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74A -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74A
KR20200002274A KR1020180075611A KR20180075611A KR20200002274A KR 20200002274 A KR20200002274 A KR 20200002274A KR 1020180075611 A KR1020180075611 A KR 1020180075611A KR 20180075611 A KR20180075611 A KR 20180075611A KR 20200002274 A KR20200002274 A KR 2020000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ork
spring
cushion
rec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8007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274A/ko
Publication of KR2020000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에 관한 것으로, 워크인시 백프레임의 폴딩에 연동되어 워크인스프링을 후방으로 잡아당겨주는 스프링당김장치가 구비된다. 워크인스프링의 장력이 증가되어 장력 감소에 따른 워크인 시트의 전방 이동량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WALK-IN SEA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크인 스프링에 의해 워크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에 관한 것이다.
SUV나 밴(Van)의 3열시트는 전방의 2열시트에 출입 경로가 가로 막히게 되므로 2열시트에 워크인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워크인 장치는 2열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시키면서 2열시트 자체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워크인 작동에 의해 3열시트 승객의 출입 경로가 확보되어 보다 용이하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워크인 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워크인 시트로 지칭한다.
워크인 시트는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하여 플로어에 레일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으며, 평상시의 전후 위치 고정을 위하여 레일 록(Lock) 장치를 구비한다.
레일 록 장치의 해제는 워크인 작동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워크인 레버는 통상 시트백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워크인 레버를 조작하면 레일 록 장치가 해제됨으로써 시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레일 록 장치가 해제되면 시트는 워크인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워크인 시트는 상기 레일을 구성하는 고정레일의 전방측과 이동레일의 후방측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워크인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워크인스프링은 시트가 사용 상태(즉, 워크인 작동 상태가 아닌 후방으로 밀려 있는 상태)인 경우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워크인 레버 조작에 의해 레일 록 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신장 상태의 워크인 스프링이 수축 복원되면서 이동레일이 전방쪽으로 당겨짐으로써 2열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워크인 작동시 시트의 전방 이동이 워크인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스프링 장력이 점차 감소되면서 시트의 전방 이동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워크인시 시트가 충분히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3열시트 승객의 출입경로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205호(2012.08.21.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워크인스프링의 장력 감소에 따른 워크인 시트의 전방 이동량 감소 문제가 해소되어 3열시트 승객의 출입 통로를 원활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플로어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 상기 쿠션브라켓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백프레임, 상기 레일의 고정레일측에 전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 가능 부분에 후단이 고정되는 워크인스프링, 워크인 작동시 상기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을 후방으로 당겨서 워크인스프링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스프링 당김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당김 장치는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자유단부에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이 연결되는 힌지브라켓과, 백프레임에 장착되어 백프레임 회동시 함께 회동되는 홀드브라켓과, 힌지브라켓과 홀드브라켓을 연결하여 홀드브라켓 전방 회동시 힌지브라켓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해주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브라켓은 일단이 리벳으로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힌지브라켓 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스프링연결부가 형성되고, 스프링연결부에 형성된 연결홀에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에 형성된 고리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안내관과, 안내관에 삽입된 와이어와, 와이어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각각 힌지브라켓과 홀드브라켓에 연결되는 케이블엔드와, 안내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마감재와, 안내관 양측의 마감재를 쿠션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상측 고정브라켓과 하측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고정브라켓은 쿠션브라켓에서 힌지브라켓이 장착된 면과 동일한 면에 장착되되, 힌지브라켓보다 후방에 장착된다.
상기 홀드브라켓에 리클라이너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고정브라켓이 쿠션브라켓의 후방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홀드브라켓의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와 상측 고정브라켓이 리클라이너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동일한 곡면상에 위치되며, 안내관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가 상기 홀드브라켓의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에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워크인 시트에 스프링 당김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워크인시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을 당겨 스프링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워크인 시트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됨으로써 3열시트 승객의 승하차 경로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스프링 당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시트의 워크인 작동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스프링 당김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는 쿠션프레임(10), 쿠션브라켓(20), 백프레임(30), 레일(40), 워크인스프링(50) 및 스프링 당김 장치(100)를 포함한다.
