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278A -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팽창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팽창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팽창기 작동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팽창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팽창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팽창기 작동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278A
KR20190132278A KR1020190057984A KR20190057984A KR20190132278A KR 20190132278 A KR20190132278 A KR 20190132278A KR 1020190057984 A KR1020190057984 A KR 1020190057984A KR 20190057984 A KR20190057984 A KR 20190057984A KR 20190132278 A KR20190132278 A KR 2019013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gas
cage
tubular
tubular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드 람프
게오르그 타우트슈니그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에어백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1/264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the reacting substances being supported by the inflatable member walls, or by a flexible support withi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팽창기(100)용,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팽창기(100)용 추진제 케이지(10)로, 관형 팽창기(100)의 추진제 챔버(14) 및 유동 통로(15)를 형성하기 위한 추진제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진제 케이지(10)는 가스 유입측 단부(12) 및 가스 유출측 단부(13)를 구비하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형태로 되어 있고, 가스 유입측 단부(12)의 단면적이 가수 유출측 단부(13)보다 작다.

Description

관형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인플레이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인플레이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인플레이터의 작동 및 제조 방법{PROPELLANT CAGE FOR A TUBULAR INFLATOR, PACKING ELEMENT FOR A TUBULAR INFLATOR, TUBULAR INFLATOR FOR AN AIRBAG MODULE, AIRBAG MODULE, VEHICLE SAFETY SYSTEM, METHOD OF OPERATING AND MANUFACTURING A TUBULAR INFLATO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3의 전제부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용 패킹 요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 에어백 모듈용 관형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관형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다룬다. 더욱이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인플레이터의 작동 방법 및 관형 인플레이터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피처들을 포함하는 추진제 케이지가 예를 들어 EP 2 471 692 B1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의 추진제 케이지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추진제 케이지는 추진제 바디들이 위치되는 추진제 챔버를 특별히 획정한다. 추진제 바디들은 예를 들어 EP 2 471 692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제 펠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추진제 케이지는 인플레이터 내부에 추진제 바디들을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추진제 케이지의 목적은 점화 가스가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추진제 챔버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는, 한편으로는, 점화기 유닛을 마주보는 추진제 케이지의 관형 베이스 부재의 축선 방향 단부에 배열되는 가스 유입 개구를 구비한다. 가스 유입 개구를 통해, 점화기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내부로 먼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통공들이 구비되는데, 유입되는 점화 가스의 일부가 이 통공들을 통해 추진제 케이지의 외부로, 구체적으로는 추진제 케이지의 둘레에 형성된 추진제 챔버로 유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점화 가스는 추진제 챔버 내에 추진제 베드(propellant bed)로서 배열되는 추진제 바디들과 접촉하게 된다. 추진제 바디들은 고온의 점화 가스에 의해 점화되어 추진제 가스를 방출한다.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에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챔버로 들어가는 동일한 가스 관통 개구들을 통해, 추진제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의 내부로 다시 유동하고 나서 가스 유입 개구와 축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있는 가스 유출 개구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의 외부로 안내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다른 기능은 가스 유입 개구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충격파를 전달하는 것이다. 충격파는 점화기 유닛이 점화될 때 점화 챔버 내에서 형성되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형성된다. 점화 챔버가 파열 격막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길게 획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기 유닛이 활성화된 후, 점화 챔버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사전 결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곧, 파열 격막이 파열되고 가압된 점화 가스가 추진제 케이지로 유동한다. 파열 격막의 갑작스러운 파열 및 점화 챔버에서 증가된 압력 레벨과 유동 방향으로 파열 격막의 하류에 위치된 압력 챔버의 압력 레벨 간의 압력차로 인해 추진제 케이지를 통해 종방향으로 안내될 충격파가 형성된다.
상술한 기능들은 EP 2 471 692 B1에 따른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실질적으로 충족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은 불리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추진제 케이지에서 동일한 반경 방향 가스 유동 개구들이 추진제 챔버로 점화 가스를 도입하기 위해 그리고 방출된 추진제 가스를 추진제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점화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지의 추진제 케이지는 추진제 펠릿들과 직접 접촉하는 날카로운 가장자리들을 일부 구비하는데, 이는 유해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유형의 추진제 케이지들은 때때로는 제조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추진제 케이지들은 한편으로는 추진제 케이지를 다른 한편으로는 추진제 베드를 고정하도록 요구되는 다수의 추가 컴포넌트와 관련이 있다. 또한 추진제 케이지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통공들을 통과하는 고온의 점화기 입자들의 투과성이 어느 정도까지 낮을 것이다. 그 결과, 추진제 베드의 추진제 펠릿들의 점화가 나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개선된 가스 도관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조가 보다 용이한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를 명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관형 인플레이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요구되는 컴포넌트들의 수가 감소되도록 발전된 추진제 케이지가 디자인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된 패킹 요소를 명시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 요소는 발전된 추진제 케이지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되게 의도된다. 달리 말하면, 발전된 패킹 요소는 발전된 추진제 케이지와 호환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를 포함하는 관형 발생기를 명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안전 시스템 그리고 관형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명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 인플레이터를 제조하는 발전된 방법을 명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추진제 케이지에 대해서는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의 요지에 의해, 패킹 요소에 대해서는 청구항 3의 요지에 의해, 관형 인플레이터에 대해서는 청구항 8의 요지에 의해, 에어백 모듈에 대해서는 청구항 14의 요지에 의해, 차량 안전 시스템에 대해서는 청구항 15의 요지에 의해, 작동 방법에 대해서는 청구항 16의 요지에 의해 그리고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청구항 18의 요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용 추진제 케이지로, 관형 인플레이터의 추진제 챔버 및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추진제 케이지를 명시하는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진제 케이지는 가스 유입측 단부 및 가스 유출측 단부를 구비하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형태이고, 가스 유입측 단부가 가스 유출측 단부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권선으로 형성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출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권선으로 형성된다. 가스 유입측 단부 및 가스 유출측 단부 둘 다와 관련하여, 단부들을 다수의 스프링 권선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가스 유입측 단부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종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볼 때,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단면이 가스 유출측 단부보다 작다.
추진제 케이지를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이 매우 용이하게 제조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적어도 추진제 바디들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과 인접하는 영역들에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구비하지 않는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스프링 권선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인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관통 개구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이 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나선 형상을 가진다. 2개의 스프링 권선 사이의 간극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관통 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출측 단부의 영역에서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은 가스 유입측 단부의 영역에서의 스프링 권선들 및/또는 추진제 케이지의 중앙 스프링 부분의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보다 작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다른 부분들과 비교하여 작은 가스 유출측 단부의 영역에서의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으로 인해, 추진제 챔버, 특히 추진제 케이지의 유동 통로를 통한 충격파의 안내가 가속된다. 발생된 충격파의 추가적인 편향이 방지된다.
