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512A -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512A
KR20190137512A KR1020180063772A KR20180063772A KR20190137512A KR 20190137512 A KR20190137512 A KR 20190137512A KR 1020180063772 A KR1020180063772 A KR 1020180063772A KR 20180063772 A KR20180063772 A KR 20180063772A KR 20190137512 A KR20190137512 A KR 20190137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unit
power transmission
pulle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756B1 (ko
Inventor
화정준
Original Assignee
화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정준 filed Critical 화정준
Priority to KR102018006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붐을 구비하여 복수의 붐의 인출입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붐 유닛, 붐 유닛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붐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붐의 인출을 위하여 복수의 붐에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및 붐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각각은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POWER CABLE SUPPORTING APPARATUS FOR LIVE LINE WORKS}
본 발명은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 교체 작업 및 선로의 개수, 보수 작업 시 기존 전력 케이블을 임시로 옮겨서 설치한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 이설 작업에는 작업 구간 내의 선로를 정전상태로 만든 후 실시하는 방법이 있고, 정전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무정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전력 케이블 교체 및 선로의 개수, 보수 작업을 무정전 작업 또는 활선 작업이라고 하며,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위험성이 크고 감전, 누전 등에 의한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활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활선 작업에 용이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활선 작업과 관련된 장비 및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9508호(2002.01.09 공고)
본 발명은, 붐 유닛을 종방향으로 인출입하여 붐 유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붐 유닛의 인입 시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붐을 구비하여 복수의 붐의 인출입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붐 유닛, 붐 유닛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붐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붐의 인출을 위하여 복수의 붐에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및 붐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각각은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붐 유닛은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붐, 제1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2 붐, 제2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3 붐 및 제3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4 붐을 포함하고, 구동 유닛은 제2 붐이 인출되도록 제2 붐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2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 붐의 인출에 따라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 및 제3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3 붐의 인출에 따라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고,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붐 유닛은 제4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5 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4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4 붐의 인출에 따라 제5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하고,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붐 유닛은 제5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6 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5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5 붐의 인출에 따라 제6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하고,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복수의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적층되어 외부로 노출 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복수의 테두리부에 결합된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2 붐 외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인출 풀리를 포함하고,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제3 붐 외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인출 풀리를 포함하고,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제2 붐이 인출될 시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1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인출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제3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인출 와이어 및 제1 인출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제3 붐이 인출될 시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2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2 인출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제4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인출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제1 인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붐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고 제1 인출 풀리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 인출 풀리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1 와이어 고정부 및 제2 인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 붐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고 제2 인출 풀리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2 인출 풀리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제2 붐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인입 풀리,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제2 붐이 인입될 시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1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인입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제3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인입 와이어, 제3 붐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인입 풀리 및 제1 인입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제3 붐이 인입될 시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2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2 인입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제4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인입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일단이 제1 붐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 붐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이 차량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차량에 볼트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붐 유닛을 종방향으로 인출입하여 붐 유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붐 유닛의 인입 시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의 인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붐을 구비하여 복수의 붐의 인출입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붐 유닛, 붐 유닛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붐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붐의 인출을 위하여 복수의 붐에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및 붐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19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90)를 포함하고,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각각은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이 방지되도록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의 붐 유닛이 인출입되어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므로 주변에 장애물에 방해 받지 않고 작업에 