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941A -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 Google Patents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941A
KR20190128941A KR1020180053329A KR20180053329A KR20190128941A KR 20190128941 A KR20190128941 A KR 20190128941A KR 1020180053329 A KR1020180053329 A KR 1020180053329A KR 20180053329 A KR20180053329 A KR 20180053329A KR 20190128941 A KR20190128941 A KR 2019012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wder
ejector
coupling portion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081B1 (ko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이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용 filed Critical 이태용
Priority to KR102018005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0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를 이송하는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입구몸체와 배출구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가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에어의 인입 구조를 가지는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써, 이젝터의 주입구몸체와 배출구몸체의 관통부를 관통하며 이송되는 분체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상기 주입구몸체의 일 측에 에어인입부를 구성한 후, 상기 에어인입부에서 관통부로 인입되는 에어가 일정 각도를 가지며 인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Ejector for conveying powder which improves conveyance of powder by introducing air}
본 발명은 분체를 이송하는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입구몸체와 배출구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가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에어의 인입 구조를 가지는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이젝터(Ejector)는 노즐로부터 높은 유속으로 분사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저압의 유체를 고압으로 변화시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젝터는 작동 유체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노즐부와, 이송하고자 하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유체가 고압으로 배출되는 디퓨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젝터는 노즐부와 흡입부가 서로 중첩이 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주물 가공을 하거나, 또는 NC 가공 시에는 여러 부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조립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이젝터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번호 제10-2011-0101295호의 '이젝터'와, 등록번호 제10-1559812호의 '진공펌프용 이젝터'와, 등록번호 제20-0207461호의 '분체 자동 이송장치' 및 등록번호 제20-0419753호의 '분체이송용 에어로더'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이젝터의 주입구몸체와 배출구몸체의 관통부를 관통하며 이송되는 분체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상기 주입구몸체의 일 측에 에어인입부를 구성한 후, 상기 에어인입부에서 관통부로 인입되는 에어가 일정 각도를 가지며 인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분체 이송용 이젝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해 분체가 이송되는 주입구몸체와 배출구몸체로 구성된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몸체와 연결되는 주입구몸체의 일 측에는 배출구몸체와 상호 연결을 이루는 주입결합부와, 상기 주입결합부에서 관통부가 형성된 내측에 형성되되 배출구몸체의 일 측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주입결합부의 일 측에 구성되되 에어가 인입되는 에어인입부가 구성되고, 상기 주입구몸체와 연결되는 배출구몸체의 일 측에는 주입구몸체의 주입결합부와 연결되는 배출결합부와, 상기 주입결합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따르면, 분체를 이젝터의 관통부를 통해 이송함에 있어 주입구몸체의 일 측에 구성된 에어인입부를 통해 인입되는 에어로 분체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상기 에어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인입되어 분체의 이송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체 이송용 이젝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주입구몸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배출구몸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는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부(h)가 각각 형성된 주입구몸체(100)와 배출구몸체(20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관통부(h)를 통해 분체가 이송되는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몸체(100)에는 일 측에 상기 배출구몸체(200)와 상호 연결을 이루는 주입결합부(110)와, 상기 주입결합부(110)에서 관통부(h)가 형성된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몸체(200)의 일 측 끝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몸체(200)에는 일 측에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주입결합부(110)와 상호 연결을 이루는 배출결합부(210)와,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결합부(11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에어가 인입되는 에어인입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결합부(110)와 배출결합부(210)가 상호 연결 시, 상기 삽입홈(120)과 돌출부(220) 사이에 에어인입부(300)를 통해 인입되는 에어가 위치되는 에어위치로(310)와, 상기 에어위치로(310)의 에어를 관통부(h)로 배출하도록 돌출부(220)의 끝부와 인접되는 삽입홈(120)의 바닥면 사이에는 에어배출로(3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 또는 돌출부(220)의 끝부 또는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과 돌출부(220)의 끝부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에는 돌출부(220)의 끝부와 닿도록 돌출을 이루는 제 1배출관로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20)의 끝부에는 삽입홈(120)의 바닥면과 닿도록 돌출을 이루는 제 2배출관로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분체를 이송하는 이젝터는 주입구몸체(100)와 배출구몸체(200)로 각각 구성되며 분체가 이송되도록 내부는 관통부(h)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몸체(100)와 배출구몸체(200)는 주입결합부(110)와 배출결합부(210)로 상호 연결된다.
주입구몸체(100)는 주입결합부(110)와, 삽입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결합부(110)는 배출구몸체(200)의 일 측과 상호 연결을 이루는 전체 부분이고, 상기 삽입홈(120)은 주입결합부(110)에서 관통부(h)가 형성되는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몸체(200)의 일 측 끝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배출구몸체(200)는 배출결합부(210)와 돌출부(220)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결합부(210)는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일 측과 상호 연결을 이루는 전체부분으로 상기 주입결합부(110)와 연결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삽입홈(120)에 삽입하는 부분이다.
에어인입부(300)는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주입결합부(110)에 구성되되 외부로부터 에어가 인입된다.
상기 에어인입부(300)에는 에어위치로(310)와 에어배출로(32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위치로(310)는 에어인입부(300)를 통해 인입되는 에어가 위치되는 것으로써, 삽입홈(120)의 내주 크기가 돌출부(220)의 외주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20)의 내주와 돌출부(220)의 외주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상기 에어가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인입부(300)에서 인입되는 에어를 에어위치로(310)로 이송하는 이송관로는 상기 에어위치로(310)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이는 에어인입부(300)에서 인입되는 에어의 압력으로 인해 에어위치로(310)로 이송하는 에어의 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배출로(320)는 에어위치로(310)에 위치되는 에어가 에어인입부(300)에서 인입되는 에어의 압력으로 인해 관통부(h)로 배출하는 관로로써, 돌출부(220)의 끝부와 인접되는 삽입홈(120)의 바닥면 사이로 에어가 배출하는 관로이다.
상기 에어배출로(320)는 삽입홈(120)의 바닥면 또는 돌출부(220)의 끝부 또는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과 돌출부(220)의 끝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각은 관통부(h)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이룬다.
상기 경사각의 각도는 20도에서 70도 사이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에어의 배출을 위해 30~45도의 각도가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각도이다.
제 1배출관로부는 삽입홈(120)의 바닥면에 돌출을 이루어 관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돌출은 배출구몸체(200)의 돌출부(220) 끝부와 닿도록 돌출된다.
이로 인해 에어위치로(310)의 에어는 제 1배출관로부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제 2배출관로부는 돌출부(220)의 끝부에 돌출을 이루어 관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돌출은 주입구몸체(100)의 삽입홈(120) 바닥면과 닿도록 돌출된다.
이로 인해 에어위치로(310)의 에어는 제 2배출관로부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 에어배출로(320)와 제 1, 2배출관로부는 에어가 관통부(h)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이는 에어위치로(310)에서 인입되는 에어의 압력으로 인해 관통부(h)로 이송하는 에어의 속도를 상승시켜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체를 이젝터의 관통부를 통해 이송함에 있어 주입구몸체의 일 측에 구성된 에어인입부를 통해 인입되는 에어로 분체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상기 에어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인입되어 분체의 이송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 : 이젝터
100 : 주입구몸체 110 : 주입결합부
120 : 삽입홈
200 : 배출구몸체 210 : 배출결합부
220 : 돌출부
300 : 에어인입부 310 : 에어위치로 320 : 에어배출로