쿠션프레임(10)은 승객이 앉는 쿠션 부분의 프레임이고, 백프레임(30)은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부분의 프레임이다. 쿠션프레임(10)의 후단에는 쿠션브라켓(20)이 고정 장착되며, 이 쿠션브라켓(20)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백프레임(3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서 화살표 R로 지시된 부분의 내측(쿠션브라켓(20)과 백프레임(30)의 사이)에 리클라이너가 설치된다.
상기 리클라이너의 록(lock) 상태에서는 시트백이 회동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어서 승객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되고, 리클라이너의 록 상태가 해제되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쿠션프레임(10)은 레일(40)을 매개로 플로어에 설치된다. 레일(40)은 플로어에 장착된 고정레일(41)과 쿠션프레임(10)에 장착된 이동레일(42)을 포함한다. 고정레일(41)에 대해 이동레일(42)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워크인스프링(50)은 전단이, 고정레일(41)의 앞쪽 단부에 장착된 브라켓 등, 위치가 고정된 부분에 고정되고, 후단이 쿠션프레임(10) 또는 이동레일(42)과 같은 이동 가능 부분에 고정된다. 워크인 시트 사용 상태(후방으로 밀려져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상태)에서 워크인스프링(50)은 신장 상태에 있다.
워크인스프링(50)은 워크인 레버 조작에 의해 레일 록 장치가 해제되었을 때 수축 복원됨으로써 이동레일(42)을 전방으로 당겨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신장 상태의 워크인스프링(50) 후단이 전방쪽으로 수축 이동됨으로써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이 고정되어 있는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의 워크인시 상기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을 후방으로 당겨 워크인스프링(50)의 장력을 증가시켜주는 스프링 당김 장치(100)를 더 구비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스프링 당김 장치(100)는 힌지브라켓(110)과, 케이블(120), 홀드브라켓(130)을 포함한다.
힌지브라켓(110)은 쿠션브라켓(2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이 연결된다.
케이블(120)은 쿠션브라켓(20)에 설치되고, 일단(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110)에 연결되고, 타단(상단)은 상기 홀드브라켓(130)에 연결된다(케이블(120)의 상세 구조는 후술함).
홀드브라켓(130)은 백프레임(30)에 설치되어 리클라이너를 중심으로 백프레임(30)이 회동될 때 함께 회동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브라켓(110)은 일측 단부에 리벳홀(111)이 관통 형성되어 리벳(140)을 매개로 쿠션브라켓(20)에 장착된다. 리벳(140)은 쿠션브라켓(20)의 하측에 형성된 리벳홀(21)의 배면에서 삽입되고 그 리벳(140)의 바디에 댐퍼(150)와 힌지브라켓(110)이 끼워진 후 바디의 단부가 리벳팅되어 헤드가 형성됨으로써 힌지브라켓(110)이 쿠션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댐퍼(150)는 평와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탄성재질의 부품으로서 리벳(140)의 헤드와 힌지브라켓(110)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리벳(140)의 헤드 형성시(즉, 리벳팅시)의 충격을 흡수해준다.
힌지브라켓(110)의 타단(리벳(140)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 일측에는 힌지브라켓(110)의 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스프링연결부(112)가 형성되고, 그 스프링연결부(112)에는 연결홀(1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에 형성된 고리가 연결홀(112a)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워크인스프링(50)과 힌지브라켓(11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케이블(120)은 플라스틱 튜브 형태의 안내관(121)과, 안내관(121)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122)를 포함하며, 와이어(122)의 양단부에는 케이블엔드(123a,123b)가 구비된다.
안내관(121)의 양단에도 금속재 마감재가 구비되며, 그 마감재를 통해 와이어(122)가 안내관(1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케이블(120)은 상기 안내관(121)의 양단 마감재가 쿠션브라켓(20)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2a,22b)에 고정됨으로써 쿠션브라켓(20)에 설치된다.
