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282A -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282A
KR20190130282A KR1020180054735A KR20180054735A KR20190130282A KR 20190130282 A KR20190130282 A KR 20190130282A KR 1020180054735 A KR1020180054735 A KR 1020180054735A KR 20180054735 A KR20180054735 A KR 20180054735A KR 20190130282 A KR20190130282 A KR 2019013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er
circuit board
coupling
assembl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690B1 (ko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8005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69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620 priority patent/WO2019221454A1/ko
Publication of KR2019013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트랙커 어셈블리는 트랙커 및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트랙커는 물품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트랙커를 수용하여 상기 트랙커와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커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정의되어 상기 트랙커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다.

Description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TRACKER ASSEMBLY, SEPARATING DEVICE OF TRACKER, AND METHOD OF SEPARATING TRACKER FROM TRACKER ASSEMBLY}
본 발명은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트랙커 및 물품에 설치되어 트랙커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데 사용되는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탈거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랙커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여 물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외부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트랙커는 화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팔레트(pallet)에 설치될 수 있고, 트랙커는 팔레트의 위치, 팔레트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정보들을 화물 관리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랙커를 팔레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목재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팔레트의 일측면에 홀을 가공하고, 이 홀의 내부에 트랙커를 설치한다. 그 후에, 트랙커가 빠지지 않도록 실리콘 등으로 홀을 메꾸어 삽입된 트랙커를 홀의 내부에 매립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팔레트의 일측면에 홀을 가공하고, 이 홀의 내부에 트랙커를 설치할 때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홀의 내부에 트랙커를 접착 고정하고, 별도의 커버부재 등을 이용하여, 홀 입구를 씌울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팔레트에 트랙커를 설치하면, 설치된 트랙커에 강한 힘을 부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어렵지 않게 트랙커를 제거 및 취출할 수 있어 트랙커의 도난의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은 도난 발생으로 인해 화물의 위치 및 상태 등을 관제하기 위한 트랙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10-1169754 B1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트랙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트랙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데 사용되는 트랙커 탈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랙커 탈거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안전하게 탈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트랙커 어셈블리는 트랙커 및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트랙커는 물품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트랙커를 수용하여 상기 트랙커와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커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정의되어 상기 트랙커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랙커는 바디, 회로기판, 회로기판 고정유닛, 배터리 및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고정시킨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 측으로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와 중첩되어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커버의 외측둘레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에 배터리 삽입홀이 정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삽입홀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내측둘레에 배치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은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의 외측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배터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와 중첩되는 일 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은 라운드 형상으로 오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탈거장치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정의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 측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절개부가 정의되고, 상기 결합부의 일 에지는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다른 에지들은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물품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트랙커 및 상기 트랙커를 수용하여 상기 트랙커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트랙커를 탈거하는 트랙커 탈거장치를 제공한다. 이 트랙커 탈거장치는 베이스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다리부들, 및 상기 다리부들 각각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랙커 탈거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기 다리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커 어셈블리에 있어서 트랙커 및 브라켓을 상호 간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트랙커 어셈블리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트랙커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트랙커를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트랙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커 탈거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분리하는 작업은 트랙커 탈거 장치를 소지한 작업자로 한정되므로, 트랙커가 도난되어 트랙커의 본연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트랙커 탈거 장치의 다리부들을 트랙커 어셈블리의 삽입홀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트랙커가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탈거되므로, 트랙커 어셈블리가 팔레트와 같은 소정의 물품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트랙커 탈거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커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커 어셈블리가 설치된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랙커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트랙커의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트랙커 및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트랙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랙커 탈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II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트랙커 탈거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트랙커 어셈블리(600)가 팔레트(10)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팔레트(10) 위에 화물이 적재되어 팔레트(10)는 화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커 어셈블리(600)는 팔레트(10)의 일 측에 형성된 홀(12)에 설치된다. 트랙커 어셈블리(600)는 팔레트(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화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커 어셈블리(600)는 브라켓(500) 및 트랙커(300)를 포함한다.
