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20U - 볼 스크류 - Google Patents

볼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20U
KR20200001220U KR2020180004325U KR20180004325U KR20200001220U KR 20200001220 U KR20200001220 U KR 20200001220U KR 2020180004325 U KR2020180004325 U KR 2020180004325U KR 20180004325 U KR20180004325 U KR 20180004325U KR 20200001220 U KR20200001220 U KR 20200001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ssembly
nut body
bal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874Y1 (ko
Inventor
쭈-잉 리
Original Assignee
쭈-잉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쭈-잉 리 filed Critical 쭈-잉 리
Publication of KR20200001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5/221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with elements for guiding the circulating balls
    • F16H25/2219Axially mounted end-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5/221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with elements for guiding the circulating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볼 스크류는 스크류, 너트, 적어도 하나의 단부 어셈블리 및 다수의 볼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너트는 너트 몸체, 적어도 하나의 조립 그루브 및 순환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너트 몸체는 제1 포지셔닝 홀을 갖고, 상기 너트 몸체의 내면은 상기 스크류의 트랙 그루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볼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트랙 그루브는 함께 내측 볼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단부 어셈블리는 단부 순환 부재 및 포지셔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조립 그루브에 수용된다.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제2 포지셔닝 홀 및 복귀 곡선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 및 상기 조립 그루브의 표면은 복귀 곡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귀 곡선 채널, 상기 순환 채널 및 상기 내측 볼 채널은 함께 볼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볼은 상기 볼 순환 채널 내를 구른다.

Description

볼 스크류{BALL SCREW}
본 고안은 볼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볼 스크류는 다양한 기계 장치에 널리 적용된다. 볼 스크류는 주로 정밀한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기계 요소들의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을 변환하여 지지된 대상물을 구동해 선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의 볼 스크류는 주로 스크류, 너트, 적어도 하나의 단부 어셈블리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스크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 그루브를 갖고, 내측 볼 그루브는 너트의 내측에 형성된다. 트랙 그루브와 내측 볼 그루브는 함께 내측 볼 채널을 형성하고, 볼은 내측 볼 채널을 따라 구르게 된다. 너트 몸체는 내측 볼 채널에 대응하는 복귀 채널을 더 구비한다. 단부 순환 부재는 복귀 채널에 대응하는 복귀 곡선 그루브를 구비한다. 복귀 채널, 복귀 곡선 그루브 및 내측 볼 채널은 함께 볼 순환 채널을 형성하고, 복수의 볼이 볼 순환 채널을 따라 주기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단부 순환 부재는 플라스틱 배출 성형(plastic ejection molding) 또는 철 밀링 성형(iron milling shaping)으로 제조된다. 종래의 조립 공정에서, 단부 순환 부재와 너트 몸체는 통상적으로 그 사이에 약간의 조립 공차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볼들이 순환 운동을 할 때, 상기 조립 공차는 단부 순환 부재에 인가된 볼들의 충격을 증가시킨다. 단부 순환 부재와 너트 몸체가 단단히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정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단부 순환 부재의 이동을 유발하고 그 결과 볼 순환 운동 및 시스템 작동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단부 순환 부재와 너트 몸체 사이의 연결부가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순환 부재와 너트 몸체 사이의 조립 공차를 감소시켜, 조립 및 볼 순환 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부 순환 부재와 너트 몸체 사이의 조립 공차를 감소시켜, 조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크류, 너트, 적어도 하나의 단부 어셈블리 및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볼 스크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는 상기 스크류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너트는 너트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 몸체는 제1 포지셔닝 홀을 갖고, 상기 너트 몸체의 내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트랙 그루브에 대응하는 내측 볼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볼 그루브와 상기 트랙 그루브는 함께 내측 볼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너트 몸체는 상기 내측 볼 채널에 대응하는 복귀 채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은 상기 조립 그루브에 인접한 상기 너트 몸체에 배치된다. 상기 단부 어셈블리는 단부 순환 부재 및 포지셔닝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조립 그루브에 수용되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제2 포지셔닝 홀 및 복귀 곡선 그루브를 구비한다.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는 상기 복귀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와 상기 조립 그루브의 그루브 표면은 함께 복귀 곡선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복귀 채널, 상기 복귀 곡선 채널 및 상기 내측 볼 채널은 함께 볼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제1 포지셔닝 홀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홀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에 의해 상기 너트 몸체에 위치한다. 