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411A -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 - Google Patents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411A
KR20190135411A KR1020190058635A KR20190058635A KR20190135411A KR 20190135411 A KR20190135411 A KR 20190135411A KR 1020190058635 A KR1020190058635 A KR 1020190058635A KR 20190058635 A KR20190058635 A KR 20190058635A KR 20190135411 A KR20190135411 A KR 2019013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hole
lock member
shel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히로 미야자키
쇼이치로 다마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규제부를 갖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제 1 동축 커넥터와, 이것에 장착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동축 커넥터는, 제 1 하우징의 제 1 쉘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쉘과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때에 확경되는 대략 통상의 끼워 맞춤부를 갖는다. 로크 부재는, 연속 상태로 형성된 환상의 구멍을 갖고, 구멍에 삽입 통과된,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부재가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부는 구멍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허게 되고, 로크 부재가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부는 실질적으로 확경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COAXIAL CONNECTOR DEVICE WITH LOCKING MEMBER AND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장치, 추가로 말하면,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6135834호에,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동축 커넥터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와 로크 부재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상대방의 커넥터의 컨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의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하고, 외부 도체 쉘은, 그라운드 컨택트 부재에 끼워 맞춰지는 통상 (筒狀) 의 끼워 맞춤부를 갖는다. 끼워 맞춤부는, 그라운드 컨택트 부재에 대한 삽입 발출시에 확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로크 부재는,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 가능하게 구성된, 1 쌍의 아암부를 갖는 규제부와, 끼워 맞춤부에 대한 규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가이드부는, 끼워 맞춤부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확경의 규제를 실시하는 규제 위치와, 규제를 실시하지 않는 대기 위치를 상호 이동 가능해지도록, 규제부를 가이드한다.
일본 특허 제6135834호
특허문헌 1 의 구성에 있어서,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규제부는, 1 쌍의 아암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아암부는 각각, 자유단을 갖고, 외팔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하는 힘 및 그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확경을 규제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 상태는 용이하게 해제되고, 또,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아암부는 용이하게 파손된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규제부를 갖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동축 커넥터와,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1 중심 단자 및 제 1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쉘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쉘과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때에 확경되는 대략 통상의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는, 실질적으로 연속 상태로 형성된 환상의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구멍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는 실질적으로 확경 가능하게 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 이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하는 로크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 사이를 상호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와,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볼록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대략 통상으로 굽힘 가공된 금속판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端部) 끼리를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서로 중첩된 상기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협지되어도 된다.
추가로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시에 상기 제 1 쉘의 소정 부분과 걸어 맞춰지는 가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따라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또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를 상기 규제 위치에 거는 및/또는 상기 해방 위치에 거는 걸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및/또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여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 사이를 상호 이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최장 외경은, 상기 구멍의 최장 내경보다 작고, 또한 최단 내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최장 내경과 상기 구멍의 최단 내경은, 상기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면 내에 있어서 대략 직교 관계에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최장 외경과 상기 구멍의 최단 내경이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최장 외경은,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돌출시킨 돌출부에 의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사각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정원 (正圓)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추가로 또,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규제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규제부를 갖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의 일례를,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의 일례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완성품으로서의 로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동축 커넥터에 로크 부재를 장착할 때의 장착 공정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동축 커넥터에 로크 부재를 장착한 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와,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해방 위치를 나타낸, 도 4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규제 위치를 나타낸, 도 5 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해방 위치를 나타낸, 도 4 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규제 위치를 나타낸, 도 7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4 는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로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로크 부재를 해방 위치에 있어서 장착한 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를,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로크 부재를 규제 위치에 있어서 장착한 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를,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도 18 의 E-E 선 단면도이다.
도 20 은 규제 위치를 나타낸, 도 19 의 E-E 선 단면도이다.
