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668A -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668A
KR20170101668A KR1020160024513A KR20160024513A KR20170101668A KR 20170101668 A KR20170101668 A KR 20170101668A KR 1020160024513 A KR1020160024513 A KR 1020160024513A KR 20160024513 A KR20160024513 A KR 20160024513A KR 20170101668 A KR20170101668 A KR 2017010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position detecting
switch
circuit break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668A/ko
Publication of KR2017010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외부로 돌출하는 것과 같이 외부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제어부 커넥터를 지지하며,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서 크래들의 안내 구 부 내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양 지지단 부와 상부에 스위치 작동 부를 갖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및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어 크래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따른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POSITION DETECTING SWITCH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고 크래들(cradle)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형 배전반에 설치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점유공간의 문제가 없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중차단기 또는 진공차단기와 같은 저전압 대용량 회로차단기 또는 고전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는 그 후위에 구비되는 단자가 외함에 해당하는 크래들(cradle)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 차단기 본체의 단자는 크래들의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되나 차단기 본체의 제어부에 대한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에 차단기 본체의 정상 개폐 동작 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시험 위치(test position), 차단기 본체의 단자도 크래들의 단자로부터 분리되고 제어부에 대한 전원 공급도 중지되는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로 이동 가능하다.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소위 Cell Switch로 불리는 위치검출용 마이크로 스위치와 해당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기구 및 외함을 포함하는 장치)는 이러한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 장치이다.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은 본 원의 출원인이 등록한 하기의 특허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10-1026314 B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회로차단기의 외함에 상당하는 크래들(cradle)의 외부 즉 측 판 외측 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 해당 회로차단기가 컴팩트 형 배전반과 같이 점유 공간에 제약으로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외부로 돌출하는 것과 같이 외부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크기가 소형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 시험 위치(TEST POSITION) 및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고 측 판에 수직과 수평의 안내 구 부를 갖는 크래들(CRADLE)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제어부 커넥터를 지지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의 안내 구 부 내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양 지지단 부와 상부에 스위치 작동 부를 갖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및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따른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 대비 두께와 폭과 높이가 각각 50-20% 정도 대폭 크기가 작은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는, 바닥 부와, 상기 바닥 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양 측벽 부와, 상기 바닥 부와 상기 양 측벽 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커넥터를 수용하는 내측 부분과, 상기 양 측벽 부 중 어느 하나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스위치 작동 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중 상기 시험 위치에 대응하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상기 시험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하는 동력 접수부와,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능한 작동 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위치 검출스위치에 대응하게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시험위치 검출 레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접속 위치에 대응하는 접속위치 검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상기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하는 동력 접수부와,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능한 작동 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위치 검출스위치에 대응하게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접속위치 검출 레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동력 접수부와 상기 작동 부는, 각각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크래들의 내측 좌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의 내측 우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어, 총 8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상부에 스위치 작동 부를 갖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크래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를 포함하므로, 크래들 외부로 돌출하거나 위치하는 부분이 없어 회로차단기의 점유 공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회로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고,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른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연동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는 종 단면이 "U"자형인 긴 판재로 구성되므로 내부에 제어부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양 측벽 부 중 어느 하나를 절곡한 스위치 작동 부를 가지므로 해당 스위치 작동 부에 의해서 위치검출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동력 접수부와, 작동 부를 갖는 시험위치 검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시험 위치에 대응하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를 포함하므로, 시험위치 검출 레버의 동력 접수부가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하여 동력을 받을 수 있고, 시험위치 검출 레버의 작동 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압하여 작동시킴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가 시험 위치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동력 접수부와, 작동 부를 갖는 접속위치 검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접속 위치에 대응하는 접속위치 검출스위치를 포함하므로, 접속위치 검출 레버의 동력 접수부가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하여 동력을 받을 수 있고, 접속위치 검출 레버의 작동 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압하여 작동시킴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가 접속 위치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접수부와 상기 작동 부는, 각각 경사면을 포함하므로, 접촉하는 상대부분과 충격 없이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접촉 시 충격에 의한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에 대비해서 소형으로 위치검출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어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위치검출스위치 자체의 크기는 소형화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로서 마이크로 스위치는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적어도 회로차단기의 점유공간을 증대시키는 문제는 야기하지 않으므로 컴팩트형 배전반에 회로차단기를 설치하는 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크래들의 내측 좌우 상단에 각각 4개씩 총 8개가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가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것을 적어도 2개의 복수의 