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220A -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220A
KR20190142220A KR1020190068550A KR20190068550A KR20190142220A KR 20190142220 A KR20190142220 A KR 20190142220A KR 1020190068550 A KR1020190068550 A KR 1020190068550A KR 20190068550 A KR20190068550 A KR 20190068550A KR 20190142220 A KR20190142220 A KR 2019014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ode
wire
disconnection
conveyance pat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아베
히로유키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화낙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낙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화낙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4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23H7/16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for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by altering machining parameters using adaptiv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4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6Control of the travel curve of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electrode and workpiece
    • B23H7/065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23H7/20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for programme-control, e.g. adap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23H7/32Maintaining desired spacing between electrode and workpiece, e.g. by mean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500/00Holding and positioning of tool electrodes
    • B23H2500/20Methods or devices for detecting wire or workpiec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2600/00Machining conditions
    • B23H2600/10Switching of machining conditions during 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와이어 전극 (12) 과 가공 대상물 (W)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가공 대상물 (W) 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부 (34) 와,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74) 와, 단선 위치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부 (78)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MACHINING CONDITION ADJUSTMENT METHOD}
본 발명은, 가공 조건을 조정하여 가공 대상물에 대해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그 가공 조건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를 사용한 가공 기술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의 단선의 횟수가 소정 횟수보다 많아졌을 경우에, 가공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단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1-310822호).
와이어 전극의 단선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부품의 마모나 와이어 주행계의 일시적인 외란 등, 가공 조건의 조정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불필요한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한 경우에는, 가공 속도의 저하 등에 의해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가공 조건의 불필요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와이어 전극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상기 와이어 전극과 가공 대상물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부와,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와,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와이어 전극을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상기 와이어 전극과 가공 대상물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에 의해 실행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 스텝과,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스텝과,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조건의 불필요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과 가공 대상물 (W) 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 (극간이라고도 기재한다) 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가공 대상물 (W) 에 대해 가공 (방전 가공이라고도 기재한다) 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이다.
와이어 전극 (12) 의 재질은, 예를 들어, 텅스텐계, 구리 합금계, 황동계 등의 금속 재료이다. 한편, 가공 대상물 (W) 의 재질은, 예를 들어, 철계 재료 또는 초경 재료 등의 금속 재료이다. 또한, 가공 대상물 (W) 은, 와이어 전극 (12) 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시를 생략한 테이블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블은, 제어 장치 (18) 가 도시를 생략한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이동한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을 소정의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하는 반송 기구 (14) (반송 장치) 를 구비한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또한, 와이어 전극 (12) 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부 (단선 검출부) (34) 와,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검출하기 위한 선단 검출 전극 (38) 과,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8) 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 (14)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와이어 보빈 (40) 과, 가이드 롤러 (42, 44) 와, 브레이크 롤러 (46) 와, 가이드 롤러 (48) 와, 상측 파이프 (50) 와, 상측 와이어 가이드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와, 하측 파이프 (56) 와, 핀치 롤러 (58) 와, 피드 롤러 (60) 등을 구비한다.
반송 기구 (14) 는, 와이어 전극 (12) 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 장치 (18) 의 제어하, 와이어 전극 (12) 을 자동적으로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하는 결선 처리를 실행한다. 결선 처리란, 와이어 보빈 (40) 에 감겨진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하고,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가공 대상물 (W) 및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등에 통과시키고, 핀치 롤러 (58) 및 피드 롤러 (60) 에 의해 협지시키는 처리이다. 와이어 전극 (12) 이 결선되면, 와이어 전극 (12) 에는 소정의 장력이 부여된다.
