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198A -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198A
KR20190131198A KR1020180055769A KR20180055769A KR20190131198A KR 20190131198 A KR20190131198 A KR 20190131198A KR 1020180055769 A KR1020180055769 A KR 1020180055769A KR 20180055769 A KR20180055769 A KR 20180055769A KR 20190131198 A KR20190131198 A KR 2019013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sette
unit
wor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917B1 (ko
Inventor
김옥선
조철범
Original Assignee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공정 등 공정상의 공정가스 성분분석을 위해 분석기로 가스 등을 공급하는 애널라이저 튜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카세트가 장착되는 중앙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프레임에 다층으로 장착되는 카세트부; 상기 카세트부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웜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튜브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튜브 안내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애널라이저 튜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 안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장착되는 길이측정부; 및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MULTI-LAYER ANALYZER TUBE PULLING DEVICE}
본 발명은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공정 등 공정상의 공정가스 성분분석을 위해 분석기로 가스 등을 공급하는 애널라이저 튜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정에는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사용된다.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공정상에서 가스가 발생하거나, 공급된 공기에 화학물질이 함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에 포함된 화학물질이나 공정상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어떠한 물질이 포함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공정상의 공기나 가스를 배출시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공정에 사용된 가스나 공기들을 바로 대기로 배출시켜도 무방한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반도체 공정에는 공정상의 공기나 가스를 뽑아내어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애널라이저 튜브가 장착된다.
애널라이저 튜브를 반도체 공정의 클린룸에 설치하는 경우, 풀링이 쉽지 않아서 작업상 여러가지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또한, 풀링된 애널라이저 튜브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가능한 튜브의 손실을 줄일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170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2773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6145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17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애널라이저 튜브의 풀링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도록 할 수 있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링된 애널라이저 튜브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를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카세트 지지프레임에 다층으로 장착되는 카세트부; 상기 카세트부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웜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튜브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튜브 안내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애널라이저 튜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 안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장착되는 길이측정부; 및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세트부는, 직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 카세트; 상기 상부 카세트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곡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 카세트; 상기 상부 카세트의 직선형 가이드 홈과 상기 하부 카세트의 곡선형 가이드 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는 튜브 가이드;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하부 카세트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고정시키고 하부 프레임은 움직이도록 형성된 축과, 상기 축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축 기어; 및 상기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이 장착되어 상기 웜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웜기어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웜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웜; 상기 웜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웜을 구동하기 위한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이동가능하도록 바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세트 지지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 장착되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일측과 타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일측 분기패널과 타측 분기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세트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카세트 지지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상기 카세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패널의 양단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분기패널의 각 단부에 가이드봉이 더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봉에 장착되는 하부 롤러 프레임과,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상부 롤러 프레임과,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측면롤러와,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상부 측면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널라이저 튜브의 풀링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아 효율적인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측정부를 이용하여 풀링된 애널라이저 튜브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튜브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으로 카세트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카세트에 다수의 애널라이저 튜브를 안착시켜 작업할 수 있고, 하나의 풀링장치로 작업할 수 있는 튜브의 