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318A - 격막식 기초 보강 백 - Google Patents

격막식 기초 보강 백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318A
KR20190137318A KR1020180063357A KR20180063357A KR20190137318A KR 20190137318 A KR20190137318 A KR 20190137318A KR 1020180063357 A KR1020180063357 A KR 1020180063357A KR 20180063357 A KR20180063357 A KR 20180063357A KR 20190137318 A KR20190137318 A KR 2019013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ide wall
storage space
wall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784B1 (ko
Inventor
박인수
송영조
Original Assignee
박인수
송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수, 송영조 filed Critical 박인수
Priority to KR102018006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7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6Compacting soil locally before forming foundations; Construction of foundation structures by forcing binding substances into gravel fil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43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multipl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막식 기초 보강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은,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고리(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일단이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중앙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 위치한 다수 개의 개별칸막이유닛(21)으로 구성되되,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서 상호 고정 연결되어 있고,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바닥부(11)로부터 측벽부(12)의 상단 높이까지 형성되어 본체백(10) 내부를 십자형으로 분할하는 저장공간(22)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부(21a)와, 상기 하부칸막이부(2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각기 마주하는 저장공간(22)을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덮개형성부(21b)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각 저장공간(22)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저장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되, 높이가 상기 본체백(10)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저장공간(22)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보조저장공간(22a)을 형성하는 내부백본체(31)와, 상기 내부백본체(31)의 소저장공간(31a)을 개폐시키는 내부백덮개(32)로 구성된 내부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백 내부 공간을 수평 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백 본체의 측벽면 길이보다 크기가 작은 내부백이 설치되어 백 내부 공간이 상하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충전되는 토사가 수평상 및 상하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토사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내부에서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기초 하부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격막식 기초 보강 백{separation type foundation reinforcing bag}
본 발명은 지내력 기초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바닥 콘크리트 하부의 지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 보강 백에 관한 것으로, 평면상에서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막이 구비됨과 더불어, 내부백을 이용하여 측면상에서 내부 공간 분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격막식 기초 보강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나 치수공사,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재해의 복구공사 등에서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리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모래주머니는, 마대나 폴리에틸렌제, 폴리프로필렌제 등의 자루형, 망형 등 내구성이 우수한 모래주머니에 흙을 채우고, 테이프 등으로 그 입구를 막은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래주머니 형상은 통상 원주형이나 풍선을 거꾸로 한 모양(염낭 모양)이어서 사이에 빈틈이 있고,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운반, 하역을 위하여 들어 올릴 경우에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모래주머니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적재시 빈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인하여 위로 들어올릴 경우, 하부 중앙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터질 우려가 있었는바, 소형의 모래주머니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166호,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백 바닥에 통공이 형성되고, 모서리들에 통과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연결밴드가 통공 및 통과홀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밴드는 소일백을 들어올리는 고리 역할을 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뜯기지 않게 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특허문헌 1을 비롯한 기존의 소일백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덮개를 열고 내부에 모래 등의 토사를 저장한 후에는 통상적으로 다짐 작업을 실시한다.
만약 다짐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내부의 공극이 커져서 부피가 축소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소일백을 이용하여 지내력 콘크리 기초의 보강용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기초 하부에 소일백이 위치한 상태에서 큰 공극으로 인해 내부 토사의 유실이 발생할 경우 추후 기초의 하차 발생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KR 10-1327166 (2013.10.25)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백 내부 공간을 수평 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백 본체의 측벽면 길이보다 크기가 작은 내부백이 설치되어 백 내부 공간이 상하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충전되는 토사가 수평상 및 상하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토사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내부에서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기초 하부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시키려는 것이다.
