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030A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030A
KR20190135030A KR1020197031976A KR20197031976A KR20190135030A KR 20190135030 A KR20190135030 A KR 20190135030A KR 1020197031976 A KR1020197031976 A KR 1020197031976A KR 20197031976 A KR20197031976 A KR 20197031976A KR 20190135030 A KR20190135030 A KR 2019013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fix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412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지리
시게노부 기시
마미코 나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01H13/40Blade spring with at least one snap-acting leg and at least one separate contact-carrying or contact-actuating le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가, 하우징(10)과, 고정 접점부(22)를 갖는 고정 접점측 단자(20)와, 가동 접점측 단자(30)와, 본체부(41), 가동 접점부(42), 및 가압부(43)를 갖고 가동 접점측 단자(30)에 접속되어 있는 가동 접촉편(40)과,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가압부(43)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여 가동 접점부(42)를 고정 접점부(22)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시키는 조작부(50)를 구비한다. 가동 접점부(42)가, 본체부(41)로부터 고정 접점부(22)를 향해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421)와, 암부(421)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 본체부(423)를 갖는다.

Description

스위치
본 발명은,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스냅 액션식의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스위치는, 공통 고정 단자와, 공통 고정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단자와, 가동 접점에 상시 접속되는 상폐 접점을 갖는 상폐 고정 단자와, 가동 접점에 접속 가능한 상개 접점을 갖는 상개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를 가압하고 또한 그 가압 방향을 반전 가능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에서는, 상폐 접점 및 상개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서로 미끄럼 이동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폐 접점 및 상개 접점과 가동 접점이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정숙성을 구비한 스냅 액션식의 스위치를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065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스위치에서는, 상폐 접점 및 상개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서로 미끄럼 이동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상폐 접점 및 상개 접점의 소모가 격심하여, 원하는 내구성을 얻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정숙성이 높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부를 갖는 고정 접점측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동 접점측 단자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를 가압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에 대한 가압 방향을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촉 방향 또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방향으로 전환 가능한 가압부를 갖는 가동 접촉편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에 접촉 가능하고 또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상기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 본체부를 갖고 있다.
상기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가, 본체부로부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와, 암부의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된 접점 본체부를 갖고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충돌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의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의 접점 본체부가,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는 스위치와 비교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이어지는, 도 1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이어지는, 도 1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스위치를 구비한 마우스의 평면도.
도 10은 도 1의 스위치의 탄성부의 제1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스위치의 탄성부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 「단」, 「측」)을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스위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부(13)를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고정된 도전성의 고정 접점측 단자(20) 및 도전성의 가동 접점측 단자(30)와, 수용부(13)에 배치된 도전성의 가동 접촉편(40)과,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3)에 위치하는 조작부(5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상의 베이스(11)와, 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즉, 도 1의 상하 방향)에 상대하는 한 쌍의 면의 한쪽인 제1 직사각형면(111)(도 2에 도시함)을 덮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수용부(13)는 베이스(11)의 제1 직사각형면(111)과 커버(12)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즉, 도 2의 X 방향)의 제1 단부(113)에는 가동 접점측 단자(30)가 고정되고,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의 제2 단부(114)에는 보조 단자(6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측 단자(30) 및 보조 단자(60) 사이에는, 고정 접점측 단자(20)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접점측 단자(20), 가동 접점측 단자(30), 및 보조 단자(60)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상태에서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조 단자(60)는 생략해도 상관없다.
커버(12)의 베이스(11)의 제1 직사각형면(111)에 대향하는 면(즉, 도 1의 상면)에는, 조작부(50)를 삽입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조작 구멍(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 구멍(14)은 커버(12)를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즉, 도 2의 Z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고정 접점측 단자(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수용부(13)까지 연장된 판상의 단자부(21)와, 단자부(21)에 연결되고 또한 수용부(13)에 배치된 금속제의 고정 접점부(22)를 갖고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22)는 금속제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단자부(21)는 그 판면이,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제1 직사각형면(111)에 상대하는 제2 직사각형면(112)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단자부(211)와, 제1 단자부(211)의 수용부(13)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용부(13)에서 제1 직사각형면(111)을 따라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부(212)를 갖고 있다.