필요한 높이로 붐 유닛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각각을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여 붐 유닛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붐 유닛의 인입 시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켜 보다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은 붐 유닛(120)의 하단에 결합하여 붐 유닛(120)이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차량(3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서 돌출되어 차량(300)에 볼트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결합부(112)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평면상 각 모서리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의 볼트가 차량 결합부(112)를 가압하면서 차량(30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차량(300)의 하부로 진행하고 이어서 볼트를 고정하여 차량(300)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베이스 프레임(110)을 차량(300)에 결합하는 방법 이외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관통홀을 통하여 차량(300)과 볼트 결합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을 차량(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구동 유닛(130)을 조작하여 붐 유닛(1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유닛(120)은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붐을 구비하여 복수의 붐의 인출입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유닛(120)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붐(121) 내지 제6 붐(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붐(121)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제1 붐(121)에서 제6 붐(126)까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횡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붐은 순차적으로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 붐(121), 제1 붐(12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2 붐(122), 제2 붐(122)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3 붐(123), 제3 붐(12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4 붐(124), 제4 붐(124)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5 붐(125) 및 제5 붐(125)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6 붐(1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붐 유닛(120)이 복수의 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방향의 길이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활선 작업시 그 작업 장소 주변의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으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130)은 붐 유닛(120)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유닛(130)의 일단은 붐 유닛(120) 내부의 하단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하고 타단은 붐 유닛(120)에 결합되어 붐 유닛(120)을 슬라이딩 운동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130)은 유압 실린더(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132)의 실린더 본체는 제2 붐(12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132)의 피스톤 로드는 제1 붐(121) 내부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유닛(130)의 작동에 따라서 제2 붐(122)을 제1 붐(121)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132)의 작동을 위하여 유압 펌프(134), 오일 탱크(136) 및 모터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유압 탱크는 유압 실린더(132)에 공급되는 오일을 수용하고, 유압 펌프(134)는 유압 실린더(132)에 필요한 오일을 공급하며, 모터는 유압 펌프(134)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은 붐 유닛(120)의 외부에 설치되어 붐 유닛(120)을 인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붐에 구동 유닛(130)의 구동력을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은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 내지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은 구동 유닛(130)이 제2 붐(122)을 운동시킴에 따라서 붐 유닛(120) 전체를 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 내지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4)은 각각 제2 붐(122) 내지 제5 붐(125) 외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 유닛(130)의 인출 동력을 각 붐에 전달한다.
여기서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은 풀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출 와이어가 이러한 풀리에 감기면서 붐 유닛(120)에 결합되어 인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은 서로 이격된 각각 한 쌍의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1 인출 와이어(150)는 구동 유닛(130)의 작동에 따라 제2 붐(122)이 인출될 시 제3 붐(123)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1 붐(1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인출 풀리(145)에 감기고 타단이 제3 붐(123)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2 인출 와이어(151)는 제1 인출 와이어(150)의 작동에 따라 제3 붐(123)이 인출될 시 제4 붐(124)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2 붐(122)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2 인출 풀리(146)에 감기고 타단이 제4 붐(124)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인출 와이어(152)는 제4 붐(124)이 인출될 시 제5 붐(125)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3 붐(123)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3 인출 풀리(147)에 감기고 타단이 제5 붐(125)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4 인출 와이어(153)는 제5 붐(125)이 인출될 시 제6 붐(126)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제4 붐(124)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4 인출 풀리(148)에 감기고 타단이 제6 붐(126)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130)이 작동하여 제2 붐(122)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이에 따라서 연쇄적으로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이 제3 붐(123) 내지 제6 붐(126)에 인출 동력을 전달시켜 붐 유닛(120)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키게 된다.
구동 유닛(130)이 붐 유닛(12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메커니즘은 제1 붐(121) 내지 제3 붐(123)이 기본 단위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유닛(130)이 제2 붐(122)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제1 인출 풀리(145) 및 제1 인출 와이어(150)를 통하여 제3 붐(123)이 운동할 수 있다. 이후 붐,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및 인출 와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붐 유닛(12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각각은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횡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은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일측, 도 4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2)은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타측,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고,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3)은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과 마찬가지로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나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에 대해 횡방향, 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 위치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4)은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3)과 마찬가지로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나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2)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2)에 대해 횡방향, 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 위치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인출 풀리(147)는 한 쌍의 제1 인출 풀리(145)의 이격된 공간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한 쌍의 제4 인출 풀리(148)는 한 쌍의 제2 인출 풀리(146)의 이격된 공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의 