또, 칸막이부재를 형성하는 개별칸막이유닛은 칸막이를 형성하는 하부칸막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본체백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형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저장공간마다 개별 덮개가 구비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개별 저장공간별로 개폐시켜 토사의 충진 및 보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보강 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내부백이 본체백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백지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내부백을 본체백에 설치하기 전 본체백 내부에 토사를 충진시킴에 있어서 내부백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손쉽게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내부백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백의 내부공간에 토사를 넣고 다지는 등의 과정에서 내부백 내부에 과량의 토사를 투입하면서 다짐으로 인해 내부백이 터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칸막이부재의 하부칸막이부로부터 연장된 덮개형성부에, 겹침부가 연장 형성되고 겹침부가 본체백의 측벽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내부백지지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부위에 본체백의 측벽부, 칸막이부재의 겹침부, 내부백지지부재의 일측고정부가 상호 겹쳐져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보강 수단 없이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토사 충진 후의 다짐, 설치 후의 하중에 의해 천이 찢기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여기에 내부백의 덮개까지도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4중 겹침 구조를 이루어 보다 견고한 기초 보강 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12)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일단이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중앙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 위치한 다수 개의 개별칸막이유닛(21)으로 구성되되,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서 상호 고정 연결되어 있고,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바닥부(11)로부터 측벽부(12)의 상단 높이까지 형성되어 본체백(10) 내부를 십자형으로 분할하는 저장공간(22)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부(21a)와, 상기 하부칸막이부(2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각기 마주하는 저장공간(22)을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덮개형성부(21b)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각 저장공간(22)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저장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되, 높이가 상기 본체백(10)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저장공간(22)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보조저장공간(22a)을 형성하는 내부백본체(31)와, 상기 내부백본체(31)의 소저장공간(31a)을 개폐시키는 내부백덮개(32)로 구성된 내부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에 고정되는 일측고정부(41)와, 상기 일측고정부(41)로부터 상기 저장공간(22)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백(30)을 지지하는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 타측에 연결되며, 개별칸막이유닛(21)의 하부칸막이부(21a)에 고정되는 타측고정부(43)로 이루어진 내부백지지부재(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별칸막이유닛(21)의 덮개형성부(21b) 단부에는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와 겹쳐지는 겹침부(2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겹침부(21c)와 측벽부(12)는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겹침부(21c)는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와, 겹침부(21c)와, 일측고정부(41)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백덮개(32)는 상기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 겹침부(21c), 일측고정부(41), 내부백덮개(32)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백 내부 공간을 수평 상으로 분할하는 칸막이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백 본체의 측벽면 길이보다 크기가 작은 내부백이 설치되어 백 내부 공간이 상하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충전되는 토사가 수평상 및 상하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토사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내부에서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기초 하부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칸막이부재를 형성하는 개별칸막이유닛은 칸막이를 형성하는 하부칸막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본체백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형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저장공간마다 개별 덮개가 구비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개별 저장공간별로 개폐시켜 토사의 충진 및 보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보강 백이 제공된다.
또한, 내부백이 본체백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백지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내부백을 본체백에 설치하기 전 본체백 내부에 토사를 충진시킴에 있어서 내부백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손쉽게 레벨을 확인할 수 있고, 내부백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백의 내부공간에 토사를 넣고 다지는 등의 과정에서 내부백 내부에 과량의 토사를 투입하면서 다짐으로 인해 내부백이 터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칸막이부재의 하부칸막이부로부터 연장된 덮개형성부에, 겹침부가 연장 형성되고 겹침부가 본체백의 측벽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내부백지지부재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부위에 본체백의 측벽부, 칸막이부재의 겹침부, 내부백지지부재의 일측고정부가 상호 겹쳐져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보강 수단 없이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토사 충진 후의 다짐, 설치 후의 하중에 의해 천이 찢기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내부백의 덮개까지도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4중 겹침 구조를 이루어 보다 견고한 기초 보강 백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을 이용한 기초 공사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내부백지지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한 고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은 크게 본체백(10), 칸막이부재(20) 및 내부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백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백(10), 칸막이부재(20) 및 내부백(30)은 모두 부직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유연성 시트(천), 망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본체백(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각 박스 형상을 취한다.
바닥부(11)와 측벽부(12)의 연결 부위는 천의 전개 방식에 따라 일체로 이루어진 채 연결될 수도 있고, 박음질 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12)의 모서리 부분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 중앙에는 금속질의 연결고리(13)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상에서 연결고리(13)는 후크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이나, 링크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고리(13)는 운반을 위한 견인 로프가 연결되거나, 해당 위치에 설치된 후에 철근 등의 보강근(70)이 연결되어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13)는 별도의 포켓 등을 구비하여 포켓에 삽입되는 방식 등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칸막이부재(20)는 본 발명에서 주요한 구성 요소로 다수 개의 개별칸막이유닛(21)들이 중앙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평면상에서 볼 때는 일자형 개별칸막이유닛(21)들이 상호 연결되어 "╋"자 형태를 취하게 된다.