도 21 은 해방 위치를 나타낸, 도 20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5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15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규제 위치를 나타낸, 도 20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24 는 도 15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해방 위치를 나타낸, 도 21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제 1 동축 커넥터) (3) 의 일례를,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 (제 2 동축 커넥터) (7) 의 일례와 함께 사시도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동축 커넥터 (3) 는 플러그 커넥터의 형태로, 또, 동축 커넥터 (7)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형태로 각각 구성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축 커넥터 (3) 와 동축 커넥터 (7) 는, 일반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도 1 은 이것들의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동축 커넥터 (7) 는, 일반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이 경우, 동축 커넥터 (7) 는, 판상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71) 과, 하우징 (71) 의 소정 부분을 외부로부터 덮는 쉘 (73) 과, 쉘 (73) 에 형성된 통상의 끼워 맞춤부 (74) 의 중심에 세워 형성시킨 중심 단자 (72) 를 포함한다. 끼워 맞춤부 (74) 와 중심 단자 (72) 사이는, 동축 커넥터 (3) 의 소정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74b)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 동축 커넥터 (3) 도, 일반의 플러그 커넥터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동축 커넥터 (3) 는, 하우징 (10) 과,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된 중심 단자 (11) 와, 동일하게 하우징 (10) 에 장착된 쉘 (20) 을 포함한다. 하우징 (10) 은, 중심 단자 (11) 를 노출시키는 구멍 (10a) 이 형성된 원기둥부 (10b) 를 갖는다. 쉘 (20) 은, 하우징 (10) 의 소정 부분을 외부로부터 덮는다. 동축 커넥터 (3) 와 동축 커넥터 (7) 의 접속시에, 동축 커넥터 (3) 의 중심 단자 (11) 는 동축 커넥터 (7) 의 중심 단자 (72) 와, 동축 커넥터 (3) 의 쉘 (20) 은 동축 커넥터 (7) 의 쉘 (73) 과 각각 접촉하여 도통된다.
쉘 (20) 은, 1 장의 금속판을 타발하고,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쉘 (20) 은, 판부 (21) 와, 판부 (21) 상에 배치된 끼워 맞춤부 (22) 를 포함한다. 끼워 맞춤부 (22) 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정원의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원기둥부 (10b) 의 외주를 둘레상으로 덮고 있다. 판부 (21) 의 후방, 즉, 케이블 (9) 의 접속측의 측부는, 하우징 (10) 이나 케이블 (9) 의 측을 향하여 절곡된 그립편 (24, 25) 을 형성한다. 이들 그립편 (24, 25) 은, 하우징 (10) 이나 케이블 (9) 에 각각 코킹되어, 쉘 (20) 을 하우징 (10) 이나 케이블 (9) 에 고정시킨다. 판부 (21) 의 전방, 즉, 케이블 (9) 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의 측부는, 끼워 맞춤부 (22) 의 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L 자 부분 (21a) 을 형성한다.
동축 커넥터 (3) 와 동축 커넥터 (7) 의 접속시에,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는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와 끼워 맞춰지고, 동축 커넥터 (7) 의 수용 공간 (74b) 에 동축 커넥터 (3) 의 원기둥부 (10b) 가 끼워지고,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와 원기둥부 (10b) 의 간극 (10c) 에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가 끼워진다.
끼워 맞춤부 (22) 의 선단측에는, 끼워 맞춤부 (22) 의 외벽 (22d) 의 일부를 직경 방향으로 돌출시킨 볼록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 (27) 는 쉘 (20) 을 형성하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판을 대략 통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생긴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27a, 27b) 끼리를 서로 접근시킨 상태에서 중첩시킴으로써, 볼록부 (27) 를 형성할 수도 있다.
끼워 맞춤부 (22) 의 선단측에는 또, 그 일부 (22a) 를 축경 방향으로 타출함으로써, 축경 방향으로 돌출된 환상의 돌출 부분 (22e) 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 (22) 의 이 선단측은, 그 일부 (22b) 를 절결하거나 함으로써 탄성이 발휘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 (3) 와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는, 절결 (22b) 등에 의해 발휘되는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탄성 지지 방향에 반하여 확경된 후, 환상의 돌출 부분 (22e) 이, 끼워 맞춤부 (74) 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패임 부분 (74a) 에 끼워지고, 끼워 맞춤 개시시에 있어서의 직경보다 축경된 상태에서 끼워 맞춤을 완료한다. 끼워 맞춤부 (22) 와 끼워 맞춤부 (74) 사이의 이 끼워 맞춤 상태는, 끼워 맞춤부 (22) 를 다시 확경시킴으로써만 해제할 수 있다. 해제에 필요한 확경은, 중첩된 볼록부 (27) 에 있어서의 단부 (27a, 27b) 끼리를 떼어 놓음으로서만 허용된다. 바꿔 말하면, 볼록부 (27) 는 끼워 맞춤부 (22) 의 확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3) 는, 도 2 에 나타낸 일례로서의 로크 부재 (4) 와 함께 동축 커넥터 장치 (1) 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동축 커넥터 장치 (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한 것이다. 이 로크 부재 (4) 는, 동축 커넥터 (3)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도 3 은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한 후의 완성품으로서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사시도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편의상, 도 2 는 완성품으로서의 로크 부재 (4) 의 상태를 나타낸 도 2 의 (a) 에 추가하여,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할 때의 장착 공정에 있어서의 미완성품으로서의 로크 부재 (4) 의 구성을 나타낸 도 2 의 (b) 를 포함한다.