Claims (3)

  1.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부(h)가 각각 형성된 주입구몸체(100)와 배출구몸체(20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관통부(h)를 통해 분체가 이송되는 분체 이송용 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몸체(100)에는 일 측에 상기 배출구몸체(200)와 상호 연결을 이루는 주입결합부(110)와, 상기 주입결합부(110)에서 관통부(h)가 형성된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몸체(200)의 일 측 끝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몸체(200)에는 일 측에 상기 주입구몸체(100)의 주입결합부(110)와 상호 연결을 이루는 배출결합부(210)와,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결합부(11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에어가 인입되는 에어인입부(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결합부(110)와 배출결합부(210)가 상호 연결 시, 상기 삽입홈(120)과 돌출부(220) 사이에 에어인입부(300)를 통해 인입되는 에어가 위치되는 에어위치로(310)와, 상기 에어위치로(310)의 에어를 관통부(h)로 배출하도록 돌출부(220)의 끝부와 인접되는 삽입홈(120)의 바닥면 사이에는 에어배출로(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 또는 돌출부(220)의 끝부 또는 상기 삽입홈(120)의 바닥면과 돌출부(220)의 끝부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KR1020180053329A 2018-05-09 2018-05-09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KR10213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29A KR102133081B1 (ko) 2018-05-09 2018-05-09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29A KR102133081B1 (ko) 2018-05-09 2018-05-09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41A true KR20190128941A (ko) 2019-11-19
KR102133081B1 KR102133081B1 (ko) 2020-07-10

Family

ID=6877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29A KR102133081B1 (ko) 2018-05-09 2018-05-09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0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100A (ja) * 1983-06-08 1984-12-22 Masaru Takagi 輸送用エアノズル加速器
JPH11106052A (ja) * 1997-10-08 1999-04-20 Yamaha Motor Co Ltd 金属加工切屑の搬送装置
JPH11106051A (ja) * 1997-10-06 1999-04-20 Karasawa Fine:Kk 粒状体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100A (ja) * 1983-06-08 1984-12-22 Masaru Takagi 輸送用エアノズル加速器
JPH11106051A (ja) * 1997-10-06 1999-04-20 Karasawa Fine:Kk 粒状体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H11106052A (ja) * 1997-10-08 1999-04-20 Yamaha Motor Co Ltd 金属加工切屑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081B1 (ko)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835B1 (ko) 비접촉식 진공패드
KR20190128941A (ko) 에어의 인입으로 분체의 이송을 개선한 분체 이송용 이젝터
KR101279458B1 (ko) 유체 증폭기
JPH10141299A (ja) 粉体噴出用エゼクタ
JPH11270799A (ja) 流体噴射装置
KR20110101295A (ko) 이젝터
KR20130050347A (ko) 파우더 운반 주입기를 위한 제트 수용 노즐 및 파우더 운반 주입기
JP3938394B2 (ja) エジェクタ
CN214196799U (zh) 一种非能动流体输送泵及非能动流体输送系统
JP4566430B2 (ja) 成形用金型
JP3773469B2 (ja) 移送駆動装置
JP2015101957A (ja) エジェクタ
US316804A (en) messinqer
KR200496271Y1 (ko)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CN214742399U (zh) 一种多喷嘴复合式引射器
CN211517182U (zh) 一种多束混合水射流集成喷砂枪
KR20160112669A (ko) 모래 이송 장치
CN203380071U (zh) 一种内部集成清理装置的粉泵
JP5799136B2 (ja) 搬送管連結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紙葉類搬送装置
CN111302068A (zh) 送料装置
JP6451330B2 (ja) 部品供給装置
CN110899054B (zh) 汲取器、汲取装置及涂布系统
KR200210393Y1 (ko) 액체 이젝터 장치
KR102300564B1 (ko)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된 진공 이젝터
KR101279018B1 (ko) 유체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