각각의 개별칸막이유닛(21)들은 하부칸막이부(21a)와 덮개형성부(21b)로 구성되고, 여기에 겹침부(21c)가 더 부가될 수 있다.
하부칸막이부(21a)는 일단이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중앙에 박음질 등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 위치한 채 인접한 하부칸막이부(21a)들의 타단과 상호 박음질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또, 하부칸막이부(21a)의 하단은 본체백(10)의 바닥부(11)에 박음질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하부칸막이부(21a)의 높이는 본체백(10)의 바닥부(11)로부터 측벽무(13) 상단까지의 높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개별칸막이유닛(21)들이 설치됨에 따라 본체(10)의 내부는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의 하부칸막이부(21a)들에 의해 분할된 4 개의 저장공간(22)을 형성하게 된다.
덮개형성부(21b)는 각 하부칸막이부(21a)들과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주하는 저장공간(22)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덮개형성부(21b)의 크기는 각 저장공간(22)들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하나의 하부칸막이부(21a) 상단에 하나의 덮개형성부(21b)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부칸막이부(21a) 상단에 두 개씩의 덮개형성부(21b)가 연장 형성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각 저장공간(22)을 덮어 고정하는 수단이 두 개의 천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고정되는 부위가 서로 다른 측벽부(12)가 될 수 있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천의 재단은 대략 본체백(10) 내부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며, 본체백(10)의 바닥부 길이에 측벽부(12) 높이의 두배 되는 길이를 합한 길이의 천을 준비한 다음 천을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측벽부(12) 높이만큼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박음질을 처리하여 하부칸막이부(21a)는 두 천이 서로 겹친 상태가 되고, 덮개형성부(21b)는 하부칸막이부(21a)의 단부에서 두 개로 나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형성부(21b)의 상단에 겹침부(21c)가 형성되는 경우 겹침부(21c)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천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면 된다.
상기 개별칸막이유닛(21)의 덮개형성부(21b) 단부에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와 겹쳐지는 겹침부(21c)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겹침부(21c)와 측벽부(12)는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수단(50)은 벨크로테이프, 단추, 지퍼, 박음질, 본딩 등 다양한 공지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의 예는 본체백(10)의 측벽부(12)와 겹침부(21c)에 동일 위치상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공지의 '케이블타이'로 구멍을 관통시켜 조여 고정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매우 간편하게 공지의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내부백(30)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각 저장공간(22)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내부백(3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저장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내부백(30)은 높이가 상기 본체백(10)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저장공간(22)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보조저장공간(22a)을 형성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것처럼 보조저장공간(22a)이 내부백(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백본체(31)에는 상기 내부백본체(31)의 소저장공간(31a)을 개폐시키는 내부백덮개(32)가 일측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내부백지지부재(4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에 맞대어져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는 일측고정부(41)와, 상기 일측고정부(41)로부터 상기 저장공간(22)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백(30)을 지지하는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 타측에 연결되며, 개별칸막이유닛(21)의 하부칸막이부(21a)에 맞대어진 상태로 박음질로 고정되는 타측고정부(43)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일측고정부(41), 지지부(42), 타측고정부(43)로 이루어지는 개별 유닛이 도면처럼 십자형의 형태가 되도록 저장공간(22)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저장공간(22) 내부에 토사가 충전되지 않더라도 내부백(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백지지부재(40)가 설치되는 경우, 내부백지지부재(40)와 칸막이부재(20)의 겹침부(21c)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별도의 보강 없이도 견고한 보강 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겹침부(21c)는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와, 겹침부(21c)와, 일측고정부(41)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원리를 확장하여 내부백(30)까지 함께 고정되고, 개폐를 손쉽게 방지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백덮개(32)는 상기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 겹침부(21c), 일측고정부(41), 내부백덮개(32)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케이블타이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측벽부(12)와 겹침부(21c) 뿐만 아니라 내부백지지부재(40)의 일측고정부(41), 내부백덮개(32)에 동일 위치상에 홀 가공을 하여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을 이용한 기초 공사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에서 내부백 내부에는 현장 토사나, 쇄석, 골재 등 충진재(60)를 채워 준비한다.