검출신호로서 제공함으로써, 위치검출신호를 예컨대 회로차단기의 전면부, 회로차단기를 내장하는 배전반의 전면 표시부, 외부 감시반 등 복수의 개소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장착되는 회로차단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회로차단기의 외형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장착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구동기구와 해당 인입출 구동기구에 연동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auto connection mechanism)의 구성과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분리 위치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장착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시험 위치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장착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접속 위치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크래들 측에 설치되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차단기 본체 측에 설치되는 본체측 커넥터 및 지지대의 구성을 별도로 보여주는 제어부 커넥터 사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크래들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크래들을 전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크래들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크래들을 전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크래들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크래들을 측면에서 본 크래들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중 위치검출스위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위치검출스위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분리 위치에서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 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시험 위치에서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접속 위치에서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동작 상태 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회로차단기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인입 또는 인출가능한 차단기 본체(10), 차단기 본체(10)를 지지하며 측 판에 수직과 수평의 안내 구 부(100a)를 갖는 크래들(cradle)(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기 본체(10)는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 시험 위치(test position) 및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710은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를 지시하고, 부호 720은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를 지시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는 후술하는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도 5의 부호 820 참조)와 접속되었을 때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 차단기 본체(10)의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로 불리는 제어기(미 도시)에 전원 및 신호 선 접속을 제공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를 지지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긴 지지대로서, 후술하는 구동기구에 의해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는 크래들(100)의 측 판에 형성된 개략 "L"자형의 안내 구 부(100a)에 의해 승강 및 수평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단부 즉, 지지대 단부(710a)가 안내 구 부(100a)를 관통연장하여 크래들(100)의 측 판으로부터 돌출하게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해당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를 구동시켜주는 구성과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구동기구(driving mechanism)와 해당 인입출 구동기구에 연동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auto connection mechanism)의 구성과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시험 위치(test position)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에 있는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에 승강하면서 분리 또는 접속가능함을 보여주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의 사시 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구성부품들의 접속관계와 형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 원래 전후 위치에 배치되어 겹쳐서 보이지 않는 부분들도 의도적으로 겹쳐지게 실선으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상기 인입출 구동기구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을 위해서 수동 조작핸들의 접속 조작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며 외주 면에 나사 면을 갖는 스핀들(spindle)(21), 스핀들(21)의 나사 면에 나선접속되어 스핀들(21)의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제 1 랙 기어(rack gear)(22a)가 형성된 이동 판(22)과, 이동 판(22)의 제 1 랙 기어(22a)와 기어접속되어 회전 가능한 피니언 기어(23)와, 피니언 기어(23)를 축지지하는 기어 지지 축(24), 피니언 기어(23)와 기어 지지 축(24)에 동축(同軸) 접속되어 피니언 기어(23)의 회전에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하부 링크(26a)와, 하부 링크(26a)에 접속 핀으로 접속되는 일 단 부를 가지며 하부 링크(26a)의 회전에 따라서 승강 가능한 상부 링크(26b)와, 상부 링크(26b)와 접속 핀(28)에 의해 접속되고 접속 핀(28)의 승강에 따라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로우 기어(draw gear)(27), 부설된 제 2 랙 기어(50)를 가지고 차단기 본체(10)와 접속되는 제 1 레일 판(부호 미부여) 및 크래들(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접속 핀(28)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장공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단기 본체(10)를 분리 위치에서 시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로차단기의 하부에 마련된 핸들 삽입구에 핸들을 삽입하여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도 2에 있어서 스핀들(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스핀들(21)에 나사접속된 이동 판(22)이 스핀들(21)의 나사 면을 타고 전방 즉, 회로차단기의 전면부 측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이동 판(22)의 제 1 랙 기어(22a)에 기어접속된 피니언 기어(2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23)와 동축 접속된 하부 링크(26a)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부 링크(26a)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상부 링크(26b)는 상승하게 되고 상부 링크(26b)에 일 단 부가 접속 핀(28)에 의해 접속된 드로우 기어(2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로우 기어(27)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서, 드로우 기어(27)와 기어접속된 제 2 랙 기어(50)가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에 제 2 랙 기어(50)를 부설하는 상기 제 1 레일 판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레일 판에 접속된 차단기 본체(10)도 수평방향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다음, 차단기 본체(10)를 시험 위치에서 접속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단기 본체(10)를 시험 위치에서 접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로차단기의 하부에 마련된 핸들 삽입구에 핸들을 삽입하여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조작하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스핀들(21)에 나사접속된 상기 이동 판(22)이 스핀들(21)의 나사 면을 타고 전방 즉, 회로차단기의 전면부 측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이동 판(22)의 제 1 랙 기어(22a)에 기어접속된 피니언 기어(23)가 반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23)와 동축 접속된 하부 링크(26a)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부 링크(26a)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상부 링크(26b)는 더욱 상승하게 되고 상부 링크(26b)에 일 단 부가 접속 핀(28)에 의해 접속된 드로우 기어(27)는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드로우 기어(27)가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서, 드로우 기어(27)와 기어접속된 제 2 랙 기어(50)가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수평이동하고 이에 제 2 랙 기어(50)를 부설하는 상기 제 1 레일 판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레일 판에 접속된 차단기 본체(10)도 수평방향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이동된다.
