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35A -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35A
KR20190135635A KR1020180060881A KR20180060881A KR20190135635A KR 20190135635 A KR20190135635 A KR 20190135635A KR 1020180060881 A KR1020180060881 A KR 1020180060881A KR 20180060881 A KR20180060881 A KR 20180060881A KR 20190135635 A KR20190135635 A KR 20190135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quenching
dry
dry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경약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경약업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경약업사
Priority to KR102018006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635A/ko
Publication of KR2019013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건조 녹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A making method for high quality dried antlers}
본 발명은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건조 녹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조 녹용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녹용은 아직 각질화되지 않은 사슴의 뿔을 말하며, 오래 전부터 다양한 약효를 지닌 한약재료 또는 보양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녹용의 효능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동의보감 등 많은 한방 문헌 등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임상실험 등을 통해 그 효과가 차츰 입증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에 따르면, 녹용에는 단백질과 17종 내지 18종의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하여 철분, 칼슘, 인등과 같은 무기질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 및 면역력 증강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녹용은 제조과정에 따라서 생 녹용과 건조 녹용, 그리고 절편 녹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 녹용은 사슴의 머리에서 60 내지 70일 정도 자란 뿔을 갓 채취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미세한 섬유질 같은 조직에 녹혈이 응축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수분만 침투되어도 곧바로 변질되거나 쉽게 부패하여 취급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산지에서 채취된 생 녹용은 곧 바로 엄정한 조건과 절차에 따라 건조과정을 거쳐서 건조 녹용으로 가공된다. 실제로 국내 도매상 등 관련업계에서 거래되는 녹용은 대부분 건조 녹용의 형태로 보관, 유통된다. 절편 녹용은 생 녹용이나 건조 녹용을 관련 규정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절편형태로 가공된 제품을 말하는데, 한의원이나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녹용제품은 대부분 절편 녹용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의보감 등 한방문헌에 따르면, 녹용은 가능하면 건조 녹용을 복용하도록 기록되어 있다. 이는 건조 녹용의 약효가 생 녹용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이 오랜 경험적 임상을 통해서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일반 소비자들이 복용하는 절편 녹용은 대부분 건조 녹용을 절단한 것이다.
한편, 녹용은 도 1과 같이 부위에 따라서 분골, 상대, 중대, 하대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각각 효능도 서로 다르고, 따라서 가격도 많은 차이가 있다.
분골은 사슴뿔이 갈라진 끝부분에 해당하는데, 절단면 테두리에 까맣고 굵게 기름띠(Collagen;콜라겐)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밝은 복숭아 빛의 색상을 띤다. 굵기에 관계없이 조직이 치밀하고 성장 호르몬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허약아나 병약자에게 좋은 효능이 있고, 가격도 가장 비싸다.
상대는 분골의 바로 아래 부분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붉은 핏빛의 연한 갈색을 띠며, 조혈작용과 심장, 위를 보하는 효능이 있고, 가격은 분골 다음으로 비싸다. 중대는 절단면 중심부위의 조직이 거칠고 나이테 같은 줄이 보이며, 대체로 붉은 색을 띠고, 강장, 강정작용 및 부인병에 효과적이나 상대보다 약효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하대는 사슴머리에 가까운 부위로서 큰 구멍이 숭숭 뚫려있는데 대체로 흰갈색을 띠며,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서 노인들의 골다공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종래 생 녹용을 건조 녹용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냉동된 녹용을 온수에 담가 해동 한 후 적절한 온도의 건조기에서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저온냉각을 반복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의 손실이 심하며, 건조된 전조 녹용을 절편으로 가공할 경우 색상이 탁하고, 녹혈의 편중 현상이 심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0774307호에서는 저온 숙성실에 입고하여 15∼19℃의 온도와 -5∼-7기압, 습도 22∼28%, 자연풍을 유지하여 38∼43일 동안 숙성 건조하여 수분이 25% 함유하도록 하는 저온숙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들은 고가로 판매될 수 있는 분골과 상대의 함량이 매우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77430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건조 녹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조 녹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S1) 해동된 녹용을 고온의 온수에 담그는 온수처리단계;
S2) 상기 온수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찬물로 세척하는 냉수세척단계;
S3) 상기 냉수세척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1차 급냉단계:
S4) 상기 1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55 내지 70 ℃에서 열처리시키는 열처리단계:
S5) 상기 열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2차 급냉단계;
S6) 상기 2차 급냉을 마친 녹용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처리기에서 처리하는 원적외선 처리단계;
S7)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3차 급냉단계;
S8) 상기 3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저온의 환풍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 및
S9)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상온 저습도의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상온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은 상기 상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제모하는 제모단계(S10); 제모단계를 마친 녹용을 알코올로 숙성시키는 알코올 숙성단계(S11); 및 상기 숙성단계를 마친 녹용을 절편으로 가공하는 절편가공단계(S1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는 45 내지 55 ℃에서 1차 처리 후 승온하여 78 내지 83 ℃에서 2차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적외선 1차 처리는 14 내지 17시간 이루어지고, 2차 처리는 8시간 내지 10시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급냉단계, 2차 급냉단계 및 3차 급냉단계는 -15 내지 -2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건조단계의 온도는 3 내지 7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온건조단계는 진공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 숙성단계의 알코올은 40 내지 50도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녹용을 제공한다.
