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62A -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62A
KR20200001462A KR1020190049675A KR20190049675A KR20200001462A KR 20200001462 A KR20200001462 A KR 20200001462A KR 1020190049675 A KR1020190049675 A KR 1020190049675A KR 20190049675 A KR20190049675 A KR 20190049675A KR 20200001462 A KR20200001462 A KR 2020000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erable
meth
adhesive
adhesive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338B1 (ko
Inventor
아키히라 와타나베
다카유키 아라이
유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함과 함께, 첩합성도 우수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어도 점착제층(11)을 갖는 점착 시트(1)로서, 점착제층(11)이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고, 점착제층(11)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1MPa 이상, 1.0MPa 이하이고, 점착제층(11)에 대하여, JIS K7374:2007에 준거해서 측정한 0.125㎜, 0.25㎜, 0.5㎜, 1.0㎜ 및 2.0㎜의 광학 빗의 상선명도의 합계값이, 250% 이상, 480% 이하이고, 점착제층(11)의 헤이즈값이 20% 이상, 80% 이하이고, 점착 시트(1)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3.0N/25㎜ 이상인 점착 시트(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ADHESIVE SHEET AND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편광판, 휘도 향상 필름 등의 필름 부재를 첩합하는데 호적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백라이트를 사용하지만, 당해 백라이트의 광원에 기인해서 밝기에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적층체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예를 들면, 편광판에 인접하는 위치 등에, 광확산 기능을 갖는 광확산판을 마련하거나, 광확산 점착제층을 마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그를 위해서는 광확산 점착제층을 마련하는 것이 유용하다.
광확산 점착제층은, 통상적으로, 점착제층 중에 미립자를 첨가해서, 헤이즈값을 높게 함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공중합성 모노머, 질소 원자를 갖는 비닐 모노머, 및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가교제 및, 규소계 입자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투과율이 90% 이상, 헤이즈값이 40% 이상이고, 굴절률이 1.47 이상이고, 공중합체와 규소계 입자와의 계면 반사율이 0.01% 이상인 광확산 점착제층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5-140380호 공보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에 미립자를 첨가했을 경우, 미립자 및 점착제에 있어서의 열팽창성 혹은 열수축성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열이력에 의해서 미립자와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어긋남이 발생하고, 기포를 발생하는 것과 같은 내구성의 문제가 우려된다. 특히, 광확산 점착제층이 편광판에 인접할 경우, 편광판은 열이력에 의해 수축하기 쉽기 때문에, 광확산 점착제층에 응력이 잔존하고, 그 응력에 의해 계면에서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광확산 점착제층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경화에 더하여 자외선 경화시킴으로써, 저장 탄성률을 높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필름 부재와의 첩합성이 저하해서, 첩합 시에 기포나 이물이 혼입하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최근의 편광판의 보호막 구성은 다방면에 걸치고, 또한 휘도 향상 필름과의 첩합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편광판이나 휘도 향상 필름은 기능이나 얇기를 추구하는 관계상, 첩합의 난이도가 매년 상승하고 있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확산 점착제층에서는,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함과 함께, 첩합성도 우수한 점착 시트, 및 당해 점착 시트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본 발명은, 적어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1MPa 이상, 1.0MPa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JIS K7374:2007에 준거해서 측정한 0.125㎜, 0.25㎜, 0.5㎜, 1.0㎜ 및 2.0㎜의 광학 빗의 상선명도의 합계값이, 250% 이상, 480%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이, 20%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점착 시트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3.0N/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점착 시트에 의하면, 우수한 광확산성을 가지면서, 각종 필름 부재, 예를 들면 각종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이나, 휘도 향상 필름 등을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에 의하면, 첩합 시에 기포나 이물이 혼입하기 어렵고, 또한, 컬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름 부재와의 첩합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1, 2)에 있어서는, 상기 광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3)에 따른 점착 시트는, 2매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2매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挾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4)에 따른 점착 시트는, 2매의 필름 부재를 첩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둘째로 본 발명은, 제1 광학 부재와, 제2 광학 부재와, 상기 제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광학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점착 시트(발명 1∼5)의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발명 6).
