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686U - 고전압 배전반 - Google Patents

고전압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686U
KR20200000686U KR2020180004426U KR20180004426U KR20200000686U KR 20200000686 U KR20200000686 U KR 20200000686U KR 2020180004426 U KR2020180004426 U KR 2020180004426U KR 20180004426 U KR20180004426 U KR 20180004426U KR 20200000686 U KR20200000686 U KR 202000006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position detection
detection switch
high volt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345Y1 (ko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4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45Y1/ko
Priority to US16/572,118 priority patent/US11349282B2/en
Priority to CN201910899053.4A priority patent/CN110943391B/zh
Publication of KR20200000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제조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기능 부별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고전압 배전 반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모선 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차단기 부, 전선 부, 전압 변성기 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부를 서로 공유하는 면이 없도록 독립적으로 모듈화 구성하고, 모듈화된 각각의 상기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은 적어도 두 면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이웃한 다른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전압 배전반{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본 고안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고전압 배전 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은 대표적으로 차단기 부(1)와 전압 변성기 부(일명 PT부)(2)가 중간의 중간 격판(3)에 의해서 상하로 나누어져 있지만 이들 차단기 부(1)와 전압 변성기 부(2)는 중간 격판(3)을 각각 하부 면과 상부 면으로서 공유하는 구조이고, 차단기 부(1)와 전압 변성기 부(2)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 판(4)도 차단기 부(1)와 전압 변성기 부(2)가 공유하는 구조로서 단일 실내에 복수의 기능 부들이 영역 구획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미 도시하였거나 부호 미 부여한 여타 기능 부들도 수평 또는 수직방향 상 인접한 기능 부와 일면을 공유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은 제작 시 각각의 기능 부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은 특정 기능 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해당 기능 부 만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도 불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차단기 부(1)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미 도시)의 단자가 외부 전력회로와의 접속용 단자 부에 접속된 접속 위치(connected position)인지, 상기 접속용 단자 부와는 분리되나 시험을 위한 제어전원은 공급되는 시험 위치(test position)인지, 상기 접속용 단자 부와도 분리되고 시험을 위한 제어전원과도 분리된 분리 위치(disconnected position)인지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해주는 위치 검출 스위치(Mechanism Operated Cell Switch, 약하여 MOC로 통칭됨)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도,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위치 검출 스위치는 상기 중간 격판(3)에 마련되는 개구 부(opening portion)의 바로 밑에 설치되어, 이송 대차(미 도시)에 적재되어 이동하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 대차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striker)(미 도시)의 누름 여부에 따라 작동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위치 검출 스위치(5)는 상기 중간 격판(3)에 고정되어 위치 검출 스위치(5)를 지지해주는 고정 브라켓(bracket)(5a)이 누운 “C”형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중간 격판(3)의 저 면에 아래로부터 위로 볼트(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위치 검출 스위치(5)를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상기 중간 격판(3)에 위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다. 즉, 한 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상기 중간 격판(3)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 부를 통해 손으로 위치 검출 스위치(5)를 잡고 있어야 하고, 나머지 한 명이 상기 중간 격판(3)의 하부에서 고정 브라켓(5a)의 고정 나사 구(5a1)를 통해 아래로부터 위로 볼트(또는 나사)를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좌우 폭이 600mm정도, 전후 길이가 1000mm정도에 불과한데, 해당 고전압 배전 반의 내부로 작업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해서 위와 같은 설치작업을 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에 있어서 위치 검출 스위치(5)의 고장 또는 작동 불량으로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 부(1)와 전압 변성기 부(2)의 구성부품들(예컨대 이송대차, 차단기본체, 전압 변성기 등)로 인해 작업 공간이 없어 작업이 더욱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부호 5b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누름 동력을 받는 동력접수 로드(power receiving rod)를 지시하고, 부호 5c는 동력접수 로드(5b)에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을 지시하며, 부호 5d는 동력접수 로드(5b)에 연결되어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마이크로 스위치(5e)의 작동 레버(미 도시)를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5e)의 내부 스위치를 개폐 작동시킴으로써 위치검출신호를 발출 또는 발출 중지시키는 “L”형의 작동 판을 지시하고, 부호 5e는 작동 판(5d)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작동 레버가 눌리는지 여부에 따라 위치검출신호를 발출 또는 발출 중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지시한다.
