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076A -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076A
KR20190140076A KR1020197035981A KR20197035981A KR20190140076A KR 20190140076 A KR20190140076 A KR 20190140076A KR 1020197035981 A KR1020197035981 A KR 1020197035981A KR 20197035981 A KR20197035981 A KR 20197035981A KR 20190140076 A KR20190140076 A KR 20190140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walking
posture
shoe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933B1 (ko
Inventor
토모유키 후쿠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비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비라
Publication of KR2019014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자세 및 보행이 안정되고, 보행 피로를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신발 깔창(1)은, 발뒤꿈치측의 후단(11)부터 장심부(12)를 거쳐 발끝측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인솔 본체부(10)를 갖는다. 인솔 본체부(10)는, 저반발 소재에 의해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솔 본체부(10)는, 발끝부(14)의 내측(15)이 외측(1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발끝부(14)의 표면이 외측(16)으로부터 내측(15)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 각도(θ)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각도(θ)는 5도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신발 깔창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세 및 보행이 안정되고, 보행 피로를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 깔창은, 보행시의 자세 안정, 보행 편이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재이며, 다양한 형상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깔창을 구비한 신발은, 신고 걷는 것만으로 양호한 자세로 교정되고, 또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신발 깔창은, 발뒤꿈치부의 높이를 발끝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여, 발끝부터 발뒤꿈치에 걸친 표면이 발뒤꿈치가 높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깔창을 구비한 신발을 신은 사람은, 자연적으로 몸이 앞쪽으로 기울어 등이 신장된 자세가 되고, 또한 발 운동을 촉진하는 보조가 되어 피로를 줄인다는 기능을 갖는다.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7-27307호 공보
사람의 자세는 다양하여,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깔창이 맞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이 때문에, 신발 깔창의 새로운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갖는 미해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세 및 보행이 안정되고, 보행 피로를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 1의 신발 깔창은, 발뒤꿈치측의 후단부터 장심부를 거쳐 발끝측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인솔 본체부를 갖는 신발 깔창으로서, 상기 인솔 본체부는, 발끝부의 내측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발끝부의 표면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명 2] 또한, 발명 2의 신발 깔창은, 발명 1의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발끝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10도 이하이다.
[발명 3] 또한, 발명 3의 신발 깔창은, 발명 2의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발끝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7도 이상이다.
[발명 4] 또한, 발명 4의 신발 깔창은,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컵인솔 타입이다.
[발명 5] 또한, 발명 5의 신발 깔창은,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인솔 본체부는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발명 1의 신발 깔창에 의하면, 깔창을 구비한 신발을 신는 것만으로 자세 및 보행이 안정되고, 보행 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명 2의 신발 깔창에 의하면, 자세 및 보행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발명 3의 신발 깔창에 의하면, 자세 및 보행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발명 4의 신발 깔창에 의하면, 애용하는 신발에 대해 사용 목적이나 신체의 컨디션 등에 따라 깔창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발명 5의 신발 깔창에 의하면, 3차원 입체 형상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컵인솔 타입 깔창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왼발용 깔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컵인솔 타입 깔창의 인솔 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인솔 본체부의 발끝부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나타내는 왼발용 인솔 본체부와 쌍을 이루는 오른발용 인솔 본체부의 발끝부로부터 발뒤꿈치부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의 좌우 측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 (b)는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4에 나타내는 깔창의 상판 원단부의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의 발끝부터 발뒤꿈치까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도, (c)는 (a)의 발끝부터 발뒤꿈치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컵인솔 타입 깔창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왼발용 깔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컵인솔 타입 깔창의 인솔 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인솔 본체부의 발끝부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나타내는 왼발용 인솔 본체부와 쌍을 이루는 오른발용 인솔 본체부의 발끝부로부터 발뒤꿈치부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의 좌우 측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4에 나타내는 깔창의 상판 원단부의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발끝부터 발뒤꿈치까지의 길이 방향에 따른 측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의 발끝부터 발뒤꿈치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컵인솔 타입의 깔창(1)은, 왼발용 깔창이며, 인솔 본체부(10) 상에 상판 원단부(20)가 겹쳐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깔창(1)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 본체(2)에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깔창은, 컵인솔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발 본체에 대해 접착되는 타입이어도 된다. 인솔 본체부(10)는 저반발 소재에 의해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솔 본체부(10)는, 발뒤꿈치측의 후단(11)부터 장심부(12)를 거쳐 발끝측의 선단(13)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또한, 인솔 본체부(10)의 표면은, 후단(11)이 높으며, 장심부(12)를 향해 표면이 완만하게 하향으로 경사지고, 발끝부(14)로부터 선단(13)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발용 인솔 본체부(10)는, 도 2의 좌측이 왼발의 엄지 측이 되는 내측(15)이며, 도 2의 우측이 왼발의 소지 측이 되는 외측(16)이다. 왼발용 인솔 본체부(10)는, 발끝부(14)에 있어서, 내측(15)의 두께를 외측(16)의 두께보다 얇게 하고, 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15)을 외측(16)보다 낮게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인솔 본체부(10)는, 발끝부(14)의 표면이 외측(16)으로부터 내측(15)을 향해 경사 각도(θ)로 하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 각도(θ)는 5도로 되어 있다. 한편, 경사 각도(θ)는 5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끝부(14)의 표면에 있어서 외측(16)이 높고 내측(15)이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물론, 오른발용 깔창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깔창(1)에 있어서, 발끝부(14)의 내측(15)을 외측(16)보다 낮게 하면, 좌우 다리의 무릎이 내측으로 들어가고, 허벅지나 허리 등이 긴장된다. 그 결과, 선 자세가 좋아져, 구부정하거나 젖혀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보폭이 넓어진다. 이러한 효과가 가장 발휘되는 경사 각도는 5도이며, 5도∼10도의 범위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5도, 4.7도 이하여도 0도가 아니면 되며, 요컨대 깔창(1)을 구비한 신발을 신으면 양 무릎이 자연스럽게 내측을 향하게 되는 경사 각도(θ)이면 된다.
상판 원단부(20)는 인솔 본체부(10)의 상면 형상에 합치하는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저반발 소재의 기부(21) 상에 가죽제 또는 천제 원단(22)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판 원단부(20)는 신발을 신은 사람의 발바닥에 직접 접하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인솔 본체부(10)의 발끝부(14)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θ)를 저해하지 않고, 경사 각도(θ)를 발바닥에 전달하는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깔창(1)은, 스니커즈, 하이힐, 골프 슈즈 등의 운동용 슈즈, 임산부용 슈즈, 통근용 신발 등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판 원단부(20)를 형성하지 않고 인솔 본체부(10)만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에, 깔창(1)의 발끝부(14)의 경사 각도와 그 효과에 대한 평가를 이하에 나타낸다.
실시예
평가 방법은, 발끝부(14)의 경사 각도(θ)가 0도(플랫)인 깔창(이하, 「플랫 깔창」이라고 한다)과, 경사 각도 4.7(5)도(이하, 「5도 깔창」이라고 한다)와, 경사 각도(θ)가 10도(이하, 「10도 깔창」이라고 한다)인 3종류의 인솔 타입의 깔창을 준비했다. 한편, 경사 각도는 5도를 타깃으로 했지만 측정 정밀도 등에 의해 경사 각도가 4.7도가 되었다.
이어서, 임산부용 신발 본체에 플랫 깔창을 구비한 임산부용 신발을 비교예 1, 같은 신발 본체에 5도 깔창을 구비한 신발을 실시예 1, 같은 신발 본체에 10도 깔창을 구비한 신발을 실시예 2로 했다.
또한, 하이힐 본체에 플랫 깔창을 구비한 하이힐을 비교예 2, 같은 하이힐 본체에 5도 깔창을 구비한 하이힐을 실시예 3, 같은 하이힐 본체에 10도 깔창을 구비한 하이힐을 실시예 4로 했다.
한편, 2명의 피험자(피험자 1과 피험자 2)에게 각각 상기 3종류의 임산부용 신발과 하이힐을 각각 신고, (1) 정립 자세, (2) 보행 자세, (3) 보행 폭, (4) 보행 안정성, (5) 정립 자세의 안정성, (6)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에 대해 평가했다.
임산부용 신발에 대한 검증 결과를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낸다. 하이힐에 대한 검증 결과를 표 3, 표 4, 표 5에 나타낸다.
피험자 1은 임산부, 피험자 2는 여성 회사원이다.