더불어, 칸막이부재(21)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백(10)의 각 저장공간(22)에 역시 현장 토사나, 쇄석, 골재 등 충진재(60)를 채워 준비한다.
이때, 충진 높이는 전술한 것처럼 내부백지지부재(40)의 지지부(42) 위치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백(30) 내부의 충진재와 각 저장공간(22)에 선 충진되는 충진재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비중이나, 입도가 되도록 충진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비중이나 입도가 되도록 성질이 다른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 다수의 실험을 통해 최적의 지반 다짐 효과를 갖는 것을 찾아 충진할 수 있다.
본체백(10) 내부에 1차 충진이 완료된 후에는 소저장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된 내부백(30)을 각 저장공간(22)에 투입한다.
그런 다음에는 각 칸막이부재(20)의 개별칸막이유닛(21)마다 하부칸막이부(21a)로부터 연장된 덮개형성부(21c)를 이용하여 각 저장공간(22) 상측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이중으로 덮는다.
이상과 같이 보조저장공간(22a)에 충진재(60)가 충진된 후, 그 상측에 내부백(30) 설치가 완료된 본체백(10)들은 기초 시공 전의 지반 위에 설치된다.
이때, 본체백(10)들의 운반은 연결고리(13)에 견인용 로프를 꿰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운반하여 적재한다.
본체백(10)들이 시공 위치에 안착된 후에는 각 연결고리(13)에 보강근(70)을 체결하여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본적인 본체백(10)들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그 위로 소정의 두께만큼 쇄석(80)을 도포하여 평탄하게 마감하고, 그 위로 최종적으로 기초 콘크리트(90)를 시공함으로써 지내력 기초 시공을 완료한다.
상부 쇄석 마감은 최소한의 빈 공간 형성을 억제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을 이용하여 지내력 기초 시공을 하게 되면 본체백의 내부가 칸막이부재 및 내부백에 의해 상하로 서로 분리되어 총 8개의 분리 구역이 형성되어 각 구역에 충진된 충진재가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 유수에 의해 유실되거나 비중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양질의 지내력 기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개별칸막이유닛(21)마다 하부칸칵이부(21a)로부터 연장된 두 개씩의 덮개형성부(21b)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저장공간(22)을 개폐하여 이중의 덮개 역할을 하므로 운반 과정이나 하중 재하 상태에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덮개형성부(21b)로부터 연장된 겹침부(21c), 내부백지지부재(40)에서 측벽부(12)에 박음 연결을 위해 설치된 일측고정부(41), 내부백(30)의 내부백덮개(32), 측벽부(12)가 특정 부위에서 모두 겹쳐 4중 겹침이 이루어지고, 이 부위에 고정수단(50)을 통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별도의 보강 천 없이도 매우 견고한 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기초 보강 백은 특허문헌 1과 같이 중앙에서 들어올리는 방식과 달리 외곽의 연결고리(13)를 통해 인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중앙 부위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는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중앙 견인 방식의 경우 중앙 부위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중앙 부위에서 타설량이 증대되는 것과도 차별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격막식 기초 보강 백은, 일반적인 관개, 치수 공사, 자연재해 복구공사, 연약지반 기초 보강 공사, 지내력 향상용, 기초 시공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나, 지내력 기초 공사시의 지내력 향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최대의 효과를 발한다 할 것이다.
