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12A -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 Google Patents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812A
KR20190140812A KR1020180140365A KR20180140365A KR20190140812A KR 20190140812 A KR20190140812 A KR 20190140812A KR 1020180140365 A KR1020180140365 A KR 1020180140365A KR 20180140365 A KR20180140365 A KR 20180140365A KR 20190140812 A KR20190140812 A KR 2019014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air fan
cages
flap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르 침머러
Original Assignee
잘멧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멧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잘멧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4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7Laying batteri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특징을 포함하는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으로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수평의 케이지 열(11; 11.1, 11.2, 11.3)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 복수의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은 쌍을 이룬 후방의 서로 맞닿는 케이지(13)로 이루어진 이중 케이지(13-13)로 형성되고;
- 상기 케이지 열(11, 11.1, 11.2, 11.3) 아래에는 배설물 용기(20)가 각각 연장되고, 그 위에는 길이 방향 거리를 두고 분포되는 공기 팬 플랩(32)이 배치되고, 이 공기 팬 플랩(32)은 각각 상부 동력 전달 부분(146) 및 하부 팬 부분(147)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54)의 영역에 배치되는 횡 방향 축(33) 상에 각각 장착되고;
- 공기 팬 플랩(32)에는 피벗 구동 장치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피봇 구동 장치는 왕복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37; 37.1, 37.2, 37.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로드는 길이 방향으로 배터리 케이지(10)를 통해 횡 방향 축(3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되고 공기 팬 플랩(32)에 결합되며;
-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케이지 바닥(16)을 포함하며;
-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상부 공기 플랩 단부(54) 위로 수직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 아래에 배치되고;
- 공기 팬 플랩 단부(54)는 케이지 바닥(16)이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55)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BATTERY CAGE FOR THE POULTRY MANAGEMENT}
본 발명은 다음 특징을 포함하는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 케이지 하우징으로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수평의 케이지 열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 복수의 케이지 하우징은 쌍을 이룬 후방의 서로 맞닿는 케이지로 이루어진 이중 케이지로 형성되고;
- 상기 케이지 열 아래에는 가금 배설물을 포획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배설물 벨트가 장착되어 있는 배설물 용기가 각각 연장되고;
- 배설물 용기에 의해 포획된 가금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배설물 용기 위에서 길이 방향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배치되고 횡 방향 축 상에 지지되는 공기 팬 플랩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팬 플랩은 배설물 용기 위에서 공기 팬 플랩 거리에서 종료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에 의해 배설물 용기를 통해 지나가는 공기 유동이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생성되고;
- 공기 팬 플랩을 피벗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 팬 플랩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룹 방식으로 통합되는 피벗 액추에이터가 할당되고;
- 상기 피벗 액추에이터는 왕복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또는 구동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로드가 장착되거나 또는 구동 로드로서 구성되는, 특히 인장 및 압축 로드가 장착되거나 또는 인장 및 압축 로드로서 구성되는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요소는 상기 공기 팬 플랩의 횡 방향 축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작은 수직 거리를 두고 상기 배터리 케이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과 결합하며;
- 상기 공기 팬 플랩들의 각 공기 팬 플랩은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횡 방향 축들의 하나의 횡 방향 축 상에 장착되고;
-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은 상부의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의 동력 전달 부분 및 하부의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의 특히 편평한 팬 부분을 포함하고;