로크 부재 (4) 는, 1 장의 금속판을 타발하고,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 (4) 는, 상판 (41) 과, 하판 (42), 및 이것들을 연결하는 전판 (前板) (44) 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상」,「하」,「전」의 말은, 판의 위치 관계를 특정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하고 있었던 것일 뿐, 특별한 의미는 없다 (이하, 동일). 예를 들어, 어느 방향을「하」등으로 불러도 된다.
상판 (41), 하판 (42), 및 전판 (44) 에 의해, 로크 부재 (4) 의 내부에, 쉘 (20) 의 끼워 맞춤부 (22)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45) 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 (42) 의 대략 중앙에, 수용 공간 (45) 에 수용된 끼워 맞춤부 (22), 특히 그 선단측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통과되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세로로 긴 대략 사각형의 환상의 구멍 (4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42a) 은, 실질적으로 연속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그 강도는, 적어도 종래의 아암부, 즉, 자유단을 갖고 외팔보상으로 형성된 아암부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실질적으로 연속 상태」란, 완전히 연속 상태로 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불연속이기는 하지만,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연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서로 분리된 종래 구성에 있어서의 아암부의 단부끼리를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연속 상태로 되어 있는 구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여도, 종래의 자유단을 갖는 구조에 비해, 그 강도는 향상되어 있고, 또, 끼워 맞춤부의 확경을 충분히 규제할 수 있다. 구멍 (42a) 의 내측 가장자리 (42b) 에는, 그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오목부 (47) 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 (42a), 및 이것에 형성된 오목부 (47)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타발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판 (41) 등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판 (41) 의 단부 (41a) 는, 수용 공간 (45) 의 측으로 되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 (41) 의 측방은, 수용 공간 (45) 의 측으로 대략 C 자상으로 되접힘으로써, 가이드부 (43) 를 형성하고 있다. 로크 부재 (4) 를 동축 커넥터 (3) 에 장착하였을 때, 이 가이드부 (43) 는, 동축 커넥터 (3) 의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L 자 부분 (21a) 과 걸어 맞춰진다.
동축 커넥터 (3) 로의 로크 부재 (4)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3) 에 장착하기 전공정에 있어서는, 수용 공간 (45) 을 개방하도록, 전판 (44) 의 접힘부 (44a) 를 중심으로 하판 (42) 을 하방으로 눌러 내린 상태로 해 두어도 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공간 (45) 에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를 배치한 후, 하판 (42) 을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용이하게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착 방법에 추가하여, 도 2 의 (a) 의 상태로 한 로크 부재 (4) 를, 접힘부 (44a) 에 있어서의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동축 커넥터 (3) 에 그대로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지그 (도시되어 있지 않음) 를 사용하여 하판 (42) 을 하방으로 눌러 내린 상태로 하여, 수용 공간 (45) 에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를 슬라이드시킨다. 어느 장착 방법에 있어서도,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하였을 때,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특히 그 선단측의 적어도 일부는, 로크 부재 (4) 의 하판 (42) 에 형성된 환상의 구멍 (42a) 을 삽입 통과하고, 또, 동축 커넥터 (3) 의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L 자 부분 (21a) 은, 대략 C 자상으로 되접혀진 가이드부 (43) 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 예를 들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걸어 맞춰진다.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4) 를 장착한 후의 완성품으로서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단면도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것, 도 5 는 도 4 의 B-B 선 단면도, 도 6 은 도 5 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도 4 의 C-C 선 단면도, 도 8 은 도 7 과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축 커넥터 장치 (1) 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켰을 때,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와,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가 끼워 맞춰져, 끼워 맞춤부 (74) 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는 끼워 맞춤부 (22) (이하, 편의상, 이 상태에 있는 끼워 맞춤부 (22) 를「접속 끼워 맞춤부 (22")」라고 부른다) 는, 로크 부재 (4) 의 환상의 구멍 (42a) 의 내부에, 적어도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위치 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로크 부재 (4) 는, 구멍 (42a) 에 삽입 통과된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해방 위치와 규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규제 위치」란, 접속 끼워 맞춤부 (22") 를 확경시켜 끼워 맞춤부 (22) 와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는 해제할 수 없는 위치를, 한편,「해방 위치」란, 적어도「규제 위치」에 있을 때보다는 용이하게 접속 끼워 맞춤부 (22") 를 확경시켜 끼워 맞춤부 (22) 와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위치를 각각 의미한다. 