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546A -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546A
KR20190131546A KR1020197031505A KR20197031505A KR20190131546A KR 20190131546 A KR20190131546 A KR 20190131546A KR 1020197031505 A KR1020197031505 A KR 1020197031505A KR 20197031505 A KR20197031505 A KR 20197031505A KR 20190131546 A KR20190131546 A KR 20190131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mer electrolyte
black photoresist
photoresist layer
isol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587B1 (ko
Inventor
둥쩌 리
리쉬안 천
Original Assignee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5Post-treatment of devices, e.g. annealing, recrystallisation or short-circuit eli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8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66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을 공개하며, 기판(11)을 준비하는 단계; 기판에서 수용 캐비티(121) 및 격리 영역(122)을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을 제조하는 단계;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이외의 표면에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13)을 공기 건조 및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전해질층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코팅하여 금속 나노입자층(14)을 공기 건조 및 형성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를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의 디스플레이 응용도 점점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Micro LED는 전류 구동의 자기 발광 유닛으로서, 각각의 독립적인 발광 유닛은 모두 공간 중의 각각의 방향을 향해 균일하게 발광하여,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의 광 에너지가 손실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픽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픽셀구조는, 기판; 상기 기판에 증착되고, 수용 캐비티(accommodation cavity) 및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된 격리 영역을 포함하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코팅되는 고분자 전해질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에 피복되는 금속 나노입자층; 및 상기 격리 영역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로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methyldiallyl ammonium chloride)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 가지이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다른 일 기술적 해결수단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픽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방법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표면에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air-dry)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금속 나노입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으로 위치를 정렬(align)하여 이동(transfer)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사용한 또 다른 일 기술적 해결수단은, 픽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픽셀 구조는, 기판; 상기 기판에 증착되고, 수용 캐비티 및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된 격리 영역을 포함하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코팅되는 고분자 전해질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에 피복되는 금속 나노입자층; 및 상기 격리 영역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반사층을 갖는 픽셀 구조를 형성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 구조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 구조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나,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력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픽셀 구조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이며,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스텝을 포함한다.
S110에서, 기판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은 투명한 재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S120에서, 기판에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을 제조한다.
스텝 S120에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형성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단일 스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은 유기 화합물이며, 자외선에 노광된 후, 현상액에서의 용해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는 액체 상태로 기판 표면에 코팅되며, 노광된 후 고체 상태로 베이크되는데(baked), 그 작용은 마스크 상의 패턴을 기판 표면의 산화층으로 이동시켜, 후속 공정에서, (에칭 또는 이온 주입 등으로부터) 하부의 재료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포토리소그래피법은 일련의 생산 단계를 통하여, 기판 표면의 포토레지스트층의 특정 부분을 제거하는 공법을 가리키며, 그 후 기판 표면에 마이크로 패턴 구조를 갖는 포토레지스트층이 남겨진다. 포토에칭(photoetching) 공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기판 표면에 남겨지게 되는 것은 특징 패턴 부분이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법의 3가지 기본 요소는 조명(주로 자외선), 마스크 및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통하여 단일 스텝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통하여 두 스텝으로 성형될 수도 있는데, 즉 먼저 수용 캐비티 구조를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수용 캐비티 내에 격리 영역 구조를 더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 영역은 돌기, 리세스(recess) 또는 트렌치(trench) 등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후속의 고분자 전해질 용액과 금속 나노입자 용액은 모두 상기 격리 영역 부분에 코팅되지 않을 것인데, 목적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양단의 핀(pin)을 격리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가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리 영역은 돌기 구조로 설치되어,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간편하게 안착시키도록 한다.
S130에서,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이외의 표면에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한다.
스텝 S130에서, 고분자 전해질층 및 후속의 필름 구조의 코팅에는 층상 조립 기술(Layer-by-Layer, LBL)이 이용된다. 층상 조립 기술은 층간 교대 증착 방법을 이용하고, 각층 분자 사이의 약한 상호작용(예를 들어, 정전기 인력, 수소결합, 배위 결합 등)을 이용하여, 층과 층이 자발적으로 완전한 구조를 형성하고, 성능이 안정적이며, 특정된 기능을 갖는 분자 응집체 또는 초분자 구조로 조합되는 과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정전기 층상 조립 기술, 즉 이온 사이의 정전기 작용을 이용하여 필름 형성의 구동력으로 한다. 상기 포토에칭 공법에 의해 균일하게 코팅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공기 건조한 후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등의 한 가지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 Dimethyl Diallyl Ammonium chloride, PDDA) 용액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농도는 2 mg/mL이고, 코팅 과정에서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구조를 피한다. 에어나이프(air knife)로 불어내어 건조(blow-dry)시킨 후,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필름, 즉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형성한다.
