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42B1 -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Google Patents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4242B1 KR101764242B1 KR1020170059393A KR20170059393A KR101764242B1 KR 101764242 B1 KR101764242 B1 KR 101764242B1 KR 1020170059393 A KR1020170059393 A KR 1020170059393A KR 20170059393 A KR20170059393 A KR 20170059393A KR 101764242 B1 KR101764242 B1 KR 101764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storage space
- lid
- cutout
- cent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일백은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하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는 4개의 덮개부(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되는 2개의 조임끈(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조임 끈이 바닥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조임끈 양 단부가 덮개부의 선단에 고정되고, 조임끈은 외곽 및 중앙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되어 중앙에 고리처럼 돌출되게 함으로써 토사를 채운 다음 덮개를 덮고 조임끈을 들었다 놨다 할 때 덮개의 상부는 하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고, 반대로 소일백의 바닥은 상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덮개와 바닥면이 저장된 토사를 눌러 간편하게 다짐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소일백은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하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는 4개의 덮개부(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되는 2개의 조임끈(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조임 끈이 바닥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조임끈 양 단부가 덮개부의 선단에 고정되고, 조임끈은 외곽 및 중앙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되어 중앙에 고리처럼 돌출되게 함으로써 토사를 채운 다음 덮개를 덮고 조임끈을 들었다 놨다 할 때 덮개의 상부는 하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고, 반대로 소일백의 바닥은 상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덮개와 바닥면이 저장된 토사를 눌러 간편하게 다짐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모래나 토사가 충진되어 토목공사, 관개, 치수공사 등에 사용되는 소일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임끈을 이용한 다짐이 가능하도록 한,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나 치수공사,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재해의 복구공사 등에서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리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모래주머니는, 마대나 폴리에틸렌제, 폴리프로필렌제 등의 자루형, 망형 등 내구성이 우수한 모래주머니에 흙을 채우고, 테이프 등으로 그 입구를 막은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래주머니 형상은 통상 원주형이나 풍선을 거꾸로 한 모양(염낭 모양)이어서 사이에 빈틈이 있고, 내부에 흙을 채운 상태에서 운반, 하역을 위하여 들어 올릴 경우에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모래주머니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적재시 빈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내부 결속력의 부재로 인하여 위로 들어올릴 경우, 하부 중앙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터질 우려가 있었는바, 소형의 모래주머니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166호,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백 바닥에 통공이 형성되고, 모서리들에 통과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연결밴드가 통공 및 통과홀을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밴드는 소일백을 들어올리는 고리 역할을 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뜯기지 않게 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특허문헌 1을 비롯한 기존의 소일백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덮개를 열고 내부에 모래 등의 토사를 저장한 후에는 통상적으로 다짐 작업을 실시한다.
만약 다짐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내부의 공극이 커져서 부피가 축소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백들을 이용하여 토목 기초의 시공까지 진행하거나, 건축 벽체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공극이 큰 소일 백은 하자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와 같은 구조체의 경우 다짐 작업을 하려면 공구를 이용하여 내부를 고르게 교반하거나, 토사가 저장된 소일 백을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여 다짐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소일백은 상측의 덮개측에서 부피 팽창을 억제하기 이렵기 때문에 다짐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조임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짐 효과를 발휘하여 우수한 소일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임 끈이 바닥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조임끈 양 단부가 덮개부의 선단에 고정되고, 조임끈은 외곽 및 중앙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되어 중앙에 고리처럼 돌출되게 함으로써 토사를 채운 다음 덮개를 덮고 조임끈을 들었다 놨다 할 때 덮개의 상부는 하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고, 반대로 소일백의 바닥은 상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덮개와 바닥면이 저장된 토사를 눌러 간편하게 다짐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보조조임끈을 이용하여 다짐 효율이 보다 증진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하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는 4개의 덮개부(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되는 2개의 조임끈(20)과; 상기 측벽부(1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측벽부(12)에 고정된 측벽보강밴드(30)와; 상기 덮개부(13)의 외측면에 덮개부(13)의 개폐 방향을 따라 고정된 덮개외측보강밴드(40)와; 상기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된 덮개선단보강밴드(50)와; 상기 바닥부(11)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중앙절개부(11a) 및 외곽절개부(11b)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된 바닥보강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두 조임끈(20)의 