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4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43A
KR20190131343A KR1020180056102A KR20180056102A KR20190131343A KR 20190131343 A KR20190131343 A KR 20190131343A KR 1020180056102 A KR1020180056102 A KR 1020180056102A KR 20180056102 A KR20180056102 A KR 20180056102A KR 20190131343 A KR20190131343 A KR 2019013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nidirectional
propeller
thruster
hu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우
김덕기
박종민
신용훈
김정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343A/ko
Publication of KR2019013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의 용골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1전방위 추진기;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는 제3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에 가깝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기 간의 간섭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용이한 방향전환 또는 해상에서의 안정적인 정박을 위해 모든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azimuth thruster)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위 추진기는 미사용 시 선체의 내부에 숨겨져 있다가, 필요 시 선체 외부로 노출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전방위 추진기는 선체의 선미에 복수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선박(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전방위 추진기(210, 220, 23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은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가 대칭형태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방위 추진기에서 발생하는 추력들이 상호 간섭 또는 중첩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KR 1997-0003811 U KR 2016-0119389 A KR 2016-011877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위 추진기로부터 발생하는 추력이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의 용골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1전방위 추진기;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는 제3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에 가깝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는 360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는 180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선미에 가깝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선미에 가깝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는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전방위 추진기 간의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방위 추진기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방위 추진기를 비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코안다 효과로 인해 야기되는 전방위 추진기의 효율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전방위 추진기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전방위 추진기 배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한다.
선박(100)은 복수의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를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선박(100)은 3개의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의 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박(100)은 4개 이상의 전방위 추진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대체로 선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전방위 추진기(110), 제2전방위 추진기(120),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선체(102)의 선미로부터 선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전방위 추진기(120)는 제1전방위 추진기(110)보다 낮게 배치되고,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제2전방위 추진기(120)보다 낮게 배치된다. 그러나 전방위 추방기(110, 120, 130)의 높낮이 순서가 전술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전방위 추진기(130)가 제2전방위 추진기(120)보다 높게 배치되고, 제1전방위 추진기(11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선체(102)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미 사용시 선박(100)의 운항에 방해되지 않도록 선체(102)의 내부로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선박(100)의 방향전환 또는 선박(100)의 안정적인 정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선체(102)의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방위 추진기의 배치위치 및 그에 따른 특성을 설명한다.
제1전방위 추진기(110)는 선체(102)의 이등분 선상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전방위 추진기(110)는 선체(102)의 용골 또는 용골의 연장선(104) 상에 배치된다. 제1전방위 추진기(110)는 모든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전방위 추진기(110)는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며 어떠한 방향으로든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은 제1전방위 추진기(110)를 이용하여 선체(102)의 운항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제2전방위 추진기(120)는 선체(102)의 일 측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전방위 추진기(120)는 용골 또는 용골 연장선 이외 영역에 배치된다. 제2전방위 추진기(120)는 일 측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전방위 추진기(120)는 축을 중심으로 0~180도 범위를 회전하며 선체(102)의 일 측면 방향으로만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은 제2전방위 추진기(120)를 이용하여 선체(102)의 운항방향 또는 정박위치를 일 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선체(102)의 일 측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용골 또는 용골 연장선 이외 영역에 배치된다.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타 측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3전방위 추진기(130)는 축을 중심으로 180~360도 범위를 회전하며 선체(102)의 타 측면 방향으로만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은 제3전방위 추진기(130)를 이용하여 선체(102)의 운항방향 또는 정박위치를 타 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서로 다른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2전방위 추진기(120) 간의 거리(L1)는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3전방위 추진기(130) 간의 거리(L2)보다 작다. 또한,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3전방위 추진기(130) 간의 거리(L2)는 제2전방위 추진기(120)와 제3전방위 추진기(130) 간의 거리(L3)보다 작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는 선체(102)의 폭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전방위 추진기(110)의 중심으로부터 제2전방위 추진기(120)의 중심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W1)는 제1전방위 추진기(110)의 중심으로부터 제3전방위 추진기(130)의 중심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W2)와 같다.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 간의 선체 길이 방향 거리(S1, S2)은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 간의 선체 폭 방향 거리(W1, W2)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2전방위 추진기(120) 간의 선체 길이 방향 거리(S1)는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2전방위 추진기(120) 간의 선체 폭 방향 거리(W1)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3전방위 추진기(130) 간의 선체 길이 방향 거리(S1+S2)는 제1전방위 추진기(110)와 제3전방위 추진기(130) 간의 선체 폭 방향 거리(W2)의 2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의 배치형태는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로부터 발생되는 추력이 상호 간섭되지 않게 하므로, 전방위 추진기(110, 120, 130)에 의한 선박(100)의 운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선박
102 선체
104 용골 연장선
110 제1전방위 추진기
120 제2전방위 추진기
130 제3전방위 추진기

Claims (6)

  1. 선체의 용골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1전방위 추진기;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용골 연장선 이외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는 제3전방위 추진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에 가깝게 배치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는 360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는 180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 및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선미에 가깝게 배치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는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보다 선미에 가깝게 배치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상기 제2전방위 추진기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는 상기 제1전방위 추진기로부터 상기 제3전방위 추진기까지의 선체 폭 방향 거리와 동일한 선박.
KR1020180056102A 2018-05-16 2018-05-16 선박 KR2019013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02A KR20190131343A (ko) 2018-05-16 2018-05-16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02A KR20190131343A (ko) 2018-05-16 2018-05-16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43A true KR20190131343A (ko) 2019-11-26

Family

ID=6873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02A KR20190131343A (ko) 2018-05-16 2018-05-16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34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11A (ko) 1995-06-28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20160118772A (ko) 2015-04-03 2016-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119389A (ko) 2015-04-03 2016-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능동형 조수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11A (ko) 1995-06-28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20160118772A (ko) 2015-04-03 2016-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119389A (ko) 2015-04-03 2016-10-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능동형 조수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488B2 (en) Ship maneuvering system, ship, and ship maneuvering method
JP7202389B2 (ja) 船舶及び推進システム
JP2017088111A (ja) 船舶の操船制御方法および船舶の操船制御システム
US3412705A (en) Navigational system
WO2018008589A1 (ja) 船舶の操縦システム、船舶、及び船舶の操縦方法
KR101985451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JP2008247102A (ja) 1軸1舵船の定点位置保持方法とその装置
KR20190131343A (ko) 선박
Reichel Equivalent standard manoeuvres for pod-driven ships
JP4295645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推進船の自動定点保持装置
KR20130125252A (ko) 스러스터를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자동 항해 시스템 및 자동 항해 방법
US11465723B1 (en) Water vessel with propulsion arrangements having bi-directional flanking rudders with a profile for improved effectiveness
KR102376887B1 (ko) 시추선의 방향전환 제어방법
JP5479552B2 (ja) 1軸1舵船の定点位置保持方法とその装置
JP2022526930A (ja) 船舶を制御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H06270891A (ja) 船舶の操船方法及び操船制御装置
RU2553610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ущимся судном
RU2746094C1 (ru) Автономный необитаем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JP2019014296A (ja) 船舶、及び操船方法
RU2800467C2 (ru) Рулевой механизм мелкосидящего контейнеровозного судна и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удна для внутренних водных путей
Kolltveit Cooperative towing using USVs
KR20240065789A (ko) 무인항공기 탑재 및 함정 투하 겸용 무인구조 수중로봇
Robinson Remotely Controlling USVs Towards a Low-carbon Future.
KR20200113502A (ko) 선박
JP2018172047A (ja) 船舶用のレーダー波反射装置、船舶及びレーダー有効反射断面積の増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