이러한 위치검출스위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본원의 출원인에게 부여된 하기의 특허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10-1220855 B1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고전압 배전 반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능 부를 각기 공유하는 면이 없는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하여 복수의 기능 부를 병렬 제작하여 제조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기능 부별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고전압 배전 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위치 검출 스위치의 설치 시 한 명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위치 검출 스위치를 가진 고전압 배전 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모선 부(일명 bus compartment), 측정 및 감시 제어 부(일명 저압 부 또는 LV compartment), 차단기 부, 전선 부, 전압 변성기 부(일명 PT(Potential Transformer)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부를 서로 공유하는 면이 없도록 독립적으로 모듈화 구성하고, 모듈화된 각각의 상기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은 적어도 두 면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이웃한 다른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기능 부는 3층으로 적재되며, 각각의 층에는 2개의 서로 다른 기능 부가 각각 전후 위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상기 복수의 기능 부를 저 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기판 및 상기 고전압 배전 반을 상 부에서 덮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기능 부 중 2개의 기능 부가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에 적재되고, 상기 2개의 기능 부는 상기 하부 기판에 결합 볼트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기능 부는 상기 하부 기판 또는 상기 상부 커버 또는 이웃한 다른 기능 부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의 관통을 허용하는 복수의 관통 구 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차단기 부는, 후방의 단자 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위치(connected position), 상기 단자 부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분리위치(disconnected position) 및 시험위치(test position)로 이동 가능한 인출형 회로차단기와,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가 이동할 수 있는 바닥 면을 제공하는 기판(base plate) 및 상기 기판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기판은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개 구 부(open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개 구 부의 주변 기판 상부 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 공이 형성된 상부 수평 고정판 부와,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수직 판 부를 가진 한 쌍의 지지 브라켓(supporting bracket)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접속 위치와 상기 분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 구 부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에 대응하게 두 개가 마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모선 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차단기 부, 전선 부, 전압 변성기 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부를 서로 공유하는 면이 없도록 독립적으로 모듈화 구성하고, 모듈화된 각각의 상기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은 적어도 두 면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이웃한 다른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설치되므로, 복수의 기능 부를 병렬로 제작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한 기능 부는 해당 기능 부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 고전압 배전 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므로, 고전압 배전 반의 제조 또는 유지 보수 시 위치검출 스위치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부는 3층으로 적재되며, 각각의 층에는 2개의 서로 다른 기능 부가 각각 전후 위치에 설치되므로, 공유 면이 없는 6개의 독립적 모듈로 구성된 기능 부를 2개씩 3층으로 적층하여 고전압 배전 반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상기 복수의 기능 부를 저 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기판 및 상기 고전압 배전 반을 상 부에서 덮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므로, 최 하층의 기능 부들을 하부 기판 상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고, 최 상층의 기능 부들을 상부 커버에 의해서 덮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부 중 2개의 기능 부가 하부 기판의 상부에 적재되고 상기 하부 기판에 결합 볼트에 의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부는 상기 하부 기판 또는 상기 상부 커버 또는 이웃한 다른 기능 부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수단의 관통을 허용하는 복수의 관통 구 부를 구비하므로, 일 측의 해당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결합 볼트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기능 부를 하나의 조립 체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는, 인출형 회로차단기와 기판 및 기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므로, 인출형 회로차단기를 차단기 부 내의 기판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위치검출 스위치에 의해서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개 구 부(open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개 구 부의 주변 기판 상부 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 공이 형성된 상부 수평 고정판 부와,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수직 판 부를 가진 한 쌍의 지지 브라켓(supporting bracket)을 포함하므로,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의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를 상기 개 구 부의 주변 기판 상부 면에 결합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위로부터 아래로 체결함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수직 판 부는 위치검출 스위치의 측면에 체결하여 위치검출 스위치와 결합하고 지지할 수 있으며, 고전압 배전 반의 제조 또는 유지 보수 시 위치검출 스위치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접속 위치와 상기 분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 구 부는 상기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에 대응하게 두 개가 마련되므로, 예컨대 2개의 위치검출 스위치가 접속위치 검출 스위치와 분리위치 검출 스위치일 때, 2개의 위치검출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검출 신호가 발출되면 해당 위치에 차단기 본체가 위치한 것을 제어 부에서 판단할 수 있고, 2개의 위치검출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위치검출 신호가 발출되지 않으면 시험위치에 차단기 본체가 위치한 것으로 제어 부에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차단기 부, 전압 변성기 부, 중간 격판 및 분해한 하나의 측 판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 중 위치검출 스위치의 정면 사시 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 중 위치검출 스위치의 후면 사시 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을 구성하는 기능 부들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 분해상태 측면 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조립상태 정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기능 부별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도로서,
