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855B1 -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 Google Patents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855B1
KR101220855B1 KR1020110056443A KR20110056443A KR101220855B1 KR 101220855 B1 KR101220855 B1 KR 101220855B1 KR 1020110056443 A KR1020110056443 A KR 1020110056443A KR 20110056443 A KR20110056443 A KR 20110056443A KR 101220855 B1 KR101220855 B1 KR 10122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it breaker
support bracket
vacuum circui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110A (ko
Inventor
김인겸
안길영
양승필
양홍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855B1/ko
Priority to CN201210192105.2A priority patent/CN102820165B/zh
Priority to BR102012014096-9A priority patent/BR102012014096B1/pt
Publication of KR201201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진공 회로차단기가 현재 투입 위치인지 차단 위치인지를 신뢰성 있게 제공하도록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부가하여 설치될 수 있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는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SWITCHING POSITION DETECTOR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 위치검출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 회로차단기용 개폐 위치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회로차단기(일명 진공차단기)는 수십 킬로볼트(Kilo Volts)와 같은 초고전압 또는 고전압의 전력회로상의 이상전류를 감시하고 이상전류 발생시 자동으로 전력회로를 차단함으로써 후단에 연결된 선로와 부하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전력기기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와 같은 전력의 생산 및 배전처에서 디지털계전기와 같은 감시 보호기기와 함께 배전반에 수납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의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과 차단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한 인출형이 있으며, 유지 보수 및 교체시 편리한 잇점에 따라서 인출형 진공 회로차단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출형 진공 회로차단기는 크게 구분하여 크래들(cradle), 차단기 본체, 트럭 어셈블리(truck assembly)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크래들은 배전반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측 및 부하측 전력선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를 가지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외함이다.
차단기 본체는 3상 교류의 각 상별로 마련되는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포함하는 주 회로부와, 해당 주 회로부를 동시에 개폐 구동하는 개폐기구(switching mechanism)와,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와 접속될 수 있는 본체측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럭 어셈블리는 일명 이송대차 어셈블리로도 불리는 부분으로서 핸들에 의해 회동되며 표면에 나사면을 갖는 스핀들(spindle)과, 스핀들의 나사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부에 고정된 너트 어셈블리(nut assembly)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바퀴(wheels)를 갖는 트럭(truck)(일명 이송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럭은 상부에 차단기 본체를 적재하고 차단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진공 회로차단기는 본체측 단자부와 크래들의 단자부가 접속된 운전위치(run position, 또는 일명 접속위치)와, 본체측 단자부와 크래들의 단자부는 분리되었으나 차단기 본체측에 제어전원은 접속되어 차단기 본체에 대한 정상 개폐여부에 대한 시험이 가능한 시험위치와, 본체측 단자부와 크래들의 단자부도 분리되고 제어전원도 분리되어 제어전원공급도 차단된 분리위치(disconnection position, 또는 일명 인출위치)를 가진다.
상기 운전위치는 상기 주 회로부의 진공인터럽터내 접점간 접촉 또는 개방 위치에 따른 회로 개폐 위치에 따라서 다시 투입 위치(circuit closing position, 일명 폐로 위치)와 차단 위치(circuit opening position, 일명 개방 위치)로 나눠질 수 있다.
이러한 진공 회로차단기가 현재 투입 위치에 있는 상태인지 또는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인지를 원방(원격지)에서 감시하기 위해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기계적 개폐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위치검출신호로서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가 요구된다.