제2파트(22)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중앙절개부(1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탈방지부재(70)가 중앙절개부(11a)의 저부로 관통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 덮개부(13)는 바닥부(11) 면적의 절반 또는 절반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인접한 덮개부(13)들끼리 서로 겹쳐져 접힘으로써 저장공간(14)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조임끈(20)의 제1파트(21)의 일측에는 조임끈(20)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이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고, 양 단부는 덮개부(13)의 양측 선단에 고정된 보조조임끈(8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4)에는 채움재(120)와 고결재(110)가 혼합되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상부와 하부에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연결고리(9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2) 모서리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연결고리(91)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고리(90), 수직연결고리(91)를 연결부재(92)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두 조임끈(20)이 서로 교차되는 제2파트(22) 중앙 부위를 고리형철근(101)이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철근(101) 상부의 링 형태에 정착철근(1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을 관통부재(102)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소일백은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하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는 4개의 덮개부(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되는 2개의 조임끈(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조임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다짐 효과를 발휘하여 우수한 소일백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임 끈이 바닥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조임끈 양 단부가 덮개부의 선단에 고정되고, 조임끈은 외곽 및 중앙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되어 중앙에 고리처럼 돌출되게 함으로써 토사를 채운 다음 덮개를 덮고 조임끈을 들었다 놨다 할 때 덮개의 상부는 하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고, 반대로 소일백의 바닥은 상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덮개와 바닥면이 저장된 토사를 눌러 간편하게 다짐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조임끈을 이용하여 다짐 효율이 보다 증진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일 백의 덮개부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을 이용하여 토사를 채우는 상태에서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조임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바닥부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보조조임끈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결고리 및 정착철근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조끈이 구비된 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일 백의 덮개부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을 이용하여 토사를 채우는 상태에서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조임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바닥부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보조조임끈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결고리 및 정착철근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조끈이 구비된 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은 크게 본체백(10)과 조임끈(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에 측벽보강밴드(30), 덮개외측보강밴드(40), 덮개선단보강밴드(50) 및 바닥보강밴드(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본체백(10)은 바닥부(11), 측벽부(12) 및 덮개부(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구성요소들은 부직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시트형이나 망형 등으로 일체화된 형태를 취한다.
바닥부(11)는 도 1,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절개부(11a)의 형태는 '+'자 형 '×'자 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절개부(11b)는 조임끈(20)의 관통이 용이하게 일자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바닥부(11)에는 도 3의 저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면에 바닥보강밴드(60)가 덧대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닥보강밴드(60)는 상기 중앙절개부(11a) 및 외곽절개부(11b)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됨이 자명하다 하겠다.
이러한 바닥보강밴드(60)는 중앙절개부(11a) 및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관통하는 조임끈(20)으로 인해 절개부들의 주변이 찢기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를 위해 바닥보강밴드(60)는 바닥부(11)보다 강도가 높은 천이나, 시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측벽부(12)는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부(12)의 외측면 둘레에는 측벽부(12)에 고정된 측벽보강밴드(30)가 구비될 수 있다.
측벽보강밴드(30) 역시 연질의 천이나 시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측벽부(12)보다 강도가 더 큰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덮개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덮개부(13)의 외측면에는 덮개부(13)의 개폐 방향을 따라 고정된 덮개외측보강밴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덮개부(13)마다 외측면에 3개의 덮개외측보강밴드(4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덮개외측보강밴드(40) 역시 덮개부(13)보다 강도가 높은 시트, 천, 망사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덮개선단보강밴드(50)가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덮개선단보강밴드(50) 역시 덮개부(13)보다 강도가 높은 시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덮개선단보강밴드(50)는 조임끈(20)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임끈(20)의 당겨짐에 따라 덮개부(13)와 조임끈(20)의 연결 부위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조임끈(20)은 2개로 이루어져 있다.
