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099B1 -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099B1
KR101570099B1 KR1020140009909A KR20140009909A KR101570099B1 KR 101570099 B1 KR101570099 B1 KR 101570099B1 KR 1020140009909 A KR1020140009909 A KR 1020140009909A KR 20140009909 A KR20140009909 A KR 20140009909A KR 101570099 B1 KR101570099 B1 KR 10157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contact plate
main body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378A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0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는, 스위치 블록과 스위치 레버 사이에 탄력적으로 높이가 가변되는 접점 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스위치 블록과 스위치 레버의 치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포지션 스위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가 접속불량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위치 본체들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추가된 접점 플레이트가 이웃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건너 해당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스위치 하우징을 2-포지션 스위치와 3-포지션 스위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포지션 스위치에 대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POSITION SWITCH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래들에서 이동하는 회로 차단기의 위치를 원방에서 전기적 신호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크게 고정형과 인출형으로 분류된다. 전자는 차단기 본체만 있어 배전반 판넬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이고, 후자는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CRADLE)이라는 외함이 있어 차단기 본체만 인/입출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인/입출 회로 차단기(이하, 회로 차단기로 약칭함)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다른 전기기기들과 함께 배전반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회로 차단기는 그 차단기 본체가 상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수납되는 위치에 따라 테스트 위치(Test Position)와 서비스 위치(Service Position)의 2 포지션 또는 차단 위치(Disconnected Position), 테스트 위치, 서비스 위치의 3 포지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기 본체의 모선터미널과 부하터미널이 크래들의 모선단자와 부하단자로부터 분리되어 회로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위치를 테스트 위치라고 하며, 상기 크래들의 단자들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위치를 서비스 위치 또는 운전 위치(Run Position)라고 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들이 크래들의 단자들과 분리되는 위치를 차단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회로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차단기 본체에서 주회로부를 이동시키는 대차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대차부에서 2-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단기 본체의 위치별 2-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로 차단기는 크게 크래들(1)과 차단기 본체(2)와, 대차(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크래들(1)은 차단기 본체(2)가 얹히는 수평측 프레임부(11)와, 상기 수평측 프레임부(11)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모선단자(13)와 부하단자(14)가 구비되는 수직측 프레임부(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측 프레임부(11)는 그 전방단, 즉 상기 차단기 본체(2)가 인입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2)의 위치별(테스트 위치, 운전 위치) 인터록을 위한 인터록 플레이트(15)가 설치되고, 그 인터록 플레이트(15)의 측면에는 후술할 포지션 스위치(31)가 동작되도록 하는 스위치 블록(17)(18)들, 즉 테스트용 스위치 블록(17)과 서비스용 스위치 블록(18)이 상기 차단기 본체(2)의 인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블록(17)(18)들은 차단기 본체(2)의 인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 즉 후술할 스위치 본체(35)(36)들 사이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2)는 전류통전부와, 절연부와, 소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류통전부는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 요소로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각각 갖는 모선터미널(21)과 부하터미널(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선터미널(21)과 부하터미널(22)은 상기 크래들(1)의 모선단자(13)와 부하단자(14)에 분리되어 테스트 위치를 갖거나 또는 접속되어 운전위치를 갖도록 상기 모선단자(13)와 부하단자(14)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는 에폭시 몰드 또는 비엠시(BMC) 수지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소호장치는 진공차단기의 접점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대차(3)는 도 2에서와 같이 회로 차단기의 접점을 개폐하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3)의 일측에는 상기 크래들(1)의 스위치 블록(17)(18)과 접촉되어 차단기 본체(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2-포지션 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종래의 포지션 스위치(30)는, 스위치 하우징(31)의 내부에 테스트용 스위치 본체(이하, 제1 본체)(32)와 서비스용 스위치 본체(이하, 제2 본체)(33)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본체(32)와 제2 본체(33)의 일측에는 그 본체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테스트용 스위치 레버(이하, 제1 레버)(34)와 서비스용 스위치 레버(이하, 제2 레버)(35)가 상기 본체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 하우징(31)에는 외력이 가해지면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상기 각 레버(34)(35)를 밀어 회전시키는 테스트용 접점 플레이트(이하, 제1 플레이트)(36)와 서비스용 접점 플레이트(이하, 제2 플레이트)(37)가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하우징(31)과 각각의 플레이트(36)(37) 사이에는 상기 스위치 블록(17)(18)에 의해 상승된 플레이트들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각 본체가 단락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8)(39)들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5b 및 15c는 위치 결정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2-포지션 스위치를 3-포지션 스위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스위치 본체와 접점 플레이트를 추가 장착하여야 하지만, 스위치 하우징(31) 등이 콤팩트하게 제작되어 스위치 본체와 접점 플레이트를 추가로 설치하기가 어려워 2-포지션 스위치를 3-포지션 스위치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에 따라 2-포지션 스위치와 3-포지션 스위치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포지션 스위치와 3-포지션 스위치를 동일한 규격의 스위치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본체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레버;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양단이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그 