설명을 목적으로,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에서 방출되는 충격파는 관형 인플레이터에 제공된 가스가 연결된 에어백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관형 인플레이터의 유출 단부에 배치된 추가 파열 격막을 파괴하거나 혹은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점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충격파가 형성되는 것은 이러한 관형 인플레이터의 가능과 특히 관련이 있다. 추가 파열 격막까지 인플레이터를 통과하는 전체 진행 경로를 따라 충격파의 안정성이 유지될 것이 특히 요구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는, 추진제 케이지가 인플레이터, 특히 관형 인플레이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화기 유닛에 가장 가까이 있거나 혹은 점화기 유닛과 연관되어 있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단부인 것으로 특히 이해된다. 가스 유출측 단부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반대쪽 단부인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말하면,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작동 상태에서 특히 점화기 유닛으로부터의 고온 가스 및/또는 고온 점화 입자들이 유동하여 통과하거나 혹은 유동해 가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단부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면 가스 유출측 단부는 가스 유입측 단부와 축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있는 추진제 케이지의 단부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가스 유출측 단부는 가스 챔버 또는 압축 가스 챔버를 향하는 유동 방향으로 추진제 베드를 획정하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단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진제 케이지, 즉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실질적으로 깔때기 형상 또는 트럼펫 형상인 부분을 포함한다. 깔때기 형상 또는 트럼펫 형상 부분은 특히 가스 유출측 단부를 향해 확대된다. 깔때기 형상 또는 트럼펫 형상 부분에 의해, 특히 상기 부분이 가스 유출측 단부를 향해 확대되면, 발생된 충격파의 특히 적절한 안정화가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파는 추진제 케이지 내부에서 종축선 방향으로 전파되는데, 깔때기 형상 부분이 충격파가 안정화되게 한다. 이에 따라 깔때기 형상 부분 또는 트럼펫 형상 부분을 따라 확대되는 충격파는 특히 강력하다. 더욱이, 충격파가 추진제 케이지를 떠났을 때에도 충격파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스 유출측 단부를 향해 확대되는 깔때기 형상 또는 트럼펫 형상 부분은 유출측 파열 격막에 영향을 줄 때까지 관형 인플레이터 내부의 추가적인 경로에서도 특히 안정적이고 강력할 만큼 충격파를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작동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깔때기 형상"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매끄러운 원주 표면을 구비하는 원뿔대 형상을 지칭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깔때기 형상 부분은 종축선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충격파의 안정적인 디자인을 위해, 깔때기 형상 부분 또는 트럼펫 형상 부분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출측 단부를 향해 확대되면 이득이 될 것이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측 단부로부터 가스 유출측 단부를 향해 증가한다.
더욱이, 추진제 케이지, 즉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이 칼라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칼라 부분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안팎이 뒤집어진 부분으로 특히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부분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출측 단부에 형성된다. 칼라는 유리하게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출측 단부에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또한 칼라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권선으로 형성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코히런트 가스 유동 개구(coherent gas flow opening)로 형성되고, 가스 유동 개구는 나선 스프링의 형태이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의 개구 단면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스프링 권선들의 서로에 대한 각각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베드의 추진제 바디들에 대한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들은 추진제 바디들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유동 통로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의 크기와 단면은 추진제 베드를 형성하는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펠릿들의 크기의 단면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형태로 된 추진제 케이지의 디자인은 유리하게는 충격파 파면이 시작되는 중앙에 획정된 영역을 자유롭게 유지하고 더욱이 관형 인플레이터의 내구 수명에 걸쳐 추진제 베드 및 추진제 베드를 형성하는 추진제 바디들을 정해진 위치에 유지시킨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원형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마멸되는 추진제는 가능한 한 적을 것이다.
스프링 권선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간극들이 있는 구성으로 인해, 트리거 상황에서 추진제 베드가 선택적으로 점화될 수 있도록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이 점화기 입자들을 동시에 투과시킬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은 한편으로는 낮은 사체적(dead volume)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중량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특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를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으로 디자인할 때 그리고 나선 스프링 형상으로 된 측방 가스 유동 개구의 바람직한 관련 실시예에 의하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소재에 비례하는 커다란 가스 유동 개구 영역이 제공된다. 측방 가스 유동 개구(들)의 유동 단면은 증가된다. 이로 인해 추진제 케이지를 둘러싸는 추진제 챔버에서 추진제 바디들을 점화시킬 때 효율이 더 높아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형태로 된 추진제 케이지는 점화 가스의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히 독립된 태양은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용 패킹 요소로 관형 인플레이터의 추진제 챔버에 존재하는 추진제 베드를 고정하기 위한 패킹 요소에 관한 것이다. 패킹 요소는 추진제 케이지를 수용하도록, 특히 부분적으로 감싸고 그리고/또는 지지하도록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추진제 케이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특히 부분적으로 감싸이고 그리고/또는 지지되도록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 형성된다. 패킹 요소는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특히 부분적으로 감싸이도록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 특히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패킹 요소가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서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특히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의 단면 및 가스가 유동하여 통과할 수 있는 단면 및 적절하게 형성된 유동 개구가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의 단면 및 가스가 유동하여 통과할 수 있는 단면 및 적절하게 형성된 유동 개구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 및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는 서로 접촉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추진제 케이지 및 패킹 요소가 각각의 단부들에서 특정한 축선 방향 길이에 걸쳐 중첩될 때까지 축선 방향으로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에 도입되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가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패킹 요소와 추진제 케이지는 서로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와 추진제 케이지 사이에 유리하게 작동하는 연결부가 확립되는데, 두 요소, 즉 패킹 요소 및 추진제 케이지 간의 접촉은 필수는 아니다. 패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베드 및 추진제 케이지를 고정하기 위해 다른 컴포넌트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는 스프링 권선들의 직경이 각기 다르고 그리고/또는 간극이 각기 다른 다수의 부분을 축선 방향으로 포함하는 패킹 나선 스프링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나선 스프링은 서로 다른 3개의 부분들을 구비한다. 이들은 제1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 제2 중앙 부분 및 전방 단부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중앙 부분은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과 전방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전방 단부 부분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이 테이퍼지고 전방 단부 부분을 향해 확대된다. 달리 말하면, 단면 및 가스가 통과하여 유동하는 패킹 나선 스프링의 단면이 중앙 부분에서 전방 단부 부분을 향해 확대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단부 부분의 스프링 권선 부분이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에서보다 작다.