조임끈(20)은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파트(21)와 제2파트(22)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나뉘어 설명한 것일 뿐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조임끈(20)은 본체백(10)보다 강도가 높은 끈으로 이루어져 토사가 내장된 상태로 들어올리는 하중에 의해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 조임끈(20)의 제2파트(22)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중앙절개부(1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탈방지부재(70)가 중앙절개부(11a)의 저부로 관통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덮개부(13)가 펼쳐진 상태에서 저장공간(14)에 모래와 같은 토사가 충진될 때 그 압력에 의해 자칫 제2파트(22)가 본체백(10) 저부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해준다.
또한, 크레인 등을 통해 본체백(10)을 견인할 때 견인 고리가 불규칙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덮개부(13)가 개폐되는 방식은 저장공간(14)에 토사가 충진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덮개부(13)가 먼저 덮힌 다음, 직교한 방향의 한 쌍의 덮개부(13)가 덮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마지막 덮히는 덮개부(13)들이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다른 방식으로는 종이상자를 개폐시키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덮개부(13)는 바닥부(11) 면적의 절반의 면적을 가지며, 인접한 덮개부(13)들끼리 서로 일부분(절반 정도) 겹쳐지는 방식으로 접혀 저장공간(14)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인접한 덮개부(13)에 의해 각 덮개부(13)들이 일부 구속된 상태를 이루어 별도의 결속 수단 없이도 덮개부(13) 폐쇄 후 개방될 우려가 적다.
특히, 서로 일정 부분 겹쳐져 덮힘으로써 저장공간(14)에 토사가 충진된 상태에서 조임끈(20)을 들어올리는 견인 등의 작업을 할 때 겹쳐진 부분은 자연적으로 상부의 덮개부(13)가 보강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13)에 조임끈(20)이 연결되어 있어 덮개부(13)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이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보강 구조로 말미암아 덮개부(13)가 찢기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8과 같이 상기 조임끈(20)의 제1파트(21)의 일측에는 조임끈(20)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이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고, 양 단부는 덮개부(13)의 양측 선단에 고정된 보조조임끈(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23)의 형성은 조임끈(20)을 두 끈을 박음질처리하면서 일정 부분이 개방된 상태가 박음질 처리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저장공간(14)에 토사가 충진된 상태에서 조임끈(20)이 위로 들어올려질 때 보조조임끈(80)에 의해 당겨지는 하중이 덮개부(13)의 중간, 좌우 양측에 분산되어 덮개부(13)가 찢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짐 작업을 할 때 토사가 최대한 고르게 덮개부(13)의 압박을 받아 다짐이 이루어지게 되어 다짐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소일 백의 사용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다짐이 완료된 상태의 소일 백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덮개부(13)를 상측 도면과 같이 펼쳐놓는다.
이때, 조임끈(20)은 자연스럽게 늘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토사(1)를 저장공간(14)에 채워 넣으면 조임끈(20)은 토사에 의해 바닥부(11) 측에 위치하며 토사의 압박을 받게 된다.
그런 다음 도 5의 세번째 도면과 같이 덮개부(13)를 덮은 다음 네번째 도면처럼 조임끈(20)의 제2파트(22)를 위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처럼 잡아당기기 시작하면 본체백(10)의 바닥부(11)는 중앙절개부(11a)와 외곽절개부(11b) 사이의 부분이 조임끈(20)에 의해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조임끈(20)의 제1파트(21)는 반대로 아래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게 되며, 조임끈(20)의 단부가 연결된 덮개부(13) 역시 중앙 측에서 아래를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임끈(20)의 제1파트(21)는 바닥부(11) 및 측벽부(12) 측에 인접한 상태에서 점차 토사를 뚫고 중앙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이 지속되게 되면 마지막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제1파트(21)는 팽팽하게 일직선에 가깝게 되며 그 과정에서 덮개부(13)는 중앙측이 움푹 패인 듯한 형상을 취한다. 더불어 반대측인 바닥부(11) 역시 중앙 부분이 움푹 패인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는 마지 늙은 호박과 같은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저장공간(14) 내부의 토사는 압박을 받으면서 내부 공극이 줄어들게 된다.