- 상기 이중 케이지들의 각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배설물 용기 위에 후방벽 거리를 두고 종료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 각각의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는, 각각 복수의 배설물 통로 개구를 포함하며 각각 제 1 횡 방향으로, 특히 각각의 케이지의 후방 측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약간 하강되어, 서로로부터 멀어져 연장되는, 가금이 앉고, 서고 그리고/또는 달리기 위한, 특히 격자 바닥으로 구성되는 케이지 바닥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지는 본 출원인의 DE 37 15 735 A1, EP 0 387 819 A1 및 DE 196 34 126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이 수년 동안 실제로 실용 가치가 있음이 입증되었지만, 이들은 가금의 케이지 당 존재하는 생활 공간과 관련하여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 당 가금의 생활 공간을 증가시키도록 가금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유리한 가능성에서 서두에 언급된 배터리 케이지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 특히 다음의 특징에 의해 놀랍게도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 각각의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는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의 상부 공기 플랩 단부 위에 수직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의 적어도 팬 부분은 제 2 횡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측에서,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연장되며;
- 또는 각각의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는 서로에 대해 횡 방향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의 상부 공기 플랩 단부 위에 수직 거리를 두고 각각 배치되는 제 1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 및 제 2,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의 적어도 팬 부분은 제 2 횡 방향으로 제 1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그리고/또는 제 2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연장되고;
-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의 팬 부분은 해당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의 케이지 바닥 아래에 배치되고, 각 공기 팬 플랩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는
해당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의 케이지 바닥 아래에 배치되거나
또는 해당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의 케이지 바닥이 제 1 횡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에 배치되거나,
또는 케이지 바닥 위의 각 케이지의 최소 케이지 높이의 1/4보다 작거나 또는 케이지 바닥 위의 각 케이지의 최소 케이지 높이의 1/3보다 작고, 해당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의 케이지 바닥이 제 1 횡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 위의 높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단을 통해 여전히 유리한 공기 유동 및 배설물 건조 조건에서 가금 몸체의 대부분으로 채워질 수 있는 가금의 생활 공간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가금 몸체를 위한 더 많은 자유 공간이 제공되고, 예를 들어 날개 신장과 같은 자연스러운 행동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이 제공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의 팬 부분은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의 동력 전달 부분의 제 2 횡 방향으로 볼 때 제 2 동력 전달 부분 폭보다 큰 팬 부분 폭을 갖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유동 및 배설물 건조 비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의 팬 부분은 제 2 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공기 팬 플랩의 동력 전달 부분을 통해 양 측에서, 각각의 이중 케이지의 케이지의 각각의 케이지 바닥의 케이지 바닥 부분 아래 및 배설물 용기 위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각각 연장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공기 유동 및 배설물 건조 비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 사항, 장점, 특징 및 시점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 부분 및 청구범위에서도 설명된다.
도 1은 가금 관리를 위한 배터리 케이지의 배터리 케이지 부분의 3 차원 도면이며, 여기서 설명을 위해 특정 구성 요소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케이지의 배터리 케이지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케이지의 배터리 케이지 부분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위에 도시된 이중 케이지의 케이지의 확대 단면도이다.
배터리 케이지(10)는 6 개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지 열(11; 11.1 내지 11.3)을 포함하고, 이들은 3 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층에 존재하는 2 열의 케이지(11)는 각각 이중 케이지 열을 형성한다. 각각의 이중 케이지 열은 주로 이중 케이지(13-13)로 형성된 복수의 케이지 하우징(12.1 내지 12.3)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는 2 개의 케이지(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지(13)는 그 배면(14)으로부터 전방면(15)으로 하강하는 격자 바닥 형태의 케이지 바닥(16)이 제공되고, 이는 전방면(15)을 통해 돌출하고 계란 수집 통(17)을 형성한다. 케이지 바닥(16)은 복수의 배설물 통로 개구를 갖는다. 케이지 바닥(16)은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케이지(13)에 유지되는 가금이 않고, 서고 그리고/또는 달리도록 사용된다. 후방 측에서 서로 맞닿는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은 제 1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계란 수집 통(17) 위에 각각의 이중 케이지 열(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계란 수집 통(17)과 마찬가지로 연장되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부재의 영역에서 차단될 수 있는 먹이통(18)이 제공된다. 배터리 케이지(10)는 케이지(13)의 전방 측면(15)의 영역에 배치된 기부(19)에 의해 지지된다. 배터리 케이지는 3 층 이상 또는 이하의 층 또는 6 개 이하 또는 이하의 케이지 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보통 길이가 수 미터이고, 종종 50 미터 이상이다.