고정브라켓(22a,22b)은 직사각형 플레이트가 직각으로 절곡되고 그 일측부에 안내관(121)의 마감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개구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22a,22b) 중, 하측 고정브라켓(22a)은 쿠션브라켓(20)의 정면(도 1에서 보이는 넓은 면을 정면으로 한다. 이 면은 차량 기준으로 측방을 향하는 면이다.) 하부 후측 모서리 부분에 장착된다. 즉, 힌지브라켓(110)과 동일한 면이면서 더 후방 측에 장착된다.
하측 고정브라켓(22a)에 고정된 안내관(121) 하단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22)의 단부 즉, 와이어(122)의 하측 케이블엔드(123a)는 힌지브라켓(110)의 타단에서 스프링연결부(112)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관(121)의 하측 단부가 힌지브라켓(110)과 동일한 면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와이어(122)가 힌지브라켓(110)을 용이하게 당겨줄 수 있다.
상측 고정브라켓(22b)은 쿠션브라켓(20)의 상부 후방측 면에 장착되고, 그 상측 고정브라켓(22b)에 안내관(121)의 상측 마감재가 고정되며, 그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22)의 상측 케이블엔드(123b)가 상기 홀드브라켓(130)에 연결된다.
홀드브라켓(130)에는 백프레임(3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리클라이너의 외주면을 마주보는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가 형성되고, 그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에 와이어(122)의 상측 케이블엔드(123b)가 고정된다.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는 홀드브라켓(130) 전체에서 중간 부분이다.
이와 같이, 안내관(121)의 상측 단부가 고정되는 쿠션브라켓(20)의 후방면과 와이어(122)의 상측 케이블엔드(123b)가 연결되는 홀드브라켓(130)의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가 리클라이너의 외주를 감싸는 동일한 곡면상에 존재하므로 백프레임(30) 폴딩과 함께 홀드브라켓(130)이 회동할 때 와이어(122)가 원활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2열시트의 시트백 상단에 설치된 워크인 레버를 조작하면 리클라이너와 레일 록 장치의 잠금 상태가 동시에 해제되면서 시트백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폴딩되고 시트 전체는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이 도 3의 (a), (b), (c)에 단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의 전방 이동 즉, 워크인 작동에 의해 3열시트 승객의 승,하차 경로가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워크인 작동에 수반하여 상기 스프링 당김 장치(10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리클라이너 잠금이 해제되어 백프레임(30)이 전방으로 폴딩될 때 백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는 홀드브라켓(130)이 함께 반시계방향(도 4 기준)회동된다(①단계).
백프레임(30)의 회전 중심은 리클라이너이며, 백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는 홀드브라켓(130)도 리클라이너의 외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리클라이너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홀드브라켓(130)이 전방으로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케이블(120)의 와이어(122)의 상단(상측 케이블엔드(123b))이 당겨지며(②단계), 이에 와이어(122)의 하단(하측 케이블엔드(123a))이 연결된 힌지브라켓(110)이 리벳(1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동된다(③단계).
따라서 힌지브라켓(110)의 자유단부 즉, 스프링연결부(112)에 연결된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이 자동차의 후방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워크인스프링(50)의 장력이 증가된다(④단계).
이때 워크인스프링(50)의 수축력에 의해 힌지브라켓(110)이 장착된 쿠션브라켓(20)이 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2열시트가 전방으로 이동된다(⑤단계).