또한 원방(원격지)에서는 직접 진공 회로차단기의 현재 투입 또는 차단의 개폐 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위치검출신호는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진공 회로차단기가 현재 투입 위치인지 차단 위치인지를 신뢰성 있게 제공하도록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부가하여 설치될 수 있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오동작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진공 회로차단기가 위치검출신호를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오동작 방지장치가 부설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상기 작용판의 제 2 판부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중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 판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측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지며 지지 베이스(SUPPORTING BASE)를 제공하는 크래들(CRADLE);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운전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로부터 분리되는 시험 위치 또는 분리 위치를 갖는 본체단자부와, 회로개폐용 진공인터럽터를 구비하여 회로를 폐로하는 투입위치와 회로를 개방하는 차단위치를 갖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를 적재하고 상기 크래들내에서 상기 운전위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로 이동가능한 트럭 어셈블리(TRUCK ASSEMBLY); 상기 트럭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단자부가 운전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에 따라서 수직이동 가능한 작동핀;을 가진 진공 회로차단기용으로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상기 작용판의 제 2 판부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상기 크래들중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상기 제 2 판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작동핀에 의해 밀려서 상기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는,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지지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스위치 작동판이 수평 이동하여 개폐 위치검출기를 오동작 방지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는, 상기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일단부와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므로, 상기 스위치 작동판의 초기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작용하는 다른 외력이 없으면, 상기 스위치 작동판이 자동적으로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는, 상기 스위치 작동판의 선단에 마련되며, 비스듬히 상향 절곡되게 연장형성되는 절곡 연장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스위치 작동판이 초기위치 즉, 개폐 위치검출기의 오동작 방지위치로 수평이동할 때 개폐 위치검출기의 대응부분을 절곡 연장부가 원활히 올라타면서 아래로 누르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끼워지는 일단부와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갖는 슬라이드 핀(SLIDE PIN)을 더 포함하므로, 스위치 작동판이 슬라이드 핀과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서 수평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는,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작용판의 제 2 판부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를 가지며,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2 판부가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 위치검출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는, 제 2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일단부와 스위치 작동판에 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스위치 작동판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므로,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스위치 작동판이 항상 개폐 위치검출기의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로 탄성가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는, 작용판의 제 1 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판부의 양측방으로 연장하게 설치되는 핀(PIN); 및 스위치 작동판의 선단에 마련되어, 제 2 판부가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핀을 통해서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핀을 해방하는 위치를 갖는 절곡 연장부;를 포함하므로, 절곡 연장부가 상기 핀을 원활하게 올라타면서 작용판을 아래로 누를 수 있고 따라서 작용판이 마이크로 스위치를 눌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는,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끼워지는 일단부와 스위치 작동판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갖는 슬라이드 핀을 더 포함하므로, 스위치 작동판이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는, 크래들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크래들중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진공 회로차단기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제 2 판부가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레버를 누르도록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작동핀에 의해 밀려서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어 원방(원격지)에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와 진공 회로차단기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를 오검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진공 회로차단기용 차단기 본체의 외형과 주요 구성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진공 회로차단기중 트럭 어셈블리와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트럭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작동핀 어셈블리의 구성을 별도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진공 회로차단기에 포함되는 크래들의 외형과 크래들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크래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대해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대한 종 단면도이며,
도 7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로부터 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분리하여 크래들내에 차단기 본체가 없는 분리 위치일 때, 크래들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분리 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의 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를 분리하였으나 제어전원은 차단기 본체에 공급되는 시험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시험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9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와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차단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진공 회로차단기 전체면에서 볼 때 운전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를 볼 때 차단 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0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와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투입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진공 회로차단기 전체면에서 볼 때 운전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를 볼 때 투입 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와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위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와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개폐 위치검출기와 오동작 방지장치를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와 오동작 방지장치와 트럭 어셈블리의 상관적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개폐 위치검출기와 오동작 방지장치와 트럭 어셈블리 및 작동핀 어셈블리의 상관 구성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5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를 분리하였으나 제어전원은 차단기 본체에 공급되는 시험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시험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6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와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차단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진공 회로차단기 전체면에서 볼 때 운전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가 차단 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7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부와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투입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이점쇄선 원내는 진공 회로차단기 전체면에서 볼 때 운전 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가 투입 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만을 별도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진공 회로차단기용 차단기 본체의 외형과 주요 구성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용 차단기 본체의 외형과 주요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진공 회로차단기용 차단기 본체(10)는 크게 구분하여 주 회로부(10a), 본체측 단자부(10b, 10c) 및 전면 조작부(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회로부(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상 교류의 상별로 마련되며, 진공용기내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구비된 회로개폐용 진공인터럽터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인터럽터는 본체측 단자부(10b, 10c) 및 크래들의 단자부(도 8의 부호 41a, 41b 참조)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측과 부하측간 전력 회로를 폐로하는 투입위치와 전력 회로를 개방하는 차단위치를 갖는다.
본체측 단자부(10b, 10c)는 상기 진공인터럽터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측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차단기 본체(10)의 단자부로서, 크래들의 단자부(도 8의 부호 41a, 41b 참조)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측 3상 회로와 부하측 3상 회로간 전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상 본체측 단자부(10b, 10c)는 단부에 각각 복수의 핑거 접촉자(finger contactor)를 갖는 전원측 3개 및 부하측 3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전면 조작부(10d)는 사용자가 진공 회로차단기는 개폐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button)과 표시부, 투입 스프링의 조작핸들등이 구비된 진공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부분이다.