위치를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면,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의 중첩 또는 충돌을 방지하여 붐 유닛(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붐이 모두 인입되는 경우 붐 유닛(120)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켜 보다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인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붐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는 제1 붐(121) 상단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1 와이어 고정부(180), 제2 붐(122) 상단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와이어 고정부(180), 제3 붐(123) 상단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3 와이어 고정부(180), 제4 붐(124) 상단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4 와이어 고정부(180)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제1 인출 와이어(150) 내지 제4 인출 와이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는 복수의 붐 상단의 외부에 형성되므로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과 유사하게 각각이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출 와이어와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과의 관계에 따라서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1 와이어의 일단은 제1 붐(121)에 고정되고 제2 붐(122)에 결합되는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에 감기어 제3 붐(123)의 하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를 고정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180)는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1)과 같은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 고정부(1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되 제1 인출 풀리(145)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 인출 풀리(145)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 고정부(180)는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고 제2 인출 풀리(146)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2 인출 풀리(146)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와이어 고정부(1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되 제3 인출 풀리(147)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3 인출 풀리(147)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4 와이어 고정부(180)는 붐 유닛(120)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고 제4 인출 풀리(148)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4 인출 풀리(148)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와이어 고정부(180) 사이에 한 쌍의 제1 인출 풀리(145)가 위치되고, 한 쌍의 제1 인출 풀리(145) 사이에 한 쌍의 제3 와이어 고정부(180)가 위치되고, 한 쌍의 제3 와이어 고정부(180) 사이에 한 쌍의 제3 인출 풀리(147)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와이어 고정부(180) 사이에 한 쌍의 제2 인출 풀리(146)가 위치되고, 한 쌍의 제2 인출 풀리(146) 사이에 한 쌍의 제4 와이어 고정부(180)가 위치되고, 한 쌍의 제4 와이어 고정부(180) 사이에 한 쌍의 제4 인출 풀리(148)가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 및 복수의 인출 풀리가 서로 간섭을 회피하도록 위치되면,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 및 복수의 인출 풀리 각각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붐 유닛(120)의 인입 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적층되어 외부로 노출 되는 복수의 테두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70)에는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과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가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부(170)가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적층되어 외부로 노출되면 이에 따라서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과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가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어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140) 또는 복수의 와이어 고정부(18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나 홈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100)는 붐 유닛(120)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인입 풀리 및 복수의 인입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2 붐(122)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인입 풀리(160), 구동 유닛(130)의 작동에 따라 제2 붐(122)이 인입될 시 제3 붐(123)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1 붐(121)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제1 인입 풀리(160)에 감기고 타단이 제3 붐(123)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인입 와이어(164), 제3 붐(123)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인입 풀리(161) 및 제1 인입 와이어(164)의 작동에 따라 제3 붐(123)이 인입될 시 제4 붐(124)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2 붐(122)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제2 인입 풀리(161)에 감기고 타단이 제4 붐(124)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인입 와이어(16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붐(124)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3 인입 풀리(162), 제4 붐(124)이 인입될 시 제5 붐(125)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3 붐(123)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제3 인입 풀리(162)에 감기고 타단이 제4 붐(124)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3 인입 와이어(166), 제5 붐(125)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4 인입 풀리(163) 및 제5 붐(125)이 인입될 시 제6 붐(126)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제4 붐(124)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제4 인입 풀리(163)에 감기고 타단이 제6 붐(126)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4 인입 와이어(167)가 마련될 수 있다.
붐 유닛(120)의 인입 프로세스도 붐 유닛(120)의 인출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제1 붐(121) 내지 제3 붐(123)을 기본 단위로 하여 구동 유닛(130), 제1 인입 풀리(160) 및 제1 인입 와이어(164)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붐 유닛(120)이 제1 붐(121) 내지 제6 붐(126)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인입 풀리(160) 내지 제4 인입 풀리(163), 제1 인입 와이어(164) 내지 제4 인입 와이어(167)가 구성되어 모든 붐 유닛(12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130) 하나의 부재가 붐 유닛(120)의 인입과 인출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붐 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19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90)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190)는 제6 붐(126)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192)이 활선 작업이 진행되는 높이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전력 케이블(192)이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붐의 하나에 추가적인 가이드 롤러(190)를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190)는 전력 케이블(192)의 동선을 고려하면 제6 붐(126)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190)와 같은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활선 작업은 전력이 중단됨에 따른 해당 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력 케이블(192)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므로, 가이드 롤러(190)는 작업 중 누전 또는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코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고정되는 차량(300)에 결합되는 변압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200)는 무정전 상태로 진행되는 활선 작업을 보조하도록 전력 케이블(19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12: 차량 결합부
114: 컨트롤러부
120: 붐 유닛
121: 제1 붐
122: 제2 붐
123: 제3 붐
124: 제4 붐
125: 제5 붐
126: 제6 붐
130: 구동 유닛
132: 유압 실린더
134: 유압 펌프
136: 오일 탱크
140: 인출 동력 전달 유닛
141: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
142: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
143: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