도 5, 도 7 은 로크 부재 (4) 가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한편, 도 6, 도 8 은 로크 부재 (4) 가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 의 외벽 (22d) 에 형성된 볼록부 (27) 와, 구멍 (42a) 의 내측 가장자리 (42b) 에 형성된 오목부 (47) 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 는 실질적으로 확경 가능하고, 따라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 와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실질적으로 확경 가능」이란, 접속 끼워 맞춤부 (22") 가, 끼워 맞춤부 (74) 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로 확경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없는 작은 확경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편,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 의 외벽 (22d) 에 형성된 볼록부 (27) 와, 구멍 (42a) 의 내측 가장자리 (42b) 에 형성된 오목부 (47) 가 맞물리고, 이 결과, 접속 끼워 맞춤부 (22") 는, 접속 끼워 맞춤부 (22") 와 구멍 (42a) 의 협동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해진다. 여기서「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이란, 접속 끼워 맞춤부 (22") 가, 끼워 맞춤부 (74) 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로는 확경될 수 없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다소의 확경은 허용된다. 구멍 (42a) 은 여기서는 연속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 의 확경을 규제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 (27) 는, 대략 원통상의 끼워 맞춤부 (22) 의 직경 위치에서 벗어난 부분, 즉, 굽힘 가공된 금속판의 단부 (27a, 27b) 끼리를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 작은 부분으로서, 서로 중첩된 이들 단부 (27a, 27b) 의 작은 부분을, 동일하게 작은 오목부 (47) 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단부 (27a, 27b) 가 떼어 놓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 끼워 맞춤부 (22") 의 확경을 작은 구조로 규제할 수 있다.
구멍 (42a) 에 삽입 통과된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한 로크 부재 (4) 의 이동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 도 3,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의 좌우 측부에 1 쌍의 가이드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 (43) 는,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 (43) 의 슬라이드 공간 (43b) 에, 동축 커넥터 (3) 의 끼워 맞춤부 (22) 의 측방에 형성된 측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L 자 부분 (21a) 을 삽입하여, 그것들을 걸어 맞춤으로써, 로크 부재 (4) 를, 소정의 방향「β」를 따라, 구멍 (42a) 에 삽입 통과된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해방 위치 또는 규제 위치에 배치된 접속 끼워 맞춤부 (22") 를 그것들의 각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해, 가이드부 (43) 에 걸림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속 끼워 맞춤부 (22") 의 측으로 호상으로 돌출된 돌기 (43a) 를 걸림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해방 위치에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 는 그 후방측의 호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돌기 (43a) 와 맞닿고, 이 결과, 규제 위치로의 이동이 방해된다. 한편,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하여 규제 위치에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 는 그 전방측의 호상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돌기 (43a) 와 맞닿고, 이 결과, 해방 위치로의 이동이 방해된다. 또한, 반드시 해방 위치와 규제 위치의 쌍방의 이동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일방의 이동만을 방해하도록 해도 된다.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 는 동 실시형태의 도 1 에, 도 10, 11 은 동 실시형태의 도 5, 6 에 각각 대응한다.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A」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은,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생각해도 된다.