차단기 본체(10)는 이외에도 주 회로부(10a)의 진공인터럽터중 가동접점을 개폐 위치로 구동하는 미도시의 개폐기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기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개폐구동을 위한 스프링 또는 전동 액튜에이터(electric actuator)의 구동원과 해당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 회로부(10a)의 진공인터럽터중 가동접점에 전달하는 복수의 링크(link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 어셈블리(30)상에 적재되어 트럭 어셈블리(30)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20)는 트럭 어셈블리(30)중 스핀들(도 2의 부호 31 참조)의 핸들접속단부(31a)를 지지하고 노출한다. 핸들접속단부(31a)에 미도시의 조작핸들을 접속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스핀들이 회전하면서 트럭 어셈블리(30)가 전후방향으로 구동된다.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20)는 후술하는 크래들에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바(supporting bar)(20a)를 길이방향 양단부 측방에 출몰가능하게 구비한다. 여기서 출몰가능하다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도 1에서 거더 어셈블리(20)에 포함되는 부호 미부여한 손잡이를 측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해당 손잡이에 접속된 지지 바(20a)가 거더 어셈블리(2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하거나 감춰지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지 바(20a)를 감춰진 위치로 작동시킨 상태에서 해당 손잡이를 앞으로 당기면 거더 어셈블리(20)와 거더 어셈블리(20)에 스핀들을 통해 접속된 트럭 어셈블리(30) 및 트럭 어셈블리(30)상에 적재된 차단기 본체(10)를 후술하는 크래들로부터 완전히 들어내어 분리되게 인출할 수 있다.
지지 바(20a)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크래들(40)의 전방측(단자부측이 후방측이고 반대측이 전방측)에 대응하게 마련되는 부호 미부여한 지지 구부(supporting hole portion)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진공 회로차단기중 트럭 어셈블리와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중 차단기 본체의 인입 및 인출 이동수단인 트럭 어셈블리(30)의 구성과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트럭 어셈블리(30)는 트럭(30a)과, 너트 어셈블리(nut assembly)(33)와, 작동핀 어셈블리(34)를 포함한다.
트럭(30a)은 일명 이송대차로도 불리며, 차단기 본체(10)를 상부에 적재하고 크래들(도 8의 부호 40)의 단자부(41a, 41b)측에 접근하는 인입방향 또는 크래들(도 8의 부호 40)의 단자부(41a, 41b)로부터 멀어져서 도 2의 거더 어셈블리(20)쪽으로 접근하는 인출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수단이다. 트럭(30a)은 구름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설치되고 양 측면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 4개의 바퀴(wheel)(32)가 구비된다. 바퀴(wheel)(32)는 도 4의 양 측벽(43)의 내벽면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44)에 끼워져 진행이 안내된다. 트럭(30a)의 내부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오동작 방지장치중 한 쌍의 절곡 연장부(도 14의 부호 73a 참조)의 관통 및 수평이동을 허용하도록, 트럭 어셈블리(30)의 트럭(30a)은 바닥면에 길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 절취구부(35)를 포함한다.
스핀들(31)은 트럭(30a)내로 연장하고 거더 어셈블리(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접속단부(31a)를 가진다. 스핀들(31)은 대부분의 표면에 나사면이 형성되고, 미도시의 핸들의 접속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트럭(30a)이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너트 어셈블리(33)는 트럭(30a)의 전면측에 고정되며 스핀들(31)의 상기 나사면과 맞물려 스핀들(31)의 상기 나사면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작동핀 어셈블리(34)는 트럭 어셈블리(30)중 트럭(30a)의 내부 일측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단이다.
작동핀 어셈블리(34)의 구성을 별도로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같이, 작동핀 어셈블리(34)는 작동핀(34a), 복귀스프링(34b) 및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34c)를 포함한다.
작동핀(34a)은 머리부와 원활한 승강이동을 위해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형의 하부를 갖는 금속재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단자부(10b, 10c)가 운전위치인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0)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에 따라서, 작동핀(34a)은 수직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핀(34a)의 승강 이동은 전술한 주 회로부(10a)와 접속되어 주 회로부(10a)의 가동접점의 개폐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도시의 개폐기구의 동력전달용 링크들중 어느 하나에 직접 접촉되거나 다른 동력전달수단 즉, 로드(rod), 레버(lever), 링크등을 상기 통해 차단기 본체(10)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에 따라서 작동핀(34a)을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작동핀(34a)을 해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지지 브래킷(34c)은 "U"자를 거꾸로 뒤집은 형태의 강판과 같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해당 강판의 하부 양측면은 각각 트럭(30a)의 바닥면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flange)부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34c)은 "U"자를 거꾸로 뒤집은 형태의 강판의 상면에 관통구(부호 미부여)를 구비하여 해당 관통구를 통해 작동핀(34a)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복귀스프링(34b)은 상단부가 작동핀(34a)의 상기 머리부에 지지되고 하단부가 지지 브래킷(34c)의 상면에 지지되어, 작동핀(34a)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한다.