작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프레임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부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웜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길이측정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동력전달부의 웜기어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프레임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프레임부의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웜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길이측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의 동력전달부의 웜기어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1)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다층으로 형성되는 카세트부(110)와, 카세트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120)와, 상기 카세트부(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튜브 안내부(130)와, 상기 튜브 안내부(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길이측정부(140)와, 상기 카세트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웜부(150)와, 상기 웜부(150)와 길이측정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며 웜부(150)와 길이측정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160)와, 상기 프레임부(100)의 저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퀴부(17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사각 패널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101)과, 하부 프레임(10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02)과, 측면 프레임(102)의 상단에 형성되는 사각 패널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106)과, 상부 프레임(106)과 하부 프레임(101)의 중앙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 중앙 프레임(104, 105)에 양단이 고정되는 카세트 지지프레임(109)으로 구성된다. 하부 프레임(101)에는 하부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101-1)과, 웜부(150)가 장착되는 웜부 장착프레임(101-2)이 더 형성된다. 측면 프레임((102)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꼭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며, 또한 중앙에서도 서로 연결되는 측면 중앙 프레임(104, 105)이 더 형성된다. 또한, 튜브 안내부(30)와 길이측정부(140)의 장착을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 장착 프레임(103a, 103b)이 어느 일측의 측면 중앙 프레임(104)과 측면 프레임(102) 사이에 형성된다. 측면 장착 프레임(103a, 103b)에는 길이측정부(140)를 장착하기 위한 길이측정부 장착 프레임(107)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측면 프레임(102)의 강도 보강을 위한 브라켓(102-1)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6, 101)에 연결된다. 카세트 지지프레임(109)은 측면 중앙 프레임(104, 105)에 양측이 고정되는 메인 패널(109-1)과, 메인 패널(109-1)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분기패널(109-2)과, 메인 패널(109-1)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분기패널(109-3)과, 메인 패널(109-1)과 일측 및 타측 분기패널(109-2, 109-3)의 단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봉(109-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 프레임(102)에는 컨트롤러(160)를 장착하기 위한 컨트롤러 장착프레임(108)이 더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도 5(a))와 저면도(도 5(b))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안내부(130)는, 중앙 측으로 경사진 튜브 가이드 롤러(131)와, 튜브 가이드 롤러(131)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132)과, 튜브 가이드 롤러(131) 전방의 측면 장착 프레임에 고정되어 튜브가 튜브 가이드 롤러(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봉(13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웜부(150)는 웜(151)과, 웜(151)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어링(152a, 152b)과, 웜(15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53)와, 모터(153)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동 기어(154)와, 모터(153)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브라켓(155)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151)의 상단(151-2)과 하단(151-3)은 베어링(152a, 151b)에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고, 하단(151-3) 바로 위에는 종동기어(151-1)가 장착되어 모터(153)에 연결된 구동기어(154)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웜(151)은 회전하게 되고, 웜(151)의 회전에 의해 카세트부(110)가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카세트부(1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부(110)는 직선형 가이드 홈(111-2)이 형성되는 상부 카세트(111)와, 상부 카세트(111)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곡선형 가이드 홈(112-1)이 형성되는 하부 카세트(112)와, 상부 카세트(111)의 직선형 가이드 홈(111-1)과 하부 카세트(112)의 곡선형 가이드 홈(112-1)에 안착되어 가이드 홈(111-1, 112-1)을 따라 움직이는 튜브 가이드(113)와, 하부 카세트(112)와 상부 카세트(111)를 축 고정하면서 상부 및 하부 카세트를 회전하기 위한 축 기어(114)와, 축 기어(114)를 회전시키는 피니언(117)과 피니언(117)과 연결되는 웜기어(118)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119)로 이루어진다. 튜브 가이드(113)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ㄱ'자 형태에 의해 튜브가 위치고정된다. 튜브 가이드(113)의 하단은 직선형 가이드 홈(111-1)과 곡선형 가이드 홈(112-1)을 통해 삽입되고, 상부 카세트(111)와 하부 카세트(112)의 이격을 위해 스페이서(113-3)가 상부 카세트(111)와 하부 카세트(1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튜브 가이드(113)는 수평부(113-1)와 수직부(113-2)로 이루어지고, 수직부(113-2)의 하단은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111-1)과 곡선형 가이드 홈(112-1)에 삽입되고, 수직부(113-2)의 하단에는 튜브 가이드(113)의 고정을 위한 고정판(113-4)이 볼트(113-5)로 고정된다. 상부 카세트(111)는 카세트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원형 홀(111-1)이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위치 고정을 위한 십자형 홈(111-3)이 형성되고, 십자형 홈(111-3)의 중앙에는 축 기어(114)가 삽입되도록 홀(111-4)이 형성된다. 십자형 홈(111-3)에는 십자형 스톱퍼(115)가 안착되고, 십자형 스톱퍼(115)의 중앙에는 카세트가 고정되도록 사각홀(115-1)이 형성된다. 축 기어(114)는 베벨기어(114-1)와, 베벨기어(11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축(114-2)과, 축(114-2)의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부(114-2)와, 사각부(114-2)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14-4)로 이루어진다. 