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 (22) 와 달리, 제 1 변형예에서는, 끼워 맞춤부 (22A) 는, 곡면부에 있어서 팽출된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의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완전히 닫힌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완전히 닫힌 형상이라도, 팽출된 곡면부 등을 이용하여 탄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동축 커넥터 (3A) 의 끼워 맞춤부 (22A) 와 원기둥부 (10bA) 의 간극 (10cA) 에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를 끼워 맞출 수 있고, 또, 그 끼워 맞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동 실시형태의 도 1 에, 도 13, 14 는 동 실시형태의 도 5, 6 에 각각 대응한다.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B」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생각해도 된다.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1 변형예와 동일하게, 끼워 맞춤부 (22B) 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의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 (22B) 의 외벽 (22dB) 에는, 당해 외벽 (22dB) 의 일부를 직경 방향으로 패이게 함으로써, 오목부 (28B) 에 추가하여 볼록부 (27B)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멍 (42a) 의 내측 가장자리 (42bB) 에는, 당해 내측 가장자리 (42bB) 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오목부 (47B) 에 추가하여 볼록부 (48B)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해방 위치에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B") 의 외벽 (22dB) 에 형성된 볼록부 (27B) 및 오목부 (28B) 와, 구멍 (42a) 의 내측 가장자리 (42b) 에 형성된 오목부 (47B) 및 볼록부 (48B) 의 맞물림 상태는 해제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B") 는 확경 가능하고, 따라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B") 와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4) 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B") 의 외벽 (22dB) 에 형성된 오목부 (28B) 와, 내측 가장자리 (42bB) 에 형성된 볼록부 (48B) 가, 또, 접속 끼워 맞춤부 (22B") 의 외벽 (22dB) 에 형성된 볼록부 (27B) 와, 내측 가장자리 (42bB) 에 형성된 오목부 (47B) 가 각각 맞물리고, 이 결과, 접속 끼워 맞춤부 (22B") 는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오목부 (28B) 가 절결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개방시킬 필요는 없고, 단순한 패임부에 의해 오목부나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절결에 의해 오목부 (28B) 가 개방되어 있지만, 쉘 (73) 의 끼워 맞춤부 (74) 와의 끼워 맞춤시에는, 끼워 맞춤부 (74) 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닫힌 상태로 된다.
도 15 내지 도 2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타입의 로크 부재 (4) 는 사용하지 않고, 도 17 내지 도 21 에 나타낸 회전 타입의 로크 부재 (5) 를 사용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C」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생각해도 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 (1C) 에 사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제 1 동축 커넥터) (3C) 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대방의 동축 커넥터 (제 2 동축 커넥터) 는, 도 1 등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7) 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동축 커넥터 (3C) 는, 기본적으로 도 1 등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3) 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동축 커넥터 (3) 와 달리, 볼록부 (도 1 등에 나타낸 볼록부 (27)) 는 형성하고 있지 않다. 또, 여기서는,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의 변경은, 슬라이드 이동이 아니라, 접속 끼워 맞춤부 (22") 에 대한 로크 부재 (5) 의 회전에 의해 실시된다.
도 15 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 (3C) 는, 도 16 에 나타낸 일례로서의 로크 부재 (5) 와 함께 동축 커넥터 장치 (1C) 를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동축 커넥터 장치 (1) 는, 도 17,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3C) 에 로크 부재 (5) 를 장착한 것이다. 이 로크 부재 (5) 는, 동축 커넥터 (3C)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도 17, 도 18 은 동축 커넥터 (3C) 에 로크 부재 (5) 를 장착한 후의 완성품으로서의 동축 커넥터 장치 (1C) 의 사시도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7 은 로크 부재 (5)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한편, 도 18 은 규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5) 는,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해방 위치와 규제 위치 사이를 상호 이동한다. 끼워 맞춤부 (22) 나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한 로크 부재 (5) 의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크 부재 (5) 의 일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선단을 삽입할 수 있는 장공 (57)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부재 (5) 는, 1 장의 금속판을 타발하고,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 (5) 는, 상판 (51) 과, 하판 (52), 및 이것들을 연결하는 전판 (54) 을 포함한다.