각각의 케이지 열(11)은 가금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배설물 용기(20), 예를 들어 배설물 벨트를 갖는다. 배설물 용기(20)는 각 층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별 케이지 열(11)의 2 개의 케이지(13)의 반대쪽으로 경사진 케이지 바닥(16) 아래에 거리를 두고 연장되지만, 그러나 구동 부재의 영역에서도 차단될 수도 있다. 무단 순환하는 벨트로 형성된 배설물 벨트는 케이지 바닥으로도 언급되는 격자 바닥(16)을 통해 떨어지는 가금 배설물을 포획하고, 이를 수시로 단부에서 전달할 수 있다. 배설물 벨트(20)는 상부 스트랜드(20.1) 및 하부 스트랜드(20.2)를 갖는다. 상부 스트랜드(20.1)는 횡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수직 지지부(22)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거기에서 그 단부에 의해 고정되는 벨트 캐리어(21) 상에 놓인다. 하부 스트랜드(20.2)는 또한 측면부로도 언급될 수 있고 또한 횡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수직 지지부(22)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거기에서 그 단부에 의해 고정되는 횡 방향 캐리어(29) 상에 놓여진다.
각 케이지(13)는 특히 다음의 구성 요소에 의해 한정된다: 위쪽으로 케이지 바닥(16)을 통해, 전방쪽으로 수직의 길이 방향 전방 벽(25) 및 수평의 먹이통(18)을 통해, 후방쪽으로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을 통해, 양 측면으로 수직의 제 1 횡 방향 측벽(30) 및 수직의 제 2 횡 방향 측벽(30)을 통해 그리고 아래쪽으로 원주 방향의 배설물 벨트(20)의 하부 스트랜드(20.2)를 통해 한정된다. 이들 구성 요소는 각각의 케이지(13) 내에 가금에 대한 생활 공간(31)을 한정한다. 길이 방향 전방 벽(25), 길이 방향 후방 벽(26) 및 케이지 바닥(16)은 여기서 각각 격자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개개의 케이지(13)는 후방 측에서 서로 맞닿고, 거기서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은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 각각의 후방 측면(14)의 일부를 형성한다.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은 분리 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은 구동 부재의 영역에서의 차단을 제외하고는, 관련된 전체 케이지 열(11)을 통해 배터리 케이지(10)의 길이 방향 중심 평면(24)에서 연장한다.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은 각각의 케이지(13)의 최소 높이(48)의 절반 이상에 걸쳐 연장된다.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은 그 상단부에서 집수 채널(34)로 전환된다. 이것은 전체 케이지 열(11)을 통해 길이 방향 중심 평면(24)에서 연장된다. 그러나 구동 부재의 영역에서, 집수 채널은 덮여 있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집수 채널(34) 위에서 거리를 두고 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물 도관(3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물 도관(35)은 전체 케이지 열(11)을 통해 길이 방향 중심 평면(24)에서 연장된다. 구동 부재의 영역에서, 물 도관(35)은 덮여 있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물 도관(35)은 소정의 길이 방향 간격으로 이에 대해 변위 가능한 폐쇄 니플(36)이 제공된다. 폐쇄 니플(36)은 케이지(13)에 수용된 가금의 부리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 도관(35)으로부터의 물이 집수 채널(34)로 흘러갈 수 있다.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지 열(11)에는 공기 유동 장치(23)가 제공되고, 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는 후방 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케이지(13) 사이에서 그러나 대부분은 후방 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케이지(13)의 하부에서 배터리 케이지(10)의 길이 방향 중심 평면(24)의 실질적으로 양 측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유동 장치(23)는 복수의 공기 팬 플랩(32)을 포함한다.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은 횡 방향 축(33)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횡 방향 축 단부는 수평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커버(53)의 수직의 커버 요소(52) 상에 지지되거나 또는 장착된다. 커버 요소(52)는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각각의 횡 방향 축(33) 및 각각의 동력 전달 부분(146)의 일부를 덮기 위한 커버 그리드(53)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층에는 길이 방향 중앙 평면(24)에서 전체 이중 케이지 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그리드(53)가 제공된다. 각각의 커버 그리드(53)는 그 수직의 커버 요소(52)로부터 시작하여 위쪽으로 경사지게 각각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까지 연장된다. 동력 전달 부분(146)의 상기 부분은 커버 그리드(53)의 각 커버 요소(52)로부터 작은 갭 거리를 갖는다.