하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스위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 및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접점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접점 플레이트에 가세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접점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중에서 적어도 두 개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점 플레이트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포지션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점 플레이트 중에서 상기 스위치 레버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제1 접점 플레이트로, 가깝게 위치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제2 접점 플레이트라고 할 때,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를 건너 해당 스위치 레버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점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의 접점돌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점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는 3개의 스위치 본체로 이루어져 그 3개의 스위치 본체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는 3개의 접점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그 3개의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3개의 스위치 본체 일측에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3개의 접점 플레이트 중에서 상기 스위치 본체와 가장 인접한 접점 플레이트에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이, 가운데 접점 플레이트에는 한 개의 접점돌부와 한 개의 슬라이딩홈이, 가장 먼 접점 플레이트에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스위치 블록이 구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 본체;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얹혀져 그 차단기 본체를 상기 크래들에 수납시키며 일측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의 각 스위치 블록을 통과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포지션 스위치가 구비되는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는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지션 스위치의 각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스위치 블록에 의해 가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스위치 본체와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점 플레이트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에서 가까운 접점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슬라이딩홈이, 상기 스위치 본체에서 먼 접점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해당 스위치 본체에 결합된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도록 접점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는,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위치 본체들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추가된 접점 플레이트가 이웃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건너 해당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스위치 하우징을 2-포지션 스위치와 3-포지션 스위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포지션 스위치에 대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회로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차단기 본체에서 주회로부를 이동시키는 대차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대차부에서 2-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단기 본체의 위치별 2-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에서 각각의 접점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에 대한 차단기 본체의 위치별 스위칭 동작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 차단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아울러, 종래에는 2-포지션 스위치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2-포지션 스위치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스위치 하우징을 이용하여 3-포지션 스위치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본실시예에서는 3-포지션 스위치를 예로들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에서 각각의 접점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에 따른 3-포지션 스위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는, 상기 크래들(1)에 구비되는 차단용 스위치 블록(이하, 제1 스위치 블록)(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16)과 테스트용 스위치 블록(이하, 제2 스위치 블록)(17),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 블록(이하, 제3 스위치 블록)(18)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래들(1)에 구비된 각 스위치 블록들(16)(17)(18)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의 현위치를 파악하도록 대차(3)에는 3-포지션 스위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블록들(16)(17)(18)은 상기 크래들(1)의 수평측 프레임부(11)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층 프레임부(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블록들(16)(17)(18)은 상기 대차(3)의 이동방향(이하, 이동방향으로 약칭함)과 그에 수직방향(이하, 수직방향으로 약칭함)으로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이 상기 차단기 본체(2)에 대해 시간차를 두고 후술할 접점 플레이트들(113)(123)(133)을 가세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블록들(16)(17)(18)은 상기 접점 플레이트들(113)(123)(133)과 접촉되는 양쪽 측면, 즉 상기 이동방향의 양쪽 측면은 그 대차(3)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접점 플레이트들(113)(123)(133)이 접촉되면서도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1)의 수평측 프레임부(11)에는 상기 대차(3)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인터록 플레이트(15)가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15)에는 대차(3)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인터록 링크(미도시)가 상기 차단기 본체(2)의 차단 위치 또는 테스트 위치 또는 서비스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위치 결정홈(미도시)(15b)(15c), 즉 차단 위치 결정홈과 테스트용 위치 결정홈(15b), 그리고 서비스용 위치 결정홈(15c)이 이동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위치 결정홈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지션 스위치(100)는 스위치 하우징(101)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위치 블록들(16)(17)(18)들에 의해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들(110)(120)(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스위치는 3-포지션 스위치의 경우 차단용 스위치(110)와 테스트용 스위치(120),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은 상하 양측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스위치 하우징의 좌우 양측면에는 대차에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은 그 전후방향 