상기 발명(발명 6)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광학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필름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7).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에 의하면,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함과 함께, 첩합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높은 내구성을 가짐과 함께, 기포나 이물의 혼입이 적은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적어도 점착제층을 갖고, 당해 점착제층은,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한다. 그리고, 점착제층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1MPa 이상, 1.0MPa 이하이고, 점착제층에 대하여, JIS K7374:2007에 준거해서 측정한 0.125㎜, 0.25㎜, 0.5㎜, 1.0㎜ 및 2.0㎜의 광학 빗의 상선명도의 합계값은, 250% 이상, 480% 이하이고,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은, 20% 이상, 80% 이하이고,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은, 3.0N/25㎜ 이상이다. 또, 상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코로나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상기한 조성 및 물성을 충족시키는 점착 시트에 의하면, 우수한 광확산성을 가지면서, 각종 필름 부재, 예를 들면 각종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이나, 휘도 향상 필름 등을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과 무알칼리 유리판을 첩합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 및 비누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과 무알칼리 유리판을 첩합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85℃, 85% RH, 500시간의 내구 조건에 두었을 때에도, 들뜸, 벗겨짐, 발포, 선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러한 우수한 내구성은, 점착제층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한 경우에도 발휘된다.
또한, 상기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점착 시트에 의하면, 첩합 시에 기포나 이물이 혼입하기 어렵고, 또한, 컬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름 부재와의 첩합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한 물성을 충족시키는 점착 시트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첩합 시의 기포 혼입을 방지하거나, 컬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비교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1.0MPa 이하인 것을 요하며, 0.8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MPa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특히 내구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0.1MPa 이상인 것을 요하며, 0.15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MPa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은, JIS K7244-6에 준거해서, 측정 주파수 1Hz에서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측정한 값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특히 무아레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상기 상선명도(합계값)는, 480% 이하이고, 4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시인성의 관점에서, 상기 상선명도(합계값)는, 250% 이상인 것을 요하며,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선명도는, 시험체를 투과한 평행광선의 광량을, 투과부 및 차광부를 갖는 광학 빗을 통해서 측정되는 것이다. 광학 빗에 있어서의 투과부와 차광부와의 폭(빗폭)이 작을수록, 정세도(精細度)가 높은 상선명도를 나타낸다. 상선명도는, JIS K7374:2007의 투과법에 준거해서 측정된다.
또한, 특히 무아레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은, 20% 이상인 것을 요하며,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은, 80% 이하이고,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JIS K7136:2000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또한, 특히 내구성의 관점에서, 상기 점착력은, 3.0N/25㎜ 이상인 것을 요하며, 3.3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의 상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3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특히 코로나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밀착성이 매우 낮은 재료이기 때문에, 당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은, 유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보다도, 상당히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기본적으로는 JIS Z0237:2009에 준거한 180도 벗겨내기법에 의해 측정한 점착력을 말하지만, 측정 샘플은 25㎜ 폭, 100㎜ 길이로 하고, 당해 측정 샘플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0.5MPa, 50℃에서 20분 가압한 후, 상압,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300㎜/min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이 함유하는 광확산 미립자는, 당해 점착제층이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상기 광확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계 미립자;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유기계의 투광성 미립자; 실리콘 수지와 같은 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예를 들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샤제의 토스팔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점착 시트가 상술한 헤이즈값 및 상선명도를 충족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 이상의 광확산 미립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광확산 미립자의 형상으로서는, 광확산이 균일한 구상의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광확산 미립자의 원심 침강 광투과법에 의한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헤이즈를 발현하기 쉬워짐과 함께, 상선명도를 소정 정도 감소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상기 평균 입경은, 상한값으로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헤이즈값이 너무 높아지거나, 상선명도가 너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쉽고, 고정세의 표시 화상을 양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낮은 막두께의 점착제층이어도 높은 점착력을 얻기 쉬워진다.