한편, 진공 회로차단기에 포함되는 크래들의 외형과 크래들에 설치되는 개폐 위치검출기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크래들의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크래들의 개략적 구성과 크래들에 설치되는 개폐 위치검출기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래들(40)은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판(43), 기저부(lower base portion)(42) 및 상부 덮개부(top cover portion)(부호 미부여), 안내 레일(44) 및 단자부(41a, 4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컨대 철재 외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래들(40)은 차단기 본체(10)에게 지지 베이스(SUPPORTING BASE)를 제공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도 1에 도시된 본체측 단자부(10b, 10c)는 도 4에 도시된 크래 들(40)의 단자부(41a, 41b)와 접속되는 운전위치와 크래 들(40)의 단자부(41a, 41b)로부터 분리되는 시험 위치 또는 분리 위치를 갖는다.
특히 기저부(42)는 크래들(40)의 최하측 바닥면으로부터 미리결정된 높이만큼 이격설치되는 기판 및 기판과 상기 최하측 바닥면사이의 공간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부내에는 개폐 위치검출기(50)의 상부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대해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5와, 도 5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대한 종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는 크게 구분하여 제 1 지지 브래킷(58), 작용판(59) 및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지 브래킷(58)은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지지 브래킷(58)은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중 상술한 기저부(42)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제 1 지지 브래킷(58)은 하나의 상판(52)과, 상판(52)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53)을 갖는다.
상판(52)은 도 4의 기저부(42)의 상기 기판 저면에 볼트 너트와 같은 나사체결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판(52)은 제 1 안내관부(52a)와 제 2 안내관부(52b)를 포함한다.
제 1 안내관부(52a)는 상판(5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부가 개방된 관부로서, 후술하는 작용판(59)의 제 1 판부(51)중 폭이 좁은 하부가 승강할 때 해당 제 1 판부(51)중 폭이 좁은 하부를 안내한다. 또한 제 1 안내관부(52a)는 그 주위에 후술하는 복귀스프링(56)을 설치하여 그의 인장과 수축을 안내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하는 균형 연장부(51c)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제 2 안내관부(52b)는 상판(52)의 상면중 제 1 안내관부(52a)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연장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부가 개방된 관부로 구성된다.
한 쌍의 측판(53)은 상판(52)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각각 안내 슬릿(GUIDING SLIT)부(53a)를 구비한다. 한 쌍의 측판(53)과 상판(52)의 접속은 측판(53)의 상부에 접속용 플랜지(flange)부를 형성하고 해당 플랜지부와 상판(52)의 저면을 맞대어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작용판(59)은 제 1 판부(51)와 제 2 판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지지 브래킷(58)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판부(51)는 제 1 지지 브래킷(58)의 상판(5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게 위치한다. 제 1 판부(51)는 머리부와, 머리부보다 폭이 좁고 길게 양 측판(53)사이로 연장형성되는 하부를 포함하는 판으로 구성된다. 제 1 판부(51)는 머리부는 양 측면의 경사면(51a)과 두 경사면(51a)사이의 평면(51b)을 가진 개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부로 구성되며, 중심부에는 핀 홀(pin hole)(51e)을 가진다.
제 2 판부(54)는 제 1 지지 브래킷(58)의 양 측판(53)사이에 위치하는 작용판(59)의 부분으로서 제 1 판부(51)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다. 여기서 제 1 판부(51)와의 접속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판부(51)의 하부와 후술하는 제 2 판부(54)의 접속부(54a)를 볼트와 너트 및 와셔(washer)에 의해 접속함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제 2 판부(54)는 접속부(54a), 안내 슈(guide shoe)(54b), 절곡부(54c), 상부 안내돌부(54d)를 포함한다.
접속부(54a)는 제 2 판부(54)의 판면의 중앙 상부로부터 직립하게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판부(51)의 하부와 접속하기 위한 부분이다.
안내 슈(54b)는 작용판(59)중 제 2 판부(54)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고 측판(53)의 안내 슬릿부(53a)내로 삽입되어 작용판(59)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
절곡부(54c)는 제 2 판부(54)의 하부에 제 2 판부(54)의 판면으로부터 직각 전방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하강하면서 누르거나 상승하면서 해방한다.
