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986Y1 - 구두의 밑창구조 - Google Patents

구두의 밑창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986Y1
KR200317986Y1 KR20-2003-0009254U KR20030009254U KR200317986Y1 KR 200317986 Y1 KR200317986 Y1 KR 200317986Y1 KR 20030009254 U KR20030009254 U KR 20030009254U KR 200317986 Y1 KR200317986 Y1 KR 200317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hoes
he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환
Original Assignee
오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장환 filed Critical 오장환
Priority to KR20-2003-0009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의 밑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올바른 걸음걸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척추 혹은 골반 및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몸의 균형 및 자세 또한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두본체와 구두밑창 및 내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한 구두굽으로 이루어진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밑창의 높이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두의 밑창구조{STRUCTURE OF THE SOLE OF A SHOES}
본 고안은 구두의 밑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올바른 걸음걸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척추 혹은 골반 및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몸의 균형 및 자세 또한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구두의 밑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를 착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발바닥의 외측을 먼저 지면에 닿도록 걸음을 걷기때문에 신체의 무게중심이 발의 외측으로 쏠리게 되어 구두본체의 새끼발가락쪽이 심하게 변형되고 또한, 이로인하여 구두굽의 외측이 심하게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바닥면 외측이 마모된 구두를 계속 착용하고 다닐 경우에는, 척추 혹은 골반 및 무릎관절에까지 악영향을 주게 되어 통증을 유발하거나, 몸의 균형이 깨지게 되어 몸의 자세가 변형되는등 여러가지 합병증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어 1999년 12월 14일자 (실용신안 제0172766호)인 '구두뒷굽의 편마현상 방지를 위한 교정용 구두 뒷굽 안창'과, 2002년 10월 8일자 (실용신안 제0292630호)인 '구두의 변형방지 및 걸음자세교정이 가능한 구두 굽 및 구두구조'가 있다.
이중 상기 실용신안 제 0292630호를 첨부된 도면중 도 1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구두본체(110), 구두밑창(120) 및 구두굽(130)으로 이루어진 구두(100)에 있어서, 상기 구두굽(130)의 바닥면이 외측으로만 마모되어 척추, 골반 및 무릎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구두를 착용할때 발의 중심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구두굽(130)의 외측의 높이(H)를 내측의 높이(h)보다 높게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두굽(130)의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가 구두를 착용하고 걸음을 걸을때 자연스럽게 발의 내측을 지면에 먼저 디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두굽만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발의 전체가 내측으로 기울어 지는것이 아니라, 구두굽의 상면에 안착되는 발의 뒤꿈치만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오히려 발의 안정감을 상실하게 되고, 무릎관절, 골반 및 이에 더하여 척추에 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구두본체, 구두밑창 및 구두굽으로 이루어진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밑창과 구두굽을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각각 형성하여, 다리가 휘거나, 골반 및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몸의 균형을 잡아주어 발의 안정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두굽이 마모되는 형상을 나타낸 구두의 착용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내측으로 경사진 구두굽을 나타낸 구두의 착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A-A' 단면도.
도 5는 B-B'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의 착용상태를 나태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두 10:구두본체
20:구두밑창 22:경사면
30:구두굽
상기 목적은, 구두본체와 구두밑창 및 내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한 구두굽으로 이루어진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밑창의 높이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밑창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구두본체(10)와 구두밑창(20) 및 구두굽(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두밑창(20)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2)이 형성되도록 외측면 두께(H)를 내측면 두께(h)보다 소정높이(D)만큼 높게 형성하고, 상기 구두굽(30) 또한, 외측면 두께가 내측면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되, 상기 구두밑창(20)의 외측(H)과 내측(h)의 높이차로 형성된 경사각(θ)은 상기 구두굽(30)의 경사각(θ')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구두(1)를 착용하고 걸음을 걸을때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평행하게 닿을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면중 도 4를 살펴보면 알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두본체(10)의 하단에 상기 내측으로 경사진 구두밑창(20)을 부착하고, 상기 구두밑창(20)의 후단부에 같은 각도로 경사진 구두굽(30)이 부착되고나면 올바른 걸음걸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척추 혹은 골반 및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몸의 균형 및 자세 또한 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는 구두(1)가 완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를 착용하고 걸음을 걸을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발바닥의 외측부터 지면에 닿도록 걸음을 걷고 있다.