더욱이, 전방 단부 부분에서의 스프링 권선 간극이 패킹 나선 스프링의 중앙 부분에서의 스프링 권선 간극보다 크고, 특히 전방 단부 부분에서의 스프링 권선 간극은 제1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의 스프링 권선 간극보다 작을 수 있다. 패킹 나선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점화기 유닛의 하우징 부분 위에서 그리고/또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캡 위에서 활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이 점화기 유닛의 하우징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내경은 또한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에서 상기 부분이 점화기 유닛의 하우징 위에서 그리고 관형 인플레이터의 캡 위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점화기 유닛의 하우징과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 사이에 단지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간극은 패킹 나선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인플레이터 또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트리거 상황에서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이 종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상술한 3개의 연속하는 부분은 한편으로는 충분한 축선 방향 억제력이 고정될 추진제 베드에 작용하는 동시에 적절한 고정력이 고정될 추진제 베이지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특히 구성된다. 더욱이, 패킹 나선 스프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 부재, 폐쇄 캡 또는 점화기 유닛이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에 용접될 때 자연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용접 스패터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한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은 추진제 충전 허용 공차를 위한 적절한 길이의 축선 방향 스프링 진행 및 인플레이터의 내구 수명에 걸쳐서 추진제 베드의 자연적인 설정 거동을 위한 축선 방향 진행 보상을 보장하도록 스프링 권선들에 대해 비교적 큰 간극을 갖는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중앙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지고 비교적 빡빡하게 권취된다. 따라서 중앙 부분에서 스프링 권선 간극은 극히 작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나선 스프링의 중앙 부분의 스프링 권선들은 서로 접하고 접촉한다. 중앙 부분은 상기와 같이 폐쇄 부재를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에 그리고 압축 가스 챔버에 용접하는 동안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용접 스패터들에 대한 장벽 역할을 특히 한다. 따라서 중앙 부분은 용접 스패터가 이미 충전된 추진제 베드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패킹 나선 스프링의 전방 단부 부분에서, 스프링 권선 간극은 바람직하게는, 관형 발생기가 활성화되는 경우 또는 트리거 상황에서, 충분히 고온 입자들 및/또는 고온 가스가 전방 단부 부분의 스프링 권선들 및/또는 스프링 권선들의 서로에 대한 간극으로부터 형성되는 유동 개구 또는 단면 영역을 통해 관형 인플레이터의 추진제 챔버의 추진제 베드로 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추진제 베드가 의도대로 점화될 수 있기에 충분한 통과 공간 및 충분히 큰 유동 개구 또는 단면 영역이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패킹 요소는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가 형성되는 반경 방향 링 요소를 구비한다. 패킹 요소가 단지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링 요소로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가 장착된 상태에서, 점화기 캐리어의 방향으로 관형 인플레이터 내로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는 패킹 요소의 점화기 캐리어측 단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의 반경 방향 내측 연장 탭(들)을 포함한다. 상기 탭은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를 위한,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를 위한 지탱면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링 요소를 포함하는 이러한 유형의 패킹 요소는 반경 방향 링 요소가 추진제 베드를 의도된 대로 고정시키고 추진제 베드가 기계적으로 바이어스될 때까지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에 스크루 결합되거나 혹은 클립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탭,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의 탭이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가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에 스크루 결합되거나 혹은 클립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탭이 패킹 요소의 희망하는 최종 위치에서 축선 방향 차단부 또는 멈춤부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에 스크루 결합 또는 클립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패킹 요소의 희망하는 최종 위치에서, 축선 방향 슬리브는 또한 패킹 요소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차단부 또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의 역할을 한다.
반경 방향 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의 내경 및 연소 챔버의 관형 하우징에 대략 상응하는 외경 및 외부 단면을 갖는다. 이는 반경 방향 링 요소가 관형 하우징 내부에 클립 체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반경 방향 링 요소와 관형 하우징의 내부 표면 사이에 적절히 작은 간극 또는 유격이 구비됨으로써 링 요소의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작은 간극 또는 유격을 통과할 수 있는 추진제 바디들이 없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독립된 태양은 에어백 모듈용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관형 인플레이터는 관형 하우징 및 추진제 케이지를 포함하는데, 추진제 케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에 관한 상술한 설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는 관형 하우징 내부에 배열되고, 관형 하우징에 의해 추진제 챔버를 적어도 일부분들에서 획정한다. 추진제 챔버는 중공 원통형일 수 있다. 추진제 챔버 내에,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펠릿들이 위치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는 관형 인플레이터 내의 유동 통로를 또한 형성한다. 이는 추진제 케이지가 그 내부에, 점화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스, 특히 점화 가스 및 점화 입자들이 실질적으로 막힘없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 형상의 공간을 특정 축선 방향 길이에 걸쳐 포함하는 것을 특히 의미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에 관한 상술한 설명에 따라 디자인될 수 있는 패킹 요소를 포함한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출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관형 하우징의 비드에 안착되도록 위치되고, 비드는 관형 하우징의 점화기측 전방 3분의 1 지점, 특히 점화기측 전방 4분의 1 지점, 특히 점화기측 5분의 1 지점에 형성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는 한편으로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점화기 유닛의 방향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에서, 비드는 특히 크림핑 혹은 롤 부분의 형태일 수 있는 내측을 향하는, 특히 반경 방향 원주상, 테이퍼의 형태일 수 있다. 관형 하우징의 내주 위에, 테이퍼가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출측 단부, 특히 추진제 케이지 스프링의 가스 유출측 스프링 권선들이 접할 수 있는 환형 비드를 형성한다.
더욱이, 관형 하우징에 점화기 유닛이 배열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점화기 유닛에, 특히 점화기 유닛에 포함되는 캡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화기 유닛 및/또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캡이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상태에서 그리고 관형 인플레이터의 활성화시 점화기 유닛 외부로 유동하는 점화 가스 및/또는 점화 입자들이 추진제 케이지 내로 특히 유동하게 된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점화기 유닛에 직접 인접하지 않는 한, 패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또는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를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즉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점화기 유닛에 인접하지 않는 한 또는 점화기 유닛이 적어도 부분들에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 내로 삽입되는 경우, 패킹 요소는 패킹 나선 스프링의 이미 설명한 형상을 취한다.
추진제 케이지의 구성 형태에 따라, 패킹 요소의 형상 및 실시예가 그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고, 이는 점화 유닛 밖으로 유동하는 점화 가스 및/또는 점화 입자들이 추진제 케이지의 유동 통로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는 충격파 원리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활성화되는 경우, 관형 인플레이터의 점화기는 트리거되거나 혹은 활성화되고, 점화기는 점화 가스 또는 점화 입자들을 특히 점화기의 전방 영역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방출하는데, 관형 인플레이터의 유입측 파열 격막을 구성하는 점화기 유닛의 제1 파열 요소, 특히 제1 파열 격막이 개방된다. 점화기의 트리거 시, 즉 점화기의 전방 영역의 개방 시 또는 제1 파열 요소의 개방 시에 이미, 충격파 및 충격파 파면이 시작되어 인플레이터를 통과하는 종축선 방향으로, 특히 인플레이터의 압축 가스 챔버를 통과하는 종축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전파되어, 단부측 제2 파열 요소, 특히 유출측 파열 격막을 개방시켜 발생된 가스 또는 점화 가스를 관형 인플레이터 외부로, 바람직하게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을 향해 안내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디퓨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가 실질적으로 공통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가 서로 접촉하거나 혹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와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가 점화기 유닛의 일부일 수 있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캡의 단부면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진제 케이지와 패킹 요소가 적어도 축선 방향 연장부의 부분들에서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달리 말하면,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와 추진제 베드측 단부는 종축선 방향으로 연장할 때 적어도 부분들에서 중첩될 수 있다.