(1) 정립 자세의 평가
착화시의 정립 자세의 평가는, 화상 해석에 의한 입위 자세 각도로부터 수량적으로 검증한다. 구체적으로는, 착화시의 입위 자세를 전면과 측면에서 촬영하여, 올바른 자세, 전경 자세, 후경 자세를 수량적으로 검증한다. 여기서, 올바른 입위 자세란, 외측 종골부를 기점으로 하여 수직선을 그어, 슬부·장골능·견부(견봉)·이부(이혈)가 직선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검증에서는, 바깥 복사뼈를 기점으로 한 수직선으로부터 전두부까지의 각도가 5.0도를 올바른 입위 자세로 하고 있다(표 1, 표 4).
(2) 보행 자세의 평가
착화시의 보행 자세의 평가는, 트레드밀의 속도를 4.5[km/h]로 설정했을 때의 보행 상태를 옆에서 촬영하여, 편족 지지 상태의 지지 다리를 기점으로 한 수직선에 대해, 전두부 위치의 각도(보행 자세 각도)로부터 검증했다.
(3) 보행 폭의 평가
보행 폭의 평가는, 보행 자세의 평가와 동일하게 트레드밀의 속도를 설정하여, 보행시의 양쪽 다리 접지시의 뒷다리의 발끝부터 앞다리의 발끝까지의 보폭으로 수량적으로 검증했다.
(4) 보행 안정성의 평가
착화 보행시의 발뒤꿈치부 접지 상태로부터 보행 안정성을 수량적으로 검증한다. 보행시의 발뒤꿈치부 접지 상태의 측정은, (2)의 보행 자세의 평가와 동일하게 속도를 설정하고, 착화 보행시의 발뒤꿈치부 접지 상태를 후방에서 촬영하여, 기준선에 대한 발뒤꿈치 접지 상태로부터 수량적으로 검증했다.
(5) 정립 자세의 안정성의 평가
정립 자세의 안정의 평가는, 올바른 자세가 확보되어 있는지를, (가) 족저 압력 분포도에 의해 좌우 다리의 하중차와, (나)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수량적으로 검증했다(표 2, 표 5). 구체적으로는, FPS(족저 압력 측정 장치:한 화면)를 이용하고, 정립시의 족저 압력 분포도로부터 발바닥 전체에서의 입위 자세가 확보되어 있는지를, (가) 좌우 다리의 하중차로부터 검증했다(표 2, 표 5). 한편, 족저 압력 분포도의 압력값의 범위는 44[gf/㎠]∼400[gf/㎠]으로 설정했다. (나)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는, 발뒤꿈치(0%)로부터 발끝(100%)까지의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입위시의 안정을 수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며, 최안정 영역을 48%∼53%로 하고 있다(표 2, 표 5).
(6) 보행시의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의 평가
보행시의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은, 족저 압력 분포도로부터 무게 중심 위치를 산출하고, 발뒤꿈치 접지로부터 앞다리부에서의 내딛기까지의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을 수량적으로 해석하여 검증한다. 한편, 압력의 측정 범위를 52[gf/㎠]∼640[gf/㎠]으로 설정했다.
A:임산부용 신발 착화시의 평가 결과(표 1, 표 2, 표 3 참조)
(A1) 정립 자세의 평가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5.9도, 실시예 1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5.2도, 실시예 2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4.3도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신발을 신은 경우가 가장 기준값(5.0도)에 가깝고, 보다 안정적인 입위 자세가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어, 평가 「우수」라고 했다. 실시예 2는 4.3도로 약간 꼿꼿히 선 자세이지만, 앞으로 너무 기울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이라고 했다. 비교예 1은 앞으로 너무 기울었다고 판단되어 「불가」라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1
(A2) 보행 자세의 평가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7.1도, 실시예 1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6.4도, 실시예 2의 입위 자세 각도(평균)는 6.7도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신발이 가장 안정적인 보행 자세가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평가를 「우수」라고 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보다 앞으로 약간 기울지만, 앞으로 많이 기울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를 「가능」이라고 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앞으로 많이 기울었기 때문에, 평가를 「불가」라고 했다.