브라켓(500)은 팔레트(10)의 홀(12)에 고정되어 트랙커(3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트랙커(300)는 브라켓(500)의 수납공간에 수용되어 브라켓(500)과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커(300) 및 브라켓(500)은, 별도의 접착제 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 없이, 서로 간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트랙커(300)는 센싱부(도 2의 116) 및 통신모듈(도 3의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6)는 물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센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싱부(1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 감지센서(116a), 고도센서(116b), 온도 센서(116c), 습도 센서(116d), 위치 추적 센서(116e), 가속도 센서(116f), 충격 센서(116g) 및 압력 센서(116h)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도 3의 118)은 센싱부(116)에 의해 센싱되어 센싱부(116)로부터 제공된 정보들을 화물 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디바이스 측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화물 관리자는 트랙커(300)의 통신 모듈(도 3의 118)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화물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관리자가 트랙커(300)로부터 위치 추적 센서(116e)에서 감지된 팔레트(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화물 관리자는 팔레트(10)의 위치 정보를 팔레트(10) 위에 적재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관제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싱부(116)는 상술한 다수의 센서들(116a 내지 116h)을 포함하나, 본 발명이 센싱부(116)의 센서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센싱부(116)는 트랙커(300) 및 브라켓(500) 간의 분리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트랙커 어셈블리(600)를 구성하는 트랙커(300) 및 브라켓(5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랙커(300)는 바디(100), 회로기판(120), 회로기판 고정유닛(140), 배터리(150), 커버(180) 및 가스켓(160)을 포함한다.
바디(100)는 바닥부(103), 측벽부(105) 및 복수 개의 제1 체결부들(108)을 포함한다. 측벽부(105)는 바닥부(103)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00)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바디(100)의 상기 수납공간에 회로기판(120), 회로기판 고정유닛(140) 및 배터리(150)가 수납된다.
제1 체결부들(108) 각각은 측벽부(105)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제1 체결부들(108)이 제공되며, 제1 체결부들(108)의 각각은 측벽부(105)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후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부들(108)은 바디(100)가 회로기판 고정유닛(140)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요소들로, 제1 체결부들(108)은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의 제2 체결부들(145)과 일대일 대응하여 체결된다.
회로기판(120)은 바닥부(103) 위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120)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회로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회로기판(120) 위에는 트랙커(300)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120) 위에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센싱부(116) 및 통신모듈(118)이 실장될 수 있고, 센싱부(116) 및 통신모듈(118)은 회로기판(120)을 통해 배터리(15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은 바디(100)에 결합되어 회로기판(120)을 바디(10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은 회로기판(120)의 둘레와 중첩될 수 있고,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의 중앙에는 배터리 삽입홀(148)이 정의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배터리 삽입홀(148)을 통해 회로기판(120) 위에 배치되어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은 그 외측 둘레에 배치된 제2 체결부들(145)을 포함한다.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에서 제2 체결부들(145)은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을 바디(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제2 체결부들(145)은 제1 체결부들(108) 중 대응되는 제1 체결부(1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체결부들(145)은 제1 체결부들(108)과 일대일 대응하여 제1 체결부들(108)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체결부들(145)의 개수는 제1 체결부들(108)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부들(108)의 각각은 제1 후크(hook) 구조를 갖고, 제2 체결부들(145)의 각각은 제2 후크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후크 구조는 상기 제2 후크 구조에 대해 180도로 반전된 구조일 수 있다.
배터리(150)는 회로기판(120) 위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150)는 회로기판 고정유닛(140)의 삽입홀(148)을 통해 회로기판(120) 위에 배치되고, 배터리(150)의 전극 단자들(미도시)은 회로기판(120)의 전원 단자들(미도시)과 접촉되어 배터리(150)는 회로기판(120) 측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50)는 코인형 배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의 바닥부(103) 위에 회로기판(120) 및 배터리(1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트랙커(300)의 부피를 슬림화 시킬 수 있다.