고정 접점부(22)는 제2 단자부(212)의 베이스(11)의 제2 단부(114)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2 단자부(212)의 판면에 직교하고 또한 커버(12)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즉, 도 2의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고정 접점부(22)의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의 양 에지부(바꿔 말하면, 후술하는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에 대향하는 에지부)에는, 베이스(11)의 직사각형면(11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만곡면(221)(도 2에는 한쪽만 도시함)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만곡면(221)은,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향 볼록의 역U자 형상을 갖고 있다.
가동 접점측 단자(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수용부(13)까지 연장된 판상의 단자부(31)와, 단자부(31)의 수용부(13)측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벽부(32) 및 제2 벽부(33)를 갖고 있다.
단자부(31)는, 그 판면이,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제2 직사각형면(112)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단자부(311)와, 제1 단자부(311)의 수용부(13)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용부(13)에서 제1 직사각형면(111)을 따라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부(312)를 갖고 있다.
제1 벽부(32)는 제2 단자부(312)의 베이스(11)의 제1 단부(113)에 가까운 쪽의 단부(즉, 도 3의 좌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벽부(32)에는, 후술하는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벽부(33)는 제2 단자부(312)의 베이스(11)의 제2 단부(114)에 가까운 쪽의 단부(즉, 도 3의 우측 단부)에 마련되고,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벽부(33)에는 후술하는 가동 접촉편(40)의 판 스프링부(43)가 접속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1)와, 본체부(41)에 마련된 가동 접점부(42) 및 가압부의 일례의 판 스프링부(43)를 갖고 있다.
본체부(4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측 단자(20) 및 가동 접점측 단자(30)의 병렬 방향(즉,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그 연장 방향의 일단부가 가동 접점측 단자(30)의 제1 벽부(32)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부(41)는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상을 갖고,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 폭이 넓은 광폭부(411)와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 협폭이고 탄성을 갖는 협폭부(412)로 구성되어 있다. 광폭부(411)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32)로부터 제2 벽부(33)와 고정 접점부(22)의 중간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협폭부(412)는 광폭부(411)의 선단부(즉, 광폭부(411)의 제1 벽부(32)에 접속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고정 접점부(22)까지 연장되어 있다.
광폭부(411)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제1 관통 구멍(413)과 대략 직사각형의 제2 관통 구멍(41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413) 및 제2 관통 구멍(414)은, 광폭부(411)를 판 두께로 관통하고 있고,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413)의 내부에는, 제1 벽부(32)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관통 구멍(413)의 베이스(11)의 제1 단부(113)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본체부(41)의 가동 접점측 단자(30)의 제1 벽부(32)에 대한 접속 부분(415)을 구성하고 있다.
가동 접점부(4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1)의 협폭부(412)의 선단부(즉, 협폭부(412)의 베이스(11)의 제2 단부(114)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마련되고,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42)는, 제1 암부(421)와, 추가 암부의 일례의 제2 암부(422)를 갖고 있다. 제1 암부(421) 및 제2 암부(422)는, 각각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상을 갖고, 협폭부(412)의 폭 방향(즉, 도 2의 Y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 본체부(41)의 협폭부(412)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암부(421)는, 본체부(41)의 협폭부(412)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고정 접점부(22)를 향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에 접촉하는 접촉 방향 또는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방향(바꾸어 말하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되는 접촉 분리 방향, 즉,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암부(421)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향하는 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부(421)로부터 베이스(11)를 향해 제1 암부(42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금속제의 접점 본체부(4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점 본체부(423)는 금속제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접점 본체부(423)는, 고정 접점부(22)의 한쪽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대향하고, 본체부(41)의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접점 본체부(423)는, 고정 접점부(22)의 한쪽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대하여, 접촉 분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부(421)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부터 보아, 베이스(11)에 접근하고 또한 베이스(11)에 접근함에 따라 제2 암부(4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대향하는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암부(422)는 협폭부(412)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부터 고정 접점부(22)를 향해, 가동 접점부(42)의 접촉 분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제2 암부(422)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향하는 면은, 고정 접점부(22)의 다른 쪽 에지부 만곡면(22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암부(422)는, 본체부(41)의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접점 본체부(423)와는 다른 개소에서,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암부(422)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부터 보아, 베이스(11)에 접근하고 또한 베이스(11)에 접근함에 따라 제1 암부(4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대향하는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4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1)의 연장 방향의 중심보다도 가동 접점부(42)측에 마련되고, 가동 접점부(42)를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을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에 접촉하는 접촉 방향(즉, 도 2의 Z방향 하향) 또는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방향(즉, 도 2의 Z방향 상향)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판 스프링부(43)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41)로부터 베이스(11)를 향해 돌출되는 만곡 형상(예를 들어, 하나의 원호 형상)을 갖고, 본체부(41)의 광폭부(411)에 있어서의 제2 관통 구멍(414)의 베이스(11)의 제2 단부(114)에 가까운 쪽의 제1 단부(431)로부터,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을 따라, 가동 접점측 단자(30)의 제2 벽부(33)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부(43)의 베이스(11)의 제1 단부(113)에 가까운 쪽의 제2 단부(4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41)의 제1 벽부(32)에 대한 접속 부분(415)보다도 베이스(11)의 근처에서, 제2 벽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43)의 동작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상태의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가 고정 접점부(22)에 접근할 때에, 본체부(41)가,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즉, 가압 방향 전환 위치)를 초과하여 베이스(11)에 접근하면, 판 스프링부(43)의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이 개리 방향으로부터 접촉 방향으로 전환된다. 반대로, 고정 접점부(22)에 접촉한 상태의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될 때에, 본체부(41)가,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를 넘어 커버(12)에 접근하면, 판 스프링부(43)의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이 접촉 방향으로부터 개리 방향으로 전환된다.