도 6은 하부 기판에 전압 변성기 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압 변성기 부 위에 차단기 부를 적재하여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며,
도 7은 하부 기판, 전압 변성기 부 및 차단기 부의 조립 체 위에 측정 및 감시 제어 부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고,
도 8은 하부 기판, 전압 변성기 부, 차단기 부 및 측정 및 감시 제어 부의 조립 체에 전선 부를 더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며,
도 9는 하부 기판, 전압 변성기 부, 차단기 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및 전선 부의 조립 체에 변류기 부를 더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고,
도 10은 하부 기판, 전압 변성기 부, 차단기 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전선 부 및 변류기 부의 조립 체에 모선 부를 더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조립 체에 최종적으로 상부 커버를 덮고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기능 부 조립을 완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 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에 설치되는 위치검출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 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에 설치되는 위치검출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 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의 기판 상에 설치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보여주는 기판과 위치검출 스위치의 사시 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의 기판 상에 설치된 위치검출 스위치를 보여주는 기판과 위치검출 스위치의 측면 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차단기 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 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인접한 두 기능 부의 외 함간 결합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 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을 구성하는 기능 부들을 분해한 상태로 도시한 분해상태 측면 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은 복수의 모듈, 즉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는 모선 부(일명 bus compartment)(4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일명 LV compartment)(30), 차단기 부(10), 전선 부(60), 전압 변성기 부(일명 PT compartment)(20)를 포함하며, 변류기 부(일명 CT compartment)(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배전 반(100)의 구성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 예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6개의 기능 부보다 더 많은 기능 부로 구성되거나 더 적은 기능 부로 구성되는 변형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달리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가 서로 공유하는 면이 없도록 독립적으로 모듈화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는 서로 접촉하는 면은 있을지라도 서로 공유하는 면은 없도록 각각이 독립적 모듈로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듈화된 각각의 상기 기능 부(10, 20, 30, 40, 50, 60)의 외 함의 외측 면은 적어도 두 면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이웃한 다른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3개의 층별로 하나씩의 기능 부에 대해서 이웃한 다른 기능 부와의 접촉 관계를 설명한다.
최상 층(3층)에서,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전면은 수평방향으로 전방(도면 상 우측)의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외 함의 후면과 접촉하며,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저면은 수직방향으로 하방(도면 상 아래 측)의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상면과 접촉한다.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저면은 수직방향으로 하방(도면 상 아래 측)의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상면과 예컨대 팝 너트(pop nut)와 결합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중간 층(2층)에서,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상면은 수직방향으로 상방으로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저면에 접촉하며,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전면은 수평방향으로 전방(도면 상 우측)의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후면과 접촉하며,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저면은 수직방향으로 하방(도면 상 아래 측)의 전선 부(60)의 외 함의 상면과 접촉한다.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저면은 수직방향으로 하방의 전선 부(60)의 외 함의 상면과 예컨대 팝 너트와 결합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최하 층(1층)에서,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후면은 수평방향으로 후방(도면 상 좌측)의 전선 부(60)의 외 함의 전면과 접촉하며,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상면은 수직방향으로 상방의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저면과 접촉한다.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상면은 수직방향으로 상방의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상면과 예컨대 팝 너트와 결합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는 3층으로 적재되며, 각각의 층에는 2개의 서로 다른 기능 부가 각각 전후 위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은 상기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를 저 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기판(70) 및 상기 고전압 배전 반(100)을 상 부에서 덮는 상부 커버(80)를 더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 중 2개의 기능 부 즉, 전선 부(60)와 전압 변성기 부(20)가 하부 기판(70)의 상부에 적재되고, 전선 부(60)와 전압 변성기 부(20)는 상기 하부 기판(70)에 결합 볼트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기능 부(10, 20, 30, 40, 50, 60)는 상기 하부 기판(70) 또는 상기 상부 커버(80) 또는 이웃한 다른 기능 부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수단의 관통을 허용하는 복수의 관통 구 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부(10)는,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중 2층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전면 도어(front door)(10a)와, 전면 도어(10a)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handle)(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부(10)는, 도 1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출형 회로차단기(11), 기판(13) 및 위치검출 스위치(14)를 포함한다.