(A3) 보행 폭의 평가 결과
직립에 가까운 자세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 무릎 관절도 신전되어 큰 보행 폭을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비하여, 전경 자세가 깊은 경우는, 신체 전체가 「구부정한 자세」가 되기 때문에 무릎 관절도 신전되지 않고 보행 폭도 작아진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화시의 보행 폭은, 보행시의 편족 지지 자세 각도가 가장 작은 실시예 1의 보폭이 65[㎝]로 가장 크고, 이어서 실시예 2의 보폭이 62[㎝], 비교예 1의 보폭이 61[㎝]이었다. 보폭의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을 「우수」, 실시예 2와 비교예 1을 「가능」이라고 했다. 이에 의해, 올바른 자세의 확보가 넓은 보폭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A4) 보행 안정성의 평가 결과
보행 안정성은, 양쪽 다리를 가지런히 하여 섰을 때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보행시의 발뒤꿈치 접지 위치가 기준선에 접지하고 있는 것을 안정으로 하고, 기준선으로부터 좌우 어긋나 있는 것을 불안정으로서 검증했다.
검증 결과는 피험자 1의 경우, 비교예 1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은 2개소, 실시예 1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는 없음, 실시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는 4개소였다.
한편, 피험자 2의 경우, 비교예 1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은 4개소, 실시예 1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는 2개소, 실시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는 5개소였다.
따라서, 평가 결과는 실시예 1이 가장 안정되어 있으므로 「우수」, 이어서 비교예 1, 가장 좌우로 어긋나 있는 것이 실시예 2였지만, 비교예 1과 실시예 2를 「불가」라고 했다.
(A5) 정립시 안정성의 평가
정립시 안정성은, 족저 압력 분포도로부터 해석하는 정립시의 안정은, 좌우 다리 하중차가 작은 것,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수치로부터 48%∼53%의 최안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 결과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좌우 하중차가 6.3%, 실시예 1의 경우는 2.4%, 실시예 2의 경우가 1.1%였다.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에 대해서는, 비교예 1의 경우가 55%, 실시예 1의 경우가 50%, 실시예 2의 경우가 52.7%였다.
따라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가장 안정적인 입위라고 판단되어, 모두 「우수」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좌우 다리의 하중차가 크기 때문에 「불가」라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2
(A6)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의 평가
발뒤꿈치 접지기로부터 편족 지지 이행기, 내딛기 이행기(표 3 중의 부호 1∼8 참조)에 있어서, 보행시의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 변동을, 발뒤꿈치 접지기로부터 편족 지지 이행기, 내딛기 이행기의 무게 중심 위치 변동으로부터 평가했다.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족 지지기까지는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 변동에서는 각각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내딛기 이행기부터 내딛기까지의 변동을 보면, 비교예 1과 실시예 2에 비해, 실시예 1은 매끄러운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이 보이고, 또한 내딛기도 신발끝에서 내딛고 있기(84.0%) 때문에, 평가를 「우수」라고 했다. 실시예 2도 발끝으로 내딛고 있기(79.2%) 때문에, 평가를 「가능」이라고 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발끝에서의 내딛기가 약하기(76.6%) 때문에, 「불가」라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3
B:하이힐 착화시의 평가 결과(표 4, 표 5, 표 6 참조)
하이힐 착화시의 (B1) 정립 자세의 평가, (B2) 보행 자세의 평가, (B3) 보행 폭의 평가, (B4) 보행 안정성의 평가, (B5) 정립시 안정성의 평가, (B6)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의 평가는, 임산부용 신발의 착화시의 평가 (A1)∼(A6)과 동일하게 행했다.
(B1) 정립 자세의 평가 결과
정립 자세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2의 입위 자세 각도는 6.2도, 실시예 3은 5.1도, 실시예 4는 5.5도였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가장 기준값에 가깝고, 보다 안정적인 입위 자세가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평가 결과를 「우수」라고 했다.
Figure pct00004
(B2) 보행 자세의 평가 결과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입위 자세 각도는 6.1도,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입위 자세 각도는 6.1도,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입위 자세 각도는 6.2도였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가장 기준값에 가깝고, 보다 안정적인 보행 자세가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우수」라고 평가했다. 실시예 4도 기준값에 가깝기 때문에, 「가능」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비교예 2는 기준값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불가」라고 평가했다.
(B3) 보행 폭의 평가 결과
보행 폭의 평가는, 직립에 가까운 자세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릎 관절도 신전되고 큰 보행 폭이 확보되어 보행 효율도 높다. 그에 비하여, 전경 자세가 깊은 경우에는, 신체 전체가 「구부정한 자세」가 되기 때문에 무릎 관절도 신전되지 않고 보행 폭도 작아지는 것에 기초하여 판단했다.