또한, 가동 접촉편(40)은 탄성부(44)를 갖고 있다. 이 탄성부(44)는 협폭부(412)의 상방(즉,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의 커버(12)측)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부(441)와, 이 판상부(441)의 베이스(11)의 제2 단부(114)측의 단부와 본체부(41)의 협폭부(412)의 선단부를 접속하는 만곡부(442)와, 판상부(441)의 베이스(11)의 제1 단부(113)측의 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접촉부(443)로 구성되어 있다.
판상부(441)는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41)의 협폭부(412)보다도 베이스(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443)는 판상부(441)의 폭 방향(즉, 도 2의 Y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베이스(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44)는, 판 스프링부(43)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때에, 한 쌍의 접촉부(443)가 하우징(10)의 커버(12)의 가동 접촉편(40)에 대향하는 내면(121)에 접촉하고, 판상부(441)가 본체부(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에서는, 본체부(41), 가동 접점부(42), 판 스프링부(43), 및 탄성부(4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조작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의 하단부(51)가,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에 대하여 제1 관통 구멍(413)과 제2 관통 구멍(414) 사이에서 접촉되어 있는 한편,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의 상단부(52)가, 커버(12)의 조작 구멍(14)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50)는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스위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50)에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복귀 상태의 스위치(1)에서는, 가동 접촉편(40)의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복귀 위치에 위치하고, 탄성부(44)의 한 쌍의 접촉부(443)가, 커버(12)의 가동 접촉편(40)에 대향하는 내면(121)에 접촉되어 있다.
이때,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는, 베이스(11)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협폭부(412)측의 단부가, 판 스프링부(43)에 의해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즉, 도 3 및 도 4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11)의 제1 직사각형면(11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방향 A1(도 3에 도시함)로 가압되고, 가동 접점부(42)가, 제1 방향 A1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으로부터 보아,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를 지나고 또한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교차하는 본체부(41)의 중간 부분(417)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보다도 상방(즉,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에 대하여 커버(12)측)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부(50)의 상단부(52)에 외력을 가하고,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11)에 접근하는 제2 방향 A2(도 5에 도시함)로 조작부(50)를 압박하면,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에 있어서의 조작부(50)의 하단부(51)와의 접촉점(416) 근방의 영역이, 제2 방향 A2로 탄성 변형되고, 중간 부분(417)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에 접근한다.
이때, 판 스프링부(43)의 본체부(41)에 대한 가압력은, 중간 부분(417)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 작아져도 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짧은 쪽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간 부분(417)과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가 겹치는 위치(즉, 가압 방향 전환 위치)에서 제로로 된다.
조작부(50)를 제2 방향 A2로 더욱 압박하면,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에 있어서의 조작부(50)의 하단부(51)와의 접촉점(416) 근방의 영역이, 제2 방향 A2로 더욱 탄성 변형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417)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를 넘어, 베이스(11)에 접근한다.