반송 기구 (14) 는, 또, 결선 후의 와이어 전극 (12) 을, 예를 들어 방전 가공 중에,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한다. 이하, 반송 경로 (C) 를 따라,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보빈 (40) 에는, 장척인 와이어 전극 (12) 이 감겨져 있고, 와이어 보빈 (40) 으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 (12) 은, 가이드 롤러 (42, 44), 브레이크 롤러 (46) 및 가이드 롤러 (48) 에 걸쳐진 후, 상측 파이프 (50) 로 이송된다. 상측 파이프 (50)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상측 파이프 (50) 의 삽입 통과공 (50a) 내를 통과하여 하류측 (하방) 으로 진행되고,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사이에 위치하는 가공 대상물 (W) 의 가공 개시공 (Wh) 또는 가공 홈 (Wg) 을 통과하여,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를 향하여 하류측 (하방) 으로 이송된다.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로 이송된 와이어 전극 (12) 은, 하측 파이프 (56) 의 삽입 통과공 (56a) 내를 통과한 후, 와이어 전극 (12) 을 협지하는 핀치 롤러 (58) 및 피드 롤러 (60) 에 의해 회수된다.
와이어 보빈 (40) 은, 제어 장치 (18) 의 제어하에서 구동하는, 인코더 (EC1) 를 갖는 모터 (M1)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모터 (M1) 는,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 있어서, 제어 장치 (18) 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와이어 보빈 (40) 을 회전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게 한다. 인코더 (EC1) 는 모터 (M1) 의 회전 위치를 측정한다.
가이드 롤러 (42, 44) 는, 와이어 보빈 (40) 으로부터 송출된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방향을 변화시켜 브레이크 롤러 (46) 를 향하여 안내한다.
브레이크 롤러 (46) 는, 제어 장치 (18) 의 제어하에서 구동하는, 인코더 (EC2) 를 갖는 모터 (M2)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이 브레이크 롤러 (46) 에 부여되는 토크를 바꿈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롤러 (46) 는, 반송되어 온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방향을 변화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롤러 (46) 는,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와이어 전극 (12) 을 하측 방향으로 송출한다. 또, 브레이크 롤러 (46) 는, 와이어 전극 (12) 에 대해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부여하고, 와이어 전극 (12) 을 미끄러짐없이 이동시킨다. 이로써,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브레이크 롤러 (46) 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와이어 전극 (12) 의 송출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모터 (M2) 는,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 있어서, 제어 장치 (18) 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와이어 보빈 (40) 을 회전시켜, 와이어 전극 (12) 을 되감게 한다. 인코더 (EC2) 는 모터 (M2) 의 회전 위치를 측정한다.
장력 검출부 (34)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브레이크 롤러 (46) 와 가이드 롤러 (48) 사이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의 장력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장력 검출부 (34) 는, 와이어 전극 (12) 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 와이어 전극 (12) 에 부과된 장력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단선 검출부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하, 장력 검출부 (34) 를 단선 검출부라고도 기재한다.
가이드 롤러 (48) 는, 브레이크 롤러 (46) 로부터 송출된 와이어 전극 (12) 을 상측 파이프 (50) 의 삽입 통과공 (50a) 으로 유도한다.
선단 검출 전극 (38) 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상측 파이프 (50) 와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 검출 전극 (38) 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에 의한 선단 부분을 검출한다. 선단 검출 전극 (38) 은, 장력 검출부 (34) 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 장치 (18) 에 의한 제어하,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 가능해지도록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단 검출 전극 (38) 은,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방전 가공 중에는 반송 경로 (C) 로부터 떨어진 퇴피 위치에 있고, 단선의 검출에 의해 반송 경로 (C) 와 접하는 위치 또는 교차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선단 검출 전극 (38) 은, 이동한 위치에 와이어 전극 (12) 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당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한다.
선단 검출 전극 (38) 은, 도시를 생략한 전압 센서와 전원부에 접속되어 있다.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 선단 검출 전극 (38) 의 전압은 당해 전원부의 전압과 동등한 채이고,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면, 선단 검출 전극 (38) 과 와이어 전극 (12)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선단 검출 전극 (38) 의 전압은 당해 전원부의 전압과는 상이한 값이 된다.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이 선단 검출 전극 (38) 과 접촉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시에 있어서, 반송 경로 (C) 의 측으로 이동한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한 경우이고, 그 후, 와이어 전극 (12) 이 되감겨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지 않게 될 때에,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의 검출이 이루어진다.