공기 팬 플랩(32)의 설계 및 장착은 특히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공기 팬 플랩(32)은 상부 동력 전달 부분(146) 및 하부 팬 부분(147)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동력 전달 부분(146)과 팬 부분(147)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팬 부분(147)은 쉽게 분해되거나 또는 교체될 수 있고, 또한 모든 다른 이동 가능한 장비 부품을 실질적으로 보유하면서 그 길이 및/또는 재료 및 진동 특성에 대하여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공기 팬 플랩(32)은 배터리 케이지 내의 기계-화학-기후 조건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부 동력 전달 부분(146)은 비교적 강성의 플라스틱,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6.6)로 이루어진다. 하부 팬 부분(147)은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있지만 충분한 내재 강성을 나타내는 재료,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또는 가교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팬 플랩(32)의 장착을 위해, 이는 동력 전달 부분(146)의 상단부에 그리고 이에 따라 그 상단부(54)에 공기 팬 플랩(32)의 횡 방향으로 팬 구동 축(5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횡 방향 축(33)을 포함한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그리드(53)의 수직의 커버 요소(52)에서 양 단부에 고정된다. 동력 전달 부분(146)은 구동 요소라고도 하는 구동 로드(37)를 관통시키고 그리고 연결 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해 공기 팬 플랩(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 개구(149)를 갖는다. 연결 부재(50)는 주로 한편으로는 구동 로드(37)를 감싸고, 다른 한편으로는 팬 구동 축(51)을 감싼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연결 부재(50)와 구동 로드(37) 사이 또는 연결 부재(50)와 팬 구동 축(51)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확실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동력 전달 부분(146)을 통과하는 통로 개구 대신에, 구동 로드에 대한 충분히 큰 운동 자유도가 제공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가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공기 팬 플랩이 길이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공통 횡 방향 축에 장착된 2 개의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공기 팬 플랩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구동 로드가 구현되고, 이 경우 2 개의 인접한 공기 팬 플랩은 함께 구동된다.
연결 부재(50)는 그 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팬 구동 축(51)을 통해 동력 전달 부분(146)과 연결되고, 이는 횡 방향 축(33)에 대해 평행하게 작은 거리를 두고 그 아래에서 연장되고, 해당 회전 축(158, 38)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연결 부재(50)의 하부 고정 부분은 주로 이를 통해 연장되는 구동 로드(37)를 감싸고, 구동 로드(37)와 고정되지만 다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구동 로드(37)는 팬 구동 축(51) 아래에서 연장되고, 이 경우 압축 및 인장 로드(37)의 중심 종축(157)과 구동 축(51)의 회전 축(158)은 서로 거리를 두고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플로어의 중간에는 실질적으로 케이지 하우징 내에 이중 케이지 열이 각각의 경우에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액추에이터용 구동 부재가 제공되는 것은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 또는 개별 배터리 케이지의 조합을 허용하기 위해, 구동 부재는 케이지 하우징의 외부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요소의 양 측면에서, 구동 로드(37)(인장 또는 압축 로드(37.1 내지 37.3))로 형성된 피봇 구동 장치는 공기 팬 플랩(32)의 피봇을 위해 결합된다.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에는 각각의 경우에 단일 공기 팬 플랩(32)이 할당된다. 그러나, 각각의 이중 케이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팬 플랩이 할당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공 팬 플랩(32)의 피벗을 위해, 구동 부재에 의해 이중 화살표(166)로 표시된 각각의 구동 로드(37)의 왕복 운동이 달성되고, 이는 연결 부재(50)를 통해 팬 구동 축(51)으로 전달되어 각각의 횡 방향 축(33)을 중심으로의 이중 화살표(47)로 표시된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킨다.