사각부(114-2)에는 십자형 스톱퍼(115)의 사각홀(115-1)이 안착되며, 십자형 스톱퍼(115)에 의해 상부 카세트(111)는 항상 축 기어(114)와 함께 회전한다. 상부 카세트(111)와 십자형 스톱퍼(115)와 하부 카세트(112) 및 축 기어(1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너트(116)가 축 기어(114)의 나사산부(114-4)에 체결되며, 고정 너트(116)의 체결에 의해 카세트부(110)가 위치 고정된다. 하부 카세트(112)는 원형 홀(112-2)이 형성되기 때문에 베벨기어(114-1)가 회전하지 않더라도 회전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튜브 가이드(11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베벨기어(114-1)와 맞물리는 피니언(117)은 웜기어(118)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웜기어(118)는 웜(15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117)은 베벨기어(117-1)와 베벨기어 후단에서 다각형의 형태로 연장되는 연장부(117-2)로 구성된다. 웜기어(118)는 연장부(117-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118-2)와, 연결부(118-2)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어부(118-1)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18-2)의 내부는 홈(118-3)이 형성되고, 상기 홈(118-3)에 연장부(117-2)가 삽입되며, 피니언(117)의 탄력적인 움직임을 위해 내부에 스프링(118-4)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스프링(118-4)이 삽입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117)을 밀게 하면, 피니언(117)이 탄성을 가지면서 베벨기어(114-1)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카세트(112)의 배면에는 카세트 지지프레임(109)에 의해 일정 각도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돌기(1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12-3)가 카세트 지지프레임(109)에 의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하부 카세트(112)의 회전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120)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120)는 카세트 지지프레임(109)의 단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봉(109-4)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패널(109-1)의 양단과, 일측 및 타측 분기패널(109-2, 109-3)의 각 단부에 가이드봉(109-4)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109-4)에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120)가 장착된다.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120)는, 가이드 봉(109-4)에 장착되는 하부 롤러 프레임(123)과, 하부 롤러 프레임(123)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상부 롤러 프레임(121)과, 하부 롤러 프레임(123)의 카세트부(110)와 마주보는 일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측면롤러(125)와, 하부 롤러 프레임(123)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롤러(124)와, 상부 롤러 프레임(121)의 카세트부(110)와 마주보는 일 측면에 장착되는 상부 측면롤러(122)로 구성된다. 상부 롤러 프레임(121)의 중앙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109-4)이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삽입홀(121-1)이 형성되고, 상부 측면롤러(122)의 배면측에는 가이드봉(109-4) 상부 롤러 프레임(121)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홀(121-2)이 마련되고, 볼트홀(121-2)에 볼트(121-3)를 장착하여 상부 롤러 프레임(121)을 가이드봉(109-4)에 고정하게 된다. 상부 측면 롤러(122)는 상부 카세트(111)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하부 롤러 프레임(123)에도 한 쌍의 가이드봉 삽입홀(123-1)이 형성되고, 하부 롤러 프레임(123)의 배면에는 하부 롤러 프레임(123)의 고정을 위한 볼트홀(123-2)이 마련되며, 볼트(123-3)를 볼트홀(123-2)에 체결하여 하부 롤러 프레임(123)을 가이드봉(109-4)에 고정하게 된다. 상부 롤러(124)는 상부 카세트(111)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하부 측면 롤러(125)는 상부 카세트(111)의 저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카세트(111)가 회전하는 경우 상부 카세트(111)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0은 길이측정부(14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10(b)는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측정부(140)는 '┗┛'자형 몸체(141)와, 몸체(141)의 전방에 형성되어 튜브를 모아주도록 상하좌우에 마련되는 인입롤러(144a, 144b, 145a, 145b)와, 인입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베어링 바디(142a, 142b, 142c, 142d)와, 베어링 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143a, 143b)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형 몸체(141)의 상부로 튜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배출되는 튜브가 접촉하면서 함께 회전하게 되는 회전체(147)와, 회전체(147)의 회전에 따라 길이를 측정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6)와, 튜브의 직경에 맞춰 튜브를 회전체(147)에 접촉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조정봉(148)과, 조정봉(148)의 조절을 위한 도구를 놓아둘 수 있는 도구함(149)으로 구성된다. 조정봉(148)은 조정봉 슬롯홀(148-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조정봉 슬롯홀(148-1)은 일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되어 튜브의 굵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2는 카세트(110)에 튜브(200)가 안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0)의 양에 따라서 튜브 가이드(113)의 위치를 조정하여 튜브(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01 : 하부 프레임
102 : 측면 프레임 103 : 측면 장착 프레임
104, 105 : 중앙 프레임 106 : 상부 프레임
107 : 길이측정부 장착 프레임 108 : 컨트롤러 장착 프레임
109 : 카세트 지지 프레임
110 : 카세트부 111 : 상부 카세트
112 : 하부 카세트 113 : 튜브 가이드
114 : 축 기어부 115 : 십자형 스톱퍼
116 : 체결 너트 117 : 피니언
118 : 웜기어 119 : 동력전달부
120 :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 121 : 상부 롤러 프레임
122 : 상부 측면 롤러 123 : 하부 롤러 프레임
124 : 하부 전면 롤러 125 : 하부 측면 롤러
130 : 튜브 안내부 131 : 튜브 가이드 롤러
132 : 베어링 133 : 이탈 방지봉
140 : 길이측정부 141 : ┗┛자형 몸체
142 : 베어링 바디 143 : 연결체
144, 145 : 인입롤러 146 : 디스플레이
147 : 회전체 148 : 조정봉
149 : 도구함

Claims (7)

  1.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카세트 지지프레임에 다층으로 장착되는 카세트부;
    상기 카세트부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웜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튜브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튜브 안내부;
    상기 카세트부에서 공급되는 애널라이저 튜브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 안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에 장착되는 길이측정부; 및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웜부와 길이측정부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부는,