차단기 본체(10)를 상술한 접속 위치에서 시험 위치로 또 시험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방향만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81174호(발명의 명칭: 차단기의 인입출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구성과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는 전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한다.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는, 드로우 기어(27)의 상부 일 측에 판 면으로부터 연장하게 마련되는 연결 돌 부(부호 미부여)와, 상기 연결 돌 부를 사이에 끼워 접속하는 연결 홈 부(부호 미부여)을 가지고 상기 연결 홈 부와 드로우 기어(27)의 연결 돌 부의 접속에 의해 상승하거나 이탈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수평 슬릿(slit)(29b)과 머리 부(29a)를 가진 안내 레버(29)와, 수평 및 수직 안내 홈 부를 가진 크래들(100)의 안내 구 부(100a)와, 안내 레버(29)의 수평 슬릿(29b)을 관통하여 안내 구 부(100a)에 지지 및 안내되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지지대 단부(7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제어부 커넥터 자동 접속 및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의 사시 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 커넥터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어부 커넥터는 크게 구분하여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장치(700)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장치(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장치(700)는 크래들(도 1의 부호 100 참조)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도 1의 부호 10 참조)에 설치된 과전류 계전기와 같은 제어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기와 외부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신호 경로를 제공한다.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장치(800)는, 차단기 본체(도 1의 부호 10 참조)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장치(700)와 접속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장치(7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상기 제어기에 공급하거나 제어기와 외부 사이의 통신을 위한 신호 경로를 제공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장치(700)는, 상술한 안내 구 부(100a)의 안내를 따라 안내 레버(600)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와,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에 의해서 지지되고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수평 및 수직방향 이동에 의해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는 종단면이 "U"자형인 긴 판재로 구성되고, 바닥 부(710b)와, 상기 바닥 부(7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양 측벽 부(710c)와, 상기 바닥 부(710b)와 상기 양 측벽 부(710c)의 내측에 형성되어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를 수용하는 내측 부분과, 스위치 작동 부(710d)와, 양 단 부의 지지대 단부(710a)를 포함한다.
스위치 작동 부(710d)는 상기 양 측벽 부(710c) 중 어느 하나의 상 단 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스위치 작동 부(710d)는 수직방향을 향하게 형성된 상기 양 측벽 부(710c)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를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하거나 양 측벽 부(710c)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수평 연장 부를 접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바닥 부(710b)에는 복수의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의 관통 및 지지를 위한 복수의 삽입 구 부(미 도시)가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는 복수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된 핀 홀 부(pin hole section)를 가진 도체 부와 도체 부의 외부를 감싸는 전기적 절연체로 구성된 부재로서, 전기적 신호의 전달 및 전원의 전달용으로 사용된다.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장치(800)는,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810)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810)는 실시 예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폭과 두께를 가진 합성수지 재 지지대가 일체로 또는 별체로 구성된 지지대부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는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810)에 의해 지지되며, 실시 예에 따라서 각각 복수의 전기적 도체 핀(pin)과 도체 핀을 수용하며 보호하고 일면이 개방된 구조의 외함부인 외부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제어부 커넥터 자동 접속 및 분리 동작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로 드로우 기어(27)가 전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의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로우 기어(400)의 일 측(도면상 우측)에 설치된 상기 연결 돌 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내 레버(29)의 대응 연결 홈 부로부터 이탈함에 따라서 자중에 의해서 안내 레버(29)는 도면상 하방으로 내려온다. 따라서 안내 레버(29)의 수평 슬릿(29b)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는 지지대 단 부(710a)도 하강하고, 따라서 도 5의 상태에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하강에 의해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가 하강하고,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는 하부의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와 접속된다. 따라서 제어기로의 전원공급 및 신호 경로 접속에 따라 제어기의 조작에 의한 차단기 본체의 강제 트립(trip) 시험과 같은 동작 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 위치로 드로우 기어(400)가 전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의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 드로우 기어(27)와 기어접속된 제 2 랙 기어(50)가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수평이동하고 이에 제 2 랙 기어(50)를 부설하는 상기 제 1 레일 판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레일 판에 접속된 차단기 본체(10)도 수평방향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더욱 이동된다. 