상부 안내돌부(54d)는 제 2 판부(54)의 상부 양측면에 제 2 판부(54)의 판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각각 양 측판(53)상에서 원활한 제 2 판부(54)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계적 접촉에 의해 내부의 접점이 개방 또는 폐로됨으로써 전기적신호를 발출하는 수단으로서, 도 6에 가장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작용판(59)중 제 2 판부(54)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55a)를 가진다. 작동레버(55a)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선 단부에 회동에 의해 기계적 충격을 감쇄하기 위한 롤러(roller)가 구비된다.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제 1 지지 브래킷(58)의 측판(53)에 고정 설치되어 제 2 판부(54)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미도시의 내부 상기 기계적접점이 개폐되어 진공 회로차단기, 특히 차단기 본체(10)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다시 말해 개폐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한다.
부호 55b는 마이크로 스위치(55)를 측판(53)의 내벽면에 고정설치시키기 위한 고정나사를 지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40)로부터 차단기 본체(10)를 완전히 분리하여 크래들(40)내에 차단기 본체(10)가 없는 분리 위치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래들(40)내에 차단기 본체(10)가 없어 크래들(40)의 기저부(42)에 위치하는 개폐 위치검출기(50)의 제 1 판부(51)는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가압력을 받지 않으므로 복귀스프링(56)에 의해서 탄성 가 압력을 받아 상승하고 따라서 기저부(42)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서 제 1 판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해방하고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개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투입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오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40)의 단자 부(41a, 41b)로부터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10b, 10c)를 분리하였으나 미 도시한 차단기 본체(10)의 제어단자는 크래들(40)의 미 도시한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예컨대 직류전원으로서 제어전원이 차단기 본체(10)에 공급되어 차단기 본체(10)의 정상적 회로개폐여부의 시험이 가능한 시험 위치일 때, 크래들(40) 및 차단기 본체(10)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위치에서 트럭 어셈블리(30)가 제 1 판부(51)를 누름에 따라서 제 1 판부(51)는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서 하강하고 따라서 제 1 판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닫히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차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오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40)의 단자 부(41a, 41b)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10b, 10c)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10)의 동작위치가 차단 위치일 때, 크래들(40) 및 차단기 본체(10)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위치에서 크래 들(40)중 단자 부(41a, 41b)의 단자(41a-1, 41b-1)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10b, 10c)가 접속된다. 이때 차단기 본체(10)의 주 회로부(도 1의 부호 10a 참조)의 진공인터럽터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차단위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 회로부(10a)의 가동접점의 개폐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 도시의 개폐기구의 동력전달용 링크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접촉되거나 다른 동력전달수단 즉, 로드(rod), 레버(lever), 링크등을 상기 통해 작동핀 어셈블리(34)의 작동핀(34a)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작동핀(34a)이 하강한다. 따라서 하강하는 작동핀(34a)의 하부가 그의 하방에 위치한 개폐 위치검출기(50)중 제 1 판부(51)를 누름에 따라서 제 1 판부(51)는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서 하강하고 따라서 제 1 판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닫히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차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40)의 단자 부(41a, 41b)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10b, 10c)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10)의 동작위치가 투입 위치일 때, 크래들(40) 및 차단기 본체(10)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위치에서 크래 들(40)중 단자 부(41a, 41b)의 단자(41a-1, 41b-1)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10b, 10c)가 접속된다. 이때 차단기 본체(10)의 주 회로부(도 1의 부호 10a 참조)의 진공인터럽터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회로가 폐로된 투입위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 회로부(10a)의 가동접점의 개폐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 도시의 개폐기구의 동력전달용 링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동력전달수단 즉, 로드(rod), 레버(lever), 링크등이 작동핀 어셈블리(4)의 작동핀(34a)으로부터분리되고, 작동핀(34a)이 복귀스프링(34b)에 의해 탄성가압되어 상승한다. 따라서 상승하는 작동핀(34a)에 의해서 개폐 위치검출기(50)중 제 1 판부(51)는 해방되고 이에 제 1 판부(51)는 복귀스프링(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한다. 따라서, 제 1 판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부(54)도 상승하고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는 해방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열리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투입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50)는 운전위치에서는 정상 동작하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오동작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개폐 위치검출기(5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오동작 방지장치 및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를 다음과 같이 발명하였다.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70)는 크게 구분하여 제 2 지지 브래킷(71)과 스위치 작동판(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지지 브래킷(71)은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40)중 기저부(42)중 제 1 지지 브래킷(58)에 인접한 위치의 기저부(42)의 상부 기판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12 및 도 13 참조). 제 2 지지 브래킷(71)은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 부(SLIDE SLOT PORTION)(72a)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 판(72)을 포함한다. 제 2 지지 브래킷(71)은 스위치 작동 판(73)의 전후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전방이 개방된 한 쌍의 지지 측 판(72)과 후 판으로 구성된 상자형의 강체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스위치 작동 판(73)은 상부가 평평한 알파벳 "U"자를 거꾸로한 형상을 가진 판재로 구성되며 제 2 지지 브래킷(71)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 부(72a)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위치 작동 판(73)은 제 2 판 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도록 작용 판(59)을 누르는 위치와 작용 판(59)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하다. 특히, 상기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제 2 판 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도록 스위치 작동 판(73)은 작용 판(59)을 누르는 위치와, 작동 핀(34a)에 의해 밀려서 작용 판(59)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하다. 절곡 연장 부(73a)는 스위치 작동 판(73)의 선단에 비스듬히 상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게 마련된다.