상판 (51), 하판 (52), 및 전판 (54) 에 의해, 로크 부재 (5) 의 내부에, 쉘 (20C) 의 끼워 맞춤부 (22C)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55) 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 (52) 의 대략 중앙에, 수용 공간 (55) 에 수용된 끼워 맞춤부 (22C), 특히 그 선단측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통과되는, 예를 들어 대략 정방형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사각 형상의 환상의 구멍 (5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52a) 은, 연속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그 강도는, 적어도 종래의 아암부, 즉, 자유단을 갖고 외팔보상으로 형성된 아암부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판 (51) 의 좌우 측부에, 수용 공간 (45) 의 측으로 되접음으로써 편 (片) (5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편 (53) 은, 로크 부재 (5) 를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에 과잉의 회전을 방지하는 규제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예를 들어, 도 17 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5) 가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회전하였을 때, 끼워 맞춤부 (22C) 의 일부가 규제 수단으로서의 편 (53) 에 충돌하여, 과잉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19 는 도 18 의 D-D 선 단면도,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 커넥터 (3) 에 로크 부재 (5) 를 규제 위치에서 장착한 후의 완성품으로서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단면도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것, 도 20 은 도 19 의 E-E 선 단면도, 도 21 은 도 20 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동축 커넥터 장치 (1C) 를 동축 커넥터 (7) 와 접속시켰을 때, 동축 커넥터 (3C) 의 끼워 맞춤부 (22C) 와,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가 끼워 맞춰져, 끼워 맞춤부 (74) 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는 접속 끼워 맞춤부 (22C") 는, 로크 부재 (5) 의 환상의 구멍 (52a) 의 내부에, 적어도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위치 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로크 부재 (5) 는, 구멍 (52a) 에 삽입 통과된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구멍 (52a) 에 의해 형성되는 면 내, 예를 들어,「β-γ」면 (α, β, 및 γ 는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한다) 에서, 해방 위치와 규제 위치 사이에서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0, 2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외경「c」는, 구멍 (52a) 의 최장 내경「a」보다 작고 또한 최단 내경「b」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최장 외경「c」는, 예를 들어, 끼워 맞춤부 (22C (22C")) 의 외벽 (22dC) 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 (31C) 를 형성함으로써 조정되고 있다. 이 돌출부 (31C) 의 표면은, 로크 부재 (5) 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구멍 (52a) 의 최장 내경「a」와 최단 내경「b」는, 동축 커넥터 (3C) 의 끼워 맞춤부 (22C) 와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 방향「α」와 교차하는 면 내에 있어서 대략 직교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에서,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내경「d」와 최단 내경「b」도, 동축 커넥터 (3C) 의 끼워 맞춤부 (22C) 와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의 끼워 맞춤 방향「α」와 교차하는 면 내에 있어서 대략 직교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5)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외경「c」와 구멍 (52a) 의 최단 내경「b」가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외경「c」는, 구멍 (52a) 의 최단 내경「b」보다「약간 크게」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이 경우, 접속 끼워 맞춤부 (22C") 는,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와 구멍 (52a) 의 협동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약간 크게」란, 로크 부재 (5) 를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로크 부재 (5) 가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확경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도록 조정된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도 2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 (5) 가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에 대하여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외경「c」와 구멍 (52a) 의 최장 내경「b」가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접속 끼워 맞춤부 (22C") 의 최장 외경「c」는, 구멍 (52a) 의 최장 내경「a」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이 결과, 접속 끼워 맞춤부 (22C") 는 실질적으로 확경 가능하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4 를 참조하여, 도 15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2 는 동 실시형태의 도 15 에, 도 23, 24 는 동 실시형태의 도 20, 21 에 각각 대응한다.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D」의 문자를 붙이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도 15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생각해도 된다. 끼워 맞춤부 (22D) 는, 도 1 등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로서 설명한, 도 9 에 나타낸 쉘 (22A) 이나 그 끼워 맞춤부 (22A) 의 그것과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서, 곡면부에 있어서 팽출된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의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결과, 변형예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 (22D) 는, 또, 완전히 닫힌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완전히 닫힌 형상이어도, 팽출된 곡면 부분 등에서 탄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동축 커넥터 (3C) 의 끼워 맞춤부 (22C) 와 원기둥부 (10bC) 의 간극 (10cC) 에 동축 커넥터 (7) 의 끼워 맞춤부 (74) 를 끼워 맞출 수 있고, 또, 그 끼워 맞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단순히 대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가 상기 서술한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분명해지는 것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형태 그리고 대체적인 실시형태, 및 그것들의 변형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하는 물품 및 방법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구성과, 도 15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구성, 혹은 그것들의 변형예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동축 커넥터 장치
3 : 동축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4 : 로크 부재
5 : 로크 부재
7 : 동축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