상측 파이프 (50)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 (48) 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삽입 통과공 (50a) 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전극 (12) 이 삽입 통과공 (50a)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측 파이프 (50) 는,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하류로 안내한다.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는, 반송 경로 (C) 상에 있어서, 선단 검출 전극 (38) 으로부터 하류측, 또한 가공 대상물 (W) 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및 지지를 실시한다.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공 대상물 (W) 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와 마찬가지로,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및 지지를 실시한다.
하측 파이프 (56)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와이어 전극 (12) 을 통과하는 삽입 통과공 (56a)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측 파이프 (56) 는,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로부터 송출된 와이어 전극 (12) 을, 수평 방향으로, 핀치 롤러 (58) 및 피드 롤러 (60) 로 송출한다.
핀치 롤러 (58) 및 피드 롤러 (60)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하측 파이프 (56) 의 하류측의 측방에 형성된다. 핀치 롤러 (58) 및 피드 롤러 (60) 는, 사용이 완료된 와이어 전극 (12) 을 사이에 두고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으로 당긴다. 당겨진 와이어 전극 (12) 은, 도시되지 않은 회수부에 회수된다. 피드 롤러 (60) 는, 제어 장치 (18) 의 제어하에서 구동하는 모터 (M3) 로부터 부여된 토크에 의해 회전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 (18) 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 (18) 는,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전극 제어부 (72), 위치 산출부 (74), 기억부 (76) 및 조정부 (78) 등을 구비한다. 제어 장치 (18) 는, 예를 들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 ROM (Read Only Memory) 나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 각종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는, 기억부 (76) 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취득한 정보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를 사용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위치 산출부 (74) 로서 기능한다. 또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 등을 사용하여 처리를 실행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함으로써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전극 제어부 (72) 및 조정부 (78) 로서 기능한다.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는, 가공 중에, 와이어 전극 (12) 이 반송 경로 (C) 를 따라 일정한 장력이 부가되면서 반송되도록, 모터 (M1 ∼ M3) 를 구동시킨다. 한편,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는, 가공 중에 있어서의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시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위치 (단선 위치라고도 기재한다) 로부터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감고, 하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모터 (M1 ∼ M3) 의 각각을 구동시킨다.
전극 제어부 (72) 는, 선단 검출 전극 (38) 의 동작을 제어하여, 장력 검출부 (34) 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한 경우에는,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위치 산출부 (74) 는, 장력 검출부 (34) 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고,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을 검출한 경우에,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 개시 시점부터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동안에, 인코더 (EC1) 와 인코더 (EC2) 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펄스를 취득한다. 펄스는, 모터 (M1) 또는 모터 (M2) 의 회전 위치에 일정한 변화가 있을 때마다 인코더 (EC1 또는 EC2) 로부터 출력된다. 위치 산출부 (74) 는, 이 펄스를 카운트한다.
위치 산출부 (74) 는, 인코더 (EC1) 와 인코더 (EC2) 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취득한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을 산출한다. 위치 산출부 (74) 는,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으로부터,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 위치를 도출한다. 단선 위치는, 선단 검출 전극 (38) 으로부터, 반송 경로 (C) 를 따라,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의 분만큼 하류의 위치가 된다. 그 때문에,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을 산출함으로써, 선단 검출 전극 (38) 을 기점으로 한, 반송 경로 (C) 를 따른 단선 위치가 산출된다.
기억부 (76) 는, 가공 조건에 대해 기억한다. 가공 조건은, 방전 가공의 가공 조건이고,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과, 서보 전압과, 가공 대상물 (W) 의 이송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이란, 극간에 대해 전압의 인가를 종료하고 나서 다음으로 전압을 인가할 때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또, 서보 전압이란, 가공 중의 방전 간극이 일정해지도록 와이어 전극 (12) 을 진행시켜 나가기 위한 기준 전압을 가리킨다. 또한, 방전 간극이란, 전압 펄스를 인가하고 나서 방전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가리킨다. 또 가공 대상물 (W) 의 이송 속도란, 와이어 전극 (12) 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 (W) 의 와이어 전극 (12)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를 가리킨다. 기억부 (76) 는, 또,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의 범위를 기억한다. 소정 구간은, 예를 들어,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사이의 구간을 가리킨다.