패킹 요소는 추진제 케이지에 스크루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끼워 맞춰지고 그리고/또는 클립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직접 작용하는 연결에 의한 두 요소의 이러한 구성 형태로 인해, 요구되는 추진제 케이지 및 요구되는 패킹 요소에 대해 요구되는 부품들이 최소로 감소된 관형 인플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조하기가 극히 간단한 컴포넌트 부품들이 제공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들은, 추진제 베드의 추진제 바디들과 관련하여, 특히 추진제 바디들의 크기와 관련하여, 추진제 바디들이 유동 통로 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추진제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특히 디자인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통로는 추진제 바디들이 없다. 이렇게 해서, 통과하는 충격파 파면의 아주 훌륭한 안내 및 형성이 가능하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가스를 발생시키는 추진제 바디들이 추진제 챔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발생 추진제 바디들은 압축 또는 압출 몰드 바디들로 또는 그 밖에 그래뉼(granule)로 존재할 수 있는 추진제 펠릿들로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연소 도중, 추진제 바디들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백의 팽창을 야기하거나 혹은 보조하는 추진제 가스 및 팽창 가스를 발생시킨다.
인플레이터의 가스 하우징은 유리하게는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로 충전된 압축 가스 탱크를 형성하다. 압축 가스는 특히 헬륨,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로 이루어진 단일 가스 또는 그 밖에 가스 혼합물로 500 내지 800바의 압력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인플레이터의 활성화 시 추진제 가스에 더하여 방출될 수 있고 에어백에 도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압축 가스는 에어백의 팽창을 보조한다.
에어백 모듈의 다른 독립된 태양은 관형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관형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에어백, 및 에어백 모듈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수단에 관한 것이다. 관형 인플레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자인된다.
또한,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차량 탑승객 또는 보행자와 같은 사람을 특히 보호하기 위한 차량 안전 시스템이 개시되고 청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시스템은 관형 인플레이터, 에어백 모듈의 일부로 관형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에어백 및 트리거 상황에서 관형 인플레이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시스템에서, 관형 인플레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에 대해 상술한 방식에 따라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다른 독립된 태양은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a) 점화 챔버 내부에 점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기 유닛을 트리거시키는 단계;
b) 점화 가스를 추진제 케이지로 둘러싸인 유동 통로로 도입하는 단계;
c)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추진제 케이지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획정된 추진제 챔버로 배출하는 단계;
d)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팰릿들을 추진제 챔버 내에서 점화 가스로 점화시켜서 추진제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e) 추진제 가스를 추진제 챔버로부터 가스 챔버, 특히 압축 가스 챔버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b) 중에, 가스 챔버, 특히 압축 가스 챔버를 직접 통과하여 종축선 방향으로 유동하고, 가스 챔버의 종축선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파열 요소, 특히 유출측 파열 격막을 개방시키는 충격파 파면이 시작될 수 있다.
특히, 단계 e)에서 추진제 가스, 특히 추진제 가스의 일부분이 단계 c)에서 점화 가스의 일부분을 추진제 챔버로 배출하기 위한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동 개구와 다른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추진제 가스, 특히 추진제 가스의 일부분이 단계 c)에서 점화 가스의 일부분이 추진제 챔버로 배출될 때의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동 개구와 비교하여 유동 방향으로 축선 방향 하류에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으로 더 외측에 위치되는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동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관형 인플레이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 방법은,
i)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출측 단부가 지탱 요소, 특히 비드에 안착되게 추진제 케이지를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에 삽입하는 단계;
j) 추진제 바디들, 특히 추진제 펠릿들을 추진제 케이지와 관형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특히 추진제 챔버에 충전하여 추진제 베드를 형성하는 단계;
k) 패킹 요소들을 추진제 베드에 배치하고 추진제 베드를 축선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l) 하나의/상기 가스 챔버, 특히 하나의/상기 압축 가스 챔버를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l)이 단계 k) 전에 또는 그 뒤에 수행된다.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은 헬륨 또는 아르곤 또는 질소 또는 산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 챔버 내의 압력은 500 내지 800바, 특히 550바이다.
단계 k)에서, 패킹 요소는 조립체 유닛의 일부일 수 있고 조립체 유닛과 함께 추진제 베드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체는 패킹 요소 및 캡의 형태로 된 인플레이터 폐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점화기를 이에 상응하는 점화기 캐리어와 함께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컴포넌트들에 연결된다.
패킹 요소가 조립체 유닛의 일부이면, 단계 l), 즉 가스 챔버 또는 압축 가스 챔버를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로 충전시키는 단계가 단계 j) 뒤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 제조 방법은 단계 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세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장은 지탱 요소와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 단계 m)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j) 뒤에, 즉 충전제 바디들을 충전한 후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m)에서, 가스 유입측 단부의 세장 도중 추진제 케이지가 지탱 요소에 대해 제자리에서 유지되도록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는 툴이 사용된다. 달리 말하면, 축선 방향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는 툴의 도움으로, 추진제 바디들이 이미 충전되어 있는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제자리에서 유지될 것이고, 단지 가스 유입측 단부만이 세장된다.
단계 j)에서, 추진제 케이지,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은 충전된 추진제 바디들 및 이에 따라 형성된 추진제 베드로 인해 추진제 케이지의 가스 유입측 단부가 의도치 않게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 특히 오프셋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안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충전제로 충전한 후에 그리고 충전제 베드를 형성한 후에, 패킹 요소, 특히 패킹 나선 스프링이 축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추진제 바디들 및 추진제 베드가 바이어스되도록 추진제 베드에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는 나선 스프링들의 2개의 단부 부분이 특히 축선 방향 길이를 따라 중첩되도록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가스 유입측 단부 위에서 안내된다. 후속해서 가스 챔버, 특히 압축 가스 챔버가 압축 가스로 충전될 수 있다.
단계 k)에서 패킹 요소가 추진제 케이지에 스크루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끼워 맞춰지고 그리고/또는 클립 결합되면, 패킹 요소는 특히 반경 방향 링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가 반경 방향 링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 요소는 단계 j)에 따라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이 탄성 세장되고 이에 따라 반경 방향 링 요소, 또는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를 함께 구비하는 반경 방향 링 요소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에 축선 방향으로 부착되거나 혹은 스크루 결합되도록 세장되거나 혹은 신장된 영역에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외경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면 후속하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탄성 해제 또는 약간의 업셋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의 이전에 감소된 외경을 기계 가공된 영역에서 다시 증가시킬 것이고, 이에 따라 반경 방향 링 요소 또는 바람직하게는 방향 연장 슬리브를 함께 구비하는 반경 방향 링 요소가 적용된 최종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의 제1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점화기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명시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 및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명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를 포함하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의 점화기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명시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 및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명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를 포함하는 관형 인플레이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의 점화기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킹 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이하, 유사한 도면 번호들이 유사하고 균등한 작동 부품들에 대해 사용된다.
도 1a는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 및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50)의 장착 상태가 도시될 것이다. 관형 인플레이터(100)는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하우징(31)을 형성하는 압축 가스 탱크(30)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 탱크(30)는 실질적으로 관 형상을 취하며,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아이들 위치, 즉 비활성화된 상황에서, 실온에서 300바 내지 800바, 특히 550바의 압력 값으로,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 또는 압축 가스 혼합기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의 비드(32)는 압축 가스 탱크(30)를 점화기 유닛(20), 추진제 케이지(10) 및 패킹 요소(50)가 배치되는 제1 부분(33)으로 분할한다.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34)은 내장 부품들이 실질적으로 없고 바이어스된 압축 가스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압축 가스는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1 부분(33) 및 제2 부분(34) 둘 다에, 적어도 각각의 부분에 존재한다.