더불어 조임끈(20)의 제2파트(22)를 통해 본체백(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켰다 내려놨다를 반복하게 되면 다짐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일련의 다짐 과정을 거친 후에는 고리 형상을 취하는 제2파트(22) 중앙에 크레인의 고리 등을 걸어 운반하여 지정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제2파트(22) 중앙에 크레인의 고리를 걸은 상태에서 상하 반복 이동하여 다짐을 하고, 바로 이어 지정 장소에 그대로 크레인 등에 의해 설치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토목 공사나 관개 치수 공사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지정 장소로의 운반이 끝난 다음에는 좌우로 인접한 소일 백들을 연결하여 줄기초나 면기초, 2단(3단) 다단 쌓기 등과 같은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기초 형태의 시공을 위한 방안으로 철근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조임끈(20)의 서로 교차되는 제2파트(22)가 체결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두 조임끈(20)이 서로 교차되는 제2파트(22) 중앙 부위가 고리형철근(101) 내부에 삽입된 채 고정되고, 고리형철근(101) 상부의 링 형태에 정착철근(100)이 설치된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링 형태의 정착철근(100) 내부로는 로프, 철근, 강봉 등의 관통부재(102)가 관통될 수도 있다.
고리형철근(101)과 정착철근(100)은 하나의 철근을 밴딩 가공하거나 서로 용접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관통부재(102)가 기초철근으로 이루어진 경우 조임끈(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간편하게 기초철근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근 종류로 구성되는 경우는 토목, 건축 구조물의 기초철근과의 연결이 장기간 유지되어 기초로서의 역할을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또한, 본체백(10)의 측벽부(12) 상부와 하부에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연결고리(90)가 형성되고, 측벽부(12) 모서리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연결고리(9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소일 백을 다수 준비하여 1단 줄기초 형태, 다단 줄기초 형태나, 1단 면기초 형태나 다단 면기초 형태로 배치한 후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소일 백들의 수평연결고리(90)로 연결부재(92)나 연결끈을 관통시켜 서로 연결하고, 수직연결고리(91) 역시 결속선, 로프, 고리 등을 관통시켜 상호 연결된 기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연결부재(92)는 결속선, 로프, 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서로 인접한 정착철근(100)들을 기초철근 등의 관통부재(102)로 관통 설치함으로써 일체화된 기초를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정착철근(100)이나 수평연결고리(90)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부재의 선택은 필요에 따라 로프나 철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불어, 덮개부(13)에는 외측에 보조끈(24)이 덮개부(13)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끈(24)의 선단에는 벨크로테이프나, 고리 등이 단독 혹은 함께 구비된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저장공간(14)을 닫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 고정수단은 암수 밸크로테이프(24a, 24b)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대도로 나타낸 후크(고리) 등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대체되거나 함께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일 백은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를 내부의 저장공간(14)에 저장하게 되는데, 소일 백이 기초나, 지반 개량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소일 백 내부에 단순히 현장토를 충진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다짐 작업에 의해 내부에 충격이 발생하거나, 시공 후 지하수의 침투 및 혼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내부에 토사만 충진되어 있는 경우 한 쪽이 눌려지면 다른 한 쪽은 부풀어 오르게 되어 형상 유지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장토와 같은 채움재(흙, 모래, 자갈)에 고화제, 그라우팅제와 같은 고결재(110)를 혼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고결재(110)가 혼합될 경우 강도 조절이 용이하여 균일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단순히 