S140에서, 고분자 전해질층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금속 나노입자층을 형성한다.
스텝 S140에서, 분자 전해질층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더 코팅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 용액은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에 의해 형성된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금속 나노입자 용액은 비교적 높은 소광계수를 구비하여야 하며, 소광계수란 피측정 용액이 광을 흡수하는 크기값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나노입자 용액으로서 Ag 나노입자 용액을 선택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Ag 나노입자층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Ag 나노입자층을 반사층으로 하고, 광속(light flux)이 공기로부터 상기 Ag 나노입자층 표면으로 입사될 경우, Ag 나노입자층 내로 유입되는 광의 진폭은 빠르게 감퇴되어, Ag 나노입자층 내로 유입되는 광에너지를 상응하게 감소시켜, 반사광의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선택된 금속 입자 용액의 소광계수가 클수록, 광의 진폭의 감퇴가 점점 빨라져, 금속 내부로 유입되는 광에너지는 점점 적어지고, 반사율은 점점 높아진다.
그밖에, 스텝 S130 및 스텝 S140에서, 고분자 전해질 용액과 금속 나노입자 용액의 전기적 성질은 서로 반대인데, 즉 스텝 S130에서, 고분자 전해질 용액으로 선택된 것은 양이온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고, 스텝 S140에서, 금속 나노입자 용액으로서 음전하를 띤 Ag 나노입자 용액이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분자 전해질 용액과 금속 나노입자 용액의 선택은 양자의 전기적 성질이 서로 반대이면 된다. 또한 층상 조립 기술의 교대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조립 필름층의 구조와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금속 나노입자층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할 경우, 상기 스텝 S130과 스텝 S140을 반복하면 되는데, 즉 금속 나노입자층에 한 층의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다시 코팅하여 공기 건조한 후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코팅하여 공기 건조한 후 금속 나노입자층을 형성하며, 이와 같이 상기 스텝을 반복하면 필요로 하는 필름 두께를 얻을 수 있다.
S150에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으로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킨다.
층상 조립 기술의 교대 증착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금속 나노입자층 두께를 형성한 후,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으로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구조로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는 성숙한 발광 다이오드 제조 공법을 이용하여, 규모화된 사파이어(sapphire) 유형의 기판에서 분자 빔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를 통해 성장한 10 ~ 50 um 크기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가리키며, 패턴화된 상이한 색상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구성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려면, 고정밀도의 이동 기술을 통하여 이를 유리 기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사파이어 기판의 크기는 기본적으로 실리콘 결정의 크기인데, 제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많이 큰 유리 기판이므로, 따라서 필연적으로 여러 차례의 운송을 수행해야 하고,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이동에는 특수한 이송 공구가 필요하므로, 상기 이송 공구의 작용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파이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으로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며, 그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이송 공구를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와 접촉시키고, 이송 공구에 전압을 가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클램핑 압력을 생성시켜, 이송 공구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픽업(pick-up)하고,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구조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와 접촉되도록, 마지막으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격리 영역 구조 상에 놓아둔다(release).
나아가, 상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격리 영역 구조 상으로 위치를 정렬하여 이동시킨 후, 상기 금속 나노입자층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가 주변 방향으로 발사된 광선을 굴절 및 반사를 거쳐 출광 방향으로 다시 응집시켜, 광 손실을 감소시키고,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층상 조립 기술을 통하여 반사층을 갖는 픽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픽셀 구조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셀(10)은 기판(11),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 고분자 전해질층(13), 금속 나노입자층(14) 및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1)은 투명한 재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은, 기판(11) 위에 증착되고, 수용 캐비티(121) 및 수용 캐비티(121) 내에 설치된 격리 영역(1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은 유기 화합물이며, 자외선에 노광된 후, 현상액에서의 용해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는 액체 상태로 기판 표면에 코팅되며, 노광된 후 고체 상태로 베이크되는데, 그 작용은 마스크 상의 패턴을 기판(11) 표면의 산화층으로 이동시켜, 후속 공정에서, (에칭 또는 이온 주입 등으로부터) 하부의 재료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통하여 단일 스텝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포토리소그래피법을 통하여 두 스텝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즉 먼저 수용 캐비티(121) 구조를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수용 캐비티(121) 내에 격리 영역(122) 구조를 더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격리 영역(122)은 돌기, 리세스 또는 트렌치 등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후속의 고분자 전해질층과 금속 나노입자층은 모두 상기 격리 영역(122) 부분에 코팅되지 않을 것인데, 목적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 양단의 핀(pin)을 격리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가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리 영역(122)은 돌기 구조로 설치되어,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를 간편하게 안착시키도록 한다.