또, 상기 원심 침강 광투과법에 의한 평균 입경은, 미립자 1.2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98.8g을 충분히 교반한 것을 측정용 시료로 하고, 원심식 자동 입도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세이사쿠죠샤제, CAPA-700)를 사용해서 측정한 것이다.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술한 헤이즈값, 상선명도 및 점착력이 충족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일례로서의 구체적 구성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시트(1)는,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와, 그들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당해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에 협지된 점착제층(11)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을 갖는 면을 말하며,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1. 각 부재
1-1. 점착제층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점착제는, 에멀젼형, 용제형 또는 무용제형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가교 타입 또는 비가교 타입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들 중에서도, 점착 물성, 광학 특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구성하는 점착제(특히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열가교물을 포함하는 것임이 바람직하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임이 바람직하고, 특히, 열가교물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물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동일 성분이 열가교물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물을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임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상기 점착제는,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해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고, 또한, 점착성 조성물을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고, 특히,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해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열가교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해서 이루어짐에 의해, 상술한 물성이 충족되기 쉽고, 특히 높은 내구성이 얻어진다.
열가교성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점착성 조성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예를 들면, 측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이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와, 가교제(열가교제)와,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가교제(열가교제)와,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폴리머끼리의 응집력을 보다 강하게 함과 함께, 광확산 미립자와 점착 성분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와, 가교제(열가교제)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을 주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비경화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와, 열가교제인 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광확산 미립자(D)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이하 「점착성 조성물 P」라 하는 경우가 있다)을 열가교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해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중합체」에는 「공중합체」의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점착성 조성물의 성분
(1-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분자 내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 관능기를 개재해서, 후술하는 가교제(B)와 반응하고, 이것에 의해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가 형성되어, 소정의 응집력을 갖는 점착제가 얻어진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중에서도,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각종 피착체(필름 부재)에 대한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양쪽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제(B)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및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력 및 가교제(B)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합계량)를, 하한값으로서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하한값으로서 0.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하한값으로서 0.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종 피착체(필름 부재)에 대한 점착력이 효과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합계량)를, 상한값으로서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상한값으로서 8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상한값으로서 8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얻어지는 점착제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알킬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점착성의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n-데실, (메타)아크릴산n-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파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점착력을 효율적으로 부여하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2∼12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5∼10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산n-부틸을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점착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9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모노머(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그 벌키(bulky)한 관능기에 의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간의 거리를 넓히고, 얻어지는 점착제의 유연성을 높게 해서, 각종 피착체(필름 부재)에 대한 점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지환식 구조의 탄소환은, 포화 구조의 것이어도 되고, 불포화 결합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지환식 구조는, 단환의 지환식 구조여도 되고, 이환, 삼환 등의 다환의 지환식 구조여도 된다.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는, 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6∼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1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 골격,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 아다만탄 골격, 이소보르닐 골격, 시클로알칸 골격(시클로헵탄 골격, 시클로옥탄 골격, 시클로노난 골격, 시클로데칸 골격, 시클로운데칸 골격, 시클로도데칸 골격 등), 시클로알켄 골격(시클로헵텐 골격, 시클로옥텐 골격 등), 노르보르넨 골격, 노르보르나디엔 골격, 다환식 골격(큐베인 골격, 바스케테인 골격, 하우세인 골격 등), 스피로 골격 등을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각종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더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아다만탄 골격 또는 이소보르닐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골격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아다만틸,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아다만틸,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얻어지는 점착제의 각종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보다 높게 하는 관점에서,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을 2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함에 의해, 각종 피착체(필름 부재)에 대한 점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구성되는 점착제의 고차 구조 중에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유래 부분의 자유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당해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에 사용되는 하나의 중합성기 이외에 반응성 불포화 이중결합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메타)아크릴로일아지리딘, 아지리디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비닐피라진, 1-비닐이미다졸, N-비닐카르바졸, N-비닐프탈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하는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바람직하고, N-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얻어지는 점착제의 각종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보다 높게 하는 관점에서,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0.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모노머의 함유량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 및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필름 부재(특히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필름 부재에 대해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할 경우, 이물이 혼입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지만,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이 높은 필름 부재를 사용해서 광학 적층체, 나아가서는 표시체를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용액 중합법에 의해서 얻어진 용액 중합물이어도 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서 얻어진 무용제 중합물이어도 되지만, 용액 중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물임에 의해, 박막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 태양은,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0만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만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5만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상술한 저장 탄성률 및 점착력이 충족되기 쉬워진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점착성 조성물 P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함유량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2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함유량은,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7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에 의해, 상술한 물성이 충족되기 쉬운 것으로 된다.