압축 가스 탱크(30) 및 하우징(31)의 유출측 단부에 유출측 파열 격막(35)이 배치된다. 본 맥락에서 "유출측 단부"라는 용어는 추진제 가스 및 의도에 따라 인플레이터 외부에서 에어백(미도시)의 팽창을 위해 이용 가능해 질 수 있는 팽창 가스를 배출하거나 혹은 방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영역이 관련된다는 것을 특별히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유출측 파열 격막(35)은 압축 가스 탱크(30)를 특히 가스 밀봉식으로 폐쇄한다. 필터 스크린(36)이 유출측 파열 격막(35)의 상류에 배열된다. "상류"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 인플레이터의 작동 중에 가스 유동에 대해 상류에, 즉 점화기 유닛(20) 방향으로 위치되는 위치와 관련된다. 필터 스크린(36)은 관형 인플레이터(100)를 빠져나가도록 의도되지 않은 입자들을 여과한다.
또한 압축 가스 탱크(30) 및 하우징(31)의 유출측 단부에 디퓨저(37)가 배열된다. 디퓨저(37)는 크림핑에 의해 관형 인플레이터의 하우징(31)에 연결되는 디퓨저 캡(39)을 포함한다. 디퓨저 캡(39)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유출 개구(38)들을 포함한다. 유출 개구(38)들을 통해, 방출 가스 또는 팽창 가스는 유출측 파열 격막(35)이 개방된 후에 연결된 에어백(미도시)으로 유동할 수 있다.
압축 가스 탱크(30) 및 하우징(31)의 유입측 단부에 점화기 유닛(20)이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점화기 유닛(20)은 비드(32)에 의해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과 분리되어 있는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1 부분(33)에 삽입된다. 점화기 유닛(2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단자를 포함하며, 점화기(22)에 전용인 점화기 캡(27)에 의해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공지의 사전 제조형 컴포넌트이다. 점화기(22)는 그 내부에 작동 상태에서 전자 제어 유닛에 기반한 전기적 활성화 신호에 의해 점화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이로테크닉 충전물(들)(pyrotechnic charge(s)) 또는 점화 충전물(들)을 포함한다. 전자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측에 구비되고, 사전 결정된 트리거 상황에서 관형 인플레이터(100)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한다. 유입측 파열 격막(25)을 구비하는 캡(24)이 또한 점화기 유닛(24)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캡(24)은 점화기 캐리어(21)에 연결, 바람직하게는 용접되며, 점화기(22) 및 점화기 캐리어(21)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점화기의 점화기 캡(2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따라서 캡(24)은 축선 방향으로 점화기(22) 및 점화기 캡(27) 너머까지 점화기 캐리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점화기 캐리어(21)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바라보는 캡(24)의 단부면(26)에, 유입측 파열 격막(25)에 의해 특히 가스 밀봉식으로 폐쇄되는 개구가 존재한다. 특히 유입측 파열 격막(25)은 캡(24) 외부에 반경 방향으로 원주상으로 캡(24)에 연결, 특히 용접된다. 대안적으로, 유입측 파열 격막(25)은, 특히 캡(24)의 전방 단부에 상응하는 영역으로, 캡(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이 경우 캡(24)은 폐쇄될 개구를 포함하지 않지만 이 영역에서 캡(24)이 파열되거나 혹은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것에 의해서만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캡(24), 특히 유입측 파열 격막(25)은 점화기 유닛(20)을 가스로 충전된 내부와 분리시킨다.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활성화 및 점화기(22)의 점화 시, 유입측 파열 격막(35) 및 캡(24)의 상응하는 전방 영역을 최종적으로 개방 또는 파열 또는 파괴로 인도할 과도한 압력이 점화 챔버(23)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점화 챔버(23)에 형성되는 고온 점화 가스 및/또는 고온 점화 입자들은 이렇게 해서 유출측 파열 격막(35)의 방향으로 점화 챔버(23)를 빠져 나갈 수 있다.
더욱이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1 부분(33)에 추진제 케이지(10) 및 패킹 요소(50)가 배열된다. 추진제 케이지(10)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이다. 추진제 케이지(10) 및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은 관형 하우징(31)과 함께 추진제 챔버(14)라고 하는 틈을 형성한다. 한편으로, 특히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스 유동 및/또는 축선 방향으로 전파되는 충격파 파면이 방해받지 않고 지나갈 수 있도록 유동 장애물이 실질적으로 없는 유동 통로(15)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 내부에 형성된다. 추진제 챔버(14a)에, 도 1b에 도식적으로 지시된 추진제 바디(16)들로 구성되는 추진제 베드가 형성된다. 추진제 베드 및 각각의 추진제 바디들은 실질적으로 추진제 챔버(14) 전체를 차지하는데, 당연히 적절한 자유 공간들 또는 틈새는 형성된다.
도 1a로부터 비드(32)가 관형 하우징(31)의 점화기측 전방 4분의 1 지점(quarter)에 형성되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패킹 요소(50)는 도시된 예에서는 패킹 나선 스프링(51)이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 및 패킹 나선 스프링(51)에 대한 세부 사항은 도 1b의 확대로로부터 알 수 있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은 가스 유입측 단부(12) 및 가스 유출측 단부(13)를 포함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는 앞서 언급한 하우징(31)의 비드(32)에 안착된다. 점화기 유닛(12)의 방향을 가리키는 가스 유입측 단부(12)의 단면은 가스 유출측 단부(13)의 단면보다 작다. 따라서 "단면"이라는 용어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종축선과 직교하게 볼 때 가스가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는 단면을 특히 의미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이 원형 와이어 소재로부터 연속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10)는 그 축선 방향 연장부를 따라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구비하지 않는다. 더욱이, 가스 유출측 단부(13) 영역에서 스프링 권선(17)들의 특히 반경 방향으로의 간극이 가스 유입측 단부 및 중앙 스프링부(40)의 스프링 권선부(19)의 영역에서의 스프링 권선(18)들의 간극보다 작다.
특히 중앙 스프링부(40)의 스프링 권선(19)들의 간극의 도움으로, 축선 방향 나선 스프링형 연장부를 구비하는 연속 측방 배출 개구(41)가 형성된다. 스프링 권선(19)들의 간극들은 추진제 챔버(14)에 위치된 추진제 바디(16)들이 유동 통로(15)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는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세 개의 스프링 권선(17)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권선(17)들 사이에 간극이 없거나 혹은 단지 매우 작은 간극만 있어서, 스프링 권선(17)들을 관통하여 또는 그 사이를 지나서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34)으로 가는 가스가 없거나 혹은 단지 작은 양만 있다. 따라서 파괴된 유입측 파열 격막(25)을 통과하여 유동 통로(15)로 들어가고 그리고 유동 통로에서 축선 방향으로 전파되는 충격파 또는 충격파 파면이 측방으로 편향되지 않거나 혹은 매우 작은 부분만 측방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충격파는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34)으로 바로 들어간다. 또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은 충격파가 유동 통로(15)에서 측방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 또는 원뿔 형상을 취한다.