상기 볼은 상기 볼 순환 채널 내에서 순환하며 굴러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핀 구조, 래치 구조 또는 스크류 구조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의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상기 호형 표면은 상기 복귀 채널 및 상기 트랙 그루브의 표면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에 대응하는 평평한 표면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단부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조립 그루브에 대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의 표면은 금속 필름으로 코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너트 몸체는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제2 포지셔닝 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오목부는 상기 접속 돌기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제2 포지셔닝 홀, 상기 접속 돌기부, 상기 접속 오목부 및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을 차례로 관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돌기부와 상기 접속 오목부의 조립 공차는 0.1 mm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어셈블리는 상기 너트 몸체에서 먼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스크류의 외면과 접촉하는 스크래이핑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 스크류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가 상기 너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 그루브에 수용되는 포지셔닝 부재 및 단부 순환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립 그루브 및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형태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위치를 한정 및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차를 감소시키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조립 안정성 및 상기 볼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이 순환 운동을 하며 구를 때, 상기 단부 순환 부재 및 상기 너트 몸체 상기 볼의 충격으로 인해 불안정해지고 느슨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위를 방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볼 순환 운동 및 시스템 운영이 더욱 안정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이므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스크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 스크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볼 스크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단부 순환 부재 및 포지셔닝 부재의 조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단부 순환 부재 및 포지셔닝 부재의 조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스크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 스크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볼 스크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단부 순환 부재 및 포지셔닝 부재의 조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스크류(1), 너트(2), 적어도 하나의 단부 어셈블리(3) 및 복수의 볼(4)을 포함하는 볼 스크류(BS)를 제공한다. 스크류(1)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 그루브(11)를 구비한다. 너트(2)는 스크류(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크류(1)는 너트(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너트(2)는 너트 몸체(21) 및 적어도 하나의 조립 그루브(22)를 포함한다. 너트 몸체(21)는 제1 포지셔닝 홀(211)을 갖고, 너트 몸체(21)의 내면(IS)은 트랙 그루브(1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볼 그루브(212)를 구비한다. 내측 볼 그루브(212)와 트랙 그루브(11)는 함께 내측 볼 채널(R1)을 형성한다. 너트 몸체(21)는 내측 볼 채널(R1)에 대응하는 복귀 채널(213)을 더 포함한다.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단부(EP1, EP2) 상에 배치된다. 도면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 상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실제로,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 및 제2 단부(EP2) 상에 배치되고, 단부 순환 부재(31)는 복귀 채널(213)의 양단에 배치되어 볼(4)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킨다.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내면(IS) 및 외면(OS)을 관통하여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로부터 너트 몸체(22)의 제2 단부(EP2)까지 연장한다. 제1 포지셔닝 홀(211)은 조립 그루브(22)에 인접한 너트 몸체(21) 상에 배치된다.
실제로, 너트 몸체(21)는 너트 원재료(미도시)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너트 원재료는 너트 몸체(21)와 그것의 상세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가공(그라인딩)될 수 있는 금속 벌크 또는 금속 실린더이다. 물론, 너트 몸체(21)는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너트 몸체(21)는 주조, 단조 또는 선삭 및 밀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너트 몸체(21)는 고리형 실린더일 수 있고, 내측 볼 그루브(212)는 상기 고리형 실린더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실제로는, 너트 몸체(21)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홀(예를 들면, 플랜지 홀, 오일 홀 또는 복귀 홀)을 추가 또는 드릴링 하거나, 너트 원재료에 표면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 어셈블리(3)는 단부 순환 부재(31) 및 포지셔닝 부재(32)를 포함한다. 단부 순환 부재(31)는 조립 그루브(22)에 수용되고, 단부 순환 부재(31)는 제2 포지셔닝 홀(311) 및 복귀 곡선 그루브(312)를 구비한다. 복귀 곡선 그루브(312)는 복귀 채널(21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복귀 곡선 그루브(312)와 조립 그루브(22)의 그루브 표면은 함께 복귀 곡선 채널(R2)을 형성한다. 복귀 채널(213), 복귀 곡선 채널(R2) 및 내측 볼 채널(R1)은 함께 볼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복수의 볼(4)은 상기 순환 채널 내에서 순환 운동을 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귀 곡선 그루브(312)를 통과할 때, 볼(4)은 복귀 곡선 그루브(312)에 더 큰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순환 부재(31)의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 또는 복귀 곡선 그루브(312)로 구성된 단부 순환 부재(31)의 전체 표면에 금속 필름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필름의 구성은 단부 순환 부재(31) 및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을 보호하고 강화시킬 수 있어, 볼(4)의 충격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단부 순환 부재(31) 및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 손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단부 순환 부재(31)의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은 호형 표면이고,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은 복귀 채널(213)의 표면(S1) 및 트랙 그루브(11)의 표면(S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복귀 곡선 그루브(312)가 복귀 곡선 채널(R2) 및 내측 볼 채널(R1)과 연결될 때, 볼(4)은 간극없이 실질적으로 연결된 표면(S1, S2, S3)을 원활하게 굴러갈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볼(4)의 순환 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그루브(22)는 단부 순환 부재(31)의 복귀 곡선 그루브(312)에 대응하는 평평한 표면(S4)을 가지며,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호형 표면(S2)과 조립 그루브(22)의 평평한 표면(S4)은 함께 복귀 곡선 채널(R2)을 형성한다.