조정부 (78) 는, 방전 가공시에, 가공 조건을, 미리 기억부 (76) 에 있어서 정해져 있는 가공 조건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에 있어서의 방전 가공의 실행 중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로서,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이 단선은 가공 조건에서 기인되는 것이라고 추측되기 때문에, 조정부 (78) 는, 가공 조건을 변경한다. 가공 조건에서 기인하여 발생하는 단선은, 방전 에너지가 지나치게 높은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조정부 (78) 는, 발생하는 방전 에너지를 낮게 하도록 가공 조건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 (78) 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부를 제어하여, 단선의 검출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을 연장하는 처리와 서보 전압을 높게 하는 처리와 가공 대상물 (W) 의 이송 속도를 낮게 하는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한다.
조정부 (78) 는,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에 있어서의 방전 가공의 실행 중에 단선이 생기지 않는 경우나, 단선이 생겨도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공 조건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는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스텝 S1 에 있어서의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한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에 의한 방전 가공의 실행 중에, 장력 검출부 (단선 검출부) (34) 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면 (스텝 S2 : 예),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의 처리는 스텝 S3 으로 이행한다. 장력 검출부 (34) 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스텝 S2 : 아니오), 계속해서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한 가공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
스텝 S3 에 있어서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가공 처리를 정지한다. 이 때에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는, 모터 (M1 ∼ M3) 를 제어하여 정지시키고,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방향으로의 송출 처리의 정지를 실시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 에 계속해서, 전극 제어부 (72) 는, 선단 검출 전극 (38) 을 제어하여,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스텝 S4). 스텝 S5 에 있어서, 위치 산출부 (74) 는, 인코더 (EC1) 또는 인코더 (EC2) 로부터의 펄스를 계측하는 카운터의 값을 0 으로 한다.
스텝 S6 에 있어서,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는, 모터 (M3) 등을 제어하여,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단선 위치로부터 하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을 권취시켜, 회수부에 회수시킴으로써 제거한다. 하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제거 (스텝 S6) 후에 있어서,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 (스텝 S7 : 예), 모터군 구동 제어부 (70) 는, 모터 (M1) 와 모터 (M2) 를 제어하여, 와이어 전극 (12) 을 일정한 길이 α 만큼 되감게 한다 (스텝 S8).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와이어 전극 (12) 의 일정한 길이 α 는, 인코더 (EC1) 또는 인코더 (EC2) 로부터 1 개의 펄스가 출력되는 길이로 한다.
단선 위치로부터 하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제거 (스텝 S6) 후에 있어서,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스텝 S7 : 아니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한 처리는, 스텝 S13 으로 이행한다.
스텝 S8 의 처리 후에 있어서,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 (스텝 S9 : 예), 스텝 S8 의 처리와 스텝 S9 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9 에 있어서 선단 검출 전극 (38) 이 와이어 전극 (12) 의 접촉을 검출하지 않게 된 경우 (스텝 S9 : 아니오), 위치 산출부 (74) 는, 인코더 (EC1) 또는 인코더 (EC2) 로부터 취득한 펄스의 수와, 일정한 길이 α 를 곱하고,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량을 산출하여 단선 위치를 산출한다 (스텝 S10).
조정부 (78) 는, 스텝 S10 에 있어서 산출된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11).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 (스텝 S11 : 예), 조정부 (78)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공 조건을 변경한다 (스텝 S12). 스텝 S12 의 처리 후,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스텝 S13 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없는 경우 (스텝 S11 : 아니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스텝 S13 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3 에 있어서, 결선 처리와 이것에 수반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결선 처리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한 자동 결선 처리이지만, 필요에 따라 오퍼레이터의 수동에 의한 처리여도 된다.
스텝 S13 의 처리 후,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가공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에 있어서 가공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로서, 단선 위치가 가공 대상물 (W) 을 포함하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 (54) 사이의 구간 (소정 구간) 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고,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없는 경우에는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로써, 가공 조건에서 기인한다고 추측되는 단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조건에서 기인하지 않는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가공 조건의 조정에 의한 효율 저하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로부터 얻어지는 기술적 사상]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제 1 기술적 사상>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와이어 전극 (12) 과 가공 대상물 (W)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가공 대상물 (W) 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부 (34) 와,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74) 와, 단선 위치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부 (78) 를 구비한다.