수직의 길이 방향의 후방 벽(26)은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플랩 단부 위에서 수직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각 공기 팬 플랩(32)의 동력 전달 부분(146) 및 팬 부분(147)은 각각 해당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을 통해 양 측에서 제 2 횡 방향(28)으로 연장된다. 각 이중 케이지(13-13)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 아래에 배치된다.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54)는 한정 지점(56) 위에서 작은 수직 거리에서 이중 케이지 영역(55)에 배치되고, 상기 한정 지점에서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은 후방 측에서 서로 인접하고, 상기 한정 지점으로부터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은 제 1 횡 방향(27)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도니다. 제 2 횡 방향(28)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동력 전달 부분(146)을 통해 양 측에서, 각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각각의 케이지 바닥(16)의 케이지 바닥 부분 아래 및 배설물 벨트(20)의 상부 스트랜드(20.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 각각 연장된다. 각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제 2 횡 방향(28)에서 볼 때 팬 부분 폭(151)을 갖고, 상기 팬 부분 폭은 각 공기 팬 플랩(32)의 동력 전달 부분(146)의 제 2 횡 방향(28)에서 본 동력 전달 부분 폭(152)보다 크다. 팬 부분 폭(151)은 동력 전달 부분 폭(152)의 2 배 이상 또는 동력 전달 부분 폭(152)의 2.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케이지(10)의 개별적인 기능 부분들의 기능 및 이동 사이클 및 상호 작용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부재의 구동 모터의 도움으로, 구동 로드(37)의 슬라이딩 또는 당김 병진 이동이 달성된다. 이는 구동 로드(37)와 팬 구동 축(51) 사이의 각각의 연결 부재(50)를 통해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으로 전달된다.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이 자체의 상부 단부(54)에서 팬 구동 축에 대해 고정된 횡 방향 축(33) 상에서 이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와 관련하여 팬 구동 축(51)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 축(15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부재(50)에 대해 장착됨으로써, 공기 팬 플랩(32)은 이중 화살표(47)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제어되는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구동 로드(37)와 팬 구동 축(51) 사이의 연결 부재(50)의 특별한 구조적 설계 및 배치로 인해, 이들에서 구동 로드(37)의 병진 왕복 운동 시, 각 연결 부재(50)의 영역에서, 국부적인 굽힘 모멘트가 발생되고, 이는 디커플링 및/또는 댐핑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원치 않는 공진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중요한 부분이 반복된다: 배터리 케이지(1)에서는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으로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수평의 케이지 열(11; 11.1, 11.2, 11.3)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은 쌍을 이룬 후방의 서로 맞닿는 케이지(13)로 이루어진 이중 케이지(13-13)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 열(11, 11.1, 11.2, 11.3) 아래에는 배설물 용기(20)가 각각 연장되고, 그 위에는 길이 방향 거리를 두고 분포되는 공기 팬 플랩(32)이 배치되고, 이 공기 팬 플랩(32)은 각각 상부 동력 전달 부분(146) 및 하부 팬 부분(147)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54)의 영역에 배치되는 횡 방향 축(33) 상에 각각 장착되고, 공기 팬 플랩(32)에는 피벗 구동 장치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피봇 구동 장치는 왕복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37; 37.1, 37.2, 37.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로드는 길이 방향으로 배터리 케이지(10)를 통해 횡 방향 축(3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되고 공기 팬 플랩(32)에 결합되며,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케이지 바닥(16)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상부 공기 플랩 단부(54) 위로 수직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 아래에 배치되고, 공기 팬 플랩 단부(54)는 케이지 바닥(16)이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55)에 배치된다.
10 배터리 케이지
11 케이지 열
11.1 케이지 열
11.2 케이지 열
11.3 케이지 열
12.1 케이지 하우징
12.2 케이지 하우징
12.3 케이지 하우징
13 케이지
13-13 이중 케이지
14 후방 측
15 전방 측
16 케이지 바닥/그리드 바닥
17 계란 수집 통
18 먹이통
19 기부
20 배설물 용기/배설물 벨트
20.1 상부 스트랜드
20.2 하부 스트랜드
21 벨트 캐리어
22 수직 지지부
23 공기 유동 장치
24 길이 방향 중심 평면
25 길이 방향 전방 벽
26 길이 방향 후방 벽
27 제 1 횡 방향
28 제 2 횡 방향
29 횡 방향 캐리어
30 횡 방향 측벽
31 생활 공간
32 공기 팬 플랩
33 횡 방향 축
34 집수 채널
35 물 도관
36 폐쇄 니플
37 구동 요소/구동 로드(인장 또는 압축 로드)
37.1 구동 요소/구동 로드(인장 또는 압축 로드)
37.2 구동 요소/구동 로드(인장 또는 압축 로드)