또한, 단부 어셈블리(3)는 너트 몸체(21)로부터 먼 단부 순환 부재(31)의 일측에 배치된 방진 부재(33)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방진 부재(33)는 너트 몸체(21)의 단부를 통해 외부 먼지 또는 물체가 너트 몸체(21), 내측 볼 그루브(212) 및 복귀 곡선 그루브(312)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1)의 외면과 접촉하는 스크래이핑부(331)를 가진다. 유의할 점은, 만약 먼지 또는 물체가 너트 몸체(21), 내측 볼 그루브(212) 및 복귀 곡선 그루브(312)에 도달하게 되면, 볼(4)의 순환 운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방진 부재(33)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제로, 가요성 방진 부재(33)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고 방진 및 오일 실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부 순환 부재(31)의 조립 방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단부(EP1 및 EP2) 상에 배치된다. 도면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 상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실제로,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 및 제2 단부(EP2) 상에 배치되고, 단부 순환 부재(31)는 볼(4)의 이동 방향을 바꾸기 위해 복귀 채널(213)의 양단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그루브(22)는 너트 몸체(21)의 내면(IS) 및 외면(OS)을 관통하여 너트 몸체(21)의 제1 단부(EP1)에서 너트 몸체(21)의 제2 단부(EP2)까지 연장된다. 제1 포지셔닝 홀(211)은 조립 그루브(22)에 인접한 너트 몸체(21) 상에 배치된다. 조립 그루브(22)는 개구 홈으로 설계되고, 단부 순환 부재(31)는 조립 그루브(22)에 대해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조립 그루브(22)는 선반 밀링(예를 들면 CNC 밀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그루브(22)는 비스듬하게 제공되며, 너트 몸체(21)의 장축 방향 또는 반경 방향에 평행하지 않고 트랙 그루브(11)의 접선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조립 그루브(22)는 비스듬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단부 순환 부재(31)의 복귀 곡선 그루브(312)의 표면(S2)은 복귀 채널(213)의 표면(S1) 및 트랙 그루브(11)의 표면(S3)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곡선 그루브(312)가 복귀 곡선 채널(R2) 및 내측 볼 채널(R1)과 연결될 때, 볼(4)은 실질적으로 간극 없이 연결되는 표면(S1, S2 및 S3)을 통해 원활하게 굴러갈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볼(4)의 순환 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부 순환 부재(31)가 조립 그루브(22)에 대응하여 배치될 때, 포지셔닝 부재(32)가 단부 순환 부재(31)의 제2 포지셔닝 홀(311)과 너트 몸체(21)의 제1 포지셔닝 홀(211)을 통과할 수 있으며, 단부 순환 부재(31)는 포지셔닝 부재(32)를 통하여 너트 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또한 너트 몸체(21)의 장축 방향에 평행하고 조립 그루브(22)의 축 방향에 평행한 포지셔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부재(32)는 핀 구조, 래치 구조 또는 스크류 구조이고, 포지셔닝 부재(32)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변형,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 부재(32)가 핀 구조 또는 래치 구조인 경우, 포지셔닝 부재(32)의 제2 포지셔닝 홀(311)과 제1 포지셔닝 홀(211)은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되어 단부 순환 부재(31)를 너트 몸체(21)에 고정할 수 있다. 포지셔닝 부재(32)의 제2 포지셔닝 홀(311)과 제1 포지셔닝 홀(211)의 억지 끼워 맞춤 설계는 단부 순환 부재(31)와 너트 몸체(21) 사이의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고 볼(4)의 순환 운동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2a) 단부 순환 부재(31) 및 포지셔닝 부재(32)의 조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너트 몸체(21)는 제1 포지셔닝 홀(211)의 일단에 배치된 접속 오목부(214)를 더 포함하고, 단부 순환 부재(31)는 제2 포지셔닝 홀(311)의 일단에 배치되는 접속 돌기부(313)를 더 포함한다. 접속 오목부(214)는 접속 돌기부(31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포지셔닝 부재(32)는 포지셔닝 부재(32)에 의해 단부 순환 부재(31)를 너트 몸체(21)에 고정하기 위해 제2 포지셔닝 홀(311), 접속 돌기부(313), 접속 오목부(214) 및 제1 포지셔닝 홀(211)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돌기부(313)와 접속 오목부(214)의 조립 공차는 0.1mm 미만이다. 단부 순환 부재(31)가 조립 그루브(22)에 대응하여 배치될 때, 포지셔닝 부재(32)는 단부 순환 부재(31)의 제2 포지셔닝 홀(311)과 너트 몸체(21)의 제1 포지셔닝 홀(211)을 관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지셔닝 부재(32)를 통해 단부 순환 부재(31)가 너트 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너트 몸체(21)의 장축 방향에 평행하고 조립 그루브(22)의 축 방향에 평행한 포지셔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포지셔닝 부재(32)는 핀 구조, 래치 구조 또는 스크류 구조이고, 포지셔닝 부재(32)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변형,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 부재(32)가 스크류 구조인 경우, 스크류와 스크류 홀 사이의 일반적인 공차는 약 0.2mm인데, 이는 핀 또는 래치 구조물과 제1 포지셔닝 홀(211) 또는 제2 포지셔닝 홀(311) 사이의 억지 끼워 맞춤 보다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부 순환 부재(31)의 접속 돌기부(313)와 너트 몸체(21)의 접속 오목부(214)는0.1mm 미만의 조립 공차를 가지고, 이와 같은 구성은 단부 순환 부재(31)와 너트 몸체(21) 사이의 조립 공차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 구조는 스크류와 스크류 홀 사이의 조립 공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조립 강도도 향상될 수 있고, 볼(4)의 순환 운동의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조립 그루브가 비스듬하게 제공되어,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복귀 곡선 그루브의 표면은 상기 조립 그루브에 대응하는 단부 순환 부재를 배치할 때 상기 복귀 채널의 표면 및 상기 트랙 그루브의 표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가 상기 복귀 곡선 채널 및 상기 내측 볼 채널에 연결될 때, 상기 볼은 실질적으로 간극없이 연결되는 표면을 통해 원활하게 굴러갈 수 있다. 