양측면에 후술할 접점 플레이트들(113)(123)(133)의 가이드돌기들(113a)(123a)(133a)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가이드홈, 즉 차단용 가이드홈(103a)과 테스트용 가이드홈(103b), 그리고 서비스용 가이드홈(103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용 스위치(110)와 테스트용 스위치(120)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130)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9에서와 같이 차단용 스위치(110)와 테스트용 스위치(120)는 전후방향으로,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130)는 후술할 차단용 접점 플레이트(113)와 테스트용 접점 플레이트(1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용 스위치(110)와 테스트용 스위치(120)의 좌우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용 가이드홈(103a)과 테스트용 가이드홈(103b)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서비스용 가이드홈(103c)은 서비스용 스위치(130)의 좌우 폭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용 스위치(110)와 테스트용 스위치(120)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13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하에서는 차단용 스위치와 테스트용 스위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용 스위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단용 스위치(이하, 제1 스위치)(110)는 스위치 하우징(101)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차단용 스위치 본체(이하, 제1 스위치 본체)(111)와, 상기 제1 스위치 본체(11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차단용 스위치 레버(이하, 제1 스위치 레버)(112)와, 상기 제1 스위치 레버(112)를 선택적으로 밀어 회전시키는 차단용 접점 플레이트(이하, 제1 접점 플레이트)(113)와,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에 가세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제1 접점 플레이트(113)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차단용 복귀 스프링(이하, 제1 복귀 스프링)(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 본체(111)는 후술할 제2 스위치 본체(121)와 대차(3)의 이동방향, 즉 스위치 하우징(101)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 레버(112)는 제1 스위치 본체(111)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레버(112)의 끝단, 즉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와 접촉되는 하단에는 그 제1 접점 플레이트(113)에 의해 각각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차단용 접점용 롤러(이하, 제1 접점용 롤러)(1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는 그 하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즉 상기 제1 스위치 블록(16)을 통과할 때 눌려지면 상측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에 대해 미끄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는 도 6과 같이 대략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체로 형성되고, 그 전후 측면에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의 가이드홈들(103a)에 미끄러지게 결합되도록 가이드돌기들(11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는 그 하단이 상기 제1 스위치 블록(16)의 경사면 또는 곡면에 대응되도록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곡면지게 차단용 가이드면(이하, 제1 가이드면)(11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상단은 상기 제1 접점용 롤러(115)와 접선 방향으로 접촉되어 가세하도록 차단용 접점부(11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용 접점부(113c)는 제1 접점 플레이트(113)와 제2 접점 플레이트(123)가 근접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상단, 즉 차단용 접점부(113c)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접점돌부(123c)가 삽입되어 후술할 제2 스위치용 롤러(125)와 접촉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3d)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113d)은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가 제1 스위치 블록(16)에 걸려 최대로 상승하더라도 그 슬라이딩홈(113d)과 접점돌부(123c)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복귀 스프링(114)은 각각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은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는 반면 그 타단은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가이드돌기(113a)의 홈(113e)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스트용 스위치(제2 스위치)(120)는 스위치 하우징(101)의 내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테스트용 스위치 본체(이하, 제2 스위치 본체)(121)와, 상기 제2 스위치 본체(12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테스트용 스위치 레버(이하, 제2 스위치 레버)(122)와, 상기 제2 스위치 레버(122)를 선택적으로 밀어 회전시키는 테스트용 접점 플레이트(이하, 제2 접점 플레이트)(123)와,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123)에 가세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제2 접점 플레이트(123)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테스트용 복귀 스프링(이하, 제2 복귀 스프링)(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본체(121), 제2 스위치 레버(122), 제2 접점 플레이트(123), 제2 복귀 스프링(124)의 기본적인 형상은 전술한 제1 스위치 본체(111), 제1 스위치 레버(112), 제1 접점 플레이트(113), 제1 복귀 스프링(114)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경우는 그 제2 접점 플레이트가 제1 접점 플레이트(1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스위치 본체(121)의 반대쪽에 배치됨에 따라 제2 접점 플레이트(123)는 제1 접점 플레이트(113)를 건너 상기 제2 스위치 레버(122), 즉 제2 테스트 접점용 롤러(125)에 접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상단에는 제1 접점 플레이트(113)를 건널 수 있는 테스트용 접점돌부(이하, 접점돌부로 약칭함)(123c)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점돌부(123c)는 제2 스위치 레버(122)를 밀어 회전시켜야 하므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돌부(123c)는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슬라이딩홈(113d)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슬라이딩홈(113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23a는 가이드돌기, 123b는 가이드면, 123e는 스프링 걸이홈, 131은 서비스용 스위치 본체, 132는 서비스용 스위치 레버, 133은 서비스용 접점 플레이트, 134는 서비스용 복귀 스프링, 135는 서비스용 접점용 롤러, 131a는 가이드돌기, 131b는 가이드면, 131c는 접점부, 131e는 스프링 걸이홈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대한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작업자가 상기 차단기 본체(2)를 크래들(1)에서의 차단 위치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기 본체(2)에 구비된 인터록 링크(미도시)를 상측으로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대차(3)를 밀어 차단기 본체(2)가 차단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록 링크가 크래들(1)에 구비된 인터록 플레이트(15)의 차단용 위치 결정홈(미도시)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위치는 상기 차단기 본체(2)의 모선터미널(21)과 부하터미널(22)이 크래들(1)의 모선단자(13)와 부하단자(14)로부터 분리된 위치이다.