커버(180)는 배터리(150)와 중첩되어 바디(100)의 개구부와 결합되며, 커버(180)는 바디(100)의 내부에 수납된 구성 요소들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18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홈들이 바디(100)의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들과 결합되어 커버(180)가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트랙커(300)에는 브라켓(도 5의 500)의 결합부들(도 5의 51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85)이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홈(185)은 커버(180)의 외측둘레에 정의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홈(185)은 커버(180)의 외측둘레를 따라 커버(180)의 외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합홈(185)은 측벽부(105)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스켓(160)은 오링(o-ring)과 같이 고리형의 형상을 갖고, 가스켓(160)의 구성물질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가스켓(160)은 커버(180)의 주변에 배치되어 커버(180) 및 바디(100) 간의 틈을 메꾼다. 따라서, 커버(180)가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160)은 커버(180) 및 바디(100) 간의 틈을 통해 바디(100)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가스 또는 수분의 양을 최소화 시킨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랙커 어셈블리(600)는 브라켓(500) 및 트랙커(300)를 포함한다.
브라켓(500)은 바닥부(505), 측벽부(508) 및 복수 개의 결합부들(510)을 포함한다. 측벽부(508)는 바닥부(505)로부터 연장되어 브라켓(500)에 트랙커(300)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브라켓(500)에서 결합부들(510)은 트랙커(300)의 커버(180)에 형성된 결합홈(185)과 결합되기 위한 구조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들(510)의 각각은 측벽부(508)의 내측으로부터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며, 결합홈(185)은 결합부들(510)의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부들(510)의 구조의 특징 외에, 도 9를 참조하여 결합부들(510)의 다른 구조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부들(510)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절개부(511)가 측벽부(508)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부들(510)의 각각은 바닥부(505)와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부(511)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결합부들(510)의 각각의 일 에지는 바닥부(505)와 연결되되, 결합부들(510) 각각의 다른 에지들은 절개부(5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벽부(508) 및 바닥부(505)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부들(510)은 바닥부(505)에 수직인 상태에서 바닥부(505)에 대해 경사지도록 미동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랙커(300)가 브라켓(500)의 내부에 수용되면, 브라켓(500)의 결합부들(510)이 커버(180)에 정의된 결합홈(185)에 수용되어 트랙커(300)가 브라켓(5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커버(180)보다 바디(100)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트랙커(3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켜 브라켓(500)의 수납공간에 트랙커(300)를 수용시키면, 결합부들(510)은 결합홈(185)에 접촉될 수 있다. 그 이후에, 트랙커(300)를 제1 방향(D1)으로 더 밀어주면, 결합부들(510)의 각각과 결합홈(185)의 표면은 라운드의 형상을 가지므로 결합부들(510)이 결합홈(185)의 내부에 수용되어, 트랙커(300)가 브라켓(5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커(300) 및 브라켓(500)을 상호 간에 결합시키는 결합홈(185) 및 결합부들(510)의 구조는 트랙커 어셈블리(6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즉 트랙커(300)를 브라켓(500)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트랙커 어셈블리(600)의 내부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트랙커(300)를 핸들링하더라도, 트랙커 어셈블리(600)로부터 트랙커(300)가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트랙커가 브라켓에 나사산 및 나사홈들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 또는 트랙커를 커버하여 브라켓에 트랙커를 체결시키는 캡을 이용하는 체결되는 캡을 이용하는 방식에 따르면, 외부에서 트랙커를 핸들링하여 트랙커가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트랙커가 도난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랙커(300)를 브라켓(5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들(510) 및 결합홈(185)의 구조는 트랙커 어셈블리(600)의 내부에 구현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트랙커(300)를 핸들링하더라도 트랙커 어셈블리(600)로부터 트랙커(300)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트랙커(300)가 도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브라켓(500)에는 삽입홀들(509)이 형성된다. 트랙커 탈거 장치(도 7a의 400)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600)로부터 트랙커(300)를 분리할 때, 트랙커 탈거 장치(도 7a의 400)의 다리부들(도 7a의 420)이 삽입홀들(509)에 삽입된다.
