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86A - 바이패스 스위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286A
KR20200044286A KR1020180124825A KR20180124825A KR20200044286A KR 20200044286 A KR20200044286 A KR 20200044286A KR 1020180124825 A KR1020180124825 A KR 1020180124825A KR 20180124825 A KR20180124825 A KR 20180124825A KR 20200044286 A KR20200044286 A KR 2020004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switch
lever
rod
latch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759B1 (ko
Inventor
이승석
김윤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Priority to KR102018012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7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회로부의 일부 구간 또는 특정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류의 흐름을 바이패스 시켜 전체 시스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고 바이패스 된 구간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 전류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가동 접점이 투입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소형화된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수직 구조를 형성하고,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가동 접점의 동작 거리가 최소화되어 가동 접점의 투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태 검출 모듈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의 투입 및 개방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스위치{BYPASS SWITCH}
본 발명은 바이패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회로부의 일부 구간 또는 특정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류의 흐름을 바이패스 시켜 전체 시스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고 바이패스 된 구간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직류 송전용 컨버터의 경우 교류 전압과 직류 전류의 상호 변환을 위해 턴 오프(turn-off) 제어 가능한 전력용 반도체가 사용된다. 전력용 반도체의 내압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고전압 처리를 위해서는 전력용 반도체 회로를 갖는 다수의 반도체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종래의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는 전력용 반도체 회로가 2개의 출력단자를 형성하는 다수의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다수의 서브모듈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서브모듈은 에너지저장부와 다수의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및 환류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파워 반도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서브모듈에는 두 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MMC에서는 특정 서브모듈에 고장 발생 시 고장난 서브모듈은 단락이 된다. 이러한 단락에 의해 두 개의 접속단자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전류를 고장난 서브모듈로부터 바이패스시켜 다른 정상의 서브모듈에 의해 상 모듈이 정상 동작되도록 한다. 서브모듈의 단락을 위한 단락장치로서 두 접속단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스위치는 고장 발생시 수 millisecond 이내에 동작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정상적인 운전에서는 서브모듈의 전력용 반도체 회로를 통해 정상적인 전류가 통전되지만 특정 서브모듈의 고장 시 고장난 서브모듈은 바이패스 스위치에 의해 단락되어 상전류가 바이패스 스위치를 통해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상 모듈을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10)는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진공관(11)의 내부에서 고정로드(12a)에 고정접촉자(13) 및 가동로드(12b)에 가동접촉자(14)가 부설되며, 고정로드(12a)와 가동로드(12b)에는 서브모듈의 제1출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가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해,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4)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제1출력단자 및 제2출력단자가 연결 및 분리되고, 해당 서브모듈의 단락 및 그 해제가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진공관(11)의 내/외부 간의 압력 차에 의해 가동로드(12b)에 유지력(21)이 발생하여 가동접촉자(14)를 고정접촉자(13)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유지력(21)은 내부 금속벨로우즈(22)의 스프링 작용과 진공관(11)의 내/외부 간 기압차에 의해 지원된다. 유지력(21)에 의해 가동접촉자(14)가 고정접촉자(13)에 접촉됨으로써 서브모듈이 단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유지력(21)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23)이 필요하며, 반대의 힘(23)은 후단의 제어장치(30)에 의해 지원된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가동접촉볼트(12b)는 제어장치(30)의 코어접촉자(16)에 연결되고 코어접촉자(16)와 연자성 코어(17) 간에는 일정한 간격(19)이 존재한다. 정상 운전 시에는 코어(17)에 권선된 코일(18)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어(17)가 전자석으로 작용하여 코어접촉자(16)을 끌어당기고, 코어접촉자(17)에 연결된 가동접촉볼트(12b)가 연동되어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4)는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정접촉자(13)과 가동접촉자(14) 사이에는 공극(15)이 발생되어 단락 해제가 된다. 고장 발생 시에는 코일(18)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유지력(21)에 의해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4)는 다시 접촉되어 단락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경우 정상 운전 시에는 진공관(11)에서의 단락 해제를 위해 코일(18)에 계속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전력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버터가 정전 상태일 경우에는 코일(18)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없어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4)의 단락 해제가 불가능하며, 컨버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킬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관(11)의 내/외부 간의 압력 차에 의해 발생되는 유지력(21)을 이용하여 가동접촉자(14)를 고정접촉자(13)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 가동접촉자(14)가 유지력(21)에 의해 고정접촉자(13)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99234호(2016.03.03 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10-1496434호(2015.02.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 전류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가동 접점이 투입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소형화된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는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 투입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의해 고장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부 및 일측에 레버가 탈부착되고,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레버가 탈부착되며,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로드, 일측이 상기 레버 로드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로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래치 연결 로드, 상기 래치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투입 스프링이 구비되는 조작기 로드, 상기 래치의 타측이 고정되거나 이동되며, 상기 래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래치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 로드 고정부가 구비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 로드,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부여되면 자계가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와 상기 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에 의해 승강 및 하강하는 반발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류의 차단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 검출 모듈은 상기 레버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복귀 수단이 구비된 눌림판, 상기 눌림판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접점을 포함하는 제 1 단자, 상기 연결핀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접점을 포함하는 제 2 단자 및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 1 접점과 연결되면 상기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 2 접점과 연결되면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공통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수직 구조를 형성하고,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가동 접점의 동작 거리가 최소화되어 가동 접점의 투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태 검출 모듈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의 투입 및 개방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검출 모듈의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검출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스위치(10)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 및 가동 접점의 동작 거리를 최소화하여 가동 접점이 투입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 스위치(10)는 차단부(100), 작동부(200), 레버부(300) 및 상태 검출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00)는 작동부(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작동부(200)가 작동되어 내부에 구비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단락될 수 있다.