그러면, 도 10과 같이 상기 포지션 스위치(100)의 제1 접점 플레이트(113)가 상기 크래들(1)의 제1 스위치 블록(16)에 의해 들려져 그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상단이 상기 제1 스위치 레버(112)의 제1 접점용 롤러(115)와 접촉되고,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가 더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레버(112)가 약간 상승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1 스위치 본체(11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상단이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접점돌부(123c)와 간섭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상단에는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접점돌부(123c) 두께보다 깊게 슬라이딩홈(113d)이 형성됨에 따라 접점돌부(123c)가 슬라이딩홈(113d)에 미끄러져 제1 접점 플레이트(113)는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제1 스위치 본체(111)의 동작에 의해 크래들(1)의 내부에서 차단기 본체(2)가 차단 위치에 있슴을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차단기 본체(2)를 크래들(1)에서의 테스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인터록 링크(미도시)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제1 위치 결정홈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대차(3)를 밀어 인터록 링크가 인터록 플레이트(15)의 제2 위치 결정홈(15b)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위치는 상기 차단기 본체(2)의 모선터미널(21)과 부하터미널(22)이 크래들(1)의 모선단자(13)와 부하단자(14)로부터 분리된 위치로서 상기 차단기 본체(2)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포지션 스위치(100)의 제2 접점 플레이트(133)가 크래들(1)의 제2 스위치 블록(17)에 의해 들어 올려져 전술한 제1 접점 플레이트(113)의 경우와 같이 제2 스위치 레버(12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켜, 제2 스위치 본체(12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점점 플레이트(113)는 제1 복귀스프링(114)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슬라이딩홈(123c)에 삽입된 제2 접점 플레이트(123)의 접점돌부(123c)와는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테스트용 스위치 본체(121)의 동작에 의해 멀리에서도 크래들(1)의 내부에서 차단기 본체(2)가 테스트 위치에 있슴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2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차단기 본체(2)를 더 밀어 서비스 위치에 도달시키게 되면, 상기 제3 접점 플레이트(133)가 제3 스위치 블록(18)에 의해 들어 올려져 전술한 제1 접점 플레이트 또는 제2 접점 플레이트와 같이 제3 스위치 레버(1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3 스위치 본체(131)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점점 플레이트(113)와 제2 접점 플레이트(123)는 제1 복귀스프링(114)과 제2 복귀스프링(124)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서비스용 스위치 본체(131)의 동작에 의해 멀리에서도 크래들(1)의 내부에서 차단기 본체(2)가 운전 위치에 있슴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스위치 블록과 스위치 레버 사이에 탄력적으로 높이가 가변되는 접점 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스위치 블록과 스위치 레버의 치수관리가 다소 불량하더라도 이를 각각의 접점 플레이트가 보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기 본체에 구비되는 포지션 스위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가 접속불량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본체들 사이의 공간에 접점 플레이트를 추가 배치하고, 그 추가 배치된 접점 플레이트가 이웃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건너 해당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스위치 하우징을 2-포지션 스위치와 3-포지션 스위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포지션 스위치에 대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단용 스위치 본체와 테스트용 스위치 본체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비스용 스위치 본체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예를 살펴보았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3개의 스위치 본체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용 스위치 본체(제1 스위치 본체)(211)와 테스트용 스위치 본체(제2 스위치 본체)(221), 그리고 서비스용 스위치 본체(제3 스위치 본체)(231)가 전후방향(종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차단용 접점 플레이트(제1 접점 플레이트)(213)와 테스트용 접점 플레이트(제2 접점 플레이트)(223), 그리고 서비스용 접점 플레이트(제3 접점 플레이트)(233)가 상기 각 스위치 본체(211)(221)(231)의 좌우방향(횡방향) 일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223)의 상단에는 후술할 제1 접점돌부(233c)와 제2 접점돌부(233d)가 상하로 미끄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홈(213c)과 제2 슬라이딩홈(213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223)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213)의 제1 슬라이딩홈(213c)에 삽입되어 제2 스위치 본체(22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접점돌부(223c)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점돌부(223c)의 일측에는 제1 접점 플레이트(213)의 제2 슬라이딩홈(213d)과 대응하여 후술할 제3 접점 플레이트(233)의 제2 접점돌부(233c)가 상하로 미끄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슬라이딩홈(223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접점 플레이트(233)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223)의 제3 슬라이딩홈(223d)과 제1 접점 플레이트(213)의 제2 슬라이딩홈(213d)에 삽입되어 제3 스위치 본체(23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2 접점돌부(233c)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위치 본체(211)은 제1 접점 플레이트(213)의 상단, 즉 접점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그 동작과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스위치 하우징의 좌우방향 길이를 더욱 콤팩트하게 줄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 크래들 2 : 차단기 본체
3 : 대차 16,17,18 : 스위치 블록