이때, 중간 부분(417)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를 넘어 베이스(11)에 접근한 것과 동시에, 판 스프링부(43)의 본체부(41)에 대한 가압 방향(즉,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이, 제1 방향 A1(즉, 개리 방향)로부터 제2 방향 A2(즉, 접촉 방향)로 전환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가, 제2 방향 A2로 순시에 이동하고, 제1 암부(421)의 접점 본체부(423)가 제2 방향 A2에 대하여 비스듬히(즉, 도 8의 직선 L의 연장 방향)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접촉한 동작 위치로 이동하여, 스위치(1)가 동작 상태로 된다.
그 후, 조작부(50)의 제2 방향 A2로의 압박을 해제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동작 위치로부터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복귀 위치로, 조작부(50)와 함께 복귀된다.
이때, 본체부(41)의 복귀력에 의해,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보다도 하방(즉,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에 대하여 베이스(11)측)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부분(417)이 제1 방향 A1로 이동하고,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를 넘어 커버(12)에 접근한 것과 동시에, 판 스프링부(43)의 본체부(41)에 대한 가압 방향(즉,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이, 제2 방향 A2(즉, 접촉 방향)로부터 제1 방향 A1(즉, 개리 방향)로 전환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가 제1 방향 A1로 순시에 이동하고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복귀 위치로 이동하여, 스위치(1)가 복귀 상태로 된다.
즉,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되기 때문에, 본체부(41)의 중간 부분(417)과 판 스프링부(43)의 제2 단부(432)가 겹쳐진 가압 방향 전환 위치를 지날 때, 판 스프링부(43)의 가동 접점부(42)에 대한 가압 방향이 개리 방향으로부터 접촉 방향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접촉 방향으로부터 개리 방향으로 전환된다.
또한,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되어 복귀 위치로 이동한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44)의 한 쌍의 접촉부(443)가, 하우징(10)의 커버(12)의 가동 접촉편(40)에 대향하는 내면(121)에 접촉하고, 판상부(441)가 본체부(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스위치(1)에서는, 가동 접점부(42)가, 본체부(41)로부터 고정 접점부(22)를 향해 접촉 분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로서의 제1 암부(421)와, 제1 암부(421)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된 접점 본체부(423)를 갖고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가 고정 접점부(22)에 충돌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의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로 마우스(70)의 클릭 버튼을 구성한 경우,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 방향에서 충돌하는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마우스(70)의 클릭음을 약 6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가,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는 스위치와 비교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암부(421)가, 고정 접점부(22)에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충돌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시켜,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압부로서의 판 스프링부(43)가, 가동 접촉편(40)과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부(41)의 가동 접점측 단자(30)에 대한 접속 부분(415)과 가동 접점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가압부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스위치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줄여, 더 소형의 스위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를 향해 돌출된 만곡면(221)이 마련되어 있고, 가동 접점부(42)가, 만곡면(22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를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더하거나, 혹은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 대신에,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에,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를 향해 돌출된 만곡면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 및 가동 접점부(42)의 접점 본체부(423)의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를 향해 돌출된 만곡면 모두 생략하여 마련하지 않는 경우(즉, 고정 접점부(22)와 가동 접점부(42)가 면으로 접촉하는 경우)라도,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 방향에서 접촉하는 스위치와 비교하여,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42)가, 본체부(41)로부터 고정 접점부(22)를 향해 제1 암부(421)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짐과 함께, 접점 본체부(423)와는 다른 개소에서,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의 만곡면(221)에 접촉 분리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한 추가 암부로서의 제2 암부(422)를 갖고 있다. 상기 스위치(1)에서는, 제1 암부(421) 및 제2 암부(422)는, 각각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또한 본체부(41)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접점 본체부(423)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한 접압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채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암부(421) 및 제2 암부(422)는, 예를 들어 제1 암부(421)와 제2 암부(422)가 45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더 확실하게 저감시켜,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점 본체부(423)는 제1 암부(421)의 고정 접점부(22)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제1 암부(421)의 고정 접점부(22)의 에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동 접촉편(40)이, 판 스프링부(43)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때에, 하우징(10)의 가동 접촉편(40)에 대향하는 내면(121)에 접촉하여 접촉 분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44)를 갖고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42)와 하우징(10)의 커버(12)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때에 발생하는 충돌음을 저감시켜,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44)가,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부품 개수를 줄여, 스위치(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4)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412)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베이스(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접촉부(443)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접촉부(443)는, 판 스프링부(43)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된 때에, 한 쌍의 접촉부(443)가 하우징(10)의 커버(12)의 가동 접촉편(40)에 대향하는 내면(121)에 접촉하고, 판상부(441)가 본체부(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탄성부(44)를 소형화할 수 있어, 부품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또한, 탄성부(44)는,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3)의 베이스(11)의 제1 직사각형면(111) 상의 제2 단부(114)측의 단부에 베이스(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44)를 마련하고, 이 지지부(444)의 커버(12)측의 단부에, 탄성부(44)를 가동 접촉편(40)과는 별개로 마련해도 된다. 즉, 탄성부(44)는, 가동 접촉편(40)의 개리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판 스프링부(43)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접점부(42)가 고정 접점부(22)로부터 개리되어 복귀 위치로 이동한 때에 가동 접촉편(40)에 접촉하고, 접촉 방향 또는 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충돌음을 저감하는 구성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4)는 생략할 수도 있다. 탄성부(44)를 생략한 경우라도,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충돌한 때의 접촉 방향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스위치(1)의 정숙성을 높일 수는 있다.