그러면, 차단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가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고,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와 접속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 및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를 지지하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도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때,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의 접속 또는 분리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의 승하강 즉, 수직방향 이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의 승하강 즉, 수직방향 이동이 없이 수평이동만이 이루어지는 시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로의 이동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720)와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820)의 접속은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로차단기 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즉, 상기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와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래들(100)의 내부, 특히 크래들(100)의 상측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스위치 작동 부(710d)에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부재(도 10의 부호 50, 도 11의 부호 60이 지시하는 부재 참조)를 중간에 개재하여 접촉될 수 있는 크래들(100)의 상측 내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따른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즉,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위치에 대응하는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와, 상기 시험 위치에 대응하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 상기 접속위치에 대응하는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를 제 1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와 제 2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4)의 2개로 구성한 목적은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와 제 2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4)가 각각 출력하는 접속위치 검출신호들을 하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10)의 전면 표시부(미 도시)에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이용하고 다른 하나는 회로차단기를 내장하는 배전반(미 도시)의 전면 표시부에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이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분리위치 검출스위치 1개, 시험위치 검출 스위치 1개, 접속위치 검출스위치 2개의 총 4개로 구성되는 위치검출스위치(40)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검출스위치(40)는 상기 크래들(100)의 내측 좌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100)의 내측 우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어, 총 8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40)는 차단기 본체가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것을 적어도 2개의 복수의 검출신호로서 제공함으로써, 위치검출신호를 예컨대 회로차단기의 전면부, 회로차단기를 내장하는 배전반의 전면 표시부, 외부 감시반 등 복수의 개소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검출스위치(40)를 크래들(100)의 내측 좌우 상단에 각각 4개씩 설치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이 가능한 것은 상술한 인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일명 오토 콘)의 구성 부들이 대부분 상기 크래들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대칭으로 2개씩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출 구동기구와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일명 오토 콘)의 구성 부 대칭 구성은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도 1과 도 2 및 도 5의 도면과 관련 설명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검출스위치(40)를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에 대비해서 두께와 폭과 높이가 각각 50-20% 정도 대폭 크기가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크래들(100)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40)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검출스위치(40)를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하는 경우, 위치검출스위치(40) 자체의 크기는 소형화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검출스위치(40)로서 마이크로 스위치는 크래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회로차단기의 점유공간을 증대시키는 문제는 야기하지 않으므로 컴팩트형 배전반에 회로차단기를 설치하는 데 문제가 없다.
위치검출스위치(40)의 개별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치검출스위치(40)는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와,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 및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를 포함하고 각각이 구별된 기능을 가지지만 각각의 상세 구성은 동일하므로 대표적으로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의 상세구성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는 작동 레버 부(41a), 가동 접점 대(41b), 가동 접점(41c), 제 1 고정 접점(41g), 제 2 고정 접점(41d), 제 1 단자(41f), 제 2 단자(41e) 및 외함(housing)(41h)을 포함한다.
작동 레버 부(41a)는 가동 접점 대(41b)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받기 위한 부재로서 부과되는 외력이 없을 때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의 외부 저 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자세를 가진다.
작동 레버 부(41a)는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의 외부 저 면에 고정되는 일 단부와, 해당 일 단 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레버 부와, 해당 레버 부의 타 단 부로서 자유 단 부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작동 레버 부(41a)의 고정되는 상기 일 단 부는 실시 예에 따라서 외함(41h)의 외부 저 면중 좌측에 고정될 수 있고 우측에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동 접점 대(41b)는 외함(41h)의 하측 외부로 연장하는 노출되는 부분과 외함(41h)의 저 면을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지며 가동 접점(41c)과 일체로 또는 별체로 연결되어 함께 승강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점(41c)은 접점부와 해당 접점부를 지지하는 수평 지지 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동 접점 대(41b)의 상단에 일체로 또는 별체로 연결되어 가동 접점 대(41b)와 함께 승강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점(41c)은 상승하여 제 2 고정 접점(41d)에 접촉하는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10)가 분리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와, 하강하여 제 1 고정 접점(41g)에 접촉하는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10)가 분리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위치를 가진다.