또한,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형태로 된 패킹 요소(50)가 도시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51)은 추진제 케이지(10)를 수용하고 추진제 챔버(14)에 위치된 추진제 베드를 지지하도록 추진제 베드측 단부(52)에 구성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는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52)에 삽입되는데, 특히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의 일부 영역이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내부로 연장할 때까지 축선 방향으로 삽입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51)은 실질적으로 3개의 부분을 구비한다. 이들은 제1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 제2 중앙 부분(54) 및 전방 단부 부분(55)이다.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점화기측 부분(53)에 있는 스프링 권선들은 그 간극이 비교적 크다. 이는 인플레이터의 내구 수명 동안 내내 추진제 충전 허용 공차를 위한 충분히 큰 축선 방향 스프링 진행 및 축선 방향 진행 보상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은 캡(24) 및 캡의 외부 쉘에 측방향으로 인접한다. 중앙 부분(54)은 전방 단부 부분(55)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져 확대된다. 더욱이, 중앙 부분(54)의 스프링 권선(56)들은 비교적 빡빡하게, 즉 서로에 대해 극히 작은 간극을 가지고 권취되어 있는데, 특히 중앙 부분(54)의 스프링 권선(56)들은 서로 인접해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 권선(56)들은 캡(24)을 압축 가스 챔버(30)에 용접하는 동안 자연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용접 스패터(welding spatter)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용접 스패터는 추진제 챔버(14) 및 추진제 챔버에 존재하는 추진제(16)의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전방 단부 부분(55)이, 의도에 따라 추진제 바디(16)들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활성화시 충분히 고온인 점화 입자들 및/또는 점화 가스가 점화기 유닛(20)으로부터 스프링 권선(57)들 및 그 사이에 있는 각각의 간극들을 통해 추진제 챔버(14)의 추진제 베드로 들어가도록 또한 서로 이격된 스프링 권선(57)들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 본 발명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 및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5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a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만 설명한다.
추진제 케이지(10)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형태이다. 이 경우에도 역시 가스 유출측 단부(13)는 가스 유입측 단부(12)보다 그 단면이 크다. 가스 유입측 단부(12)는 캡(24)의 단부면(26) 위에 직접 안착된다. 따라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은 비드(32)와 캡(24), 특히 캡(24)의 단부면(26) 사이에 클램핑되고, 이에 따라 축선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가스 유출측 단부(13)는 매우 인접한 3개의 스프링 권선(17)들로 형성된다. 중앙 스프링 부분(40)은, 도 1a 및 도 1b의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과 비교하면, 단지 외측으로 살짝 유도되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중앙 스프링 부분(40)은 직선 원기둥으로 된 외부 엔빌로프(envelope) 또는 외부 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부분(40)의 스프링 권선(19)들의 간극은 나선 형상의 측방 가스 유출 개구(41)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패킹 나선 스프링(51)은 단지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은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 및 전방 단부 부분(55)이다. 추진제 챔버(14)에 구비되는 추진제 베드가 충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 단부 부분(55)의 스프링 권선(57)들은 서로 가까이에 그리고 인접하게 형성된다.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52)는 추진제 케이지(10) 및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패킹 요소(50)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52) 및 추진제 케이지(10)의 가스 유입측 단부(12)가 캡(24)의 단부면(2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스프링들(11, 51)의 상응하는 단부 영역들이 소정의 축선 방향 길이에 걸쳐 중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 유입측 단부(12)가 패킹 요소(50)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5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100) 및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요소(50)에 대한 다른 가능한 실시예 및 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기본적인 구조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관형 인플레이터(100)들에 상응하고,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구조와 디자인에 있어서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추진제 케이지(10)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형태이다. 상기 추진제 케이지 나슨 스프링이 적어도 일부분들에서 깔때기 형상이고 깔때기 형상 부분(42)을 포함하는 것은 명백하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는 비드(32)에 안착된다. 캡(24)은 단부면(26)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에 삽입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에 있는 스프링 권선(17)들은 추진제 챔버(14)로부터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34)으로 들어가는 추진제 바디가 없도록 매우 빡빡하게 권취된다. 더욱이, 충격파가 파열 격막(25)의 유입측 파열 격막(25)에서 시작하여 압축 가스 탱크(30)의 제2 부분(34)으로 직접 안내될 수 있다. 중앙 스프링 부분(40)은 점화 가스 및 점화 입자들이 유동 통로(15)로부터 추진제 챔버(14)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스프링 권선(19)들을 포함한다. 스프링 권선(19)들의 간극은 유동 통로(15)를 통과할 수 있는 추진제 바디(16)들이 없도록 디자인된다.
이 경우 패킹 요소(50)는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를 구비하는 반경 방향 링 요소(60)를 포함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는 반경 방향 링 요소(60) 및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를 관통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 및 패킹 요소(50)에 대해 이러한 배열 형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의 조립 과정을 제안한다.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이 비드(32)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추진제 챔버(14)가 추진제 바디(16)들로 충전됨으로써 추진제 베드가 형성된다. 추진제 바디(16)들을 충전한 후에, 패킹 요소(50)가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에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 방향으로 스크루 결합된다. 패킹 요소(50)는 반경 방향 링 요소(60)가 고정되고 의도된 대로 추진제 베드를 기계적으로 바이어스시킬 때까지 스크루 결합된다.
패킹 요소(50)는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의 내측 절곡 요소들의 형태로 된 탭(62)들(이 맥락에서는 도 3c 참조)을 더 포함한다. 패킹 요소(50)를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에 스크루 결합하는 것은 탭(62)들로 인해 정해진 방식으로 실시되고 그리고 가능한데, 탭(62)들은 말하자면 스크루 결합 보조물(screwing aid) 또는 스크루 결합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스크루 결합된 패킹 요소(50)의 희망하는 최종 위치에서, 탭(62)들은 축선 방향 차단부 또는 멈춤부의 역할을 한다.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는 또한 스크루 결합 중에는 가이드 요소의 역할을 하고, 패킹 요소(50)의 희망하는 최종 위치에서는 패킹 요소(50)의 위치 결정을 위한 차단 및 안정화 역할을 한다.