또한, 탄성부(44)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접촉편(40)의 본체부(41), 가동 접점부(42), 및 판 스프링부(43)에 대해서도, 각각 별개로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로서, 판 스프링부(43)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1)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접점부가, 본체부로부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접촉 분리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암부와, 암부의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한 접점 본체부를 가질 수 있는 임의의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부를 갖는 고정 접점측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동 접점측 단자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를 가압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에 대한 가압 방향을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촉 방향 또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방향으로 전환 가능한 가압부를 갖는 가동 접촉편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에 접촉 가능하고 또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상기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 본체부를 갖고 있다.
제1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가, 본체부로부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와, 암부의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된 접점 본체부를 갖고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충돌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의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의 접점 본체부가,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에 미끄럼 이동 접촉하는 스위치와 비교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암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상기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42)와 고정 접점부(22)가 충돌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시켜,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접점 본체부를 향해 돌출된 제1 만곡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제1 만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3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의 접점 본체부를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접점 본체부에,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를 향해 돌출된 제2 만곡면이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의 접점 본체부와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가 접촉한 때의 충돌음을 저감하여,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상기 암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짐과 함께, 상기 접점 본체부와는 다른 개소에서,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상기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한 추가 암부를 갖고 있다.
제5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암부 및 추가 암부를, 각각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또한 본체부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함으로써, 접점 본체부의 고정 접점부에 대한 접압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채터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가동 접촉편의 상기 개리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동 접촉편에 대향하는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접촉 방향 또는 상기 개리 방향에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한다.
제6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와 하우징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접점부가 고정 접점부로부터 개리된 때에 발생하는 충돌음을 저감시켜, 정숙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스위치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동 접촉편의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제7 양태의 스위치에 의하면, 부품 개수를 줄여, 스위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이 출원은, 일본에서 2017년 6월 22일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7-12250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청구한다. 그 내용은 여기에 언급함으로써, 본 출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문헌은 여기에 언급함으로써, 그 전부가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는, 예를 들어 게이밍 마우스에 사용할 수 있다.
1: 스위치
10: 하우징
11: 베이스
111: 제1 직사각형면
112: 제2 직사각형면
113: 제1 단부
114: 제2 단부
12: 커버
121: 내면
13: 수용부
14: 조작 구멍
20: 고정 접점측 단자
21: 단자부
211: 제1 단자부
212: 제2 단자부
22: 고정 접점부
221: 만곡면
30: 가동 접점측 단자
31: 단자부
311: 제1 단자부
312: 제2 단자부
32: 제1 벽부
33: 제2 벽부
40: 가동 접촉편
41: 본체부
411: 광폭부
412: 협폭부
413: 제1 관통 구멍
414: 제2 관통 구멍
415: 접속 부분
416: 접촉점
417: 중간 부분
42: 가동 접점부
421: 제1 암부
422: 제2 암부
423: 접점 본체부
43: 판 스프링부
431: 제1 단부
432: 제2 단부
44: 탄성부
441: 판상부
442: 만곡부
443: 접촉부
444: 지지부
50: 조작부
51: 하단부
52: 상단부
60: 보조 단자
70: 마우스

Claims (7)