이 구조는 볼의 순환 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 부재 및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조립 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단부 순환 부재가 상기 너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 그루브 및 상기 포지셔닝 부재의 형태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위치를 한정 및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단부 순환 부재 및 상기 너트 몸체의 조립 공차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조립 안정성과 볼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이 순환 운동을 하며 구를 때, 상기 단부 순환 부재 및 상기 너트 몸체 상기 볼의 충격으로 인해 불안정해지고 느슨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위를 방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볼 순환 운동 및 시스템 운영이 더욱 안정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과 대안적인 실시예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스크류
2: 너트
3: 단부 어셈블리
4: 볼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트랙 그루브를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너트로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너트는,
    제1 포지셔닝 홀을 구비하는 너트 몸체로서, 상기 너트 몸체의 내면은 상기 트랙 그루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볼 그루브를 갖고, 상기 내측 볼 그루브 및 상기 트랙 그루브는 함께 내측 볼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 몸체는 상기 내측 볼 채널에 대응하는 복귀 채널을 더 포함하는 너트 몸체 및
    상기 너트 몸체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그루브로서,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내면 및 외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은 상기 조립 그루브에 인접한 상기 너트 몸체에 배치되는 조립 그루브를 포함하는 너트;
    적어도 하나의 단부 어셈블리로서,
    상기 조립 그루브에 수용되는 단부 순환 부재로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제2 포지셔닝 홀 및 복귀 곡선 그루브를 갖고,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는 상기 복귀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 및 상기 조립 그루브의 그루브 표면은 함께 복귀 곡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귀 채널, 상기 복귀 곡선 채널 및 상기 내측 볼 채널은 함께 볼 순환 채널을 형성하는 단부 순환 부재 및
    상기 제1 포지셔닝 홀 및 상기 제2 포지셔닝 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포지셔닝 부재로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에 의해 상기 너트 몸체에 위치하는 포지셔닝 부재를 포함하는 단부 어셈블리; 및
    상기 볼 순환 채널 내를 순환하며 구르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는, 볼 스크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핀 구조, 래치 구조 또는 스크류 구조인 볼 스크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의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상기 호형 표면은 상기 복귀 채널 및 상기 트랙 그루브의 표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볼 스크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에 대응하는 평평한 표면을 구비하는 볼 스크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그루브는 상기 너트 몸체의 단부에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조립 그루브에 대해 배치되는 볼 스크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상기 복귀 곡선 그루브의 표면은 금속 필름으로 코팅되는 볼 스크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몸체는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부 순환 부재는 상기 제2 포지셔닝 홀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접속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오목부는 상기 접속 돌기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부재는 상기 제2 포지셔닝 홀, 상기 접속 돌기부, 상기 접속 오목부 및 상기 제1 포지셔닝 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 스크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돌기부와 상기 접속 오목부의 조립 공차는 0.1 mm 미만인 볼 스크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어셈블리는 상기 너트 몸체에서 먼 상기 단부 순환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볼 스크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스크류의 외면과 접촉하는 스크래이핑부를 구비하는 볼 스크류.