37.3 구동 요소/구동 로드(인장 또는 압축 로드)
38 33의 회전 축
47 이중 화살표
48 13의 최소(케이지) 높이
50 연결 부재
51 팬 구동 축
52 (수직) 커버 요소
53 커버/커버 그리드
54 상부(공기 팬 플랩) 단부
55 이중 케이지 영역
56 한정 지점
146 동력 전달 부분
147 팬 부분
149 통로 개구
151 팬 부분 폭
152 동력 전달 부분 폭
157 37의 길이 방향 축
158 51의 회전 축
166 이중 화살표

Claims (3)

  1.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로서,
    -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으로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수평의 케이지 열(11; 11.1, 11.2, 11.3)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 복수의 케이지 하우징(12.1, 12.2, 12.3)은 쌍을 이룬 후방의 서로 맞닿는 케이지(13)로 이루어진 이중 케이지(13-13)로 형성되고;
    - 상기 케이지 열(11, 11.1, 11.2, 11.3) 아래에는 가금 배설물을 포획하기 위한 배설물 용기(20)가 각각 연장되고;
    -배설물 용기(20)에 의해 포획된 가금 배설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배설물 용기(20) 위에서 길이 방향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배치되고 횡 방향 축(33) 상에 지지되는 공기 팬 플랩(32)이 제공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에 의해 배설물 용기(20)를 통해 지나가는 공기 유동이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생성되고;
    - 공기 팬 플랩(32)을 피벗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 팬 플랩에는 피벗 액추에이터가 할당되고;
    - 상기 피벗 액추에이터는 왕복 방식으로 구동 가능한 또는 구동되는 구동 요소(37, 37.1, 37.2, 37.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요소는 상기 공기 팬 플랩(32)의 횡 방향 축(33)으로부터 수직 거리를 두고 상기 배터리 케이지(10)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32)과 결합하며;
    - 상기 공기 팬 플랩들(32)의 각 공기 팬 플랩(32)은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54)의 영역에 배치되는 횡 방향 축들(33)의 하나의 횡 방향 축(33) 상에 장착되고;
    -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은 상부 동력 전달 부분(146) 및 하부 팬 부분(147)을 포함하고;
    - 상기 이중 케이지들(13-13)의 각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을 통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각각 복수의 배설물 통로 개구를 포함하며 각각 제 1 횡 방향(27)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져 연장되는, 가금이 앉고, 서고 그리고/또는 달리기 위한 케이지 바닥(16)을 포함하는, 상기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에 있어서,
    -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는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플랩 단부(54) 위에 수직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공통의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26)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32)의 적어도 팬 부분(147)은 제 2 횡 방향(28)으로 길이 방향 후방 벽(26)을 통해 연장되며;
    - 또는 각각의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는 서로에 대해 횡 방향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의 상부 공기 플랩 단부 위에 수직 거리를 두고 각각 배치되는 제 1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 및 제 2 수직의 길이 방향 후방 벽에 의해 각각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공기 팬 플랩의 적어도 팬 부분은 제 2 횡 방향으로 제 1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그리고/또는 제 2 길이 방향 후방 벽을 통해 연장되고;
    - 상기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에 할당되어 있는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 아래에 배치되고, 각 공기 팬 플랩(32)의 상부 공기 팬 플랩 단부(54)는
    해당 이중 케이지의 2 개의 케이지의 케이지 바닥 아래에 배치되거나
    또는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이 제 1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55)에 배치되거나,
    또는 케이지 바닥(16) 위의 각 케이지(13)의 최소 케이지 높이(48)의 1/4 또는 1/3보다 작고, 해당 이중 케이지(13-13)의 2 개의 케이지(13)의 케이지 바닥(16)이 제 1 횡 방향(27)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이중 케이지 영역(55) 위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횡 방향(28)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제 2 횡 방향(28)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동력 전달 부분(146)의 동력 전달 부분 폭(152)보다 큰 팬 부분 폭(15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 팬 플랩(32)의 팬 부분(147)은, 제 2 횡 방향(38)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팬 플랩(32)의 동력 전달 부분(146)을 통해 양 측에서, 각각의 이중 케이지(13-13)의 케이지(13)의 각각의 케이지 바닥(16)의 케이지 바닥 부분 아래 및 배설물 용기(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 각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케이지.