상기 건조 녹용 중 분골의 함량이 적어도 32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건조 녹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녹용의 분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은
S1) 해동된 녹용을 고온의 온수에 담그는 온수처리단계;
S2) 상기 온수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찬물로 세척하는 냉수세척단계;
S3) 상기 냉수세척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1차 급냉단계:
S4) 상기 1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55 내지 70 ℃에서 열처리시키는 열처리단계:
S5) 상기 열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2차 급냉단계;
S6) 상기 2차 급냉을 마친 녹용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처리기에서 처리하는 원적외선 처리단계;
S7)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3차 급냉단계;
S8) 상기 3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저온의 환풍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 및
S9)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상온 저습도의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상온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S1) 해동된 녹용을 고온의 온수에 담그는 온수처리단계
생 녹용은 농장에서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냉동된 녹용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해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저온의 해동실에서 녹용을 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해동된 녹용을 고온의 온수에 담그는 온수처리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온의 온수는 95 내지 100 ℃의 물이 바람직하며, 시간은 3분 내지 10분 담가두는 것이 좋다.
S2) 상기 온수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찬물로 세척하는 냉수세척단계
상기 찬물의 온도는 구체적으로 3 내지 15 ℃의 물로 세척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척을 통하여 생 녹용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이 제거되며, 고온의 온수에 부풀어졌던 녹용이 일정 정도 수축하게 된다.
S3) 상기 냉수세척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1차 급냉단계
상기 냉수세척단계를 마친 녹용은 급냉을 시킨다. 상기 급냉의 온도는 -15 내지 -20 ℃인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범위 내의 냉동고에 넣어 급냉을 시킬 수 있다. 급냉의 시간은 임의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적어도 녹용이 냉동고의 온도와 같은 온도가 될 때까지 정도이면 족하다.
S4) 상기 1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55 내지 70 ℃에서 열처리시키는 열처리단계
상기 1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은 55 내지 70 ℃에서 열처리시킨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열처리는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55 내지 60 ℃에서 5시간 내지 6시간, 67 내지 70 ℃에서 3시간 내지 4시간 열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녹용은 하대가 위로 향하고, 분골이 아래로 향하도록 세워서 열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S5) 상기 열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2차 급냉단계
상기 열처리를 마친 녹용은 1차 급냉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2차 급냉을 시킨다.
S6) 상기 2차 급냉을 마친 녹용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처리기에서 처리하는 원적외선 처리단계
2차 급냉을 마친 녹용은 원적외선 처리한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온도조절기능이 구비되고, 원적외선을 녹용에 방사할 수 있는 공지의 시스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원적외선 히팅장치 또는 원적외선 쿠킹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녹용은 하대가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는 45 내지 55 ℃에서 1차 처리 후 승온하여 78 내지 83 ℃에서 2차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원적외선 1차 처리는 14 내지 17시간 이루어지고, 2차 처리는 8시간 내지 10시간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종래의 열풍 건조에 비하여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건조 녹용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S7)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3차 급냉단계
상기 원적외선 처리를 마친 녹용은 1차 급냉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3차 급냉을 시킨다.
S8) 상기 3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저온의 환풍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
상기 저온건조단계에서의 온도를 3 내지 7 ℃로 유지시키면서 환풍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습도를 20%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는 12 내지 16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저온건조를 통하여 녹용의 수분함유량은 22 내지 28%가 되는 것이 좋다. 이 때 녹용은 하대가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좋다.
