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19A -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 Google Patents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19A
KR20190129119A KR1020197031609A KR20197031609A KR20190129119A KR 20190129119 A KR20190129119 A KR 20190129119A KR 1020197031609 A KR1020197031609 A KR 1020197031609A KR 20197031609 A KR20197031609 A KR 20197031609A KR 20190129119 A KR20190129119 A KR 2019012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rd
use form
artic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516B1 (ko
Inventor
아키라 시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ublication of KR2019012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10Supports or holders for show-c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2Foldable card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04Folded cards
    • G09F1/06Folded cards to be erected in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ag Fram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Wrapp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공한다.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를 갖는다.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시트형의 본체(2)와, 본체(2)의 구멍부(3)에 삽통되는 코드(4)를 구비하고 있다.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본 발명은,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를 갖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상적으로, 다양한 시트형 물품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신사나 사원에 기원할 때, 혹은, 기원한 바램이 이루어져 그 사례를 할 때, 신사나 사원에 봉납하기 위한 시트형 물품으로서 에마(繪馬)가 사용된다. 또한, 자신의 성명이나 소속이나 연락처 등을 나타낼 때, 타인에게 건네 주기 위한 시트형 물품으로서 명함이 사용된다. 또한, 자신의 성명을 나타낼 때, 본인이 착용하는 등 시트형 물품으로서 명찰이 사용된다. 또한, 책의 페이지에 표시를 할 때, 읽고 있는 페이지에 끼우기 위한 시트형 물품으로서 서표가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 이들의 시트형 물품(예를 들면 에마)에도, 다양한 창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12148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9-268758호 공보
하지만, 종래의 시트형 물품의 사용 형태는 하나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은, 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를 갖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이고, 상기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은, 시트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복수의 구멍부에 삽통되는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 상기 제2사용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1사용 형태로 사용하고 있을 때,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본체는, 제1의 시트와, 상기 제1의 시트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2의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이 대향하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이 대향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2개의 시트(제1의 시트와 제2의 시트)로 본체가 구성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과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이 대향하는 제1사용 형태에서,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과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이 대향하는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1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의 구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3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3의 구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1사용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2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3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4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사용 형태에 있어서, 코드가, 제1의 구멍부에서,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2의 구멍부에서,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고, 제3의 구멍부에서,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4의 구멍부에서,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와 상기 제2의 시트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펼쳐진 상태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본체의 제1의 시트와 제2의 시트가 연결되어 있고,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본체가 닫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본체가 펼쳐진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닫힌 상태로 풀로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밀봉이 해제되어 상기 본체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사용 형태에서는, 본체가 닫힌 상태로 풀로 밀봉되어 있고,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밀봉이 해제되고, 본체가 펼쳐진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본체는, 접을 수 있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저면부는 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저면부는 평면적으로 전개된 상태가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본체가 저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저면부가 접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저면부가 평면적으로 전개된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서는, 상기 본체는, 접을 수 있는 팝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팝업부는 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팝업부는 입체적으로 전개된 상태가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본체가 팝업부를 구비하고 있고,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팝업부가 접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팝업부가 입체적으로 전개된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제1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제2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에마, 명함, 명찰, 서표, 젓가락 커버 등에 사용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경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시트형의 본체(2)와, 본체(2)의 복수의 구멍부(3)에 삽통되는 코드(4)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형의 본체(2)는, 연소성(태울 수 있는 특성)/내수성(물에 강한 특성)/필기성(연필이나 펜 등으로 문자 등을 쓸 수 있는 특성)/내구성(쉽게 찢어지지 않는 특성)을 구비한 재료(예를 들면, 스톤 페이퍼 등)로 만들어져 있다.
