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040A -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 Google Patents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040A
KR20190141040A KR1020180067179A KR20180067179A KR20190141040A KR 20190141040 A KR20190141040 A KR 20190141040A KR 1020180067179 A KR1020180067179 A KR 1020180067179A KR 20180067179 A KR20180067179 A KR 20180067179A KR 20190141040 A KR20190141040 A KR 20190141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zzle
fuel
rotating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986B1 (ko
Inventor
오원석
김기홍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986B1/ko
Priority to US16/426,992 priority patent/US20190375290A1/en
Priority to DE102019114648.8A priority patent/DE102019114648A1/de
Publication of KR2019014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5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the venting means are integrated into the fuel fille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오인 주입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면서도 연료의 오인 주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유노즐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에 있어서,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일면을 가압할 때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경로를 개방한다.

Description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FILLER TUBE AND FILLER NE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주유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로 안내하는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가솔린, 경유, LPG(Liquefied Petroleum Gas), LNG(Liquefied Natural Gas) 및 CNG(Compressed Natural Gas) 등과 같은 다양한 연료에 의해 주행할 수 있는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다양한 연료들은 필러넥이라 지칭되는 연료 주입관을 통해 차량의 연료탱크로 이송되어, 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다.
필러넥은 연료 주유노즐의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를 형성하며, 필러튜브는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필러넥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0964호(필러 튜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필러넥, 2014.04.24.)"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와 같이, 종래의 필러튜브는 필러튜브의 내경 차이를 기반으로 연료 주유노즐의 출입을 통제하여 연료의 오인 주입을 억제한다. 그러나 종래의 필러튜브는 오인 주입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필러튜브의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0964호(필려 튜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필러넥, 2014.04.24.)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의 오인 주입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면서도 연료의 오인 주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는 주유노즐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에 있어서,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일면을 가압할 때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경로를 개방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가압되는 일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튜브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하측에서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축 회전되며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될 때에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큰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은 주유노즐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 및 상기 필러튜브와 상기 연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필러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튜브는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일면을 가압할 때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경로를 개방한다.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가압되는 일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러넥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하측에서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축 회전되며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될 때에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큰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연료의 오인 주입이 방지되도록 하여, 연료 오인 주입에 따른 차량 고장 및 금전적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구조가 단순화되어 필러튜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캡리스(Capless)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부 실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제1 연료 주유노즐의 삽입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연료 주입노줄의 삽입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1000)은 캡리스(Capless)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러튜브(100)를 포함한다.
필러튜브(100)는 연료 주유노즐(11, 12)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연료 주유노즐(11, 12)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필러튜브(100)는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직경에 따라 연료의 공급경로를 개폐시켜, 연료의 오인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필러튜브(100)는 하우징(110), 상부도어(120), 개폐 어셈블리(130), 연료 파이프 연결부(140), 및 가스 파이프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필러튜브(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연료 주유노즐(11, 12)이 진입되는 게이트(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연료의 주입 방향으로는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도어(120)는 게이트(1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진입 여부에 따라 게이트(111)가 개폐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도어(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도어(120)는 평소 게이트(11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연료 주유노즐(11, 12)이 게이트(111)로 삽입될 때에,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삽입 방향으로 축 회전하며 게이트(111)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료 주유노즐(11, 12)이 게이트(111)로부터 이탈될 때에,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라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이탈 방향으로 축 회전하며 게이트(111)가 폐쇄되도록 한다.
한편, 개폐 어셈블리(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지지된다. 여기서, 개폐 어셈블리(130)는 상부도어(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도어(120)와 일체 또는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과 개폐 어셈블리(130) 사이에는 오링이 배치될 수 있다. 오링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 어셈블리(130)의 유동을 방지하고 하우징(110)과 개폐 어셈블리(130) 사이가 실링되도록 한다.