10 : 하우징
10a : 구멍
11 : 중심 단자
20 : 제 1 쉘
21a : 가이드부 (L 자 부분)
22 : 끼워 맞춤부
22d : 외벽
27 : 볼록부
28B : 오목부
31C : 돌출부
42a : 구멍
42b : 내측 가장자리
43 : 가이드부
43a : 걸림 돌기
47 : 오목부
48B : 볼록부
52a : 구멍
52b : 내측 가장자리
73 : 쉘
74 : 끼워 맞춤부

Claims (16)

  1. 제 1 동축 커넥터와,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1 중심 단자 및 제 1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쉘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쉘과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때에 확경되는 대략 통상의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는, 실질적으로 연속 상태로 형성된 환상의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규제 위치와 해방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구멍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확경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해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는 실질적으로 확경 가능하게 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 사이를 상호 이동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와,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맞물리는, 동축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볼록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대략 통상으로 굽힘 가공된 금속판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끼리를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서로 중첩된 상기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협지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시에 상기 제 1 쉘의 소정 부분과 걸어 맞춰지는 가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따라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또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를 상기 규제 위치에 거는 및/또는 상기 해방 위치에 거는 걸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 및/또는 상기 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인, 동축 커넥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크 부재는, 회전에 의해,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 사이를 상호 이동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최장 외경은, 상기 구멍의 최장 내경보다 작고, 또한 최단 내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최장 내경과 상기 구멍의 최단 내경은, 상기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면 내에 있어서 대략 직교 관계에 있고,
    상기 로크 부재가 규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 2 쉘과 끼워 맞춰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최장 외경과 상기 구멍의 최단 내경이 대응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장 외경은, 상기 끼워 맞춤부의 외벽의 일부를 돌출시킨 돌출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사각 형상을 갖는, 동축 커넥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정원 형상을 갖는, 동축 커넥터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대략 U 자 형상을 갖는, 동축 커넥터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사용하는, 로크 부재.
KR1020190058635A 2018-05-28 2019-05-20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 KR20190135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1561A JP2019207770A (ja) 2018-05-28 2018-05-28 ロック部材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装置及びロック部材
JPJP-P-2018-101561 2018-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411A true KR20190135411A (ko) 2019-12-06

Family

ID=6870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35A KR20190135411A (ko) 2018-05-28 2019-05-20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207770A (ko)
KR (1) KR20190135411A (ko)
CN (1) CN110544853A (ko)
TW (1) TW2020051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393B1 (ko) * 2022-08-17 2024-04-05 국방과학연구소 적대적 강인성을 위한 신경망모델의 학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6780278B (zh) * 2023-07-10 2024-01-05 彩美伟业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射频连接器一体式锁扣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834A (ja) 1984-07-27 1986-02-20 ロマツ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4、4′−メチレンビス(2−クロロアニリン)を粒子化する装置系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834A (ja) 1984-07-27 1986-02-20 ロマツ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4、4′−メチレンビス(2−クロロアニリン)を粒子化する装置系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07770A (ja) 2019-12-05
TW202005182A (zh) 2020-01-16
CN110544853A (zh)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663B (zh) 铰接机构
JP323758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8120070A1 (zh) 卷筒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EP1689046A1 (en) A shielded connector
EP2761702B1 (en) Shielded connector
KR20190135411A (ko) 로크 부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 및 로크 부재
KR20190100329A (ko)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JP519202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67505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雄側シールド端子
KR101970097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로크 부재
JPH1027646A (ja) コネクタ
JP2015011962A (ja) 回転式コネクタ
EP0477856A2 (en) Socket and connector comprising a socket and a mating plug
JP2003178840A (ja) 電気部品を接続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40127093A1 (en) Connector structure
CN103855510A (zh) 连接器
US20200093010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20042992A (ja) ロック機能付き同軸コネクタ、該同軸コネクタを含む同軸コネクタ装置、及び、該同軸コネクタ等に用いられるロック部材
JP6617816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6329021B2 (ja) 中継用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618577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889696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7786224B (zh) 卡托装置及电子设备
EP328811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1110274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