(1-2) 가교제(B)
가교제(B)는, 점착성 조성물 P의 가열에 의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를 가교하여, 삼차원 망목 구조의 가교 구조를 양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물성이 충족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상기 가교제(B)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교제(B)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가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교제(B)로서는,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가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교제(B)로서는, 카르복시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가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교제(B)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또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시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가교제(B)의 함유량(합계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교제(B)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상술한 물성이 보다 충족되기 쉬워진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09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45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09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0.9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2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46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0.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04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성 조성물 P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을 함유할 경우, 당해 점착성 조성물 P를 열가교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해서 얻어지는 점착제에 있어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서로 중합하고, 그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에 얽혀붙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차 구조를 갖는 점착제는, 상술한 저장 탄성률을 충족시키기 쉽고, 매우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고, 상기한 효과가 얻어지는 성분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1,4-헵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분자량 1000 미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분자 내에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분자 내에 펜타에리트리톨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에톡시화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 내에 펜타에리트리톨 구조를 함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에 의해, 상술한 저장 탄성률이 보다 충족되기 쉬운 것으로 되고,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첩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1-4) 광확산 미립자(D)
점착성 조성물 P가 함유하는 광확산 미립자(D)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광확산 미립자(D)의 함유량은, 상술한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이면 되며,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2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술한 물성이 충족되기 쉬워진다.
(1-5) 광중합개시제(E)
점착성 조성물 P를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성 조성물 P는, 광중합개시제(E)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개시제(E)를 함유함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을 효율 좋게 중합시킬 수 있고, 또한 중합 경화 시간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중합개시제(E)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개시제(E)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100질량부에 대해서, 하한값으로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6) 실란커플링제(F)
점착성 조성물 P는, 실란커플링제(F)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향상하고,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실란커플링제(F)로서는, 분자 내에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좋고,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커플링제(F)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혹은 이들의 적어도 하나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실란커플링제(F)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3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7)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 P에는, 소망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조정제, 방청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 후술의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성 조성물 P를 구성하는 첨가제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점착성 조성물 P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를 제조하여, 얻어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와, 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광확산 미립자(D)를 혼합함과 함께, 소망에 따라, 광중합개시제(E), 실란커플링제(F) 및 첨가제를 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은, 소망에 따라 중합개시제를 사용해서, 용액 중합법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이동제를 배합함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가 얻어지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용액에, 가교제(B),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광확산 미립자(D), 그리고 소망에 따라 광중합개시제(E), 실란커플링제(F), 첨가제, 및 희석 용매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함에 의해, 용매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 P(도포 용액)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성분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체상의 것을 사용할 경우, 혹은, 희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석출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단독으로 미리 희석 용매에 용해 혹은 희석하고 나서, 그 밖의 성분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희석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서 적의(適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성 조성물 P의 농도가 10∼60질량%로 되도록 희석한다. 또, 도포 용액을 얻는데 있어서, 희석 용매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은 아니며, 점착성 조성물 P가 코팅 가능한 점도 등이면, 희석 용매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점착성 조성물 P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매로 하는 도포 용액으로 된다.
(3) 점착제층의 형성
점착제층(11)은, 점착성 조성물 P를 열가교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해서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점착제층(11)은, 점착성 조성물 P를 원하는 대상물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점착성 조성물 P를 경화시킴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의 건조는, 풍건(風乾)에 의해서 행해도 되지만, 통상은 가열 처리(바람직하게는 열풍 건조)에 의해서 행한다. 가열 처리를 행할 경우, 가열 온도는,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10초∼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초∼2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활성 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한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제논 램프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가 50∼1000m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량은, 50∼100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80∼5000m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2000mJ/㎠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1000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의 건조(가열 처리)에 의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는 가교제(B)에 의해서 가교되어,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복수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서로 중합하고, 그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가교 구조에 얽혀붙는 것으로 추정된다.
(4) 점착제층의 두께
점착제층(11)의 두께(JIS K7130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는, 하한값으로서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11)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4㎛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1)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비교적 박막임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 나아가서는 표시체를 박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1)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비교적 박막이어도, 점착성 조성물 P를 사용함에 의해, 상술한 물성이 충족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점착제층(11)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비교적 박막이어도,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한 경우에도, 높은 내구성이 발휘됨과 함께, 우수한 첩합성이 얻어진다.