모래나 자갈 위주로 충진됨에 의해 발생하는 액상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즉, 소일 백의 저장공간(14) 내부에 채움재(120)와 고결재(110)가 충진되고, 덮개부(13)가 닫혀 일정형태로 형성한 다음 시공 위치에 시공한 후 다짐 공정을 실시한 후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만일 다짐 시공 후 고결재(110)가 배제된 상태로 채움재(120)만 충진된 경우 형태의 변형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며, 고결재(110)가 채움재(120)와 혼합 충진된 경우에는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이를 통해 액상화를 방지하고, 소일 백 내부에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며, 이중 바인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초의 시공시 현장 굴착토에 고결재(110)만 별도 준비하여 혼합 시공하면 되므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술된 본 발명의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은 일반적인 관개, 치수 공사, 자연재해 복구공사는 물론, 연약지반 기초 보강용, 지내력 향상용, 기초 시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 : 토사 10 : 본체백
11 : 바닥부 11a : 중앙절개부
11b : 외곽절개부 12 : 측벽부
13 : 덮개부 14 : 저장공간
20 : 조임끈
21 : 제1파트 22 : 제2파트
23 : 관통홀 24 : 보조끈
24a, 24b : 밸크로테이프 30 : 측벽보강밴드
40 : 덮개외측보강밴드 50 : 덮개선단보강밴드
60 : 바닥보강밴드 70 : 이탈방지부재
80 : 보조조임끈 90 : 수평연결고리
91 : 수직연결고리 92 : 연결부재
100 : 정착철근 101 : 고리형철근
102 : 관통부재 110 : 고결재
120 : 채움재
11 : 바닥부 11a : 중앙절개부
11b : 외곽절개부 12 : 측벽부
13 : 덮개부 14 : 저장공간
20 : 조임끈
21 : 제1파트 22 : 제2파트
23 : 관통홀 24 : 보조끈
24a, 24b : 밸크로테이프 30 : 측벽보강밴드
40 : 덮개외측보강밴드 50 : 덮개선단보강밴드
60 : 바닥보강밴드 70 : 이탈방지부재
80 : 보조조임끈 90 : 수평연결고리
91 : 수직연결고리 92 : 연결부재
100 : 정착철근 101 : 고리형철근
102 : 관통부재 110 : 고결재
120 : 채움재
Claims (8)
- 소일 백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절개부(11a)로부터 외곽 테두리의 각 변의 중앙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4개의 외곽절개부(11b)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둘레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14)을 형성하는 측벽부(12)와, 상기 측벽부(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저장공간(14)을 개폐시키는 4개의 덮개부(13)로 구성된 본체백(10)과;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일측 제1파트(21)는 상기 저장공간(14)의 내부에서 외곽절개부(11b)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고, 중앙 부분의 제2파트(22)는 저장공간(14)의 내측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한 채 하부는 중앙절개부(11a)를 통해 본체백(10)의 저부로 관통하여 제1파트(21)와 연결되는 2개의 조임끈(20)과;
상기 측벽부(1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측벽부(12)에 고정된 측벽보강밴드(30)와;
상기 덮개부(13)의 외측면에 덮개부(13)의 개폐 방향을 따라 고정된 덮개외측보강밴드(40)와;
상기 덮개부(13)의 내측면 선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된 덮개선단보강밴드(50)와;
상기 바닥부(11)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중앙절개부(11a) 및 외곽절개부(11b)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된 바닥보강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조임끈(20)의 제2파트(22)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70)는 상기 중앙절개부(1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탈방지부재(70)가 중앙절개부(11a)의 저부로 관통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제 1항에 있어서,