이로써, 가공 조건의 불필요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있어서, 소정 구간에는 가공 대상물 (W) 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로써, 방전 가공의 가공 조건이 원인이 되는 단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공 대상물 (W) 보다 상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지지하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공 대상물 (W) 보다 하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지지하는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를 추가로 구비해도 되고, 소정 구간은,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사이에 있어서의 구간이어도 된다. 이로써, 방전 가공의 가공 조건이 원인이 되는 단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감는 반송 장치 (14) 와, 가공 대상물 (W) 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검출하는 선단 검출부 (38) 를 추가로 구비하고, 위치 산출부 (74) 는, 단선시에 있어서, 반송 장치 (14) 에 의한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의 개시 시점부터, 선단 검출부 (38) 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검출되는 시점까지 되감긴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 위치를 산출해도 된다. 이로써,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선단 검출부 (38) 보다 상류측에서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산출 처리를 생략할 수 있음과 함께, 정확하게 단선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가공 조건에는,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과 서보 전압과 가공 대상물 (W) 의 이송 속도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조정부 (78) 는,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단선이 발생하기 전에 비하여,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을 연장하는 처리와 서보 전압을 상승시키는 처리와 가공 대상물 (W) 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해도 된다. 이로써, 단선 수복 후의 재가공 처리시에, 단선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기술적 사상>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와이어 전극 (12) 과 가공 대상물 (W)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가공 대상물 (W) 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해 실행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은,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 스텝과, 와이어 전극 (12) 의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스텝과, 단선 위치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 스텝을 포함한다.
이로써, 가공 조건의 불필요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가공 조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 구간에는 가공 대상물 (W) 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로써, 방전 가공이 원인이 되는 단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는,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공 대상물 (W) 보다 상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지지하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가공 대상물 (W) 보다 하류측에 형성되고 와이어 전극 (12) 을 지지하는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를 추가로 구비해도 되고, 가공 조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 구간은,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사이에 있어서의 구간이어도 된다. 이로써, 방전 가공이 원인이 되는 단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가공 조건 조정 방법은,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와이어 전극 (12) 이 단선된 경우에 반송 경로 (C) 에 있어서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감는 반송 스텝과, 가공 대상물 (W) 의 상류측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을 검출하는 선단 검출 스텝을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위치 산출 스텝은, 단선시에 있어서, 반송 스텝에 의한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되감기의 개시 시점부터, 선단 검출 스텝에 의해 와이어 전극 (12) 의 선단이 검출되는 시점까지 되감긴 상류측의 와이어 전극 (12) 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와이어 전극 (12) 의 단선 위치를 산출해도 된다. 이로써, 정확하게 단선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가공 조건 조정 방법에 있어서, 가공 조건에는,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과 서보 전압과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조정 스텝은, 단선 위치가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단선이 발생하기 전에 비하여,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을 연장하는 처리와 서보 전압을 상승시키는 처리와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해도 된다. 이로써, 단선 수복 후의 재가공 처리시에, 단선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상기 와이어 전극과 가공 대상물 (W)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부 (34) 와,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74) 와,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부 (78) 를 구비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간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포함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보다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을 지지하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보다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을 지지하는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정 구간은, 상기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와 상기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사이에 있어서의 구간인 와이어 방전 가공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전극이 단선된 경우에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을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감는 반송 장치 (14) 와,
    상기 가공 대상물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선단을 검출하는 선단 검출부 (38)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위치 산출부는,
    단선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되감기의 개시 시점부터, 상기 선단 검출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검출되는 시점까지 되감긴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조건에는,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과 서보 전압과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선이 발생하기 전에 비하여, 상기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을 연장하는 처리와 상기 서보 전압을 상승시키는 처리와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6. 와이어 전극 (12) 을 반송 경로 (C) 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가공 조건으로, 상기 와이어 전극과 가공 대상물 (W)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을 발생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에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 (10) 에 의해 실행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 검출 스텝과,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스텝과,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공 조건의 조정을 실시하는 조정 스텝을 포함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간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포함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보다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을 지지하는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 (52) 와,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보다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을 지지하는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54)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정 구간은, 상기 상측 와이어 가이드부와 상기 하측 와이어 가이드부 사이에 있어서의 구간인 가공 조건 조정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 전극이 단선된 경우에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을 반송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감는 반송 스텝과,
    상기 가공 대상물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선단을 검출하는 선단 검출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치 산출 스텝은,
    단선시에 있어서, 상기 반송 스텝에 의한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되감기의 개시 시점부터, 상기 선단 검출 스텝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검출되는 시점까지 되감긴 상류측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전극의 상기 단선 위치를 산출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조건에는,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과 서보 전압과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조정 스텝은, 상기 단선 위치가 상기 소정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선이 발생하기 전에 비하여, 상기 전압 펄스의 휴지 시간을 연장하는 처리와 상기 서보 전압을 상승시키는 처리와 상기 가공 대상물의 이송 속도를 저하시키는 처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가공 조건 조정 방법.