1-2. 박리 시트
박리 시트(12a, 12b)는, 점착 시트(1)의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11)을 보호하는 것이고, 점착 시트(1)(점착제층(11))를 사용할 때에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 있어서, 박리 시트(12a, 12b)의 한쪽 또는 양쪽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리 시트(12a, 12b)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12a, 12b)의 박리면(특히 점착제층(11)과 접하는 면)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 박리 시트(12a, 12b) 중,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큰 중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고, 다른 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작은 경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12a, 12b)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150㎛ 정도이다.
2. 점착 시트의 제조
점착 시트(1)의 일 제조예로서는, 한쪽의 박리 시트(12a)(또는 12b)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해서 점착성 조성물 P를 열가교하여, 도포층을 형성한 후, 그 도포층에 다른 쪽의 박리 시트(12b)(또는 12a)의 박리면을 중첩해서 적층한다. 그리고, 박리 시트(12a)(또는 12b) 너머로 상기 도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에 의해 당해 도포층을 경화시켜, 점착제층(11)을 형성한다.
또한, 점착 시트(1)의 다른 제조예로서는, 한쪽의 박리 시트(12a)(또는 12b)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해서 점착성 조성물 P를 열가교하여, 도포층을 형성한 후, 그 도포층이 노출한 상태 그대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당해 도포층을 경화시켜, 점착제층(11)을 형성하고, 그 후, 당해 점착제층(11)에 박리 시트(12b)(또는 12a)를 적층한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3. 물성
(1) 겔분율
점착제층(11)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겔분율은,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1%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의 겔분율이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당해 점착제는 소정의 응집력을 갖는 것으로 되고, 상술한 저장 탄성률이나 점착력이 충족되기 쉬워진다.
(2) 점착력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점착제층(11))의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1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7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점착제층(11))의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8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점착제층(11))의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에 대한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3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1)의 점착력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상기한 각 점착력의 상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3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7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5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25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15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를 사용함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체에 적용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구체적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2)는, 제1 광학 부재(21)와, 제2 광학 부재(22)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11)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이 점착제층(11)은, 상술한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이다.
상기 광학 적층체(2)를 적용할 수 있는 표시체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LCD)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표시체는, 터치패널이어도 된다.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는, 유연성을 갖는 필름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단,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의 한쪽 또는 양쪽은, 경질 부재여도 된다.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판, 편광자, 휘도 향상 필름, 위상차판(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콘트라스트 향상 필름, 액정 폴리머 필름, 확산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비산 방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편광자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보호막으로서 첩합한 것이나, 그 한쪽의 TAC 필름을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의 필름으로 변경한 것(COP 편광판), 혹은, PVA계 편광자의 편면에, TAC 필름을 보호막으로서 첩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TAC 필름은, 비누화 처리된 것이어도 되고, 비누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 PVA계 편광자의 편면에 TAC 필름을 첩합한 편광판일 경우, 점착제층(11)을 PVA계 편광자에 직접 첩부해도 된다.
여기에서, 편광판은, 매년, 얇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얇은 편광판에 있어서는, 보호막도 얇은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연신 배향한 편광자가 내구 조건 하에서 열수축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불충분하게 된다. 그 결과, 편광판의 열수축이 커지고, 내구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1)이면, 그와 같은 얇은 편광판이어도 충분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구성의 효과를 보다 발휘하는 관점에서, 편광판의 두께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편광판의 두께의 하한값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0㎛ 정도이다.
상기 경질 부재로서는, 유리판, 플라스틱판, 그들에 각종 기능층(투명 도전막, 금속층, 실리카층, 하드코트층, 방현층 등)이 마련되어 있는 것, 혹은, 액정(LCD) 모듈,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모듈 등의 표시체 모듈이나, 표시체 모듈의 일부로서의 광학 부재, 또는 표시체 모듈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의 적어도 한쪽은,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의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편광판 및 휘도 향상 필름이다. 또한, 그 편광판의 점착제층(11)측의 면에는, 비누화 TAC 필름 또는 미비누화 TAC 필름이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적층체(2)에 있어서는, 점착제층(11)이, 우수한 광확산성을 가지면서, 상술한 각종 필름 부재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당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비누화 TAC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무알칼리 유리판을 첩합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 및 미비누화 TAC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무알칼리 유리판을 첩합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85℃, 85% RH, 500시간의 내구 조건에 두었을 때에도, 들뜸, 벗겨짐, 발포, 선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러한 효과는, 점착제층(11)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도 발휘된다.