    직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 카세트;
    상기 상부 카세트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곡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부 카세트;
    상기 상부 카세트의 직선형 가이드 홈과 상기 하부 카세트의 곡선형 가이드 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는 튜브 가이드;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하부 카세트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고정시키고 하부 프레임은 움직이도록 형성된 축과, 상기 축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축 기어; 및
    상기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이 장착되어 상기 웜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웜기어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웜;
    상기 웜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웜을 구동하기 위한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모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이동가능하도록 바퀴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지지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 장착되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 패널의 일측과 타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일측 분기패널과 타측 분기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카세트 지지프레임의 외측 단부에 상기 카세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널의 양단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분기패널의 각 단부에 가이드봉이 더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봉에 장착되는 하부 롤러 프레임과,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는 상부 롤러 프레임과,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측면롤러와, 상기 하부 롤러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상부 측면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KR1020180055769A 2018-05-16 2018-05-16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KR10207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69A KR102078917B1 (ko) 2018-05-16 2018-05-16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69A KR102078917B1 (ko) 2018-05-16 2018-05-16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98A true KR20190131198A (ko) 2019-11-26
KR102078917B1 KR102078917B1 (ko) 2020-02-19

Family

ID=6873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69A KR102078917B1 (ko) 2018-05-16 2018-05-16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2309A (zh) * 2021-09-27 2021-10-29 徐州和润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通讯电子产品制造用硅晶片无损存储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6U (ja) * 1992-06-29 1994-01-25 幸史郎 安部 線条材料の巻き取り機
KR101027732B1 (ko) 2010-06-21 2011-04-12 장한전력(주)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KR101091708B1 (ko) 2009-04-07 2011-12-08 (주)디.에이치.케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101261458B1 (ko) 2011-09-07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411510B1 (ko) * 2013-05-02 2014-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드럼 지그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20150101772A (ko) 2014-02-27 2015-09-04 (주)케이딧 케이블 공급용 피딩장치
KR200478794Y1 (ko) * 2014-04-29 2015-11-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케이블 롤 풀링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56U (ja) * 1992-06-29 1994-01-25 幸史郎 安部 線条材料の巻き取り機
KR101091708B1 (ko) 2009-04-07 2011-12-08 (주)디.에이치.케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101027732B1 (ko) 2010-06-21 2011-04-12 장한전력(주)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KR101261458B1 (ko) 2011-09-07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411510B1 (ko) * 2013-05-02 2014-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드럼 지그
KR20150101772A (ko) 2014-02-27 2015-09-04 (주)케이딧 케이블 공급용 피딩장치
KR200478794Y1 (ko) * 2014-04-29 2015-11-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케이블 롤 풀링장치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2309A (zh) * 2021-09-27 2021-10-29 徐州和润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通讯电子产品制造用硅晶片无损存储装置
CN113562309B (zh) * 2021-09-27 2021-12-14 徐州和润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通讯电子产品制造用硅晶片无损存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917B1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917B1 (ko) 다층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 장치
US8292278B2 (en) Automatic truss jig setting system
JP2702684B2 (ja) 巻き取り機
JP2017523911A (ja) 可変の基板厚さ向けの外付け反転機システム及び基板を回転させる方法
KR102076136B1 (ko) 애널라이저 튜브의 풀링을 위한 카세트
US20130037385A1 (en) Conveying apparatus
KR102011493B1 (ko) 애널라이저 튜브 풀링용 카세트의 카세트 가이드 롤러
CN116147819A (zh) 一种无缝钢管横向残余应力检测设备
KR101890136B1 (ko) 중량물 회전장치
CN105891768A (zh) 故障电能表检测装置
JP5420497B2 (ja) ロープテスター装置
JP573364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100797960B1 (ko) 강판의 표면형상 및 결함 검출장치
JP2017114601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6035446B1 (ja) ボルト搬送装置
JP7245716B2 (ja) 建具
CN220819905U (zh) 一种钢结构探伤装置
CN214668817U (zh) 一种便于定量的测定噁唑酰草胺液相色谱质谱
CN218855275U (zh) 自动检测折弯角度且无拉痕的折弯机下模
CN212301348U (zh) 球形视野机器视觉检测装置
CN215156149U (zh) 酒箱隔板振动装箱装置及瓶装酒装箱生产线
JP5992229B2 (ja) ワーク押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ワーク供給装置
CN219449552U (zh) 一种辊筒旋转装置
CN219926538U (zh) 一种花岗岩切割机的上料装置
CN113092830B (zh) 一种电器元件测试架及该测试架的操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