보폭의 평가 결과는, 보행시의 편족 지지 자세 각도가 가장 작은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보폭이 62.5[㎝]로 가장 크고, 이어서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보폭이 61[㎝],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보폭이 58.5[㎝]였다. 따라서, 실시예 3을 「우수」라고 평가하고,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가능」이라고 평가했다. 이로부터, 올바른 자세의 확보가 넓은 보폭으로 이어진다.
(B4) 보행 안정성의 평가 결과
보행 안정성의 평가 결과는, 피험자 1의 경우,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이 1개소,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1개소,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3개소였다. 피험자 2의 경우,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이 5개소,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이 4개소,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어긋남이 5개소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가장 안정되어 있었으므로 「우수」라고 평가하고, 비교예 2와 실시예 4는 「불가」라고 평가했다.
(B5) 정립시 안정성의 평가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립시 안정성의 평가 결과는,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경우의 좌우 하중차는 8.7%,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1.1%,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1.8%였다.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에 대해서는, 비교예 2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63.8%,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62.6%,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가 65.3%였다. 비교예 2와 실시예 3과 실시예 4는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에 큰 차이는 없지만, 비교예 2는 좌우 하중차가 실시예 3, 4에 비해 크기 때문에 「불가」라고 평가하고, 실시예 3, 4를 「우수」라고 평가했다.
Figure pct00005
(B6)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의 평가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축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의 평가 결과는, 편족 지지기까지는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의 각 무게 중심 위치 변동에는, 각각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내딛기 이행기부터 내딛기까지의 변동을 보면, 비교예 2와 실시예 4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 비해, 실시예 3의 신발을 신었을 때에는 매끄러운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이 보이고, 또한 내딛기도 신발끝(번호 8)에서 내딛고 있기(83.1%) 때문에, 실시예 3을 「우수」라고 평가했다. 실시예 4의 발끝의 내딛기는 크기 때문에(78.1%), 「가능」이라고 평가했지만, 비교예 2는 내딛기가 약하기(76.8%) 때문에, 「불가」라고 평가했다.
이상과 같이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플랫 깔창은 「가능」이라고 판단되는 항목도 있지만 「불가」라고 평가되고, 5도 깔창은 「우수」라고 평가되며, 10도 깔창은 「가능」이라고 평가된다.
Figure pct00006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자세 및 보행이 안정되는 결과, 골반 교정의 효과, O자 다리 교정의 효과, 내퇴 강화의 효과(=다이어트 효과) 및 임산부에 있어서는 조산 방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1…깔창, 2…신발 본체, 10…인솔 본체부, 11…후단, 12…장심부, 13…선단, 14…발끝부, 15…내측, 16…외측, θ…경사 각도, 20…상판 원단부, 21…기부, 22…원단

Claims (5)

  1. 발뒤꿈치측의 후단부터 장심부를 거쳐 발끝측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인솔 본체부를 갖는 신발 깔창으로서,
    상기 인솔 본체부는, 발끝부의 내측이 외측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발끝부의 표면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솔 본체부의 횡단면이 발끝부로부터 발뒤꿈치부 사이에서 바닥면이 하향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이고, 장심부로부터 발뒤꿈치부 사이에서 표면이 하향으로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솔 본체부의 표면은 상기 발뒤꿈치측의 후단이 높고, 상기 발뒤꿈치측의 후단부터 상기 장심부를 향해 완만하게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끝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1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끝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7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컵인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 본체부는 3차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KR1020197035981A 2017-09-01 2018-08-15 신발 깔창 KR102140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8655A JP6516808B6 (ja) 2017-09-01 2017-09-01 靴の中敷
JPJP-P-2017-168655 2017-09-01
PCT/JP2018/030353 WO2019044508A1 (ja) 2017-09-01 2018-08-15 靴の中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076A true KR20190140076A (ko) 2019-12-18