상기 광학 적층체(2)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점착 시트(1)의 한쪽의 박리 시트(12a)를 박리하고, 점착 시트(1)의 노출한 점착제층(11)을, 제1 광학 부재(21)의 한쪽의 면에 첩합한다. 다음으로,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으로부터 다른 쪽의 박리 시트(12b)를 박리하고, 점착 시트(1)의 노출한 점착제층(11)과 제2 광학 부재(22)를 첩합해서 적층체를 얻는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광학 부재(21) 및 제2 광학 부재(22)의 첩합 순서를 바꿔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는, 필름 부재와의 첩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점착 시트(1)와 제1 광학 부재(21)와의 첩합 시, 및 점착제층(11)과 제2 광학 부재(22)와의 첩합 시에, 기포나 이물이 혼입하기 어렵고, 또한, 컬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품질이 높은 광학 적층체(2), 나아가서는 표시체를 효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12a, 12b)의 어느 한쪽은 생략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의 조제
아크릴산n-부틸 84.5질량부, 아크릴산이소보르닐 7.5질량부,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2.5질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3.0질량부 및 아크릴산 2.5질량부를 용액 중합법에 의해 공중합시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를 조제했다.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분자량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더니, 중량 평균 분자량(Mw) 110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고형분 환산값; 이하 같다)와,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B)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니혼폴리우레탄샤제, 제품명 「코로네이트L」) 0.3질량부와, 에폭시계의 가교제(B)(소켄가가쿠샤제, 「코우카자이E-AX」) 0.03질량부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으로서의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도아고세샤제, 제품명 「아로닉스M-315」) 7.5질량부와, 광확산 미립자(D)로서의 실리콘 수지(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샤제, 제품명 「토스팔145」, 평균 입경 : 4.5㎛) 10.0질량부와, 광중합개시제(E)로서의 벤조페논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의 질량비 1:1의 혼합품 0.75질량부, 및 실란커플링제(F)로서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2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함에 의해,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를 100질량부(고형분 환산값)로 한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의 각 배합(고형분 환산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BA : 아크릴산n-부틸
IBXA : 아크릴산이소보르닐
ACMO :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MA : 아크릴산메틸
HEA :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AA : 아크릴산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B)]
TDI :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니혼폴리우레탄샤제, 제품명 「코로네이트L」)
XDI :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미쓰이가가쿠샤제, 제품명 「타케네이트D110N」)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C1 :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화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도아고세샤제, 제품명 「아로닉스M-315」)
C2 :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트리에스테르 37%)(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샤제, 제품명 「A-TMM-3L」)
[광확산 미립자(D)]
D1 : 평균 입경 : 4.5㎛의 실리콘 수지(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샤제, 제품명 「토스팔145」)
D2 : 평균 입경 : 3.0㎛의 실리콘 수지(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샤제, 제품명 「토스팔130」)
D3 : 평균 입경 : 2.0㎛의 실리콘 수지(무기와 유기의 중간적인 구조를 갖는 규소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샤제, 제품명 「토스팔120」)
3. 점착제층의 형성
상기 공정 2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 P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중박리형 박리 시트(린텍샤제, 제품명 「SP-PET752150」)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해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도포층 부착의 중박리형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도포층측의 면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경박리형 박리 시트(린텍샤제, 제품명 「SP-PET381130」)의 박리 처리면을 첩합했다.
다음으로, 상기 도포층에 대하여, 경박리형 박리 시트 너머로, 이하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켜서, 두께 12㎛의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것에 의해,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두께 : 12㎛)/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조했다.
<자외선 조사 조건>
·고압 수은 램프 사용
·조도 200mW/㎠, 광량 200mJ/㎠
·UV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래픽스샤제 「UVPF-36」을 사용
또,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JIS K7130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테크록샤제, 제품명 「PG-02」)를 사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2∼9, 비교예 1∼5〕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조성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B)의 종류 및 배합량,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종류 및 배합량, 광확산 미립자(D)의 종류 및 배합량, 광중합개시제(E)의 배합량, 그리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 시트를 제조했다.