  1.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고정 접점부를 갖는 고정 접점측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가동 접점측 단자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측 단자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측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및 개리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부를 가압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에 대한 가압 방향을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접촉 방향 또는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방향으로 전환 가능한 가압부를 갖는 가동 접촉편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에 접촉 가능하고 또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압부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를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하여 접촉 또는 개리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상기 접촉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상기 고정 접점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 본체부를 갖고 있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상기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접점 본체부를 향해 돌출된 제1 만곡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제1 만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의 상기 접점 본체부에,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를 향해 돌출된 제2 만곡면이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상기 암부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짐과 함께, 상기 접점 본체부와는 다른 개소에서, 상기 고정 접점부의 에지부에 상기 접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접촉 가능한 추가 암부를 갖고 있는,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상기 개리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동 접촉편에 대향하는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접촉 방향 또는 상기 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동 접촉편의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
KR1020197031976A 2017-06-22 2018-05-24 스위치 KR102179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2506 2017-06-22
JP2017122506A JP2019008949A (ja) 2017-06-22 2017-06-22 スイッチ
PCT/JP2018/019987 WO2018235517A1 (ja) 2017-06-22 2018-05-24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030A true KR20190135030A (ko) 2019-12-05
KR102179412B1 KR102179412B1 (ko) 2020-11-16

Family

ID=6473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976A KR102179412B1 (ko) 2017-06-22 2018-05-24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9008949A (ko)
KR (1) KR102179412B1 (ko)
CN (1) CN110651346B (ko)
TW (1) TWI665696B (ko)
WO (1) WO2018235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1078B2 (ja) * 2017-06-22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CN217061862U (zh) * 2022-01-27 2022-07-26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微动开关的切换式有声无声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1469U (ko) * 1977-11-21 1979-06-09
JPH0197336A (ja) * 1987-10-08 1989-04-14 Omron Tateisi Electron Co マイクロスイッチ
JPH02131221U (ko) * 1989-04-05 1990-10-31
JPH08138494A (ja) * 1994-11-09 1996-05-31 Omron Corp スイッチ
JP2008210654A (ja) 2007-02-27 2008-09-11 Hst Kk 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0974A (en) * 1977-09-30 1979-04-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JPS5481469A (en) * 1977-12-13 1979-06-28 Sanwa Tekki Corp Friction brake type vibration isolator
US7030857B2 (en) * 2001-10-15 2006-04-18 Logitech Europe S.A. Mouse with integrated keyplate and housing
TW201227774A (en) * 2010-12-27 2012-07-01 Zippy Tech Corp Microswitch with improved withstand voltage
CN202178217U (zh) * 2011-07-24 2012-03-28 朱建新 交流接触器
JP2014165152A (ja) * 2013-02-27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電磁継電器
EP3014397B1 (en) * 2013-09-30 2020-04-08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CN204966346U (zh) * 2015-09-09 2016-01-13 乐清市兴辉电子有限公司 一种按钮开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1469U (ko) * 1977-11-21 1979-06-09
JPH0197336A (ja) * 1987-10-08 1989-04-14 Omron Tateisi Electron Co マイクロスイッチ
JPH02131221U (ko) * 1989-04-05 1990-10-31
JPH08138494A (ja) * 1994-11-09 1996-05-31 Omron Corp スイッチ
JP2008210654A (ja) 2007-02-27 2008-09-11 Hst Kk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5517A1 (ja) 2018-12-27
CN110651346B (zh) 2022-05-10
TWI665696B (zh) 2019-07-11
CN110651346A (zh) 2020-01-03
KR102179412B1 (ko) 2020-11-16
JP2019008949A (ja) 2019-01-17
TW201905952A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6666A1 (ja) 端子台
EP2629311A1 (en) Switch
KR20080022495A (ko) 스위치 및 접점 모듈
KR20190135030A (ko) 스위치
KR101059402B1 (ko) 푸시 스위치
EP3166120A1 (en) Switch
CN107978477B (zh) 电快速开关
CN115206714A (zh) 开关装置
EP2267742A1 (en) Roof switch assembly
JP6660856B2 (ja) スイッチ装置
CN112424895A (zh) 开关及操作装置
KR20130006306A (ko) 스위치
CN112424896A (zh) 开关及操作装置
CN109119273B (zh) 开关
CN111566770B (zh) 开关
JP4857183B2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KR100363468B1 (ko) 푸시 스위치
EP2590195A1 (en) Switch with reset function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CN109994333B (zh) 用于按钮开关的按钮组件、按钮开关以及电子设备
JPH08504050A (ja) 平形キースイッチ
CN109148190B (zh) 用于按钮开关的驱动件及按钮开关
EP3166119B1 (en) Switch
CN114746970A (zh) 开关
WO2018168127A1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