여기서, 개폐 어셈블리(130)는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종류에 따라 연료의 공급경로가 개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개폐 어셈블리(13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료 파이프 연결부(14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한다. 연료 파이프 연결부(14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파이프 연결부(140)는 연료 파이프를 통해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연료 주유노즐(11, 12)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스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는 가스 파이프 연결부(150)는 하우징(110)의 외측벽에 배치된다. 이때, 가스 파이프 연결부(150)에는 압력밸브(15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스 파이프와 하우징(110) 내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가스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폐 어셈블리(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130)는 개폐 본체(131)를 포함한다.
개폐 본체(131)는 개폐 어셈블리(13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개폐 본체(131)는 상호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 상부몸체(131a), 연결몸체(131b), 및 하부몸체(131c)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부몸체(131a)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1 중공(H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몸체(131a)의 내벽은 하부가 하부개구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상부몸체(131a)의 하부개구는 상부개구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몸체(131b)는 상부몸체(131a)의 하부에 연결된다. 연결몸체(131b)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상부몸체(131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몸체(131b)에는 상부몸체(131a)의 제1 중공(H1)과 연통되는 제2 중공(H2)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몸체(131b)의 상하부 개구는 상부몸체(131a)의 하부개구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하부몸체(131c)는 연결몸체(131b)의 하부에 연결된다. 하부몸체(131c)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연결몸체(131b)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131c)에는 연결몸체(131b)의 제2 중공(H2)과 연통되는 제3 중공(H3)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몸체(131c)의 개구는 연결몸체(131b)의 하부개구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본체(131)의 내벽 일부에는 연료의 주입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스 배기홈이 형성된다. 가스 배기홈은 연료 주유노즐(11, 12)이 개폐 본체(13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개폐 본체(131)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개폐 본체(131)에는 도어(132) 및 확장부재(133)가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어(132)는 하부몸체(131c) 내측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하부몸체(131c)의 개구 하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어(132)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몸체(131c)의 개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다만, 도어(132)의 상부영역은 하부몸체(131c)의 개구로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132)가 하부몸체(131c)의 개구를 폐쇄할 경우 개구가 실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32)는 하부몸체(131c)에 지지될 수 있으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평소 도어(132)는 하부몸체(131c)의 개구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만, 연료 주유노즐(11, 12)이 하부몸체(131c) 내부로 삽입될 때에, 도어(132)가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삽입 방향으로 축 회전하며 하부몸체(131c)의 개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주유노즐(11, 12)이 하부몸체(131c)로부터 이탈될 때에, 도어(132)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따라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이탈 방향으로 축 회전하며 하부몸체(131c)의 개구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재(133)는 도어(132)에 연결되어 도어(132)의 회전을 제한한다.
먼저, 확장부재(133)는 설정된 직경의 연료 주유노즐(11, 12)이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될 때에 도어(132)가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연료 주유노즐(11, 12)이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도어(132)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확장부재(133)는 제1 회전부(133a), 제2 회전부(133b) 및 탄성부(133c)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회전부(133a)는 개폐 본체(131)의 평면 방향으로 길이가 긴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133a)는 일단이 하부몸체(131c) 상면에 형성된 제1 지지돌기(B1)에 축 연결된다. 이에, 제1 회전부(133a)는 제1 지지돌기(B1)를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회전부(133a)는 연결몸체(131b)의 일측벽에 형성된 제1 슬릿(S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133a)는 개폐 본체(131)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료 주유노즐(11, 12)에 마주할 수 있는 일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때, 경사면은 제2 중공(H2)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2 회전부(133b)는 개폐 본체(131)의 평면 방향으로 길이가 긴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부(133b)는 일단이 하부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지지돌기(B2)에 축 연결된다. 이에, 제2 회전부(133b)는 제2 지지돌기(B2)를 기준으로 축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회전부(133b)는 연결몸체(131b)의 타측벽에 형성된 제2 슬릿(S2)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부(133b)는 개폐 본체(131)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료 주유노즐(11, 12)에 마주할 수 있는 일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때, 경사면은 제2 중공(H2)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탄성부(133c)는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타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부(133c)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에, 평소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는 탄성부(133c)에 의해 상호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 각각에는 도어(132)를 구속할 수 있는 지지홈이 마련된다.