작동부(200)는 차단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단부(100) 내부에 구비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작동부(200)는 레버 로드(210), 래치(220), 래치 연결 로드(230), 조작기 로드(240), 회전 로드(250), 고정 로드(260), 코일(270), 반발판(280) 및 측판(29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로드(210)는 양단이 각각 측판(29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측판(29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양단 중 측판(290)을 관통한 측에 레버가 탈부착 될 수 있으며, 레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는 수동 레버일 수 있다.
래치(220)는 일측에 레버 로드(2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레버 로드(210)의 중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220)는 레버 로드(210)의 회전 또는 조작기 로드(2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래치 연결 로드(230)는 래치(220)의 중간부를 연결될 수 있으며, 래치(220)가 다수인 경우, 양단이 각 래치(220)의 중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래치 연결 로드(230)는 조작기 로드(240)에 구비된 관통홀(2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조작기 로드(240)의 관통홀(241)에 삽입되어 래치(220)에 의해 연결된 레버 로드(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조작기 로드(24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기 로드(240)는 래치 연결 로드(230)가 삽입되는 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구비된 투입 스프링(242)의 압축 및 인장 또는 레버 로드(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래치 연결 로드(23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조작기 로드(240)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레버 로드(21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래치 연결 로드(23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투입 스프링(242)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 때, 래치(220)가 래치홈(251)에 걸림으로써 투입 스프링(242)은 압축된 상태로, 조작기 로드(240)는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조작기 로드(240)는 하부에 구비된 투입 스프링(242)의 압축 및 인장 또는 레버 로드(21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조작기 로드(240) 상부에 구비된 절연 로드를 통해 차단부(100) 내부에 구비된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을 투입 및 개방시킬 수 있다.
회전 로드(250)는 양단이 측판(29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래치(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래치(220)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래치홈(2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로드(250)는 일측에 회전 로드(2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로드 고정부(2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로드 고정부(252)는 반발판(280)에 의해 회전 로드(2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로드 고정부(252)는 반발판(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고정 스프링(2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스프링(253)은 일단이 고정 로드(260)에 고정되며, 타단이 회전 로드 고정부(252)의 자유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되어 회전 로드 고정부(252)를 압박할 수 있다.
고정 로드(260)는 양단이 측판(29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 로드 고정부(252)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스프링(253)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코일(270)은 회전 로드 고정부(25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전류가 부여되면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전류가 부여되어 자계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반발판(280)을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으며, 반발판(280)이 승강하는 것에 의해 회전 로드 고정부(252)가 회전되고, 회전 로드 고정부(252)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래치(220)가 해제되어 조작기 로드(24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270)은 톰슨 코일(테슬러 코일)일 수 있다. 그러나 톰슨 코일로 한정하지 않고, 전류가 부여되면 자계가 형성되어 반발판(280)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대체할 수 있다.
반발판(280)은 코일(27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270)과 회전 로드 고정부(25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반발판(280)은 코일(270)에 전류가 부여되어 자계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승강하여 회전 로드 고정부(25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 로드 고정부(252)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회전 로드(250)가 회전되어 래치(220)가 해제될 수 있다.