KR1020180140365A 2018-06-12 2018-11-15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KR20190140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4037.1A DE102018114037A1 (de) 2018-06-12 2018-06-12 Käfigbatterie für die Geflügelhaltung
DE102018114037.1 2018-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12A true KR20190140812A (ko) 2019-12-20

Family

ID=6677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65A KR20190140812A (ko) 2018-06-12 2018-11-15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0611B2 (ko)
JP (1) JP7173813B2 (ko)
KR (1) KR20190140812A (ko)
CN (2) CN209251370U (ko)
CA (1) CA3095847C (ko)
DE (2) DE102018114037A1 (ko)
WO (1) WO2019238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2876A1 (ja) * 2022-02-10 2023-08-17 株式会社ハイテム 鶏糞乾燥装置付きケージ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7293A (en) * 1936-06-04 1937-10-26 Fred B Kent Brooder
US2448120A (en) * 1943-02-11 1948-08-31 James Mfg Co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battery brooders
US2601844A (en) * 1949-03-29 1952-07-01 Raymond L Lovell Cleaning apparatus for battery cages
US2700369A (en) * 1949-08-27 1955-01-25 Willard B Shepherd Cage for poultry and the like
US3134358A (en) * 1958-01-30 1964-05-26 Dennis W Byrnes Manure remover
US2970567A (en) * 1959-09-02 1961-02-07 Rubin Sol Litter cleaner for cages
US3159139A (en) * 1961-10-30 1964-12-01 John M Haggard Livestock apparatus
US3312194A (en) * 1965-07-13 1967-04-04 William B Ernst Husbandry apparatus
US3319606A (en) * 1965-08-02 1967-05-16 Virgil Florence Chicken feeding and maintaining apparatus
US3396702A (en) * 1965-08-17 1968-08-13 Harry B. Trussell Poultry growing process and apparatus
US3550558A (en) * 1968-08-12 1970-12-29 Sidney Sachs Animal cages
US3658031A (en) * 1970-02-13 1972-04-25 Environmental Sciences Corp Housing system for animals
US3707141A (en) * 1970-07-10 1972-12-26 Us Industries Inc Capstan cable drive
US3727582A (en) * 1971-02-12 1973-04-17 J Heying Method and means for growing and shipping pullets or broilers
BE786608A (fr) * 1971-12-23 1973-01-22 Diamond Int Corp Dispositif de nettoyage automatique d'un poulailler
US3768442A (en) * 1972-02-22 1973-10-30 Us Industries Inc Multi tier cage constructions
JPS5329668Y2 (ko) 1973-05-17 1978-07-25
US3978819A (en) * 1974-11-25 1976-09-07 Lovitt Robert O Cage and accessories therefor
US4009685A (en) * 1975-06-16 1977-03-01 The University Of Virgini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wastes from small animal cages
US4242809A (en) * 1976-12-08 1981-01-06 Elder Joseph 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rotein in animal droppings
US4212269A (en) * 1978-01-24 1980-07-15 U.S. Industries, Inc. Poultry cages
US4321887A (en) * 1981-01-19 1982-03-30 Favorite Manufacturing, Inc. High-density poultry cage system and manure handling method
US4474137A (en) * 1981-08-12 1984-10-02 Salopian Industries (Metals) Limited Broiler rearing unit
NL8403158A (nl) * 1984-10-16 1986-05-16 Malestein Teus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houden van dieren.
DE3715735C2 (de) 1987-05-12 1995-02-09 Salmet Gmbh & Co Kg Käfigbatterie für die Geflügelhaltung
DE3908336A1 (de) * 1989-03-15 1990-09-20 Salmet Gmbh & Co Kg Antrieb fuer luftstroemungseinrichtung einer kaefigbatterie fuer die gefluegelhaltung
ES2065788B1 (es) 1991-05-28 1995-08-01 Ansoain Burguete S L Instalacion de aireacion para baterias de jaulas de aves.
FR2693628A1 (fr) 1992-07-15 1994-01-21 Danno Ateliers Dispositif de ventilation pour une batterie de cages d'élevage de volailles et batterie ainsi équipée.