도 16에 있어서 부호 12는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차단기 본체를 적재하고 이동 가능한 이송 대차를 지시하며, 부호 12a는 이송 대차(12)의 바퀴(wheel)를 지시하고, 부호 11a는 차단기 본체 측 단자를 지시하며 전원 측 단자 3개(예컨대 상부의 3개)와 부하 측 단자 3개(예컨대 하부의 3개)를 포함할 수 있고, 부호 15a, 15b는 3상 모선(전원 측)과 접속하기 위해 차단기 외 함 측에 마련되는 외 함 측 단자를 지시하고 마찬가지로 전원 측 단자 3개(예컨대 상부의 3개)와 부하 측 단자 3개(예컨대 하부의 3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호 15a-1, 15b-1은 외 함 측 단자(15a, 15b) 중 차단기 본체 측 단자(11a)와 접속될 수 있는 본체 접속 단자를 지시한다.
인출형 회로차단기(11)는 좁은 의미로 차단기 본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송 대차(12)에 적재되어 후방의 단자 부 즉, 본체 접속 단자(15a-1, 15b-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위치(connected position), 본체 접속 단자(15a-1, 15b-1)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지만 제어 전원(미 도시)에는 접속되는 시험위치(test position) 및 본체 접속 단자(15a-1, 15b-1)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어 전원으로부터도 분리되는 분리위치(disconnected position)로 이동 가능하다.
기판(13)은 차단기 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인출형 회로차단기(11)가 이동할 수 있는 바닥 면이자 지지 면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기판(13)에는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guide rail)(미 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판(13)은 위치검출 스위치(14)의 작동을 위한 개 구 부(opening portion)(13a)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개 구 부(13a)는 위치검출 스위치(14)의 횡단면 형상인 사각형에 대응하게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개 구 부(13a)의 길이 즉 도 14에서 수평길이는 위치검출 스위치(14)의 후술하는 양 지지 브라켓(14a)의 자유 단 부 간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며,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 브라켓(14a)을 볼트 또는 나사 등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 수단의 결합을 허용하는 체결 공이 좌우 측에 실시 예에 따라서 각각 3개씩 마련된다.
개 구 부(13a)는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접속위치 및 분리 위치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14)에 대응하게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개 구 부(13a)는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접속위치, 시험위치 및 분리위치의 3 위치에 설치되는 3개의 위치검출 스위치(14)에 대응하게 3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또는 도 1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검출 스위치(14)는 기판(13)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예컨대 상기 접속위치 및 분리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위치검출 스위치(14)는, 상기 접속 위치와 상기 분리위치에 대응하는 기판(13)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예컨대 결합 볼트 또는 고정 나사)에 의해 설치되어,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일 실시 예상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또는 도 1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검출 스위치(14)는, 상기 접속 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및 상기 시험위치에 대응하는 기판(13)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예컨대 결합 볼트 또는 고정 나사)에 의해 설치되어,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다른 실시 예상 3개의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 중 위치검출 스위치(14)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의 위치검출 스위치(14)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 하나의 동력접수 판 부(14b), 하나의 복귀 스프링(14c), 하나의 상부 지지 판(14d), 하나의 스위치 작동 판(14e) 및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은 각각 “L”자형의 금속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3) 중 개 구 부(13a)의 주변 기판 상부 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 브라켓(14a)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 공(도시한 실시 예 상 3개)(14a1)이 형성된 상부 수평 고정판 부와,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수직 판 부를 가지게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은 위치검출 스위치(14)를 기판(13)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위치검출 스위치(14)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하나의 동력접수 판 부(14b)는 하나의 머리 부와 2개의 다리 부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하나의 머리 부는 화살표의 머리 부와 같은 형상으로서 2개의 경사면과 뾰족한 상단 부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하나의 머리 부는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이송 대차(12) 내에 설치되어 하부로 누름 동력을 발생하게 마련되는 미 도시한 스트라이커(striker)로부터 하방으로 누르는 동력을 받을 수 있다.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2개의 다리 부 중 하나는 동력전달을 위해 스위치 작동 판(14e)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동력접수 판 부(14b)가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균형 승강을 위해 마련되어 상기 하나의 머리 부의 하부 일 측으로부터 하 방으로 연장한다.
하나의 복귀 스프링(14c)은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2개의 다리 부 중 상기 균형 승강을 위해 마련되는 하나의 주변에 설치되며, 특히 일 단 부가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머리 부의 저 면에 지지되고 타 단 부는 상부 지지 판(14d)에 지지된다.