삽입홀들(509)의 각각은 브라켓(500)의 측벽부(508)의 두께 방향으로 측벽부(508)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홀들(509)은 결합부들(508)과 일대일 대응하여 위치하고, 삽입홀들(509)의 각각은 측벽부(508)의 상단으로부터 측벽부(508)의 높이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결합부들(508) 중 대응되는 결합부 측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들(509)의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것으로, 삽입홀들(509)에 삽입된 트랙커 탈거장치(도 7a의 400)의 다리들(도 7a의 420)은 삽입홀들(509)이 길이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브라켓(5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홀들(509)의 개수는 4개이나, 본 발명이 삽입홀들(509)의 개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들(509)의 개수는 4개보다 적은 2개 또는 3개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들(509)의 개수는 4개보다 많은 5개 또는 6개일 수 있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트랙커 어셈블리(600) 및 트랙커 탈거장치(40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II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트랙커 탈거장치(4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00)에 삽입되어 있는 트랙커(300)를 탈거할 때 사용된다.
트랙커 탈거장치(400)는 베이스부(410), 다리부들(420), 걸림부들(425) 및 손잡이(43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410)는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베이스부(410)는 트랙커 어셈블리(6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트랙커 어셈블리(600)가 대략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평면에서 볼 때 베이스부(410)는 원형의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베이스부(410)는 트랙커 어셈블리(600)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리부들(420)은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부(41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리부들(420)의 각각은 베이스부(410)와 수직으로 베이스부(4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리부들(420)의 개수는 삽입홀들(509)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와 같이 삽입홀들(509)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 다리부들(420)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리부들(420)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리부들(420)은 2개 또는 3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부들(425)은 다리부들(420)에 일대일 대응하여 다리부들(420)의 내측에 배치된다. 걸림부들(425)의 각각은 다리부들(420) 중 대응되는 다리부의 내측으로부터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하, 상술한 구조를 갖는 트랙커 탈거장치(400)를 이용하여 트랙커 어셈블리(600)로부터 트랙커(300)를 탈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트랙커 탈거장치(400)를 트랙커 어셈블리(6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다리부들(425)을 삽입홀들(509)과 정렬시킨다.
한편, 트랙커 어셈블리(600)로부터 트랙커(300)가 분리되기 이전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브라켓(500)의 결합부들(510)이 트랙커(300)의 결합홈(185)에 수용되어 트랙커(300)가 브라켓(5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면, 트랙커 탈거장치(400)를 트랙커 어셈블리(600)와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 트랙커 탈거장치(400)의 다리부들(420)을 삽입홀들(509)과 일대일 대응시켜 삽입홀들(509)에 삽입한다. 이하, 삽입홀들(509)에 삽입된 다리부들(420)은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다리부들(420) 중 하나의 다리부(4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홀(509)은 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결합부(510) 측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므로, 다리부(420)가 삽입홀(509)에 삽입된 후에 삽입홀(509)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다리부(420)의 내측에 위치한 걸림부(425)가 결합부(510)에 도달될 수 있다.
다리부(420)가 결합부(510)에 도달되면, 다리부(420)는 결합부(510)와 결합홈(185) 사이에 개재된다. 그 결과, 다리부(420)에 의해 결합부(510) 및 결합홈(185)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그 대신에 걸림부(425)가 결합홈(185)에 수용되어 결합홈(185)에 결합된다.
한편,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510)의 일 에지는 바닥부(505)와 연결되되, 결합부(510)의 다른 에지들은 절개부(5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측벽부(508) 및 바닥부(505)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리부(420)가 결합부(510) 및 결합홈(185)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결합부(510)는 좌측으로 미동될 수 있고, 우측에 위치한 결합부(510)는 우측으로 미동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리부들(420) 각각의 내측에 위치한 걸림부(425)가 결합홈(185)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랙커 탈거장치(400)를 리프팅하여 다리부들(420)을 삽입홀들(509)로부터 빼낸다. 그 결과, 트랙커 탈거장치(400)가 트랙커(300)와 함께 브라켓(50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팔레트 100: 바디
180: 커버 185: 결합홈
300: 트랙커 400: 트랙커 탈거 장치
500: 브라켓 510: 결합부
509: 삽입홀 600: 트랙커 어셈블리

Claims (14)

  1. 물품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트랙커; 및
    상기 트랙커를 수용하여 상기 트랙커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커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랙커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커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회로기판 고정유닛;
    상기 회로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 측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중첩되어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커버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에 배터리 삽입홀이 정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삽입홀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내측둘레에 배치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 고정유닛은,
    상기 회로기판의 고정유닛의 외측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와 중첩되는 일 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배터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은 라운드 형상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탈거장치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정의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측벽부가 상기 측벽부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측벽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 측으로 연속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절개부가 정의되고, 상기 결합부의 일 에지는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다른 에지들은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커는,
    상기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상기 물품의 위치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어셈블리.