먼저, 제1 회전부(133a)에는 경사면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홈(133a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회전부(133b)에는 경사면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2 지지홈(133b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홈(133aa, 133ba)은 도어(13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지턱이 각각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132)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지지턱(132a, 132b)이 배치된다. 제1 지지턱(132a)은 도어(132)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제1 지지홈(133aa)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지지턱(132b)은 도어(13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제2 지지홈(133ba)에 삽입된다.
이에, 평소 도어(132)는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어(132)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도어(132)는 연료의 공급 방향으로 축 회전이 제한된다. 다만,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가 개폐 본체(131)의 외측방으로 회전될 때에, 제1 및 제2 지지턱(132a, 132b)이 제1 및 제2 지지홈(133aa, 133ba)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도어(132)는 축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 어셈블리(130)는 연료 주유노즐(11, 12)의 종류에 따라 도어(132)의 구속 상태를 변경하며 연료 주유노즐(11, 12)이 도어(132)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도어(132)에 의해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어셈블리(130)는 도어(132)와 확장부재(133)의 유기적 동작에 따라 필러넥(1000)이 캡리스 구조를 가지면서도 필러넥(1000)의 내부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링을 위한 별도의 캡이 불필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연료 주유노즐(11)과 제2 연료 주유노즐(12)의 삽입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13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1000)이 디젤 차량에 장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 차량을 디젤 차량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제1 연료 주입노즐의 삽입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7은 제2 연료 주입노줄의 삽입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1000)은 디젤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러넥(1000)은 가솔린을 공급하는 제1 연료 주유노즐(11)이 삽입될 때에 도어(13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디젤을 공급하는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삽입될 때에 도어(132)가 개방 가능하도록 하여, 디젤 연료가 연료탱크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1 연료 주유노즐(11)의 삽입과, 제2 연료 주유노즐(12)의 삽입을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넥(1000) 내부로는 제1 연료 주유노즐(11)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어셈블리(130)는 디젤 차량으로의 가솔린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3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가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된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는 상호 마주하는 사이 공간이 제1 연료 주유노즐(11)의 외경 보다 크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1 연료 주유노즐(11)은 개폐 본체(131) 진입 시에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연료 주유노즐(11)은 확장부재(133)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도어(132)에 의해 진입이 저지된다.
이때, 제1 연료 주유노즐(11)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제1 연료 주유노즐(11)이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더라도 도어(132)의 지지턱이 지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도어(132)의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넥(1000) 내부로는 제1 연료 주유노즐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어셈블리(130)는 도어(132)의 구속을 해제시켜,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하부몸체(131c) 하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제2 연료 주유노즐(12)은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일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경사면과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개폐 본체(131) 내부로 진입하는 힘에 의해 제2 연료 주유노즐(12)은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는 제2 연료 주유노즐(12)의 진입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각각 축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축 회전에 따라, 도어(132)의 지지턱이 지지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에, 도어(132)는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다. 결국, 제2 연료 주유노즐(12)은 구속이 해제된 도어(132)를 축 회전시키며 하부몸체(131c) 하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제2 연료 주유노즐(12)은 디젤 연료를 공급하고, 필러넥(100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하부몸체(131c)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개방되었던 도어(132)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몸체(131c)의 개구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2 연료 주유노즐(12)이 하부몸체(131c)로부터 이탈될 때에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가 탄성부(133c)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의 일부가 개폐 본체(131)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도어(132)의 제1 및 제2 지지턱(132a, 132b)이 제1 및 제2 지지홈(133aa, 133ba)에 각각 삽입되고, 도어(132)는 제1 및 제2 회전부(133a, 133b)에 의해 재차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연료의 오인 주입이 방지되도록 하여, 연료 오인 주입에 따른 차량 고장 및 금전적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구조가 단순화되어 필러튜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은 캡리스(Capless)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부 실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 : 제1 연료 주유노즐 12 : 제2 연료 주유노즐
1000 : 필러넥 100 : 필러튜브
110 : 하우징 120 : 상부도어
130 : 개폐 어셈블리 140 : 연료 파이프 연결부
150 : 가스 파이프 연결부

Claims (14)

  1. 주유노즐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에 있어서,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일면을 가압할 때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가압되는 일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하측에서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축 회전되며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될 때에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큰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튜브.