고분자 전해질층(13)은, 격리 영역(122) 이외의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에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13)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등의 한 가지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13)으로서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선택한다.
금속 나노입자층(14)은, 고분자 전해질층(13)을 덮으며, 그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에 의해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고, 선택된 금속 나노입자층은 비교적 높은 소광계수를 구비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층으로서 금속 나노입자층을 선택하고, 광속(light flux)이 공기로부터 상기 Ag 나노입자층 표면으로 입사될 경우, Ag 나노입자층 내로 유입되는 광의 진폭은 빠르게 감퇴되어, Ag 나노입자층 내로 유입되는 광에너지를 상응하게 감소시켜, 반사광의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선택된 금속 나노입자층의 소광계수가 클수록, 광의 진폭의 감퇴가 점점 빨라져, 금속 내부로 유입되는 광에너지는 점점 적어지고, 반사율은 점점 높아진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13)과 금속 나노입자층(14)의 전기적 성질은 서로 반대인데, 즉 상기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박막층은 양전하를 띠고, Ag 나노입자층은 음전하를 띠며, 양자는 정전기적 작용을 통해 교대로(alternately) 증착되어, 필요로 하는 두께의 금속 나노입자 필름에 도달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분자 전해질층과 금속 나노입자층의 선택은 양자의 전기적 성질이 반대이면 된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는, 격리 영역(12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15)는 성숙한 발광 다이오드 제조 공법을 이용하여, 규모화된 사파이어 유형의 기판에서 분자 빔 에피택시를 통해 성장한 10 ~ 50 um 크기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유닛을 가리킨다. 또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는 위치 정렬 및 이동을 통하여 블랙 포토레지스트층(12)의 격리 영역(122) 구조에 설치되며, 구체적인 설치 방법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금속 나노입자층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가 주변 방향으로 발사된 광선을 굴절 및 반사를 거쳐 출광 방향으로 다시 응집시켜, 광 손실을 감소시키고,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층상 조립 기술을 이용하여 반사층을 갖는 픽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의 광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일뿐,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 내용을 이용하여 구현된 등가의 구조 또는 등가의 공정 변경이,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2)

  1. 픽셀 구조로서,
    기판;
    상기 기판에 증착되고, 수용 캐비티 및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된 격리 영역을 포함하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코팅되는 고분자 전해질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에 피복되는 금속 나노입자층; 및
    상기 격리 영역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로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 가지인, 픽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과 상기 금속 나노입자층의 전기적 성질은 서로 반대인, 픽셀 구조.
  3.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광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픽셀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서 수용 캐비티 및 격리 영역을 갖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의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표면에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 용액을 코팅하고 공기 건조하여 금속 나노입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위치를 맞추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단일 스텝으로 성형되는, 픽셀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은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두 스텝으로 성형되는, 픽셀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과 상기 금속 나노입자 용액의 전기적 성질은 서로 반대인, 픽셀 제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로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는, 픽셀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 가지인, 픽셀 제조 방법.
  9. 픽셀 구조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에 증착되고, 수용 캐비티 및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된 격리 영역을 포함하는 블랙 포토레지스트층;
    상기 격리 영역 이외의 상기 블랙 포토레지스트층에 코팅되는 고분자 전해질층;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에 피복되는 금속 나노입자층; 및
    상기 격리 영역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픽셀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과 상기 금속 나노입자층의 전기적 성질은 서로 반대인, 픽셀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Au, Ag, Cu, Ni, Co, Pt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및/또는 Au, Ag, Cu, Ni, Co, Pt 중 적어도 두 가지로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는, 픽셀 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디메틸디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한 가지인, 픽셀 구조.