복귀 스프링(14c)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동력접수 판 부(14b)를 아래로 누르는 이송 대차(12) 내의 미 도시한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하방으로 누르는 동력이 있을 때, 복귀 스프링(14c)은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축세(charging)한다.
동력접수 판 부(14b)를 아래로 누르는 이송 대차(12) 내의 미 도시한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하방으로 누르는 동력이 없어지면, 복귀 스프링(14c)은 축세한 탄성 에너지를 방사하여 동력접수 판 부(14b)를 상승시킨다. 이에 동력접수 판 부(14b)에 접속된 스위치 작동 판(14e)도 상승함에 따라서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상기 작동 레버 부는 해방되고 따라서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의 출력도 중지될 수 있다.
하나의 상부 지지 판(14d)이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 사이를 가로 지르게 마련된다.
상부 지지 판(14d)의 상면은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의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되고 기판(13)의 상부면 아래인 동시에 개 구 부(13a) 밑에 위치한다.
상부 지지 판(14d)은 길이방향 상 양 단 부가 90도 절곡되어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에 예컨대 연결 볼트 또는 연결 나사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부 지지 판(14d)의 상면에는 동력접수 판 부(14b)의 상기 2개의 다리 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관 부(부호 미 부여)가 상방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하게 마련된다.
상부 지지 판(14d)의 하측인 동시에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의 사이에, 하나의 스위치 작동 판(14e)이 동력접수 판 부(14b)의 누름 동력 접수여부에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스위치 작동 판(14e)은 하부가 90도로 전방을 향해 절곡된 판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 90도 절곡된 하부가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작동 레버 부를 누르게 구성된다. 즉,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상기 작동 레버 부는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내부의 개폐 접점을 개폐 구동하는 동력을 접수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14f)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게 마련되는 하나의 판 스프링과 해당 판 스프링의 단 부에 구비되는 롤러(roller)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상기 작동 레버 부는 하강하는 스위치 작동 판(14e)의 전방으로 90도 절곡된 상기 하부의 후면에 의해 눌려져 내부의 개폐 접점을 동작시킨다.
상승하는 스위치 작동 판(14e)의 상기 하부가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의 상기 작동 레버 부를 해방하면, 내부의 개폐 접점은 눌렸을 때와 반대로 동작(예컨대 눌렸을 때 닫히고, 해방되면 열리게 동작)한다.
한 쌍의 지지 브라켓(14a)은 각각 스위치 작동 판(14e)의 승강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된 안내 슬릿 부(guide slit portion)을 구비하며, 해당 안내 슬릿 부에 수용되어 승강하도록 스위치 작동 판(14e)의 양 측면에는 지지 돌 부(부호 미 부여)가 구비된다.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는 양 지지 브라켓(14a)사이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와 상기 양 지지 브라켓(14a)를 관통하는 긴 지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지지 및 위치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14f)는 실시 예상 4개로 구성될 수 있고, 승강하는 스위치 작동 판(14e)의 상기 하부에 의해서 눌리거나 해방됨에 따라서 내부의 개폐 접점의 개폐와 그에 따른 일정 전압신호의 출력 또는 중지에 의해서 인출형 회로차단기(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변성기 부(20)는 개략 직 육 면 상자 형의 금속 재 외 함과, 해당 외 함 내에 설치되는 변압기 부와 전력 인입 부 및 출력 부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압 변성기 부(20)는 3상 전력의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 검출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3상 전력의 전압을 강압하여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가 필요로 하는 수준의 전압으로 낮추어 제어전원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전압 변성기 부(20)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 중 최하층(1층)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20a)와, 전면 도어(20a)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20b)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는 전압 변성기 부(20) 및 변류기 부(50)과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전압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전압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에 연결되어 감시되고 보호되는 전력회로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는 개략 직 육 면 상자 형의 금속 재 외 함과, 해당 외 함 내에 설치되는 다기능 디지털 전력 감시장치(예컨대 본원의 출원 인이 제조 판매하는 GIPAM, GIMAC)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는, 전압 변성기 부(20) 및 변류기 부(50)로부터 수신한 전력회로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과전류나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의 발생여부 결정과 그에 따른 차단기 부(10)로의 차단 제어 신호(트립 제어 신호)의 출력과, 무효 전력, 역률의 산출, 결상/역상의 발생 판단 등 감시 대상 전력회로의 전력 정보 산출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 중 최상층(3층)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30a)와, 전면 도어(30a)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3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 중 각 층의 후위에 배치되는 전선 부(60), 변류기 부(50) 및 모선 부(40)에는 전면 도어와, 전면 도어의 개폐 조작을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지 않는다.