제 1 고정 접점(41g)은 외함(41h) 내에서 제 2 고정 접점(41d)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 접점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 접점(41d)은 외함(41h) 내에서 제 1 고정 접점(41g)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 접점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차단기 본체(10)가 분리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제 1 단자(41f)는 제 1 고정 접점(41g)과 접속되는 단자로서, 제 2 단자(41e)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외함(41h)의 외부로 노출되는 신호출력 부와 외함(41h)의 내부에서 제 1 고정 접점(41g)과 접속되는 접점 접속 부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제 1 단자(41f)는 차단기 본체(10)가 분리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출력단자로 이용될 수 있다.
제 2 단자(41e)는 제 2 고정 접점(41d)과 접속되는 단자로서, 제 1 단자(41f)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외함(41h)의 외부로 노출되는 신호출력 부와 외함(41h)의 내부에서 제 2 고정 접점(41d)과 접속되는 접점 접속 부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제 2 단자(41e)는 차단기 본체(10)가 분리위치에 위치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분리위치 검출 신호의 출력단자로 이용될 수 있다.
외함(41h)은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의 구성부품들을 수납하는 부재로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로 구성될 수 있다.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는 작동 레버 부(42a), 가동 접점 대(42b), 가동 접점(42c), 제 1 고정 접점(42g), 제 2 고정 접점(42d), 제 1 단자(42f), 제 2 단자(42e) 및 외함(42h)을 포함한다.
2개의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는 각각 작동 레버 부, 가동 접점 대, 가동 접점, 제 1 고정 접점, 제 2 고정 접점, 제 1 단자, 제 2 단자 및 외함(41h)을 포함하며, 2개의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 중 도시된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는 작동 레버 부(41a), 가동 접점 대(41b), 가동 접점(41c), 제 1 고정 접점(41g), 제 2 고정 접점(41d), 제 1 단자(41f), 제 2 단자(41e) 및 외함(housing)(41h)을 포함한다.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와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도 상술한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성부품들의 기능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위치 검출 레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험위치 검출 레버(50)는 회전 축(5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동력 접수부(54)와 작동 부(5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축(51)은 후술하는 접속위치 검출 레버의 회전 축(61)과 동일한 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로 분리된 구성도 가능하며, 양 단 부 또는 적어도 일 단 부가 크래들(100)의 상기 측 판에 형성한 축 지지 구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 축(51)이 관통하는 축 수 구 부(shaft receiving hole portion)를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작동 부(53)가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동력 접수부(54)가 마련된다.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력 접수부(54)는 시험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즉,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이동 경로 중에 간섭되게 위치한다.
동력 접수부(54)는 시험위치로 이동하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를 마주보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와의 접촉시 충격이 최소화되고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작동 부(53)는 상기 위치검출스위치(40) 즉,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의 작동 레버 부(42a)에 접촉 가능하다.
작동 부(53)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의 작동 레버 부(42a)를 마주보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의 작동 레버 부(42a)와의 접촉시 충격이 최소화되고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위치 검출 레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위치 검출 레버(60)는 2개의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의 각각에 대응하게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위치 검출 레버(60)는 회전 축(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동력 접수부(64)와 작동 부(6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축(61)은 후술하는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의 회전 축(51)과 동일한 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로 분리된 구성도 가능하며, 양 단 부 또는 적어도 일 단 부가 크래들(100)의 상기 측 판에 형성한 축 지지 구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위치 검출 레버(60)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 축(61)이 관통하는 축 수 구 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상기 작동 부(63)가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동력 접수부(64)가 마련된다.
각각의 접속위치 검출 레버(60)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력 접수부(64)는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즉,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이동 경로 중에 간섭되게 위치한다.
각각의 동력 접수부(64)는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를 마주보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와의 접촉시 충격이 최소화되고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각의 접속위치 검출 레버(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작동 부(63)는 상기 위치검출스위치(40) 즉,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능하다.