  12. 물품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트랙커 및 상기 트랙커를 수용하여 상기 트랙커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트랙커를 탈거하는 트랙커 탈거장치로서,
    베이스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다리부들; 및
    상기 다리부들 각각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트랙커 탈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탈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기 다리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커 탈거장치.
KR1020180054735A 2018-05-14 2018-05-14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KR10261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35A KR102611690B1 (ko) 2018-05-14 2018-05-14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PCT/KR2019/005620 WO2019221454A1 (ko) 2018-05-14 2019-05-10 트랙커 어셈블리 및 트랙커 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35A KR102611690B1 (ko) 2018-05-14 2018-05-14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82A true KR20190130282A (ko) 2019-11-22
KR102611690B1 KR102611690B1 (ko) 2023-12-08

Family

ID=6854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735A KR102611690B1 (ko) 2018-05-14 2018-05-14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1690B1 (ko)
WO (1) WO201922145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401U (ko) * 1979-09-07 1981-04-18
KR970065197A (ko) * 1996-03-04 1997-10-13 한승준 자동차용 릴레이(relay) 탈거수단
JP2004535119A (ja) * 2001-06-28 2004-11-18 グリーン トゥイード オブ デラウエ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蔵型センサ装置
US20100182150A1 (en) * 2006-10-16 2010-07-22 Carmel Container Systems Ltd. Rfid tags system for pallets
KR101169754B1 (ko) 2009-08-17 2012-07-30 정택수 자전거용 위치추적장치
KR101454908B1 (ko) * 2013-01-29 2014-10-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2744A (ko) * 2014-07-25 2016-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401U (ko) * 1979-09-07 1981-04-18
KR970065197A (ko) * 1996-03-04 1997-10-13 한승준 자동차용 릴레이(relay) 탈거수단
JP2004535119A (ja) * 2001-06-28 2004-11-18 グリーン トゥイード オブ デラウエ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蔵型センサ装置
US20100182150A1 (en) * 2006-10-16 2010-07-22 Carmel Container Systems Ltd. Rfid tags system for pallets
KR101169754B1 (ko) 2009-08-17 2012-07-30 정택수 자전거용 위치추적장치
KR101454908B1 (ko) * 2013-01-29 2014-10-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2744A (ko) * 2014-07-25 2016-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1454A1 (ko) 2019-11-21
KR102611690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30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CN107924478B (zh) 识别模块
KR0184913B1 (ko) 부품용 트레이 및 트레이내에 부품을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한 장치
US20110132789A1 (en) Tra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workpieces
KR20190130282A (ko) 트랙커 어셈블리, 트랙커 탈거장치 및 트랙커 어셈블리로부터 트랙커를 탈거하는 방법
KR101687141B1 (ko) 패널 운반장치
US20190006641A1 (en) Battery-fix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207673B1 (ko) 팔레트용 rfid 태그 홀더 및 이를 가지는 팔레트
US10573158B2 (en) Radio equipment
KR101547177B1 (ko) 웨이퍼 보관 용기
JP4765466B2 (ja) Icタグの取付構造及びicタグ収容容器
JPH0755740Y2 (ja) 電気機器
CN112638783A (zh) 用于负载载体的壳体单元
US20050155942A1 (en) Remote control holder
US20030213716A1 (en) Wafer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
CN210837151U (zh) 一种便携式蜂鸣器
KR200342507Y1 (ko) 웨이퍼 보관용기
US11009377B2 (en) Measuring apparatus
JP2008001409A (ja) 収納用トレー
US20070119746A1 (en) Carrier tape with anti-mismating device
EP1001651A2 (en) Sounding-body holding device
KR200446867Y1 (ko) 덮개 및 이를 이용한 파렛트
US20240039105A1 (en) Battery Caddy Having Magnetic Retaining Feature
JP2002068288A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
JPH0379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