각 덮개부(13)는 바닥부(11) 면적의 절반이나 절반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인접한 덮개부(13)들끼리 서로 겹쳐져 접힘으로써 저장공간(14)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14)에는 채움재와 고결재(110)가 혼합되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백(10)의 측벽부(12) 상부와 하부에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연결고리(9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2) 모서리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연결고리(91)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고리(90), 수직연결고리(91)를 연결부재(92)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조임끈(20)이 서로 교차되는 제2파트(22) 중앙 부위를 고리형철근(101)이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철근(101) 상부의 링 형태에 정착철근(1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을 관통부재(102)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393A KR101764242B1 (ko) | 2017-05-12 | 2017-05-12 |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393A KR101764242B1 (ko) | 2017-05-12 | 2017-05-12 |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4242B1 true KR101764242B1 (ko) | 2017-08-04 |
Family
ID=5965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9393A KR101764242B1 (ko) | 2017-05-12 | 2017-05-12 |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424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2881B1 (ko) | 2019-03-08 | 2019-12-10 | 주식회사 포유텍 | 몰탈 충진형 기초 보강 백을 이용한 기초보강체 제조 방법 |
KR102088320B1 (ko) | 2018-09-17 | 2020-03-13 | 박인수 | 절단 phc 파일을 이용한 지정 보강 공법 |
WO2021068262A1 (zh) * | 2019-10-12 | 2021-04-15 | 南京森淼环保科技有限公司 | 基于人造土拱的形状可调节的软基加固构件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626Y1 (ko) | 2001-08-03 | 2002-01-09 | 김순섭 | 모래 주머니 |
-
2017
- 2017-05-12 KR KR1020170059393A patent/KR101764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626Y1 (ko) | 2001-08-03 | 2002-01-09 | 김순섭 | 모래 주머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8320B1 (ko) | 2018-09-17 | 2020-03-13 | 박인수 | 절단 phc 파일을 이용한 지정 보강 공법 |
KR102052881B1 (ko) | 2019-03-08 | 2019-12-10 | 주식회사 포유텍 | 몰탈 충진형 기초 보강 백을 이용한 기초보강체 제조 방법 |
WO2021068262A1 (zh) * | 2019-10-12 | 2021-04-15 | 南京森淼环保科技有限公司 | 基于人造土拱的形状可调节的软基加固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4242B1 (ko) | 조임끈이 구비된 소일 백 | |
JP3571005B2 (ja) | 土木工事用のフレックスコンテナー | |
DK2812493T3 (en) |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the connector | |
JP2016532033A (ja) | 洪水防止障壁 | |
JP6162928B2 (ja) | 土嚢集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土嚢集合体 | |
JP6209711B1 (ja) | 非常災害用水嚢堤防袋 | |
JP3702871B2 (ja) |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 |
JP2008303664A (ja) | 越水防止設備および越水防止工法 | |
JP2009281104A (ja) | 補強盛土工法 | |
JP4303774B1 (ja) | 土のう用自立式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JP6590777B2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 |
KR102067784B1 (ko) | 격막식 기초 보강 백 | |
JP2007218077A (ja) | 拘束補強材用シート部材 | |
JP6319915B2 (ja) | エアー充填用安全装置 | |
TWI558887B (zh) | Construction methods and filling methods for weak sites and sites with liquefaction concerns, as well as structural bags | |
JP2009287364A (ja) | 補強土壁及びその構築方法 | |
JP3880002B2 (ja) | 先端強化型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法、注入バッグ及び鋼製フレーム | |
KR100440822B1 (ko) | 해상 대구경 팩 말뚝 공법 및 해상 대구경 팩 말뚝 | |
JP2006283505A (ja) | 越水防止装置および越水防止工法 | |
JP2003074061A (ja) | 土留土のうとその土のうによる擁壁構築法 | |
JP2002004287A (ja) | 壁面構築用袋体及び同壁面構築用袋体を用いた土壁構築工法 | |
EP3816349A1 (en) | Shape-maintaining lift-type cuboid bag with multistage configuration | |
JP3203834U (ja) | 内側取手付土嚢袋 | |
JP2017075463A (ja) | 積み上げ土嚢構造体 | |
JP3973156B2 (ja) | 土のうの作製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