각각의 작동 부(63)는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의 작동 레버 부를 각각마주보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의 작동 레버 부와의 접촉시 충격이 최소화되고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로부터 도 10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앞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구동기구와 해당 인입출 구동기구에 연동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가 도 11의 하강한 위치로부터 도 10의 위치로 상승한다.
따라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스위치 작동 부(710d)도 상승하면서 분리위치 검출스위치(41)의 작동 레버 부(41a)를 가압하여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작동 레버 부(41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가압되는 가동 접점 대(41b)가 상승하고, 따라서 가동 접점 대(41b)의 상단부에 연결된 가동 접점(41c)이 상부에 위치한 제 2 고정 접점(41d)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고정 접점(41d)과 연결된 제 2 단자(41e)를 통해 차단기 본체가 현재 분리 위치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분리위치 검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위치 검출 신호는 예컨대, 2개의 제 2 단자(41e)의 어느 하나는 전원 측 신호 선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부하 측(표시부 측) 신호 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제 2 고정 접점(41d) 사이가 가동 접점(41c)에 의해 폐로되면서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의 회로가 폐 회로가 되면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위치로부터 도 11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앞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구동기구와 해당 인입출 구동기구에 연동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가 도 10의 상승한 위치로부터 도 11의 위치로 하강한다.
따라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스위치 작동 부(710d)도 하강하면서 스위치 작동 부(710d)는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의 동력 접수부(54)를 가압하여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시험위치 검출 레버(50)의 작동 부(53)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42)의 작동 레버 부(42a)를 접촉 가압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작동 레버 부(42a)의 상방 가압에 의해 가동 접점 대(42b)가 상승한다.
그러면 가동 접점 대(42b)의 상단부에 연결된 가동 접점(42c)이 상부에 위치한 제 2 고정 접점(42d)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고정 접점(42d)과 연결된 제 2 단자(42e)를 통해 차단기 본체가 현재 시험 위치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시험위치 검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시험위치 검출 신호는 예컨대, 2개의 제 2 단자(42e)의 어느 하나는 전원 측 신호 선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부하 측(표시부 측) 신호 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제 2 고정 접점(42d) 사이가 가동 접점(42c)에 의해 폐로되면서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의 회로가 폐 회로가 되면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로부터 도 12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 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앞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구동기구와 해당 인입출 구동기구에 연동하는 제어부 커넥터 자동접속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가 도 11의 위치로부터 도 12의 우측 도면 위치로 횡행(수평이동)한다.
따라서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710)의 스위치 작동 부(710d)도 우측으로 횡행하면서 스위치 작동 부(710d)는 접속위치 검출 레버(60)의 동력 접수부(64)를 가압하여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접속위치 검출 레버(60)의 작동 부(63)는 접속위치 검출스위치(43, 44)의 상기 작동 레버 부(도 12의 부호 43a 참조)를 접촉 가압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작동 레버 부(43a)의 상방 가압에 의해 가동 접점 대(43b)가 상승한다.
그러면 가동 접점 대(43b)의 상단부에 연결된 가동 접점(43c)이 상부에 위치한 제 2 고정 접점(43d)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고정 접점(43d)과 연결된 제 2 단자(43e)를 통해 차단기 본체가 현재 접속 위치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접속위치 검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위치 검출 신호는 예컨대, 2개의 제 2 단자(43e)의 어느 하나는 전원 측 신호 선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부하 측(표시부 측) 신호 선에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제 2 고정 접점(43d) 사이가 가동 접점(43c)에 의해 폐로되면서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의 회로가 폐 회로가 되면서 부하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상부에 스위치 작동 부를 갖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크래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를 포함하므로, 크래들 외부로 돌출하거나 위치하는 부분이 없어 회로차단기의 점유 공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회로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고,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른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와 위치검출스위치의 연동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차단기 본체 21: 스핀들
22: 이동판 22a: 제 1 랙 기어
23:피니언 기어 24: 기어 지지축
29: 안내 레버
29a: 머리부 29b: 수평 슬릿
40: 위치검출스위치 41:분리위치 검출스위치
42: 시험위치 검출스위치 43, 44: 접속위치 검출스위치
50: 시험위치 검출 레버 51: 회전 축
53: 작동 부 53a: 경사면
54: 동력 접수부 54a: 경사면
60: 접속위치 검출 레버 61: 회전 축
63: 작동 부 63a: 경사면
64: 동력 접수부 64a: 경사면
100: 크래들 100a: 안내 구 부
700: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어셈블리
710: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710a: 지지대 단 부 720: 크래들 제어부 커넥터
800: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어셈블리