100 : 포지션 스위치 101 : 스위치 하우징
110,120,130 : 차단용 스위치, 테스트용 스위치, 서비스용 스위치
111, 121,131 : 스위치 본체 112,122,132 : 스위치 레버
113,123,133 : 접점 플레이트 113c : 슬라이딩홈
123c : 접점돌부 133c : 접점부
114,124,134 : 탄성부재 115,125,135 : 접점용 롤러

Claims (7)

  1.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본체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복수 개의 스위치 레버;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양단이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그 하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스위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 및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접점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접점 플레이트에 가세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접점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중에서 적어도 두 개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점 플레이트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포지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점 플레이트 중에서 상기 스위치 레버로부터 가깝게 위치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제1 접점 플레이트로, 멀리 위치하는 접점 플레이트를 제2 접점 플레이트라고 할 때,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를 건너 해당 스위치 레버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접점돌부가 형성되는 포지션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의 접점돌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포지션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점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포지션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 본체는 3개의 스위치 본체로 이루어져 그 3개의 스위치 본체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접점 플레이트는 3개의 접점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그 3개의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3개의 스위치 본체 일측에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3개의 접점 플레이트 중에서 상기 스위치 본체와 가장 인접한 접점 플레이트에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이, 가운데 접점 플레이트에는 한 개의 접점돌부와 한 개의 슬라이딩홈이, 가장 먼 접점 플레이트에는 한 개의 접점돌부가 각각 형성되는 포지션 스위치.
  6.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스위치 블록이 구비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 본체;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얹혀져 그 차단기 본체를 상기 크래들에 수납시키며 일측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의 각 스위치 블록을 통과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포지션 스위치가 구비되는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스위치는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지션 스위치의 각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스위치 블록에 의해 가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삭제
KR1020140009909A 2014-01-27 2014-01-27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57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09A KR101570099B1 (ko) 2014-01-27 2014-01-27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09A KR101570099B1 (ko) 2014-01-27 2014-01-27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78A KR20150089378A (ko) 2015-08-05
KR101570099B1 true KR101570099B1 (ko) 2015-11-19

Family

ID=5388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09A KR101570099B1 (ko) 2014-01-27 2014-01-27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0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99B1 (ko)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99B1 (ko)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78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5146B (zh) 断路器
US20140029153A1 (en) Solid state switching device
US843184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evering assembly therefor
CN108281320B (zh) 用于气体绝缘开关设备的3路切断器与接地开关
CN101770903B (zh) 用于断路器的位置指示装置
KR101836563B1 (ko) 전기 설비용 중첩 보호 셔터 장치
CN103578817A (zh) 隔离开关与断路器的联锁装置
KR101466977B1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KR101893593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570099B1 (ko)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640712B1 (ko) 진공차단기
CN110914950B (zh) 用于中压开关设备的辅助/控制开关套件盒
CN110610832B (zh) 一种滑移式高压隔离开关
EP2691970B1 (en) Modular electrical switch
JP2009118567A (ja) 配電盤
US2929903A (en) Electrical switches or contactors
KR20180087745A (ko) 다중 레버를 가진 듀얼 모션 방식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US2179329A (en) Electrical apparatus
JP6062105B2 (ja) 真空遮断器
KR101605138B1 (ko) 단로기
Serve et al. Mastering all sub-assemblies of medium-voltage circuit-breaker and racking truck system ensures reliability and robustness
KR20180129738A (ko) 다중 레버를 가진 듀얼 모션 방식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570103B1 (ko) 전자접촉기
KR101689947B1 (ko) 정격식별을 위한 코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입출형 진공차단기
CN103681140A (zh) 开关,尤其是用于低压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