KR1020190068550A 2018-06-15 2019-06-11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 KR20190142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4315 2018-06-15
JP2018114315A JP6760997B2 (ja) 2018-06-15 2018-06-15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加工条件調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20A true KR20190142220A (ko) 2019-12-26

Family

ID=6685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550A KR20190142220A (ko) 2018-06-15 2019-06-11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33975B2 (ko)
EP (1) EP3581311A1 (ko)
JP (1) JP6760997B2 (ko)
KR (1) KR20190142220A (ko)
CN (1) CN110605443B (ko)
TW (1) TWI7349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9226A1 (en) * 2021-02-26 2024-01-03 Fanuc Corporation Wire-breakage position estimation device and wire-breakage position estim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885B2 (ja) * 1988-03-18 1994-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2573514B2 (ja) * 1988-05-11 1997-01-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断線位置検出装置
JPH01310822A (ja) 1988-06-08 1989-12-14 Sodick Co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方法
CN1216710C (zh) * 2001-01-16 2005-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线电极放电加工装置的线电极自动供丝装置
JP2003103418A (ja) * 2001-09-28 2003-04-08 Brother Ind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方法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機制御用プログラム
CN101257991B (zh) * 2006-10-19 2010-05-19 三菱电机株式会社 线电极放电加工装置的电源电路
US20090101627A1 (en) * 2007-10-18 2009-04-23 Fanuc Ltd Electric discharge machine having wire electrode cutting function, and wire electrode cutting method
JP4904405B2 (ja) * 2010-01-04 2012-03-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における断線修復装置
WO2011089648A1 (ja) * 2010-01-22 2011-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これを用いたワイヤ放電加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5199440B1 (ja) 2011-11-04 2013-05-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放電加工機の加工条件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2083A (zh) 2020-04-01
JP6760997B2 (ja) 2020-09-23
TWI734994B (zh) 2021-08-01
CN110605443B (zh) 2022-12-27
JP2019217559A (ja) 2019-12-26
EP3581311A1 (en) 2019-12-18
US11033975B2 (en) 2021-06-15
US20190381589A1 (en) 2019-12-19
CN110605443A (zh)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076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capable of starting machining from short-circuit state
US10500660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provided with disconnection repairing unit
WO2002055251A1 (fr) Artere automatique de fil-electrode pour dispositifs d&#39;usinage a decharge electrique de cable
JP5005116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H0253528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結線方法
KR20190142220A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가공 조건 조정 방법
US11370045B2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ethod
CN106424991A (zh) 线放电加工机
US10315261B2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measuring method
US20130193111A1 (en) Automatic wire-threading device
WO1982001339A1 (en) Wire electrode disconnection processing apparatus
JPS5828430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
JPH02198718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及びそのワイヤ挿通確認方法
US11504785B2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control method
JP2019217559A5 (ko)
EP3789147B1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1299804B1 (ko) 자동 결선장치를 갖는 와이어 방전기계 및 그 결선방법
JP2002239841A (ja) ワイヤ放電加工時の短絡回避方法
JP3082317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断線検出装置
JP2575710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2020175479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2020185621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2004136386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7237347A (ja) 走行制御装置、及びその装置における走行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