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를 갖고 있고,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제1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사용 형태는, 예를 들면, 일상적인 사용 형태고, 도 2의 예에서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본체(2)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고, 에마(혹은, 부적)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제2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사용 형태는, 예를 들면, 비일상적인 사용 형태고, 도 3의 예에서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본체(2)가 펼쳐진 상태로 되어 있고, 하트형 장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본체(2)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의 시트(2A)와, 제1의 시트(2A)와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2의 시트(2B)로 구성되어 있고,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는 하부(도 1에 있어서의 하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는 상부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가 상부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1의 구멍부(3A)가 마련되고,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1의 구멍부(3A)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의 구멍부(3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3의 구멍부(3C)가 마련되고,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3의 구멍부(3C)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의 구멍부(3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제1사용 형태의 상태)에서는, 코드(4)가, 제1의 구멍부(3A)에서,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2의 구멍부(3B)에서,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고, 또한, 제3의 구멍부(3C)에서,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4의 구멍부(3D)에서,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삽통한 코드(4)를 양측에서 당기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은, 제1사용 형태(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내측면과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내측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제2사용 형태(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외측면과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외측면이 대향한 상태)로 변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에 의하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제1사용 형태로 사용하고 있을 때,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코드(4)를 양측에서 당기는 것에 의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2개의 시트(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로 본체(2)가 구성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내측면과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내측면이 대향하는 제1사용 형태에서,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외측면과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외측면이 대향하는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 형태에 있어서, 코드(4)가, 제1의 구멍부(3A)에서,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2의 구멍부(3B)에서,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고, 제3의 구멍부(3C)에서, 제2의 시트(2B)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제4의 구멍부(3D)에서, 제1의 시트(2A)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을 제1사용 형태에서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1)의 본체(2)의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가 연결되어 있고,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본체(2)가 닫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본체(2)가 펼쳐진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목적에 따라 변경/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에서는, 시트형의 본체(2)에 2개의 구멍부(3)(즉,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에 각각 2개의 구멍부(3))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형의 본체(2)에 3개 이상의 구멍부(즉, 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에 각각 3개 이상의 구멍부(3))를 마련해도 동일하게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의 본체(2)에 3개의 구멍부(3)를 마련해도 좋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의 본체(2)에 4개의 구멍부(3)를 마련해도 좋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의 본체(2)에 5개의 구멍부(3)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시트형의 본체(2)에 6개 이상의 구멍부(3)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원형이어도 좋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정방형이어도 좋고,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삼각형이어도 좋고,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산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오각형이어도 좋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별 모양이어도 좋고,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6각형이어도 좋고,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형상은, 꽃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사용 형태에서는, 본체(2)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2)(제1의 시트(2A)와 제2의 시트(2B))의 좌우 양측의 변부의 내측면이 풀로(도 7에 있어서 해칭으로 도시)에서 밀봉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밀봉이 해제되고, 본체(2)가 펼쳐진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는, 접을 수 있는 저면부(5)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저면부(5)는, 제1사용 형태에서는, 접힌 상태로 본체(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저면부(5)가 접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저면부(5)가 평면적으로 전개된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는, 접을 수 있는 팝업부(6)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팝업부(6)는, 제1사용 형태에서는, 접힌 상태로 본체(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4)를 당기는 것에 의해, 팝업부(6)가 접힌 상태의 제1사용 형태에서, 팝업부(6)가 입체적으로 전개된 상태의 제2사용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은, 2개의 사용 형태(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예를 들면, 다른 사용 형태를 갖는 에마, 명함, 명찰, 서표, 젓가락 커버 등으로서 사용되고, 유용하다.
1: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2: 본체