810: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820: 차단기 본체 제어부 커넥터

Claims (6)

  1. 접속 위치(CONNECTION POSITION), 시험 위치(TEST POSITION) 및 분리 위치(DISCONNECTION POSITION)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를 지지하고 측 판에 수직과 수평의 안내 구 부를 갖는 크래들(CRADLE)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제어부 커넥터를 지지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크래들의 안내 구 부 내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양 지지단 부와 상부에 스위치 작동 부를 갖는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 및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어 상기 크래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에 따른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위치 이동에 연계되어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치검출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는,
    바닥 부와, 상기 바닥 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양 측벽 부와, 상기 바닥 부와 상기 양 측벽 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커넥터를 수용하는 내측 부분과, 상기 양 측벽 부 중 어느 하나의 상 단 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 작동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시험 위치에 대응하는 시험위치 검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스위치 장치는,
    상기 시험위치 또는 접속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상기 제어부 커넥터 지지대의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하는 동력 접수부와, 상기 위치검출스위치의 작동 레버 부에 접촉 가능한 작동 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위치 검출스위치 또는 상기 접속위치 검출스위치에 대응하게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검출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접수부와 상기 작동 부는, 각각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스위치는 상기 크래들의 내측 좌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의 내측 우 상단에 4개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를 검출하게 설치되어, 총 8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KR1020160024513A 2016-02-29 2016-02-29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KR20170101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13A KR20170101668A (ko) 2016-02-29 2016-02-29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13A KR20170101668A (ko) 2016-02-29 2016-02-29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68A true KR20170101668A (ko) 2017-09-06

Family

ID=5992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13A KR20170101668A (ko) 2016-02-29 2016-02-29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6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5948A (zh) * 2018-11-21 2019-01-18 东莞市益诚自动化设备有限公司 微动开关功能测试机
CN110943391A (zh) * 2018-09-21 2020-03-31 Ls产电株式会社 高压配电箱
KR20230006139A (ko) * 2021-07-02 2023-01-10 국방과학연구소 운동체의 파이프 이탈 감지를 위한 스위치 장치 및 파이프 이탈 감지 가능한 운동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391A (zh) * 2018-09-21 2020-03-31 Ls产电株式会社 高压配电箱
KR20200000686U (ko) * 2018-09-21 2020-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배전반
US11349282B2 (en) 2018-09-21 2022-05-31 Ls Electric Co., Ltd. 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CN109225948A (zh) * 2018-11-21 2019-01-18 东莞市益诚自动化设备有限公司 微动开关功能测试机
CN109225948B (zh) * 2018-11-21 2024-04-02 东莞市益诚自动化设备有限公司 微动开关功能测试机
KR20230006139A (ko) * 2021-07-02 2023-01-10 국방과학연구소 운동체의 파이프 이탈 감지를 위한 스위치 장치 및 파이프 이탈 감지 가능한 운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271B2 (en) Position switch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US8686815B2 (en) Apparatus of modular trip mechanism and auxiliary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JP4611425B2 (ja) 電磁開閉機器を備えた結線装置
EP2296160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US20090014292A1 (en) Control terminal automatic connection apparatus for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having the same
KR200462421Y1 (ko)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CN1767121B (zh) 漏电断路器
KR20170101668A (ko)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장치
CN202217628U (zh) 用于低压电路的电气开关装置
JP2007244119A (ja) 引出形遮断器
US20180191091A1 (en) Isolation mechanism of controller for circuit breaker
EP1227557B1 (en) A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KR101026314B1 (ko) 차단기의 위치검출장치
US6559394B2 (en) Air circuit breaker
KR101151940B1 (ko)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어셈블리
JPS609014A (ja) 開閉器用補助導線連結装置
US6291783B1 (en)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a plug-in circuit breaker and a devic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CN110582826A (zh) 改进的真空断路器
JP2002209313A (ja) 気中遮断器
CN100536053C (zh) 真空负荷开关
CN110943391B (zh) 高压配电箱
EP2662879B1 (en) Accessory device assembly for low and medium voltage switching devices
CN219696379U (zh) 一种断路器的漏电辅助触件
KR100990263B1 (ko) 인출형 차단기의 위치 스위치
CN217114256U (zh) 测试机构和断路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