KR102140933B1 KR102140933B1 (ko) 2020-08-04

Family

ID=6552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981A KR102140933B1 (ko) 2017-09-01 2018-08-15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16808B6 (ko)
KR (1) KR102140933B1 (ko)
CN (1) CN110740655B (ko)
WO (1) WO20190445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94B1 (ko) * 2020-08-11 2021-03-22 김일수 굽 높은 신발의 인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802A (ja) * 1989-08-23 1991-04-05 Biken Koeki Kk 履き物の中敷き
JPH0727307A (ja) 1993-07-08 1995-01-27 Gastar Corp 予混合装置
KR20090121100A (ko) * 2008-05-21 2009-11-25 (주)인투스에이치씨앤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
KR100984263B1 (ko) * 2009-05-15 2010-09-30 (주)인투스에이치씨앤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909U (ko) * 1980-03-10 1981-10-08
JPH09187306A (ja) * 1996-01-08 1997-07-22 Nippon Solid Co Ltd 中 敷
JP3067446U (ja) * 1999-07-05 2000-04-07 浩二 赤浜 足型成形と衝撃吸収と足裏のマメ防止用インソ―ル
US6604301B1 (en) * 2000-07-10 2003-08-12 II Arthur Manoli Shoe sole insert
JP2005013682A (ja) * 2003-06-23 2005-01-20 Yuji Sato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US10674786B2 (en) * 2011-03-08 2020-06-09 Athalonz, Llc Athletic pos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 heel platform and applications thereof
CN202364941U (zh) * 2011-12-02 2012-08-08 浙江万事龙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带增高鞋垫的鞋
CN202537725U (zh) * 2012-04-20 2012-11-21 中南大学湘雅医院 下肢矫形鞋
CN202890701U (zh) * 2012-07-09 2013-04-24 陕西科技大学 一种扁平足矫正鞋垫
CN203058531U (zh) * 2012-08-29 2013-07-17 温州职业技术学院 阶梯式舒适垫底
US20170224048A1 (en) * 2014-07-30 2017-08-10 Victoria University Injury reduction insole
KR20160050595A (ko) * 2014-10-30 2016-05-11 김은광 신발깔창
US20180255868A1 (en) * 2015-09-16 2018-09-13 Paradox Carbon Flex Footwear Holdings Pty Ltd Item of footwear
CN205963091U (zh) * 2016-06-17 2017-02-22 张慧敏 一种鞋垫及鞋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802A (ja) * 1989-08-23 1991-04-05 Biken Koeki Kk 履き物の中敷き
JPH0727307A (ja) 1993-07-08 1995-01-27 Gastar Corp 予混合装置
KR20090121100A (ko) * 2008-05-21 2009-11-25 (주)인투스에이치씨앤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
KR100984263B1 (ko) * 2009-05-15 2010-09-30 (주)인투스에이치씨앤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94B1 (ko) * 2020-08-11 2021-03-22 김일수 굽 높은 신발의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16808B2 (ja) 2019-05-22
CN110740655B (zh) 2020-12-25
CN110740655A (zh) 2020-01-31
WO2019044508A1 (ja) 2019-03-07
KR102140933B1 (ko) 2020-08-04
JP2019042144A (ja) 2019-03-22
JP6516808B6 (ja)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184B1 (en) Sandal with formed hinge and method of use
US8468721B2 (en) Footwear with integrated biased heel fit device
US7694435B1 (en) Foldable flip flop with formed hinge
EP3079638B1 (en) Outsole for orthopedic device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US20170224049A1 (en) Footwear with tapered heel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asurement
CN103167812B (zh)
KR102140933B1 (ko) 신발 깔창
JP2024039656A (ja) 中敷き及びこれを備えた靴
US1717432A (en) Ankle and arch support for children's shoes
US5893221A (en) Footwear having a protuberance
JP3784680B2 (ja) 履き物用底部・中敷き
CN103799613A (zh) 鞋底结构
JP3212230U (ja) 靴下
TWI645796B (zh) 足部穩定裝置
JP2007312822A (ja) 高さのあるヒールを備えた婦人靴の中底体
JP5970423B2 (ja) 足底用パッド
US11766094B2 (en) Foot device
JP6975461B2 (ja) 靴底及び靴
US20220312892A1 (en) Footwear sole with a midfoot lateral extension to increase lateral stability
US20170156436A1 (en) Rigid orthotic and method of forming
JP2013081710A (ja) ヒール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履物
KR200488994Y1 (ko) 균형패드가 부착될 수 있는 인솔
JP3135875U (ja) S字型婦人靴
KR200317986Y1 (ko) 구두의 밑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