이러한 걸음습관은, 구두본체(10)의 외형을 변형 시킬 뿐만 아니라, 구두굽(30) 바닥면의 외측을 마모시키고, 다리가 휘거나 골반이 틀어지게 되며, 또한, 척추측만증과 같은 신체의 변형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구두밑창(20)과 구두굽(30)으로 형성된 구두(1)를 착용하고 걸음을 걸을때에는 발바닥의 내측과 외측이 동시에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두밑창(20)과 구두굽(30)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될 수 있게된다.
상기 구두굽(30)과 구두밑창(20)이 일체화된 구두(1)를 사용가자 착용 했을때 구두굽(30) 상면이 외측에서 적정길이만큼 내측으로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경사도가 형성되고, 구두밑창(20) 외측이 상기 적정길이만큼 내측으로 기울어져 평행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구두를 착용하여 걸음을 걸을때 사용자가 안정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두의 밑창구조는 운동화, 등산화, 군화 및 슬리퍼등 여러종류의 신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두의 밑창구조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두의 밑창구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걸음을 걸을때, 발의 외측부터 지면에 닿도록 걸음을 걸음으로써, 무게중심이 발의 외측으로 편심되게되므로 발의 새끼발가락 부분의 구두본체가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점을 상기 구두굽과 구두밑창의 외측면의 두께를 내측면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구두본체의 변형을 방지하였을 뿐만아니라, 걸음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며, 발목이나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구두를 착용하였을 시에 안정되고 편안한 느낌을 받게 되어 몸의 피로가 덜어지는 효과를 갖게 되고 또한, 무릎관절 및 골반, 척추의 이상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구두본체(10)와 구두밑창(20) 및 내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한 구두굽(30)으로 이루어진 구두(1)에 있어서,
    상기 구두밑창(20)의 높이는 외측(H)에서 내측(h)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밑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두밑창(20)의 외측두께(H)와 내측두께(h)의 높이차로 인하여 형성된 경사면(22)의 각도(θ)는 상기 구두굽의 경사각(θ') 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밑창구조.
KR20-2003-0009254U 2003-03-27 2003-03-27 구두의 밑창구조 KR200317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54U KR200317986Y1 (ko) 2003-03-27 2003-03-27 구두의 밑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54U KR200317986Y1 (ko) 2003-03-27 2003-03-27 구두의 밑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986Y1 true KR200317986Y1 (ko) 2003-06-27

Family

ID=4940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54U KR200317986Y1 (ko) 2003-03-27 2003-03-27 구두의 밑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9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83B1 (ko) * 2003-07-16 2005-10-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질림 방지 구두 빗창 및 그 빗창이 구비된 구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83B1 (ko) * 2003-07-16 2005-10-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질림 방지 구두 빗창 및 그 빗창이 구비된 구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US6948262B2 (en)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US20150107133A1 (en) Flexible shoe sole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US20160021971A1 (en) High heeled shoe with internal comfort and pronation control system
US7360326B1 (en) Flexible footwear sole
KR200414204Y1 (ko) 신발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KR20230170565A (ko) 신발
KR200317986Y1 (ko) 구두의 밑창구조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KR200321705Y1 (ko) 신발의 밑창
JP2006247218A (ja) 履物
US11786009B2 (en) Footwear system with integrated orthotics, stabilization features, and a plurality of design features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US20220312892A1 (en) Footwear sole with a midfoot lateral extension to increase lateral stability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0292630Y1 (ko) 구두의 변형방지 및 걸음자세교정이 가능한 구두 굽 및구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