상기 상태는 워크인 동작 중인 상태로서 워크인스프링(50)의 장력에 의해 시트가 전방으로 당겨져 이동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워크인스프링(50)의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워크인스프링(50)에 의한 시트의 당김력이 증가함으로써 시트의 전방 이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레일(41)과 이동레일(42) 사이의 마찰, 사용 시간 증가에 따른 워크인스프링(50)의 장력 저하 등에 의해 워크인시 시트의 전방 이동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스프링 당김 장치(100)에 의해 워크인스프링(50)의 후단이 당겨져서 장력이 증가됨으로써 시트를 정해진 워크인 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트의 워크인 작동량 부족으로 인한 3열시트 승객의 승하차 경로 확보 불량이 해소되어 3열시트 승객이 보다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쿠션프레임 20 : 쿠션브라켓
21 : 리벳홀 22a,22b : 고정브라켓
30 : 백프레임 40 : 레일
41 : 고정레일 42 : 이동레일
50 : 워크인스프링 100 : 스프링 당김 장치
110 : 힌지브라켓 111 : 리벳홀
112 : 스프링연결부 112a : 연결홀
120 : 케이블 121 : 안내관
122 : 와이어 123a,123b : 케이블엔드
130 : 홀드브라켓 140 : 리벳
150 : 댐퍼

Claims (6)

  1. 자동차의 실내 플로어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
    상기 쿠션브라켓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백프레임,
    상기 레일의 고정레일측에 전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 가능 부분에 후단이 고정되는 워크인스프링,
    워크인 작동시 상기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을 후방으로 당겨서 워크인스프링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스프링 당김 장치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당김 장치는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자유단부에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이 연결되는 힌지브라켓과, 백프레임에 장착되어 백프레임 회동시 함께 회동되는 홀드브라켓과, 힌지브라켓과 홀드브라켓을 연결하여 홀드브라켓 전방 회동시 힌지브라켓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해주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일단이 리벳으로 쿠션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힌지브라켓 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스프링연결부가 형성되고, 스프링연결부에 형성된 연결홀에 워크인스프링의 후단에 형성된 고리가 삽입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안내관과, 안내관에 삽입된 와이어와, 와이어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각각 힌지브라켓과 홀드브라켓에 연결되는 케이블엔드와, 안내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마감재와, 안내관 양측의 마감재를 쿠션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상측 고정브라켓과 하측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정브라켓은 쿠션브라켓에서 힌지브라켓이 장착된 면과 동일한 면에 장착되되, 힌지브라켓보다 후방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드브라켓에 리클라이너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고정브라켓이 쿠션브라켓의 후방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홀드브라켓의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와 상측 고정브라켓이 리클라이너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동일한 곡면상에 위치되며, 안내관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가 상기 홀드브라켓의 리클라이너 외주 대응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KR1020180075611A 2018-06-29 2018-06-29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KR2020000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11A KR20200002274A (ko) 2018-06-29 2018-06-29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11A KR20200002274A (ko) 2018-06-29 2018-06-29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74A true KR20200002274A (ko) 2020-01-08

Family

ID=6915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611A KR20200002274A (ko) 2018-06-29 2018-06-29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59A (ko) * 2018-12-31 2020-07-0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WO2020145663A1 (ko) 2019-01-09 2020-07-1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로도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205A (ko) 2010-12-29 2012-08-2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205A (ko) 2010-12-29 2012-08-2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59A (ko) * 2018-12-31 2020-07-08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WO2020145663A1 (ko) 2019-01-09 2020-07-1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로도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750B2 (en) Stowable vehicle seat
EP2210771B1 (en) Stowable vehicle seat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287024B2 (en) Seat lock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US8336955B2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JP5382709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267458B2 (en) Seat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a vertically extended striker mechanism
KR20200002274A (ko) 자동차의 워크인 시트
US6663181B2 (en) Vehicle seat portion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731848B1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JP2010538903A (ja) 車両座席
KR102235026B1 (ko) 자동 폴딩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JP2013095272A (ja) 跳ね上げシートロック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JP6583062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2185136B1 (ko) 자동차용 워크-인 시트의 케이블 이탈 방지 장치
JPH06211075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3628904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収納姿勢保持装置
JPH10226254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80006127A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폴딩장치
JP4013871B2 (ja) 車両用のシート構造
JP4007297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H0522437Y2 (ko)
JP2019038338A (ja)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