여기에서, 상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GPC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측정 장치 : 도소샤제, HLC-8320
·GPC 칼럼(이하의 순으로 통과) : 도소샤제
TSK gel superH-H
TSK gel superHM-H
TSK gel superH2000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퓨란
·측정 온도 : 40℃
〔시험예 1〕(저장 탄성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벗기고, 점착제층을 두께 3㎜로 되도록 복수 층 적층했다. 얻어진 점착제층의 적층체로부터, 직경 8㎜의 원주체(높이 3㎜)를 펀칭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상기 샘플에 대하여, JIS K7244-6에 준거하여, 점탄성 측정 장치(Physica사제, 제품명 「MCR300」)를 사용해서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서 저장 탄성률(MPa)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 주파수 : 1Hz
측정 온도 : 23℃
〔시험예 2〕(겔분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80㎜×80㎜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그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시(메시 사이즈 200)로 감싸고,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뺌에 의해,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했다. 이때의 질량을 M1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제 메시로 감싼 점착제를, 실온 하(23℃)에서 아세트산에틸에 24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점착제를 취출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풍건시키고, 추가로 80℃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시 단독의 질량을 뺌에 의해,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했다. 이때의 질량을 M2로 한다. 겔분율(%)은, (M2/M1)×100으로 표시된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3〕(상선명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하여, 사상성(寫像性) 측정기(스가시켄키샤제, 제품명 「ICM-10P」)를 사용하여, JIS K7374:2007의 투과법에 준거해서, 5종류의 광학 빗(빗폭 : 0.125㎜, 0.25㎜, 0.5㎜, 1.0㎜ 및 2.0㎜)의 상선명도를 측정하고, 그 합계값을 상선명도(%)로서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4〕(헤이즈값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소다라임 유리에 첩합해서, 이것을 측정용 샘플로 했다. 소다라임 유리로 백그라운드 측정을 행한 후, 상기 측정용 샘플에 대하여, JIS K7136:2000에 준거해서, 헤이즈미터(니혼덴쇼쿠고교샤제, 제품명 「NDH-2000」)를 사용해서 헤이즈값(%)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5〕(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이접착층(易接着層)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보샤제, 제품명 「PET A4300」, 두께 : 100㎛)의 이접착층에 첩합하여, 박리 시트/점착제층/PET 필름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25㎜ 폭, 100㎜ 길이로 재단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상기 샘플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소다라임 유리(니혼이타가라스제),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제품명 「이글XG」),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의 당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비누화 TAC),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3M사제, 제품명 「3M-APF V3」, 두께 26㎛, 코로나 처리 없음)의 각각에 첩부한 후, 구리하라세이사쿠죠샤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에서, 20분 가압했다.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텍샤제, 제품명 「텐시론」)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300㎜/min,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점착력(N/25㎜)을 측정했다. 여기에 기재한 이외의 조건은 JIS Z0237:2009에 준거해서, 측정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6〕(내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두께 50㎛)의 당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에 첩합했다. 그 후, 23.5㎝×30.5㎝의 크기로 재단했다.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제품명 「이글XG」)에 첩부한 후, 구리하라세이사쿠죠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에서, 20분 가압하여, 이것을 평가 샘플로 했다.