측판(290)은 레버 로드(210), 회전 로드(250) 및 고정 로드(260)의 양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일측 외면에 상태 검출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300)는 작동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 상태 검출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300)는 일측에 레버가 결합될 수 있으며, 레버를 회전시켜 작동부(200)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태 검출 모듈(400)은 작동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류의 차단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태 검출 모듈(400)은 눌림판(410), 연결핀(420), 제 1 단자(430), 제 2 단자(440) 및 공통 단자(4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태 검출 모듈(400)은 드라이(Dry) 접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눌림판(410)은 레버의 회동 반경 내에서 레버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 눌림판 복귀 수단(411)이 구비될 수 있다. 눌림판 복귀 수단(411)은 레버의 회전에 의해 눌림판(410)에 압력이 가해지면 눌림판(410)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압축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눌림판(41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압축 상태에서 인장되는 힘에 의해 눌림판(410)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연결핀(420)은 눌림판(410)에 연결되어 눌림판(41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일측에 구비된 제 1 접점(431) 또는 타측에 구비된 제 2 접점(4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접점을 통해 단자로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제 1 단자(430)는 일단이 공통 단자(45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중간에 제 1 접점(43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접점(431)은 눌림판(4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온(ON)될 수 있으며, 제 1 접점(431)이 온(ON)되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430)와 공통 단자(450)는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제 2 단자(440)는 일단이 공통 단자(45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중간에 제 2 접점(4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접점(441)은 눌림판(410)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연결핀(420)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온(ON)될 수 있으며, 제 2 접점(441)이 온(ON)되는 것에 의해 제 2 단자(440)와 공통 단자(450)는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핀(4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 1 접점(431) 또는 제 2 접점(441)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430) 또는 제 2 단자(440)를 통해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설계자는 제 1 단자(430) 및 제 2 단자(44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바이패스 스위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이패스 스위치
100 : 차단부
200 : 작동부
210 : 레버 로드
220 : 래치
230 : 래치 연결 로드
240 : 조작기 로드
241 : 관통홀
242 : 투입 스프링
250 : 회전 로드
251 : 래치홈
252 : 회전 로드 고정부
253 : 고정 스프링
260 : 고정 로드
270 : 코일
280 : 반발판
290 : 측판
300 : 레버부
400 : 상태 검출 모듈
410 : 눌림판
411 : 눌림판 복귀 수단
420 : 연결핀
430 : 제 1 단자
431 : 제 1 접점
440 : 제 2 단자
441 : 제 2 접점
450 : 공통 단자

Claims (4)

  1.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 투입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의해 고장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부; 및
    일측에 레버가 탈부착되고,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레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레버가 탈부착되며, 상기 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로드,
    일측이 상기 레버 로드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로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래치 연결 로드,
    상기 래치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투입 스프링이 구비되는 조작기 로드,
    상기 래치의 타측이 고정되거나 이동되며, 상기 래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래치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 로드 고정부가 구비되는 회전 로드,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 로드,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류가 부여되면 자계가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회전 로드 고정부와 상기 코일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에 의해 승강 및 하강하는 반발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류의 차단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 모듈은
    상기 레버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복귀 수단이 구비된 눌림판,
    상기 눌림판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접점을 포함하는 제 1 단자,
    상기 연결핀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접점을 포함하는 제 2 단자 및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 1 접점과 연결되면 상기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 2 접점과 연결되면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공통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
KR1020180124825A 2018-10-19 2018-10-19 바이패스 스위치 KR10211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25A KR102110759B1 (ko) 2018-10-19 2018-10-19 바이패스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25A KR102110759B1 (ko) 2018-10-19 2018-10-19 바이패스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86A true KR20200044286A (ko) 2020-04-29
KR102110759B1 KR102110759B1 (ko) 2020-05-14

Family

ID=7046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825A KR102110759B1 (ko) 2018-10-19 2018-10-19 바이패스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7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55B1 (ko) * 2011-06-10 2013-0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1496434B1 (ko) 2013-03-21 2015-02-26 주식회사 효성 컨버터의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
JP5791847B1 (ja) * 2013-12-26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イパススイッチ
KR101599234B1 (ko) 2013-12-30 2016-03-03 주식회사 효성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칭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55B1 (ko) * 2011-06-10 2013-0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의 개폐 위치검출기
KR101496434B1 (ko) 2013-03-21 2015-02-26 주식회사 효성 컨버터의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
JP5791847B1 (ja) * 2013-12-26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イパススイッチ
KR101599234B1 (ko) 2013-12-30 2016-03-03 주식회사 효성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바이패스 스위칭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759B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6335B2 (en) High voltage DC relay
CN101118822B (zh) 使用在照明控制盒内的磁闩锁机构
CN1175456C (zh) 用于装有保险丝的开关的壳体
JP5554827B2 (ja) 電力を切り替えるためのモジュール回路構成およびこの目的のために設計されたアダプタ
EP3370244A1 (en) Electromagnetic operation device and electromagnetic operation-type switching apparatus
US6133812A (en) Switching relay with magnetically resettable actuator mechanism
KR102110759B1 (ko) 바이패스 스위치
KR102374581B1 (ko)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JP4060369B2 (ja) セーフティ・リレー
KR20180096420A (ko)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US5864109A (en) Terminal connection locking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10914950B (zh) 用于中压开关设备的辅助/控制开关套件盒
CA2643129C (en) Overcurrent switching apparatus
US4368443A (en) Power electric circuit switching device
EP3384511B1 (en) A disconnector device and arrangement for disconnecting a contactor
US7224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chanically interrupting and reconnecting circuits
CN214012775U (zh) 一种开关防误接线装置
JP2024037163A (ja) リレー装置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リレー装置を備えた安全スイッチ装置
JP7450831B1 (ja) 電力変換装置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EP4235727A1 (en) Latched electromechanical relay
KR200236333Y1 (ko) 레버 본체부와 케이블 소켓부의 분리가 용이한 레버형리미트 스위치
CN108306411B (zh) 电源切换装置
CN116453928A (zh) 射频电源控制系统和方法
US3386057A (en) Three-positio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