모선 부(40)는 개략 직 육 면 상자 형의 금속 재 외 함과, 해당 외 함 내에 설치되는 전원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3상 모선(BUS BAR)과, 절연 지지용 애자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모선 부(40)의 3상 모선은 차단기 부(10)의 외 함 측 단자 중 전원 측 단자(15a)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변류기 부(50)는 차단기 부(10)의 외 함 측 단자 중 부하 측 단자(15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 별 분기회로 부스 바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 별 분기회로에 흐르는 전류 량을 검출하여 전류 검출 신호를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선 부(60)는 외부의 전원 측 전선이 인입되고 외부의 부하 측 분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인출되는 부분이다.
전선 부(60)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를 접지하기 위한 접지 선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선 부(60)는 개략 직 육 면 상자 형의 금속 재 외 함과, 해당 외 함 내에 설치되는 전선들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의 전원 측 전선은 모선 부(40)의 3상 모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부하 측 분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차단기 부(10)의 외 함 측 단자 중 부하 측 단자(15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 별 분기회로 부스 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의 조립 동작과 보수 작업 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70)상에 전압 변성기 부(20)를 적재하고,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저 면에 하부 기판(70)의 관통 구 부에 대응하게 미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하부 기판(70)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상기 관통 구 부와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하부 기판(70)의 관통 구 부와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저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하부 기판(70)의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하부 기판(70)과 전압 변성기 부(20)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압 변성기 부(20)상에 차단기 부(10)를 적재하고,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저 면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복수의 관통 구 부와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상부 면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상부 면의 관통 구 부와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저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여기서, 고전압, 대 전류 통전에 대비하여 부품들간 절연거리 확보 측면을 고려하여 기능 부의 내부에 부품들이 조밀하게 채워지지 않고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하 또는 전후의 기능 부간의 상기 팝 너트의 설치와 상기 결합 볼트의 결합 작업에 어려움이 없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와 차단기 부(10)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도 17에 있어서 부호 H1은 임의의 어느 한 기능 부의 외 함을 지시하고, 부호 H2는 상기 기능 부(H1)에 인접한 다른 한 기능 부의 외 함을 지시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압 변성기 부(20)와 차단기 부(10)의 조립 체 상에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 부(10)상에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를 적재하고,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외 함의 저 면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복수의 관통 구 부와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상부 면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외 함의 저 면의 관통 구 부와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상부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와 차단기 부(10) 및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압 변성기 부(20)와 차단기 부(10) 및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조립 체에 전선 부(6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70)상의 후위에 전선 부(60)를 적재하고, 전선 부(60)의 외 함의 전 면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복수의 관통 구 부와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배 면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전선 부(60)의 외 함의 전 면의 관통 구 부와 전압 변성기 부(20)의 외 함의 배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및 전선 부(60)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하부 기판(70)과 전선 부(60)의 결합도 전술한 하부 기판(70)과 전압 변성기 부(20)의 결합방법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를 설치하고 해당 팝 너트에 결합 볼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및 전선 부(60)의 조립 체에 변류기 부(5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선 부(60)의 상면인 동시에 차단기 부(10)의 후위에 변류기 부(50)를 적재하고,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전 면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복수의 관통 구 부와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배 면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변류기 부(50)의 외 함의 전 면의 관통 구 부와 차단기 부(10)의 외 함의 배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전선 부(60) 및 변류기 부(50)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전선 부(60)과 변류기 부(50)의 상하간 결합도 전술한 하부 기판(70)과 전압 변성기 부(20)의 결합방법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를 설치하고 해당 팝 너트에 결합 볼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전선 부(60) 및 변류기 부(50)의 조립 체에 모선 부(4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류기 부(50)의 상면인 동시에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후위에 모선 부(40)를 적재하고,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전 면에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복수의 관통 구 부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외 함의 배 면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한다.