KR1020197031505A 2017-03-31 2017-05-10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KR102245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07848.5 2017-03-31
CN201710207848.5A CN106784203B (zh) 2017-03-31 2017-03-31 一种像素结构及制造方法
PCT/CN2017/083689 WO2018176583A1 (zh) 2017-03-31 2017-05-10 一种像素结构及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546A true KR20190131546A (ko) 2019-11-26
KR102245587B1 KR102245587B1 (ko) 2021-04-27

Family

ID=5896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505A KR102245587B1 (ko) 2017-03-31 2017-05-10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67128B2 (ko)
EP (1) EP3605616B1 (ko)
JP (1) JP6899917B2 (ko)
KR (1) KR102245587B1 (ko)
CN (1) CN106784203B (ko)
PL (1) PL3605616T3 (ko)
WO (1) WO2018176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5729B2 (en) 2020-05-14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665B (zh) * 2017-11-16 2019-09-17 歌尔股份有限公司 Micro LED制备方法
KR102422091B1 (ko) * 2017-12-07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08461651A (zh) * 2018-03-28 2018-08-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CN108428771A (zh) * 2018-05-16 2018-08-21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发光二极管显示屏的制作方法和装置
CN108538877B (zh) * 2018-05-17 2020-09-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Micro LED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8878626B (zh) 2018-06-29 2020-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TWI721308B (zh) * 2018-08-17 2021-03-11 英屬開曼群島商錼創科技股份有限公司 微型發光二極體顯示裝置
CN110265522B (zh) * 2019-06-28 2021-01-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WO2021104494A1 (zh) * 2019-11-29 2021-06-0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063268A (zh) * 2019-12-12 2020-04-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344873A (zh) * 2019-12-16 2020-06-26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micro LED芯片制程方法及micro LED外延片
CN112968079B (zh) * 2020-07-08 2022-05-13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发光单元、显示背板及其制作方法和芯片及其转移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9152A1 (en) * 2011-06-14 2012-12-20 Won Hwa Park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20140367633A1 (en) * 2013-06-18 2014-12-18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Led display with wavelength conversion layer
JP2015187635A (ja) * 2014-03-26 2015-10-29 株式会社Joled 色変化部材、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70026958A (ko) * 2015-08-31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3455A (ja) * 1990-10-26 1992-06-09 Nec Kyushu Ltd フォトマスク
JP4163455B2 (ja) * 2002-06-25 2008-10-08 三洋ジーエスソフト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CN100418242C (zh) * 2006-05-17 2008-09-10 广州南科集成电子有限公司 Led制造方法
CN101866075A (zh) * 2010-04-30 2010-10-20 汕头超声显示器(二厂)有限公司 反射型tft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5940775B2 (ja) * 2010-08-27 2016-06-29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用led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9035279B2 (en) * 2013-07-08 2015-05-19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Micro device with stabilization post
US9657903B2 (en) * 2013-08-20 2017-05-23 Nthdegree Technologies Worldwide Inc. Geometrical light extraction structures for printed LEDs
TWI665800B (zh) 2015-06-16 2019-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製造方法
CN105976725B (zh) 2016-06-20 2019-04-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显示面板
CN106229394B (zh) * 2016-10-19 2019-06-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和显示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9152A1 (en) * 2011-06-14 2012-12-20 Won Hwa Park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20140367633A1 (en) * 2013-06-18 2014-12-18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Led display with wavelength conversion layer
JP2015187635A (ja) * 2014-03-26 2015-10-29 株式会社Joled 色変化部材、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70026958A (ko) * 2015-08-31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5729B2 (en) 2020-05-14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05616T3 (pl) 2022-06-20
EP3605616A1 (en) 2020-02-05
EP3605616B1 (en) 2022-01-26
CN106784203B (zh) 2019-01-04
EP3605616A4 (en) 2020-11-18
US20180315909A1 (en) 2018-11-01
KR102245587B1 (ko) 2021-04-27
US10367128B2 (en) 2019-07-30
CN106784203A (zh) 2017-05-31
WO2018176583A1 (zh) 2018-10-04
JP2020511008A (ja) 2020-04-09
JP6899917B2 (ja)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587B1 (ko) 픽셀 구조 및 제조 방법
TWI484210B (zh) 具有高折射率回填層及保護層之光擷取膜
TWI477186B (zh) 用於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之光萃取膜
KR101611650B1 (ko) 나노입자 코팅을 갖는 광 추출 필름
JP5243436B2 (ja) 半導体チップ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US8586963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s having concave microstructures provid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2222748A (zh) 发光二极管
US9966488B2 (en) Optical film with quantum dots embedded in nano patte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Bao et al. Improvement of light extraction from patterned polymer encapsulated GaN-based flip-chip light-emitting diodes by imprinting
KR100577693B1 (ko) 콜로이드 다중 입자층 구조를 이용한 반사 방지막과 이의제조방법
JP2013539419A (ja) ナノインプリントモールドの製造方法、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ナノインプリントモールドを用いた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発光ダイオード
KR20160092635A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CN109192836B (zh) 一种渐变折射率纳米结构结合纳米透镜的led结构的制备方法
TWI472059B (zh)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plasma using a microstructure
KR101221075B1 (ko) 나노 임프린트를 이용한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소자
KR20170127088A (ko) 발광다이오드용 반사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2462A (ko) 나노렌즈의 제조방법
WO2008114894A1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microlens
KR101130360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Shih et al. Fundamental Properties of Localized Surface Plasmons of Organic Electro-Optical Devices Doped with Metallic Nano-Particles: A Review
KR20140036405A (ko)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1514A (ko) 굴절률 조절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