US5179912A (en) * 1992-07-29 1993-01-19 Wu Chuan Chin Waste-receiving plate for chicken cages
DE4304599C1 (de) * 1993-02-16 1994-07-28 Josef Kuehlmann Anordnung zur Aufzucht von Geflügel in Käfiganlagen
JP2934581B2 (ja) 1994-04-26 1999-08-16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鶏舎の鶏糞乾燥装置
DE69600067T2 (de) * 1995-05-03 1998-05-07 Tecno Impianti Avicoli Srl Batteriekäfig für Geflügel
CN1154200A (zh) * 1995-08-26 1997-07-16 沙尔梅特公司 家禽饲养排笼组
DE19634126B4 (de) 1995-08-26 2006-01-05 Salmet Gmbh & Co Kg Käfigbatterie für die Geflügelhaltung
US6854424B2 (en) * 2002-08-05 2005-02-15 Raymond J. Bauman Kennel floor system
US6968807B2 (en) * 2003-01-09 2005-11-29 Farmer Automatic Josef Kuhlmann Gmbh & Co. Kg Cage arrangement for poultry
US7036458B1 (en) * 2003-01-21 2006-05-02 Kristine Stornant Portable animal carrier and litter box system
CA2455423C (en) * 2004-01-20 2015-08-11 Marilyn J. Enterprises Inc. Cage for transporting poultry
IT1395508B1 (it) * 2009-09-01 2012-09-28 Iwt Srl Sistema e metodo automatizzato per lo smontaggio, manipolazione, rimontaggio di dispositivi di contenimento degli animali per uno stabulario
DE202016103370U1 (de) * 2016-06-27 2017-09-28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Trocknungsvorrichtung zur Trocknung einer Substanz, Geflügelhaltesystem
CN107568106A (zh) * 2017-10-31 2018-01-12 广东温氏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禽类饲养装置及饲养方法
DE202018102416U1 (de) * 2018-04-30 2019-07-31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Geflügelhaltungsvorrichtung mit Trockn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83520B (zh) 2022-12-13
CA3095847C (en) 2023-03-14
JP2019213515A (ja) 2019-12-19
CA3095847A1 (en) 2019-12-19
US20210112782A1 (en) 2021-04-22
DE102018114037A1 (de) 2019-12-12
JP7173813B2 (ja) 2022-11-16
DE112019002962A5 (de) 2021-06-17
WO2019238156A1 (de) 2019-12-19
CN209251370U (zh) 2019-08-16
CN110583520A (zh) 2019-12-20
US11350611B2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2007A (ko) 육계사육장치
CN108471718A (zh) 畜舍,尤其用于畜养猪的畜舍
JP4096021B2 (ja) 鳥類飼育用のケージユニット
JP7002495B2 (ja) 乾燥装置を有する家禽管理装置
KR20190140812A (ko) 가금 관리용 배터리 케이지
CN111713459B (zh) 一种基于倾斜转移的黑水虻幼虫养殖装置
BR102016008742B1 (pt) colheitadeira agrícola e veículo
US7690973B2 (en) Combine clean grain elevator system
US5007379A (en) Air circulating system for poultry housing
KR100908643B1 (ko) 새끼 무균 동물 보육용 상자
EP2441328A1 (en) Stable for animals, preferably bovine
US3167052A (en) Automatic egg and litter collecting device for poultry battery cages
KR101612600B1 (ko) 육계사육장치
KR102654670B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축산용 플랫폼장치
CN206165463U (zh) 一种便于集蛋的养殖笼舍
CN113261510B (zh) 一种便于清理粪污的兔笼装置
CN220859148U (zh) 一种科研专用的可调节空间饲养笼
CN214229507U (zh) 一种黑水虻养殖风选一体机
ITTO20011046A1 (it) Gabbia per l'allevamento di galline ovaiole provvista di una lettieraper razzolare e becchettare.
CN216254564U (zh) 一种带仿真休息台型散养兔福利兔笼装置
CN215380771U (zh) 一种种鸡产蛋期用产蛋箱
CN212993794U (zh) 一种产蛋箱
RU2280979C1 (ru) Клетка для птицы
CN202958431U (zh) 一种产蛋箱装置
CN214801617U (zh) 一种避免鸡受伤的鸡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