  8. 주유노즐로부터의 연료가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필러튜브; 및
    상기 필러튜브와 상기 연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필러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튜브는
    상기 주유노즐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축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축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이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일면을 가압할 때에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9. 제8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가압되는 일면이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하측에서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축 회전되며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될 때에 상기 주유노즐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상기 경사면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의 면적보다 큰 직경의 주유노즐이 삽입될 때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넥.
KR1020180067179A 2018-06-12 2018-06-12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KR10210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79A KR102105986B1 (ko) 2018-06-12 2018-06-12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US16/426,992 US20190375290A1 (en) 2018-06-12 2019-05-30 Filler tube and filler neck having the same
DE102019114648.8A DE102019114648A1 (de) 2018-06-12 2019-05-31 Einfüllrohr und Einfüllstutzen, der es enthä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79A KR102105986B1 (ko) 2018-06-12 2018-06-12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040A true KR20190141040A (ko) 2019-12-23
KR102105986B1 KR102105986B1 (ko) 2020-05-06

Family

ID=6865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79A KR102105986B1 (ko) 2018-06-12 2018-06-12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75290A1 (ko)
KR (1) KR102105986B1 (ko)
DE (1) DE1020191146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2012162165A (ja) * 2011-02-07 2012-08-30 Nifco Inc 給油口開閉装置
KR101390964B1 (ko) 2012-08-24 2014-05-07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 튜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필러 넥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20180050586A1 (en) * 2016-08-16 2018-0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less refuel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72B1 (ko) 2016-12-12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데이터를 등록 및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2012162165A (ja) * 2011-02-07 2012-08-30 Nifco Inc 給油口開閉装置
KR101390964B1 (ko) 2012-08-24 2014-05-07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 튜브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필러 넥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20180050586A1 (en) * 2016-08-16 2018-0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less refueling mechanism
US9987922B2 (en) * 2016-08-1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less refuel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986B1 (ko) 2020-05-06
US20190375290A1 (en) 2019-12-12
DE102019114648A1 (de)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9518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US10245942B2 (en) Operating medium tank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5926051B2 (ja) 給油口
JP2004052686A (ja) 燃料タンクの複合型エアベントバルブ及びエアベント機構
CN107521334B (zh) 燃料供给管的加油部结构
US8371330B2 (en) Valve device
JP2018080742A (ja) 高圧ガスタンクおよび移動体
JP6595369B2 (ja) キャップレス給油口
US10407295B2 (en) Fuel supply apparatus
JPWO2018193883A1 (ja) 給油口構造
KR20190141040A (ko) 필러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러넥
CN108349380A (zh) 无盖供油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3071503A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EP3360713B1 (en) Fuel filling device
KR101597319B1 (ko) 압력 조절밸브 및 이를 갖는 필러튜브 조립체
EP3360714B1 (en) Fuel filling device
KR101351563B1 (ko) 압축천연가스 차량용 가스충전시스템의 리셉터클
KR100535077B1 (ko) 연료가스 누출 차단장치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101498490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100759535B1 (ko) 연료탱크용 셧 오프 밸브
KR10046280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캡
JP2519041Y2 (ja) 燃料タンクの給油口のシール装置
KR102550782B1 (ko) 기밀 파괴방지구조가 적용된 고압 유체저장용기
CN110962587B (zh) 燃料箱的开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