또한, 패킹 요소(50)는 오로지 반경 방향 링 요소(60) 및/또는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 만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패킹 요소를 조립하기 위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은 추진제 챔버(14)가 추진제 바디(16)들로 충전되고 난 후에 비드(32)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축선 방향으로 세장된다. 이는 패킹 요소(50)가 상기 영역에 단지 끼워 맞춰지거나 혹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외경이 상기 세장된 영역에서 감소되게 하고, 이는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보다 복잡한 추가의 스크루 결합을 불필요해지게 한다. 그러면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후속하는 탄성 해제 또는 약간의 축선 방향 업셋(upsetting)이 각각의 영역에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이전에 감소된 외경을 다시 증가시킬 것이고, 이에 따라 반경 방향 내측 절곡 탭이 없이도 패킹 요소(50)가 최종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후속해서 하우징(31)은 점화기 유닛(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10: 추진제 케이지
11: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
12: 가스 유입측 단부
13: 가스 유출측 단부
14: 추진제 챔버
15: 유동 통로
16: 추진제 바디들
17: 스프링 권선
18: 스프링 권선
19: 스프링 권선
20: 점화기 유닛
21: 점화기 캐리어
22: 점화기
23: 점화기 챔버
24: 캡
25: 유입측 파열 격막
26: 단부면
27: 점화기 캡
30: 압축 가스 탱크
31: 하우징
32: 비드
33: 압축 가스 탱크의 제1 부분
34: 압축 가스 탱크의 제2 부분
35: 유출측 파열 격막
36: 필터 스크린
37: 디퓨저
38: 유출 개구
39: 디퓨저 캡
40: 중앙 스프링 부분
41: 측방 가스 유동 개구
42: 깔때기 형상 부분
50: 패킹 요소
51: 패킹 나선 스프링
52: 추진제측 단부
53: 점화기측 부분
54: 중앙 부분
55: 전방 단부 부분
56: 스프링 권선
57: 스프링 권선
60: 반경 방향 링 요소
61: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
62: 탭
70: 가스 챔버
100: 관형 인플레이터

Claims (21)

  1. 관형 인플레이터(100),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100)용 추진제 케이지(10)로,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추진제 챔버(14) 및 유동 통로(15)를 형성하기 위한 추진제 케이지에 있어서,
    추진제 케이지(10)가 가스 유입측 단부(12) 및 가스 유출측 단부(13)를 구비하는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11)의 형태이고, 가스 유입측 단부(12)가 가스 유출측 단부(13)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 유출측 단부(13)의 영역에서 스프링 권선(17)들의 간극이 가스 유입측 단부(12)의 영역에서 스프링 권선(18)들 및/또는 추진제 케이지(10)의 중앙 스프링 부분(40)의 스프링 권선(19)들의 간극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추진제 케이지(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깔때기 형상(42) 또는 트럼펫 형상의 디자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제 케이지.
  3. 관형 인플레이터(100), 특히 에어백 모듈의 관형 인플레이터(100)용 패킹 요소(50)로,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추진제 챔버(14) 내에 위치된 추진제 베드를 고정하기 위한 패킹 요소에 있어서,
    패킹 요소(50)가 추진제 케이지(10), 특히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10)를 수용, 특히 부분적으로 감싸고 그리고/또는 지지하도록 추진제 베드측 단부(5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요소.
  4. 청구항 3에 있어서,
    패킹 요소가 스프링 권선들의 직경 및/또는 간극이 각기 다른 다수의 부분을 축선 방향으로 포함하는 패킹 나선 스프링(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요소.
  5. 청구항 4에 있어서,
    패킹 나선 스프링(51)이 제1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 제2 중앙 부분(54) 및 전방 단부 부분(55)을 포함하고, 중앙 부분이 전방 단부 부분(55)의 방향으로 테이퍼(54)지고 확대되며,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과 비교하여 작은 스프링 권선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요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방 단부 부분(55)에서 스프링 권선 간극이 패킹 나선 스프링(51)의 중앙 부분(54)에서 스프링 권선 간극보다 크고, 제1 점화기 캐리어측 부분(53)의 스프링 권선 간극보다는 특히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요소.
  7. 청구항 3에 있어서,
    축선 방향 연장 슬리브(61)가 형성되는 반경 방향 링 요소(60)가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슬리브(61)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반경 방향 내측 연장 탭(62)(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요소.
  8. 에어백 모듈용 관형 인플레이터(100), 특히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
    - 관형 하우징(31) 및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추진제 케이지, 및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패킹 요소(50)를 포함하고,
    추진제 케이지(10, 11)가 관형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열되고, 관형 하우징(3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진제 챔버(14)를 획정하며 유동 통로(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추진제 케이지(10, 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가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관형 하우징(31)의 비드(32)에 안착되고,
    비드(31)는 관형 하우징(31)의 점화기측 전방 3분의 1 지점, 특히 점화기측 4분의 1 지점, 특히 점화기측 5분의 1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추진제 케이지(10, 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 및 패킹 요소(50, 51)의 추진제 베드측 단부(52)가 실질적으로 공통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추진제 케이지(10)와 패킹 요소(50)가 축선 방향 연장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12. 청구항 8,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패킹 요소(50, 51)가 추진제 케이지(10, 11)에 스크루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끼워 맞춰지고 그리고/또는 클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추진제 케이지 나선 스프링(51)의 스프링 권선들의 간극이 추진제 베드의 추진제 바디(16)들과 관련하여 추진제 바디(16)들이 유동 통로(15)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관형 인플레이터(100)가 충격파 원리에 따라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인플레이터.
  14. 에어백 모듈로, 에어백 모듈을 팽창시키기 위한 관형 인플레이터(100) 및 에어백 모듈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관형 인플레이터(100)가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적어도 한 청구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5. 특히 사람, 예를 들어 차량 탑승객 또는 보행자의 보호를 위한 차량 안전 시스템으로, 관형 인플레이터(100), 에어백 모듈의 일부로 관형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에어백, 및 트리거 상황이 주어질 때 관형 인플레이터(100)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관형 인플레이터(100)가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적어도 한 청구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16.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한 청구항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작동 방법으로,
    a) 점화 챔버(23) 내부에 점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점화기 유닛(20)을 트리거시키는 단계;
    b) 점화 가스를 추진제 케이지(10, 11)로 둘러싸인 유동 통로(15)로 도입하는 단계;
    c) 점화 가스의 일부를 추진제 케이지(10, 11)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 가스 유동 개구(41)를 통해 추진제 케이지(10, 11)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획정된 추진제 챔버(14)로 배출하는 단계;
    d) 추진제 바디(16)들, 특히 추진제 팰릿들을 추진제 챔버(14) 내에서 점화 가스로 점화시켜서 추진제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e) 추진제 챔버(14) 외부의 추진제 가스를 가스 챔버(70), 특히 압축 가스 챔버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단계 b) 중에, 가스 챔버(70), 특히 압축 가스 챔버를 직접 통과하여 종축선 방향으로 유동하고, 가스 챔버(70)의 종축선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파열 요소(35), 특히 파열 격막을 개방시키는 충격파 파면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관형 인플레이터(100)의 제조 방법으로,
    i) 추진제 케이지(10, 11)의 가스 유출측 단부(13)가 지탱 요소, 특히 비드(32)에 안착되게 추진제 케이지(10, 11)를 관형 인플레이터의 관형 하우징(31)에 삽입하는 단계;
    j) 추진제 바디(16)들을 추진제 케이지(10, 11)와 관형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4)에 충전하여 추진제 베드를 형성하는 단계;