KR2020180004325U 2017-10-31 2018-09-17 볼 스크류 KR2004918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216125 2017-10-31
TW106216125U TWM555433U (zh) 2017-10-31 2017-10-31 滾珠螺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0U true KR20200001220U (ko) 2020-06-12
KR200491874Y1 KR200491874Y1 (ko) 2020-06-23

Family

ID=6201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25U KR200491874Y1 (ko) 2017-10-31 2018-09-17 볼 스크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219708U (ko)
KR (1) KR200491874Y1 (ko)
DE (2) DE202018105270U1 (ko)
MY (1) MY193345A (ko)
TR (1) TR201813391U5 (ko)
TW (1) TWM55543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09139S (zh) 2019-10-01 2021-01-01 李明賢 螺柱
CN113883247B (zh) * 2021-10-10 2024-03-26 深圳市金展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kk模组用滑座及新型kk模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738U (ja) * 2005-10-18 2006-01-12 上銀科技股▲分▼有限公司 ボール・ナットのエンド・プラグ固定構造
CN203656086U (zh) * 2013-12-12 2014-06-18 全球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滚珠螺杆
KR20170068756A (ko) * 2015-12-10 2017-06-20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볼 스크류용 방진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738B2 (ja) * 1991-01-18 2000-12-18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ジェランガムを利用した飲食品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738U (ja) * 2005-10-18 2006-01-12 上銀科技股▲分▼有限公司 ボール・ナットのエンド・プラグ固定構造
CN203656086U (zh) * 2013-12-12 2014-06-18 全球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滚珠螺杆
KR20170068756A (ko) * 2015-12-10 2017-06-20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볼 스크류용 방진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3345A (en) 2022-10-06
TWM555433U (zh) 2018-02-11
DE202018105270U1 (de) 2018-09-20
JP3219708U (ja) 2019-01-17
KR200491874Y1 (ko) 2020-06-23
TR201813391U5 (tr) 2018-10-22
DE202018105947U1 (de)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681B2 (en) External circulation type ball screw
US7921743B2 (en) Ball screw device
KR200491874Y1 (ko) 볼 스크류
JPH05340460A (ja) ボールねじ
US10919386B2 (en) Bearing arrangement
KR200478051Y1 (ko) 볼 스크루
EP1837556B1 (en) Ball screw device
JP2008202672A (ja) ボールねじ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1623B2 (ja) ボールねじ
WO2016204023A1 (ja) ボールねじ用ボール循環チューブ及びボールねじ並びにボールねじの製造方法
CN110770474B (zh) 滚珠丝杠
KR200489448Y1 (ko) 볼 스플라인 장치
JP2009287701A (ja) 駒式ボールねじ
JP2017032124A (ja) ボールねじ
JP2007155037A (ja) スプライン装置及びねじ装置
KR101171497B1 (ko) 볼 나사용 너트
JP2005155720A (ja) ねじ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10023618A1 (en) Rolling-body screw driv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07155036A (ja) リニア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JP5821200B2 (ja) ボールねじ用接触シール及びボールねじ
US20240019018A1 (en) Radial bearing system for ball nut and screw assembly
KR102510139B1 (ko) 디플렉터식 볼 나사
JP5961925B2 (ja) ボールねじ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17544A (ja) 駒式ボールねじ
JP2009103199A (ja) ボールね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