10 : 본체백 11 : 바닥부
12 : 측벽부 13 : 연결고리
20 : 칸막이부재 21 : 개별칸막이유닛
21a : 하부칸막이부 21b : 덮개형성부
21c : 겹침부 22 : 저장공간
30 : 내부백 31 : 내부백본체
31a : 소저장공간 32 : 내부백덮개
40 : 내부백지지부재 41 : 일측고정부
42 : 지지부 43 : 타측고정부
50 : 고정수단 60 : 충진재
70 : 보강근 80 : 쇄석
90 : 기초 콘크리트

Claims (5)

  1. 기초 보강 백에 있어서,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12)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일단이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중앙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 위치한 다수 개의 개별칸막이유닛(21)으로 구성되되,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본체백(10) 내부 중앙에서 상호 고정 연결되어 있고, 각 개별칸막이유닛(21)은 바닥부(11)로부터 측벽부(12)의 상단 높이까지 형성되어 본체백(10) 내부를 십자형으로 분할하는 저장공간(22)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부(21a)와, 상기 하부칸막이부(21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각기 마주하는 저장공간(22)을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덮개형성부(21b)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각 저장공간(22)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저장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되, 높이가 상기 본체백(10)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저장공간(22)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보조저장공간(22a)을 형성하는 내부백본체(31)와, 상기 내부백본체(31)의 소저장공간(31a)을 개폐시키는 내부백덮개(32)로 구성된 내부백(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격막식 기초 보강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에 고정되는 일측고정부(41)와, 상기 일측고정부(41)로부터 상기 저장공간(22)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백(30)을 지지하는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 타측에 연결되며, 개별칸막이유닛(21)의 하부칸막이부(21a)에 고정되는 타측고정부(43)로 이루어진 내부백지지부재(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막식 기초 보강 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칸막이유닛(21)의 덮개형성부(21b) 단부에는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와 겹쳐지는 겹침부(2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겹침부(21c)와 측벽부(12)는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막식 기초 보강 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부(21c)는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와, 겹침부(21c)와, 일측고정부(41)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막식 기초 보강 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덮개(32)는 상기 측벽부(12)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수단(50)은 측벽부(12), 겹침부(21c), 일측고정부(41), 내부백덮개(32)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막식 기초 보강 백.
KR1020180063357A 2018-06-01 2018-06-01 격막식 기초 보강 백 KR102067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57A KR102067784B1 (ko) 2018-06-01 2018-06-01 격막식 기초 보강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57A KR102067784B1 (ko) 2018-06-01 2018-06-01 격막식 기초 보강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18A true KR20190137318A (ko) 2019-12-11
KR102067784B1 KR102067784B1 (ko) 2020-01-17

Family

ID=6900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57A KR102067784B1 (ko) 2018-06-01 2018-06-01 격막식 기초 보강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324A (zh) * 2022-03-30 2022-06-17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43A (ja) * 1998-08-11 2000-02-22 Yahagi Ryokka Kk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20100007590U (ko) * 2009-01-19 2010-07-28 (주) 씨엔팜 물품 정리함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 2013-06-11 2014-04-18 시지엔지니어링(주)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KR20170109363A (ko) * 2016-03-21 2017-09-29 추대웅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43A (ja) * 1998-08-11 2000-02-22 Yahagi Ryokka Kk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20100007590U (ko) * 2009-01-19 2010-07-28 (주) 씨엔팜 물품 정리함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 2013-06-11 2014-04-18 시지엔지니어링(주)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KR20170109363A (ko) * 2016-03-21 2017-09-29 추대웅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324A (zh) * 2022-03-30 2022-06-17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CN114635324B (zh) * 2022-03-30 2024-04-30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784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46B1 (ko)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US8182179B2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tructure
KR102067784B1 (ko) 격막식 기초 보강 백
CN108999142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深水防波堤的施工方法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JP3639864B2 (ja) 海浜の安定化構造
KR101666626B1 (ko) 프레임과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27166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4967105B2 (ja)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JP3702871B2 (ja)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KR101386913B1 (ko)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KR101764242B1 (ko)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32213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2000087397A (ja) 中空部を有する構造体
KR101232212B1 (ko)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2486882B1 (ko)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JP2019094624A (ja) 土嚢袋
KR102203188B1 (ko) 기초보강백 제조용 프레임 장치
CN208965494U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TWI558887B (zh) Construction methods and filling methods for weak sites and sites with liquefaction concerns, as well as structural bags
KR101232214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H11181792A (ja) 住宅地盤改良用基礎材料収容装置
JP5801599B2 (ja) 建築物
KR101327171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