    k) 패킹 요소(50, 51)를 추진제 베드에 배치하고 추진제 베드를 축선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되, 바람직하게는 패킹 요소(50, 51)를 조립체 유닛의 일부로 디자인하여 조립체 유닛과 함께 추진제 베드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l) 하나의/상기 가스 챔버(70), 특히 하나의/상기 압축 가스 챔버를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l)이 단계 k) 전에 또는 그 뒤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단계 k)에서, 패킹 요소(50, 51)가 추진제 케이지(10, 11)에 스크루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끼워 맞춰지고 그리고/또는 클립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m) 추진제 케이지(11)의 가스 유입측 단부(12)가 지탱 요소와 반대 방향으로 세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단계 m)이 단계 j) 뒤에 수행되고, 특히 단계 m)에서, 세장 도중 추진제 케이지(11)가 지탱 요소에 대해 제자리에서 유지되도록 스토퍼 장치를 포함하는 툴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057984A 2018-05-18 2019-05-17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팽창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팽창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팽창기 작동 및 제조 방법 KR20190132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2011.7 2018-05-18
DE102018112011.7A DE102018112011A1 (de) 2018-05-18 2018-05-18 Treibstoffkäfig für einen rohrgasgenerator, füllkörperelement für einen rohrgasgenerator, rohrgasgenerator für ein gassackmodul,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und herstellen eines rohrgasgener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278A true KR20190132278A (ko) 2019-11-27

Family

ID=6841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84A KR20190132278A (ko) 2018-05-18 2019-05-17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팽창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팽창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팽창기 작동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6283B2 (ko)
JP (1) JP7365788B2 (ko)
KR (1) KR20190132278A (ko)
CN (1) CN110497877B (ko)
DE (1) DE102018112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1323A1 (de) * 2018-12-07 2020-06-10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DE102021123691A1 (de) * 2021-09-14 2023-03-16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CN117980194A (zh) * 2021-09-22 2024-05-03 株式会社大赛璐 气体发生器
WO2023238766A1 (ja) * 2022-06-06 2023-12-1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3B2 (ja) * 1978-03-02 1983-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焼器
JP3779730B2 (ja) * 1994-12-12 2006-05-31 アトランティック・リサーチ・コーポレーション 混成インフレータ
US5636865A (en) * 1995-12-05 1997-06-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FR2760710B1 (fr) * 1997-03-14 1999-04-23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 debit et volume adaptabl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US6368431B2 (en) * 1997-11-12 2002-04-09 Trw Inc. Air bag inflator
US6167808B1 (en) * 1999-04-06 2001-01-02 Trw Inc.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JP4701557B2 (ja) * 2001-08-03 2011-06-15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乗員頭部保護装置
DE10239778B3 (de) * 2002-08-29 2004-02-12 Trw Airbag Systems Gmbh & Co. Kg Kaltgasgenerator
DE20318283U1 (de) * 2003-11-26 2004-04-01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S7325829B2 (en) * 2005-10-03 2008-02-05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inflator
JP2007314102A (ja) * 2006-05-29 2007-12-0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7658405B2 (en) * 2006-07-31 2010-02-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inflator output
JP4800917B2 (ja) * 2006-12-15 2011-10-26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07037325B4 (de) * 2007-08-08 2013-11-14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JP2010035951A (ja) * 2008-08-08 2010-02-18 Create Medic Co Ltd カテーテル
MX2010008323A (es) 2009-05-11 2011-02-24 Takata Petri Ag Generador de gas para inflar una bolsa de gas de un sistema de sujecion de ocupante de vehiculo y metodo para inflar una bolsa de gas.
JP2011031763A (ja) * 2009-08-03 2011-02-17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783188B1 (en) * 2010-06-30 2014-07-22 Tk Holdings Inc. Inflator
US9051226B2 (en) * 2010-11-24 2015-06-09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US9205802B1 (en) * 2014-08-14 2015-12-08 Autoliv Asp, Inc. Hybrid inflator device for a passive restraint air bag system
CN104786976B (zh) * 2015-05-15 2016-01-06 黑龙江大学 基于多类型数据通讯的汽车副驾驶气囊控制系统
JP2017007456A (ja) * 2015-06-19 2017-01-1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15009705A1 (de) * 2015-07-30 2017-02-02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JP2017065373A (ja) * 2015-09-29 2017-04-06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7065452A (ja) * 2015-09-30 2017-04-06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5012703A1 (de) * 2015-10-02 2017-04-06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lNSBESONDERE FÜR ElN FAHRZEUGlNSASSENSCHUTZSYSTEM, FEDER ZUR ANORDNUNG lN ElNEM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DE102015016082A1 (de) 2015-12-10 2017-06-14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mit einem solchen Hybridgasgenerator sowie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chockwelle
JP6814201B2 (ja) * 2016-04-18 2021-01-13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2018012415A (ja) * 2016-07-21 2018-01-25 株式会社Apj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ならびに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の製造方法
DE102018112010A1 (de) * 2018-05-18 2019-11-21 Trw Airbag Systems Gmbh Treibstoffkäfig für einen gasgenerator, gasgenerator mit einem solchen treibstoffkäfig, betriebsverfahren und verfahren zum führen einer schockwelle eines gas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14359A (ja) 2019-12-19
US20190351863A1 (en) 2019-11-21
US11046283B2 (en) 2021-06-29
DE102018112011A1 (de) 2019-11-21
CN110497877B (zh) 2023-04-28
CN110497877A (zh) 2019-11-26
JP7365788B2 (ja)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278A (ko) 관형 팽창기용 추진제 케이지, 관형 팽창기용 패킹 요소, 에어백 모듈용 관형 팽창기, 에어백 모듈, 차량 안전 시스템, 관형 팽창기 작동 및 제조 방법
JP7420483B2 (ja) インフレータ用の推薬ケージ、このような推薬ケージを備えるインフレータ、インフレータの作動方法、およびインフレータの衝撃波を案内する方法
JP4768025B2 (ja) ガス一時貯蔵手段内蔵火工ガス発生器
US5970880A (en) Pyrotechnic gas generator with adaptable flow rate and volume for air bags
US7537240B2 (en) Gas generating system
US7712778B2 (en) Dual stage cylindrical inflator with outside to inside axial flow
US10173633B2 (en) Hybrid inflator and vehicle safety system comprising said hybrid inflator as well as method of forming a shock wave
JP2732560B2 (ja) 乗物搭乗者用拘束具の膨張装置
JP4280161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CN107176134B (zh) 混合动力充气机、安全气囊单元、车辆安全系统及形成冲击波的方法
US7404574B2 (en) Gas generator for airbag
US11766988B2 (en) Hybrid gas generator, 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gas generator, airbag module and vehicle safety system
CN108290543B (zh) 气体发生器、安全气囊模块以及车辆乘客保护系统
KR20190085103A (ko) 가스 발생기, 에어백 모듈 및 모터 차량 안전 시스템
US7302893B2 (en) Gas generator with alignment mechanism
JPH09323614A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11091118B2 (en) Inflator
CN110789489A (zh) 汽车安全气囊和气体发生器及其制造方法
CN211223356U (zh) 汽车安全气囊和气体发生器
US20040183292A1 (en) Inflation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016117299A (ja) ガス発生器
JP2023175583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