다음, 모선 부(40)의 외 함의 전 면의 관통 구 부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외 함의 배 면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전선 부(60), 변류기 부(50) 및 모선 부(40)의 조립 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모선 부(40)와 변류기 부(50)의 상하간 결합도 전술한 하부 기판(70)과 전압 변성기 부(20)의 결합방법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를 설치하고 해당 팝 너트에 결합 볼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전선 부(60), 변류기 부(50) 및 모선 부(40)의 조립 체에 상부 커버(80)를 덮는 과정을 설명한다.
최상층 즉 3층의 모선 부(40) 및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상부 면에 실링 테이프(sealing tape)와 같은 실링 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한다.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상부 면 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천공된 관통 구 부와 상부 커버(80)에 대응하게 미리 위치 결정하여 천공한 관통 구 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하여, 최상층 즉 3층의 모선 부(40) 및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상부 면에 상부 커버(80)를 덮는다.
다음,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의 관통 구 부와 상부 커버(80)의 관통 구 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된 복수의 관통 구 부에 팝 너트(도 17의 부호 PN 참조)를 설치한다.
이후, 결합 볼트(FB)의 나사 부를 상기 팝 너트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복수 회 반복한다.
이로써, 전압 변성기 부(20), 차단기 부(1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30), 전선 부(60), 변류기 부(50) 및 모선 부(40)의 조립 체에 상부 커버(80)가 덮힌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이 완성된다.
유지 보수 시 기능 부에 대한 분해는 상술한 조립 순서에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100) 중 위치검출 스위치의 설치 및 보수 작업 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검출 스위치(14)의 설치 동작을 설명한다.
차단기 부(10)내 기판(13)의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에 3개씩 형성된 체결 공에 연통하도록,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의 상기 체결 공과 위치검출 스위치(14)중 지지 브라켓(14a)의 나사 체결 공(14a1)을 맞추어서, 2개의 지지 브라켓(14a)을 기판(13) 중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에 안착시킨다.
다음, 미 도시한 볼트를 나사 체결 공(14a1)과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의 상기 체결 공에 위로부터 아래로 나사 체결하여 위치검출 스위치(14)의 설치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따른 위치검출 스위치(14)는 종래기술과 달리 위로부터 아래로 나사 체결하여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부 간의 결합 수단과 같이 나사 체결 공(14a1)과 개 구 부(13a)의 좌우 측 주변의 상기 체결 공에 팝 너트를 설치한 후, 해당 팝 너트에 결합 볼트를 위로부터 아래로 나사 체결하여 위치검출 스위치(14)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 보수 작업 시 위치검출 스위치(14)의 분리 동작을 설명한다.
접속위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 설치된 예컨대 어느 한 위치검출 스위치(14)가 정상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해당 위치검출 스위치(14)를 분리하고 정상 위치검출 스위치(14)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검출 스위치(14)는 상기 결합 볼트를 위에서 해체하여 위치검출 스위치(14)를 기판(1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위치검출 스위치의 경우와 같이 해체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1인의 작업자가 충분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전압 배전 반은, 모선 부,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차단기 부, 전선 부, 전압 변성기 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부를 서로 공유하는 면이 없도록 독립적으로 모듈화 구성하고, 모듈화된 각각의 상기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은 적어도 두 면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이웃한 다른 기능 부의 외 함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설치되므로, 복수의 기능 부를 병렬로 제작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한 기능 부는 해당 기능 부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 고전압 배전 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차단기 부 2: 전압 변성기 부
3: 중간 격판 4: 측 판
5: 위치검출 스위치 10: 차단기 부
13: 기판 13a: 개 구 부
14: 위치검출 스위치 14a: 지지 브라켓
20: 전압 변성기 부 30: 측정 및 감시 제어 부
40: 모선 부 50: 변류기 부
60: 전선 부 70: 하부 기판
80: 상부 커버 100: 고전압 배전 반
FB: 결합 볼트 PN: 팝 너트
H1, H2: 인접한 두 기능 부의 외 함

Claims (3)

  1. 차단기 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부가 모듈화되어 설치되는 고전압 배전 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부는,
    후방의 단자 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위치(connected position), 상기 단자 부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분리위치(disconnected position) 및 시험위치(test position)로 이동 가능한 인출형 회로차단기;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가 이동할 수 있는 바닥 면을 제공하는 기판(base plate); 및
    상기 기판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전압 배전 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개 구 부(open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개 구 부의 주변 기판 상부 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 공이 형성된 상부 수평 고정판 부와, 상기 상부 수평 고정판 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는 수직 판 부를 가진 한 쌍의 지지 브라켓(supporting brack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전 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는,
    상기 접속 위치와 상기 분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 구 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검출 스위치에 대응하게 적어도 두 개이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배전 반.