S9)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상온 저습도의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상온건조단계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은 상온(25 ℃)에서 70 내지 80시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온건조단계에서는 진공건조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를 통하여 녹용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된다. 이 때 녹용은 하대가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은 상기 상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제모하는 제모단계(S10); 제모단계를 마친 녹용을 알코올로 숙성시키는 알코올 숙성단계(S11); 및 상기 숙성단계를 마친 녹용을 절편으로 가공하는 절편가공단계(S12)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모단계(S10), 알코올 숙성단계(S11), 및 절편가공단계(S12)는 건조 녹용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모단계는 녹용의 털을 불로 태운 후 브러쉬로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 숙성단계는 40 내지 50도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주정에 70 내지 80시간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절편가공단계(S12)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녹용의 두께를 0.8 내지 1 mm로 하여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녹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조 녹용은 종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건조 녹용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상품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녹혈의 편중을 막을 수 있으며, 색도가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며, 절편 건조 녹용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녹용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분골과 상대의 함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열풍건조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건조 녹용 중 분골의 함량이 25 부피%를 넘기기가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32 내지 37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S1) 해동된 녹용을 고온의 온수에 담그는 온수처리단계;
    S2) 상기 온수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찬물로 세척하는 냉수세척단계;
    S3) 상기 냉수세척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1차 급냉단계:
    S4) 상기 1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55 내지 75 ℃에서 열처리시키는 열처리단계:
    S5) 상기 열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2차 급냉단계;
    S6) 상기 2차 급냉을 마친 녹용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처리기에서 처리하는 원적외선 처리단계;
    S7)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를 마친 녹용을 급냉시키는 3차 급냉단계;
    S8) 상기 3차 급냉단계를 마친 녹용을 저온의 환풍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저온건조단계; 및
    S9) 상기 저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상온 저습도의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상온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건조단계를 마친 녹용을 제모하는 제모단계(S10); 제모단계를 마친 녹용을 알코올로 숙성시키는 알코올 숙성단계(S11); 및 상기 숙성단계를 마친 녹용을 절편으로 가공하는 절편가공단계(S12)를 더욱 포함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처리단계는 45 내지 55 ℃에서 1차 처리 후 승온하여 78 내지 83 ℃에서 2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1차 처리는 14 내지 17시간 이루어지고, 2차 처리는 8시간 내지 10시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급냉단계, 2차 급냉단계 및 3차 급냉단계는 -15 내지 -2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건조단계의 온도는 3 내지 7 ℃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건조단계는 진공건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숙성단계의 알코올은 40 내지 50도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기재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녹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녹용 중 분골의 함량이 적어도 32 부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녹용.
KR1020180060881A 2018-05-29 2018-05-29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KR20190135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81A KR20190135635A (ko) 2018-05-29 2018-05-29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81A KR20190135635A (ko) 2018-05-29 2018-05-29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35A true KR20190135635A (ko) 2019-12-09

Family

ID=6883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81A KR20190135635A (ko) 2018-05-29 2018-05-29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89B1 (ko) * 2019-12-18 2020-07-09 충북사슴영농조합법인 녹용 건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07B1 (ko) 2006-08-23 2007-11-07 두송약품 주식회사 저온숙성 녹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07B1 (ko) 2006-08-23 2007-11-07 두송약품 주식회사 저온숙성 녹용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89B1 (ko) * 2019-12-18 2020-07-09 충북사슴영농조합법인 녹용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8775A (zh) 干制黄花菜的制备方法
KR20200140557A (ko)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품
KR20190135635A (ko) 고품질 건조 녹용의 제조방법
CN105028739A (zh) 一种青砖茶的制备方法
KR101343780B1 (ko) 건표고버섯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건표고버섯 차
KR100774307B1 (ko) 저온숙성 녹용의 제조방법
CN106509866A (zh) 即食蚕蛹的生产工艺
KR101877959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토마토 건조방법
KR20040046595A (ko) 숙성 마늘 엑기스의 제조방법
CN105341134A (zh) 金针菜的加工方法
KR100845021B1 (ko) 진공동결건조 오징어 조각의 제조방법
KR20160066699A (ko) 단호박 분말 및 그를 이용한 단호박 가공식품
CN104255905B (zh) 一种控制真空冷冻干燥青葱挥发性成分的方法
KR20210119719A (ko) 곶감의 제조방법
JP7080719B2 (ja) りんご果実粉末の製造方法
KR100576110B1 (ko) 육포 및 그 제조 방법
CN101623084A (zh) 蘑菇脆的制备方法
KR101979386B1 (ko) 녹용의 젤리 팁 가공 방법
KR20090055090A (ko) 흑마늘 제조방법
KR100697816B1 (ko) 무 우거지의 제조 방법
JP2006288325A (ja) 鰹を原料とする本枯節タイプのフレーク状醗酵調味料の製造方法
KR20150019585A (ko) 대추 품질 향상을 위한 생대추 건조방법
CN109479954A (zh) 一种有机百合干的烘干方法
KR20110138109A (ko) 반건조 김치의 제조방법 및 반건조 김치
TWI842084B (zh) 乾燥食品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