |
JPJP-P-2019-103908 | 2019-06-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694U true KR20200002694U (ko) | 2020-12-11 |
Family
ID=7355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736U KR20200002694U (ko) | 2019-06-03 | 2020-05-25 | 박리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76825A1 (ko) |
JP (1) | JP2020197636A (ko) |
KR (1) | KR20200002694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71883B1 (en) * | 2021-12-30 | 2023-02-07 | Rohr, Inc. | Thermoplastic laminate induction welding system and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78068A (ja) | 2014-03-19 | 2015-10-08 | 日立化成株式会社 | リペア処理方法、粘着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装置、及び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 |
JP2016038436A (ja) | 2014-08-06 | 2016-03-2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パネルとカバーガラスの剥離装置および方法 |
-
2019
- 2019-06-03 JP JP2019103908A patent/JP2020197636A/ja active Pending
- 2019-07-09 US US16/506,685 patent/US202003768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
- 2020-05-25 KR KR2020200001736U patent/KR20200002694U/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78068A (ja) | 2014-03-19 | 2015-10-08 | 日立化成株式会社 | リペア処理方法、粘着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装置、及び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 |
JP2016038436A (ja) | 2014-08-06 | 2016-03-2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パネルとカバーガラスの剥離装置およ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376825A1 (en) | 2020-12-03 |
JP2020197636A (ja) | 2020-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73089A1 (en) |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and method of laminating | |
JP4132808B2 (ja) | 液晶表示装置 | |
KR20070036614A (ko) | 편광판의 이형막 박리 장치 | |
EP1959417A1 (en) |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 |
EP2490205B1 (en) | Display device,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and transparent resin filler | |
JP6011316B2 (ja) |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の製造方法 | |
TWI492848B (zh) | 凹凸追隨性積層構件及使用它之附有觸控面板之顯示裝置 | |
WO2013137158A1 (ja) |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KR101477046B1 (ko) |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 |
KR20200002694U (ko) | 박리 장치 | |
JP5856358B1 (ja) | 積層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 |
KR102010247B1 (ko) |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 |
JP2008134385A (ja) | 液晶表示用偏光板 | |
JPH10161087A (ja) |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US20130302619A1 (en) |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layer structure | |
US10866443B2 (en) | Adhesive layer-equipp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 |
KR20170085420A (ko) | 비산방지필름이 합지된 슬림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품 및 그 제조방법 | |
JP2012230304A (ja) | 液晶表示用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液晶表示用保護シート、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 |
JP2010090344A (ja) | 両面粘着テープ、表示装置、貼り合わせ基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WO2021238060A1 (zh) | 柔性基板及其机械剥离方法 | |
JPWO2008111581A1 (ja) |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
KR101648221B1 (ko) | 요철 추종성 적층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패널 부착 표시장치 | |
KR20190002952U (ko) | 박리 장치, 및 박리용 블레이드 | |
JP2011075718A (ja) |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375554B2 (ja) | 基板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