144: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
145: 제1 인출 풀리
146: 제2 인출 풀리
147: 제3 인출 풀리
148: 제4 인출 풀리
150: 제1 인출 와이어
151: 제2 인출 와이어
152: 제3 인출 와이어
153: 제4 인출 와이어
160: 제1 인입 풀리
161: 제2 인입 풀리
162: 제3 인입 풀리
163: 제4 인입 풀리
164: 제1 인입 와이어
165: 제2 인입 와이어
166: 제3 인입 와이어
167: 제4 인입 와이어
170: 테두리부
180: 와이어 고정부
190: 가이드 롤러
192: 전력 케이블
200: 변압기
300: 차량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된 복수의 붐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붐의 인출입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붐 유닛;
    상기 붐 유닛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붐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붐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붐에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및
    상기 붐 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력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간 간섭을 회피하도록 횡방향 평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유닛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붐;
    상기 제1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2 붐;
    상기 제2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3 붐; 및
    상기 제3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4 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붐이 인출되도록 상기 제2 붐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2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 및
    상기 제3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제4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5 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4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4 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5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붐 유닛은 상기 제5 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제6 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5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5 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6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붐의 인입 시 서로 적층되어 외부로 노출 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복수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2 붐 외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인출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출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3 붐 외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인출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붐이 인출될 시 상기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인출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제3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인출 와이어; 및
    상기 제1 인출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 붐이 인출될 시 상기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인출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제4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인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붐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인출 풀리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1 인출 풀리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1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제2 인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붐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붐 유닛의 외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인출 풀리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2 인출 풀리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붐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인입 풀리;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붐이 인입될 시 상기 제3 붐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인입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제3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1 인입 와이어;
    상기 제3 붐 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인입 풀리; 및
    상기 제1 인입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 붐이 인입될 시 상기 제4 붐이 연동되어 인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붐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인입 풀리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제4 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 인입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붐 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붐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차량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량에 볼트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KR1020180063772A 2018-06-01 2018-06-01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KR10214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2A KR102142756B1 (ko) 2018-06-01 2018-06-01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2A KR102142756B1 (ko) 2018-06-01 2018-06-01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12A true KR20190137512A (ko) 2019-12-11
KR102142756B1 KR102142756B1 (ko) 2020-08-07

Family

ID=690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72A KR102142756B1 (ko) 2018-06-01 2018-06-01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508B1 (ko) 1999-07-16 2002-01-09 하성환 전선로 가 지지 장치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100959641B1 (ko) * 2008-05-07 2010-05-26 (주)에프.이.에스 다단 자동식 조명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508B1 (ko) 1999-07-16 2002-01-09 하성환 전선로 가 지지 장치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100959641B1 (ko) * 2008-05-07 2010-05-26 (주)에프.이.에스 다단 자동식 조명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756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678B1 (ko) 가위형 승강 테이블
DE102015104969A1 (de) Motorisiertes Heimlagerungssystem
CN112510579B (zh) 一种跨线放线装置
CN104609256A (zh) 一种龙门地轨行走式收、排线装置
DK2530042T3 (en) Elevator
US20140305742A1 (en) Elevator
KR20190137512A (ko)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US20180254617A1 (en) Wire puller and method of pulling wire
CN107835784B (zh) 耦合单元
KR200482984Y1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102140188B1 (ko) 다단식 붐대의 지지장치
KR20170055232A (ko) 전선 포설용 세선분배장치
KR101724437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638293B1 (ko) 풍력 발전기용 나셀 플로어 폴딩장치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KR200477315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2016115420A (ja) 端子圧着治具セット補助装置および端子圧着システム
CN106006197A (zh) 一种方便使用的接地线绕线小车
KR101070456B1 (ko)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US20190145385A1 (en)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for attaching a tube or cable to an appliance of an offshore structure
CN106041240A (zh) 一种导线或电缆自动连接设备
US10139580B2 (en) Retractable datacommunications rack
KR102136603B1 (ko)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경량형 붐시스템
JP3144633B2 (ja) 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ダクトの格納装置
JP6945956B2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盤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制御盤の保守点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