상기 오동작 방지장치(70)는 제 2 지지 브래킷(71)에 지지되는 일 단 부와 스위치 작동 판(73)에 지지되는 타 단 부를 가지며, 스위치 작동 판(73)에 작용 판(59)을 누르는 위치인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스프링(7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동작 방지장치(70)는 제 2 지지 브래킷(71)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 부(72a)에 끼워지는 일 단 부와 스위치 작동 판(73)에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갖는 슬라이드 핀(SLIDE PIN)(74)을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 핀(74)과 스위치 작동 판(73)의 측면부와의 결합은 용접 또는 나사 및 너트 체결 등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용 오동작 방지장치 및 해당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개폐 위치검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용으로서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개폐위치검출기는 크게 구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지지 브래킷(58), 제 1 판 부(51)와 제 2 판 부(54)를 가진 작용판(59), 마이크로 스위치(55), 제 2 지지 브래킷(71) 및 스위치 작동판(73)을 포함한다.
이들의 상세구성은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에 대한 전술의 기재와 개폐위치검출기에 대한 전술한 기재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중복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추가적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개폐위치검출기에 있어서, 작용 판(59)의 제 1 판 부(51)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판 부(51)의 양측방으로 연장하게 설치되는 핀(PIN)(57)이 설치된다.
제 2 판 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레버(55a)를 누르도록, 절곡 연장 부는 핀(57)을 통해서 작용 판(59)을 누르는 위치와 핀(57)을 해방하는 위치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용으로서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개폐위치검출기의 동작을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위치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리위치에서 트럭 어셈블리(30)의 후퇴에 따라서 작동 핀(34a)이 제 1 판 부(51)를 누르지 않더라도, 복귀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이동된 스위치 작동 판(73)의 절곡 연장 부(73a)가 핀(57)을 누름에 따라서 제 1 판 부(51)는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가 압력에 의해서 하강하고 따라서 제 1 판 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 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닫힌 상태를 분리위치와 시험위치에서 동일하게 유지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차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지속 발출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지(원방)의 감시장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분리위치와 시험위치에서 모두 차단 위치를 나타내는 개폐검출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개폐상태를 오인하는 일이 방지된다.