KR2020180004426U 2018-09-21 2018-09-21 고전압 배전반 KR200492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26U KR200492345Y1 (ko) 2018-09-21 2018-09-21 고전압 배전반
US16/572,118 US11349282B2 (en) 2018-09-21 2019-09-16 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CN201910899053.4A CN110943391B (zh) 2018-09-21 2019-09-23 高压配电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26U KR200492345Y1 (ko) 2018-09-21 2018-09-21 고전압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86U true KR20200000686U (ko) 2020-03-31
KR200492345Y1 KR200492345Y1 (ko) 2020-09-22

Family

ID=6988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26U KR200492345Y1 (ko) 2018-09-21 2018-09-21 고전압 배전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9282B2 (ko)
KR (1) KR200492345Y1 (ko)
CN (1) CN110943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1986A1 (en) * 2018-12-19 2020-06-24 ABB Schweiz AG Switchgear
JP1703642S (ko) * 2021-04-16 2022-01-04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59A (ko) * 2010-04-22 2011-10-2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폐쇄배전반
KR101201711B1 (ko) * 2011-06-10 2012-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용 위치 검출기
KR20170101668A (ko) * 2016-02-29 2017-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9856A (en) * 1929-10-18 1932-08-02 Condit Electrical Mfg Corp Electric switch and backing device therefor
US1953822A (en) * 1931-02-26 1934-04-03 Gen Electric Electric switch gear
US2673260A (en) * 1949-12-20 1954-03-23 Gen Electric Switchgear carriage orbital cam racking and interlocking mechanism
US2858389A (en) * 1957-02-25 1958-10-28 Ite Circuit Breaker Ltd Secondary contact disconnecting device
US3437768A (en) * 1967-09-18 1969-04-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Drawout switchgear optionally interlocked with an auxiliary switch
AU511288B2 (en) * 1976-12-14 1980-08-07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Draw-out type electrical switchgear
US7022923B2 (en) * 2000-09-04 2006-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ocking device for withdrawable circuit-breakers
JP2007244119A (ja) 2006-03-09 2007-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
EP2230734B1 (en) * 2009-03-20 2017-07-26 ABB Schweiz AG Electric switchgear
KR101106899B1 (ko) *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5630380B2 (ja) 2011-05-27 201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KR101220855B1 (ko) * 2011-06-10 2013-0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1759604B1 (ko) * 2016-04-20 2017-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59A (ko) * 2010-04-22 2011-10-2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폐쇄배전반
KR101201711B1 (ko) * 2011-06-10 2012-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용 위치 검출기
KR20170101668A (ko) * 2016-02-29 2017-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43391B (zh) 2021-11-23
US11349282B2 (en) 2022-05-31
US20200099201A1 (en) 2020-03-26
KR200492345Y1 (ko) 2020-09-22
CN110943391A (zh)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0966B2 (en) Electric switchgear
KR101106899B1 (ko)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4727736B2 (ja) スイッチギヤ
EP2230735B1 (en) Electric switchgear
US20060037944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200485290Y1 (ko) 배전반
CN103683016A (zh) 一种模块化堆积式开关柜
KR200462421Y1 (ko)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JP2010017051A (ja)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US4677524A (en) Metalclad switchgear having separate assemblies
CN1989585A (zh) 窄型保护开关装置
KR20200000686U (ko) 고전압 배전반
KR101633567B1 (ko) 스위치 기어
JP2008043181A (ja) 配電用開閉装置
US84326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gear panel
US3746817A (en) Metal-enclosed switchgear
CN102709128A (zh) 带电流互感器的热过载继电器
JP4301614B2 (ja) 閉鎖配電盤の母線装置
KR101554903B1 (ko) 차단기와 배전반을 결합하는 어댑터가 적용된 내진 배전반
AU2019202584B2 (en) Switchgear cabinet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a short-circuit device
WO2009121752A2 (de) Anordnung zum betrieb eines schaltgerätes
CN211879857U (zh) 一种车辆制动能量回馈装置的直流控制柜
CN101692528A (zh) 智能型电力污染治理系统的柜体结构及元器件布置结构
CN116388006A (zh) 一种适用于新能源箱变的多回路出线紧凑型低压柜
KR100870029B1 (ko) 파워 플랜트 스위치 기어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