상기 평가 샘플을, 85℃, 85% RH, 500시간의 내구 조건에 투입하고, 그 후, 10배 루페를 사용해서, 들뜸, 벗겨짐, 발포 및 선의 유무를 확인했다. 그리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내구성(비누화 TAC)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들뜸, 벗겨짐, 발포 및 선이 확인되지 않았음
× : 들뜸, 벗겨짐, 발포 또는 선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되었음
또한, 피착체를,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 대신에, 비누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두께 50㎛)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내구성(미비누화 TAC)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7〕(기포 혼입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B4 사이즈로 재단했다. 다음으로, 클린 환경 하에 있어서, 탁상 라미네이터(후지프라샤제, 제품명 「MEISTER LPD3214」)를 사용해서,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을 갖는 편광판(B4사이즈)의 당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막에 첩합했다. 첩합 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편광판과의 계면에의 기포 혼입 상태를, 목시에 의해 확인했다. 각 예에 있어서 10샘플에 대하여 상기한 시험을 행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기포 혼입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10샘플 모두에 대하여, 기포의 수가 5개 미만이었음
○ : 10샘플 중 7∼9샘플에 대하여, 기포의 수가 5개 미만이었음
△ : 10샘플 중 2∼6샘플에 대하여, 기포의 수가 5개 미만이었음
× : 10샘플 중 9∼10샘플에 대하여, 기포의 수가 5개 이상이었음
〔시험예 8〕(무아레 발생 평가)
유리판 상에 금속 증착층을 마련하고, 레지스트 처리 및 에칭 처리를 행함에 의해, 광투과부를 갖는 격자상 패턴이 형성된 액정 마스크를 제작했다. 당해 액정 마스크는, 상기 격자상 패턴이 영역마다 20ppi(픽셀/인치) 단위로 20∼180ppi의 크기로 각각 구분해서 마련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해상도 264ppi의 액정 디스플레이(애플사제, 제품명 「i-Pad」)에 첩부했다. 다음으로,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했다.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2㎝ 이격한 위치에, 상기한 액정 마스크를 설치하고, 그 액정 마스크 너머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목시해서, 무아레의 발생의 유무를 확인했다. 그리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무아레 발생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액정 마스크의 모든 구분에서 무아레가 발생하지 않았음
○ : 액정 마스크의 일부(반수 미만)의 구분에만 무아레가 발생했음
△ : 액정 마스크의 반수 이상의 구분에서 무아레가 발생했음
× : 액정 마스크의 모든 구분에서 무아레가 발생했음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점착 시트는, 높은 내구성을 발휘함과 함께, 첩합 시에 있어서의 기포 혼입이 적고, 첩합성도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조한 점착 시트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각종 필름상의 광학 부재끼리의 첩합, 예를 들면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과의 첩합에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일 부재로서 호적하게 사용된다.
1 : 점착 시트
11 : 점착제층
12a, 12b : 박리 시트
2 : 광학 적층체
21 : 제1 광학 부재
22 : 제2 광학 부재

Claims (7)

  1. 적어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광확산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1MPa 이상, 1.0MPa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JIS K7374:2007에 준거해서 측정한 0.125㎜, 0.25㎜, 0.5㎜, 1.0㎜ 및 2.0㎜의 광학 빗의 상선명도의 합계값이, 250% 이상, 480%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이, 20%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점착 시트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이, 3.0N/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2매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2매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挾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2매의 필름 부재를 첩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1 광학 부재와,
    제2 광학 부재와,
    상기 제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광학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
    을 구비한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광학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필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KR1020190049675A 2018-06-27 2019-04-29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 KR10267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2242 2018-06-27
JP2018122242A JP2020002239A (ja) 2018-06-27 2018-06-27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62A true KR20200001462A (ko) 2020-01-06
KR102670338B1 KR102670338B1 (ko) 2024-05-30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016A (ko) * 2020-11-02 2022-05-11 한국재료연구원 다공성 바륨타이타네이트 폼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016A (ko) * 2020-11-02 2022-05-11 한국재료연구원 다공성 바륨타이타네이트 폼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43287A (zh) 2020-01-03
TWI826433B (zh) 2023-12-21
JP2020002239A (ja) 2020-01-09
CN110643287B (zh) 2023-07-28
TW202006096A (zh) 202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4830B2 (ja) 表示体
JP2017075281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2351941B1 (ko) 점착 시트
KR102470720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200006910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447233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CN107033814B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粘着片以及显示体
JP717038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7132702B2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KR20190024606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표시체의 제조 방법
CN112442325A (zh) 粘着片及光学层叠体
CN110643287B (zh) 粘着片及光学层叠体
KR20190092263A (ko) 점착 시트, 구성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12232A (ko) 점착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JP2020147640A (ja) 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積層体、及び機械加工性向上フィルムの使用方法
KR202100290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KR2020001418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90045855A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TW202233792A (zh) 黏著片及顯示器
CN112646507A (zh) 显示体及粘着片
KR102670338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적층체
WO2022201613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構成体の製造方法
TWI834763B (zh) 著色黏著片及顯示設備
JP7256856B2 (ja) 着色粘着シート
JP7148369B2 (ja) 構成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