다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차단 위치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회로차단기용으로서 오동작 방지장치를 부설한 개폐위치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6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위치에서 크래 들(40)중 단자 부(41a, 41b)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다. 이때, 스위치 작동 판(73)은 작동핀 어셈블리(34)에 의해 밀려 제 1 판 부(51)을 누르는 위치로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후퇴한다. 또한, 이때 차단기 본체(10)의 주 회로부(10a)의 미도시한 진공인터럽터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 차단위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 회로부(10a)의 가동접점의 개폐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 도시의 개폐기구의 동력전달용 링크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접촉되거나 다른 동력전달수단 즉, 로드(rod), 레버(lever), 링크 등을 상기 통해 작동핀 어셈블리(34)의 작동핀(34a)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작동핀(34a)이 하강한다. 따라서 하강하는 작동핀(34a)의 하부가 그의 하방에 위치한 개폐 위치검출기(50)중 제 1 판부(51)를 누름에 따라서 제 1 판부(51)는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서 하강하고 따라서 제 1 판 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 부(54)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를 누르게 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닫히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차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는 원격지(원방)의 감시장치에 전송되어 원격지에서도 진공 회로차단기를 직접 보지 않고서도 그 차단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7을 참조하여, 진공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의 단자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본체측 단자가 접속된 운전위치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동작위치가 투입 위치일 때,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위치검출기 및 오동작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위치에서 크래 들(40)중 단자 부(41a, 41b)와 차단기 본체(10)의 본체측 단자부가 접속된다. 이때, 스위치 작동 판(73)은 작동핀 어셈블리(34)에 의해 밀려 제 1 판 부(51)을 누르는 위치로부터 도면상 우측으로 후퇴한다. 또한, 이때 차단기 본체(10)의 주 회로부(10a)의 미 도시한 진공인터럽터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한 투입위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 회로부(10a)의 가동접점의 개폐위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 도시의 개폐기구의 동력전달용 링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동력전달수단 즉, 로드(rod), 레버(lever), 링크 등이 작동핀 어셈블리(34)의 작동핀(34a)을 해방한다.따라서 작동핀(34a)은 복귀스프링(34b)에 의해서 원위치로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개폐 위치검출기(50)중 제 1 판부(51)는 복귀스프링(56)의 탄성력에 밀려서 상승하고 따라서 제 1 판 부(51)와 접속된 하부의 제 2 판 부(54)도 상승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레버(55a)는 해방된다. 이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내부 접점이 열리면서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차단기 본체(10)가 현재 투입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는 원격지(원방)의 감시장치에 전송되어 원격지에서도 진공 회로차단기를 직접 보지 않고서도 그 투입상태를 인지하고 감시할 수 있게 된다.
10: 차단기 본체 10a: 주 회로부
10b, 10c: 본체측 단자부 10d: 전면 조작부
20: 거더 어셈블리 20a: 지지 바
30: 트럭 어셈블리 30a: 트럭
31: 스핀들 31a: 핸들접속단부
32: 바퀴 33: 너트 어셈블리
34: 작동핀 어셈블리 34a: 작동핀
34b: 복귀스프링 34c: 지지 브래킷
35: 수평 절취구부 40: 크래들
41a, 41b: 단자부 41a-1, 41b-1: 단자
42: 기저부(lower base portion)
43: 측판 44: 안내 레일
50: 개폐 위치검출기 51: 제 1 판부
51a: 경사면 51b: 평면
51c: 균형 연장부 51d: 하부 연장부
51e: 핀 홀(pin hole) 52: 상판
52a: 제 1 안내 관부 52b: 제 2 안내 관부
53: 측판 53a: 안내 슬릿부
54: 제 2 판부 54a: 안내 슈
54b: 절곡부 54c: 상부 안내돌부
55: 마이크로스위치 55a: 작동레버
55b: 고정나사 56: 복귀스프링
57: 핀 58: 제 1 지지 브래킷
59: 작용판
70: 오동작 방지장치
71: 제 2 지지 브래킷 72: 지지 측판
72a: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 73: 스위치 작동판
73a: 절곡 연장부 74: 슬라이드 핀
75: 복귀스프링 75a: 일단부
75b: 타단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상기 작용판의 제 2 판부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상기 진공 회로차단기중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 판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일단부와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판의 제 1 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판부의 양측방으로 연장하게 설치되는 핀(PIN); 및
    상기 스위치 작동판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판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2 판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핀을 통해서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핀을 해방하는 위치를 갖는 절곡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끼워지는 일단부와 상기 스위치 작동판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갖는 슬라이드 핀(SLIDE PI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9. 외부의 전원 및 부하측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지며 지지 베이스(SUPPORTING BASE)를 제공하는 크래들(CRADLE);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운전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단자부로부터 분리되는 시험 위치 또는 분리 위치를 갖는 본체단자부와, 회로개폐용 진공인터럽터를 구비하여 회로를 폐로하는 투입위치와 회로를 개방하는 차단위치를 갖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를 적재하고 상기 크래들내에서 상기 운전위치,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로 이동가능한 트럭 어셈블리(TRUCK ASSEMBLY); 상기 트럭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단자부가 운전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에 따라서 수직이동 가능한 작동핀;을 가진 진공 회로차단기용으로서,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중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하나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을 갖는 제 1 지지 브래킷(SUPPORTING BRACKET);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제 1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와 접속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며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의 양 측판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판부를 가진 작용판;