2A: 제1의 시트
2B: 제2의 시트
3: 구멍부
3A: 제1의 구멍부
3B: 제2의 구멍부
3C: 제3의 구멍부
3D: 제4의 구멍부
4: 코드
5: 저면부
6: 팝업부

Claims (7)

  1. 제1사용 형태와 제2사용 형태를 갖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이고,
    상기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은, 시트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복수의 구멍부에 삽통되는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 상기 제2사용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의 시트와, 상기 제1의 시트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2의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이 대향하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이 대향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1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의 구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3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3의 구멍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4의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1사용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2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3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2의 시트의 단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삽통되고,
    상기 제4의 구멍부에서, 상기 제1의 시트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삽통되어 있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시트와 상기 제2의 시트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펼쳐진 상태인,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본체가 닫힌 상태로 풀로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밀봉이 해제되어 상기 본체가 펼쳐진 상태가 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을 수 있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저면부는 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저면부는 평면적으로 전개된 상태가 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을 수 있는 팝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팝업부는 접힌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사용 형태에서는, 상기 팝업부는 입체적으로 전개된 상태가 되는,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KR1020197031609A 2017-05-12 2017-05-12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KR102397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8101 WO2018207364A1 (ja) 2017-05-12 2017-05-12 紐付きシート状グッ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19A true KR20190129119A (ko) 2019-11-19
KR102397516B1 KR102397516B1 (ko) 2022-05-13

Family

ID=6410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609A KR102397516B1 (ko) 2017-05-12 2017-05-12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23167A4 (ko)
KR (1) KR102397516B1 (ko)
CN (1) CN110520305B (ko)
WO (1) WO201820736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57548A (fr) * 1939-03-31 1940-09-17 Le Novateur Dispositif de présentation de marchandises factices
US2344723A (en) * 1942-07-18 1944-03-21 Paper Novelty Mfg Co Expanding ornament
DE3011149A1 (de) * 1980-03-22 1981-10-01 Con-tas Werbegesellschaft mbH & Co KG, 8500 Nürnberg Werbetraeger in form eines prismas
JP3093108U (ja) * 2002-09-18 2003-04-18 光洋 小林 時間短縮携帯袋
JP2004121483A (ja) 2002-10-01 2004-04-22 Yoshinori Yamada 絵馬
JP2009268758A (ja) 2008-05-08 2009-11-19 Okui Kk 工夫絵馬
JP2011120808A (ja) * 2009-12-14 2011-06-23 Yoshio Watanabe 引き寄せ背負い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16917Y (zh) * 1994-04-27 1996-01-10 王世宏 会动的立体贺卡
JP3093108B2 (ja) * 1994-08-02 2000-10-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圧入パンチ
JP2008279186A (ja) * 2007-05-14 2008-11-20 Imekkusu Kk 買い物袋
JP2012126440A (ja) * 2010-12-17 2012-07-05 Fuji Shiko Kk 手提げ袋
CN203028351U (zh) * 2012-10-29 2013-07-03 上海东王子包装有限公司 一种手提袋
JP6366345B2 (ja) * 2014-05-03 2018-08-01 共同紙工株式会社 紐付き袋体
CN204488246U (zh) * 2014-11-28 2015-07-22 赵雨诺 支架书签
CN205891518U (zh) * 2016-01-09 2017-01-18 周婷婷 一种拉绳组合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57548A (fr) * 1939-03-31 1940-09-17 Le Novateur Dispositif de présentation de marchandises factices
US2344723A (en) * 1942-07-18 1944-03-21 Paper Novelty Mfg Co Expanding ornament
DE3011149A1 (de) * 1980-03-22 1981-10-01 Con-tas Werbegesellschaft mbH & Co KG, 8500 Nürnberg Werbetraeger in form eines prismas
JP3093108U (ja) * 2002-09-18 2003-04-18 光洋 小林 時間短縮携帯袋
JP2004121483A (ja) 2002-10-01 2004-04-22 Yoshinori Yamada 絵馬
JP2009268758A (ja) 2008-05-08 2009-11-19 Okui Kk 工夫絵馬
JP2011120808A (ja) * 2009-12-14 2011-06-23 Yoshio Watanabe 引き寄せ背負い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364A1 (ja) 2018-11-15
CN110520305A (zh) 2019-11-29
KR102397516B1 (ko) 2022-05-13
EP3623167A4 (en) 2020-12-16
CN110520305B (zh) 2022-04-12
EP3623167A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3921A1 (en) Pop-up card with a removable notecard
US5116648A (en) Christmas tree ornament
KR20190129119A (ko) 코드를 구비하는 시트형 물품
USD693564S1 (en) Walking stick
JP6706540B2 (ja) 紐付きシート状グッズ
KR200476994Y1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TWI738779B (zh) 附繩線之片狀物品
KR200475848Y1 (ko) 포스트잇 유형의 메모 견출지
US20060096110A1 (en) Tool for writing straight lines
JP3181877U (ja) 筆記具保持具および携帯用保持具付筆記具
JP6261912B2 (ja) 遮蔽部付き付箋
JP3141144U (ja) 名刺
JP2007276431A (ja) 一片の平面印刷物による立体表現方法
JP6426653B2 (ja) 書道用模写シート
JP3120350U (ja) ポップアップブック
JP3203446U (ja) 付箋
CN202782246U (zh) 一种新型拉卡书
JP3139441U (ja) 雛壇インデックス紙
PL20384S2 (pl) Znak graficzny centrum edukacji
KR200213024Y1 (ko) 명찰 및 장식 겸용 아이디 카드
US8333594B2 (en) Display having a 3D aesthetic component attached thereto
KR101426286B1 (ko) 필기 시트가 제본 구성된 문자 학습장
KR20160000713U (ko) 책표지
KR20170102400A (ko) 독서용 자
KR20090002036U (ko) 필기구용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