    기계적 접점 개폐구동력을 받기 위해서 상기 작용판의 제 2 판부의 승강궤적내로 연장하는 작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지지 브래킷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 판부의 누름여부에 따라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위치검출신호를 발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크래들의 기저부중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SLIDE SLOT PORTION)를 갖는 한 쌍의 지지 측판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브래킷;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의 수평 슬라이드 슬롯부에 의해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시험위치 또는 분리위치에서 상기 제 2 판부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레버를 누르도록 상기 작용판을 누르는 위치와, 상기 작동핀에 의해 밀려서 상기 작용판을 해방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가능한 스위치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20110056443A 2011-06-10 2011-06-10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122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43A KR101220855B1 (ko) 2011-06-10 2011-06-10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CN201210192105.2A CN102820165B (zh) 2011-06-10 2012-06-11 用于真空断路器的切换位置检测器
BR102012014096-9A BR102012014096B1 (pt) 2011-06-10 2012-06-11 detector de posição de comutação para disjuntor a vácuo e disjuntor a vácu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43A KR101220855B1 (ko) 2011-06-10 2011-06-10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10A KR20120137110A (ko) 2012-12-20
KR101220855B1 true KR101220855B1 (ko) 2013-01-10

Family

ID=4730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443A KR101220855B1 (ko) 2011-06-10 2011-06-10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20855B1 (ko)
CN (1) CN102820165B (ko)
BR (1) BR102012014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6100A (zh) * 2016-08-31 2016-12-07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触发机构及具有该触发机构的自动合闸装置
US20200099201A1 (en) * 2018-09-21 2020-03-26 Lsis Co., Ltd. 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KR20200044286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바이패스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3B1 (ko) * 2016-11-09 2018-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N110445017B (zh) * 2019-08-09 2023-08-01 深圳金奇辉电气有限公司 一体式交流电源输入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0Y1 (ko)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970B2 (en) * 2001-09-25 2003-09-16 Yazaki Corporation Lever fitting-type manual disconnector
KR100459480B1 (ko) * 2002-09-30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2620369Y (zh) * 2003-04-23 2004-06-09 李祥启 立体停车设备的提升限位开关
CN2847504Y (zh) * 2005-12-01 2006-12-13 李银忠 防误闭锁户外高压隔离开关
CN201289801Y (zh) * 2008-10-10 2009-08-12 施耐德电器工业公司 防开关手柄误操作机构及具有该机构的开关设备
KR101026293B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인/입출 위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0Y1 (ko)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6100A (zh) * 2016-08-31 2016-12-07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触发机构及具有该触发机构的自动合闸装置
CN106206100B (zh) * 2016-08-31 2022-01-18 湖北盛佳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触发机构及具有该触发机构的自动合闸装置
US20200099201A1 (en) * 2018-09-21 2020-03-26 Lsis Co., Ltd. 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CN110943391A (zh) * 2018-09-21 2020-03-31 Ls产电株式会社 高压配电箱
CN110943391B (zh) * 2018-09-21 2021-11-23 Ls产电株式会社 高压配电箱
US11349282B2 (en) 2018-09-21 2022-05-31 Ls Electric Co., Ltd. High voltage electric switchboard
KR20200044286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바이패스 스위치
KR102110759B1 (ko) * 2018-10-19 2020-05-14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바이패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2014096B1 (pt) 2021-06-08
BR102012014096A2 (pt) 2014-04-15
CN102820165B (zh) 2015-04-01
KR20120137110A (ko) 2012-12-20
CN102820165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855B1 (ko)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1106899B1 (ko)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201711B1 (ko) 진공 회로차단기용 위치 검출기
EP2339603B1 (en) Interlock apparatus of ground switch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01841134B (zh) 电开关装置
KR101026293B1 (ko) 회로 차단기의 인/입출 위치표시장치
US8173916B2 (en) Move-out type interlock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US8710390B2 (en) Interlock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2007336763A (ja) スイッチギア
EP2892069B1 (en) Interlocking apparatus of transfer switch
CN101770903B (zh) 用于断路器的位置指示装置
KR100972935B1 (ko) 기중차단기의 온(on)/오프(off) 상태 표시장치
KR101148797B1 (ko)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US9136076B2 (en) Mechanically operated cell switch of vacuum circuit breaker
CN110943391B (zh) 高压配电箱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US3437768A (en) Drawout switchgear optionally interlocked with an auxiliary switch
KR20130071183A (ko) 진공 차단기의 제어 전원 연동 록 장치
JP5538651B2 (ja) 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JP5594837B2 (ja) 引出し型切替開閉器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4947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JP2008125151A (ja) 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KR200438734Y1 (ko) 누전 차단기의 상부접점 승강 구조
CN202307604U (zh) 新型接地联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