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71Y1 -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71Y1
KR200496271Y1 KR2020210001226U KR20210001226U KR200496271Y1 KR 200496271 Y1 KR200496271 Y1 KR 200496271Y1 KR 2020210001226 U KR2020210001226 U KR 2020210001226U KR 20210001226 U KR20210001226 U KR 20210001226U KR 200496271 Y1 KR200496271 Y1 KR 200496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pe
air
compressed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566U (ko
Inventor
조홍래
Original Assignee
조홍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래 filed Critical 조홍래
Priority to KR2020210001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7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유로관부가 마련된 본체, 본체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외부에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를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과 연결시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공기유입유로부가 마련된 공기공급챔버를 포함하며, 연결유로관부는,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선측 압력증대관,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후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후측 압력증대관, 선측 압력증대관과 후측 압력증대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선측은 선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고, 후측은 후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며, 선측 압력증대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 상태로 후측 압력증대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선측에서 후측으로 직경이 좁아진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추리 형태를 가지는 중간 연결관을 포함하는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Suction device for ship cleaning}
본 고안은, 선박의 건조시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나 바닥에 고인 잔수를 흡입 배출되게 하는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과 같은 크기가 큰 작업대상 구조물은 야외에서 도장, 건조, 용접 등 여러 가지 작업이 실행된다.
그런데, 작업 대상물인 선박 구조물의 바닥면에는 작업시에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나 장마 또는 폭우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빗물이 고이게 된다. 이러한, 쓰레기나 빗물과 같은 잔수는 선박의 건조 작업에 방해가 되거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바 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 구조물의 바닥에 있는 쓰레기나 빗물과 같은 잔수의 제거는, 청소용 흡입장치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데, 이러한, 청소용 흡입장치는 펌프로 고속의 공기를 호스 내측으로 공급하여 배출되게 하면서 호스 내부를 진공이 되게 하면서 쓰레기나 잔수의 흡입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청소용 흡입장치는, 펌프의 공기 공급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각종 쓰레기에 대한 흡입 배출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나, 잔수와 같은 유체의 경우에는 흡입력이 약해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5303호(2015.01.14)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선박의 건조시 발생되는 각종 쓰레기와 더불어 바닥면에 고인 잔수와 같은 유체도 안정적인 배출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유로관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외부에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를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과 연결시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공기유입유로부가 마련된 공기공급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로관부는, 선측이 유입구의 후단에 연결되며,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선측 압력증대관, 후측이 배출구의 선단에 연결되며,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후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후측 압력증대관,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과 후측 압력증대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선측은 선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고, 후측은 후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며, 선측 압력증대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 상태로 후측 압력증대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선측에서 후측으로 직경이 좁아진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추리 형태를 가지는 중간 연결관을 포함하는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선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과 본체 내주면 사이에 저장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선측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 압력증대관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후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과 본체 내주면 사이에 저장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후측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직경이 좁아진 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츄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유로부는, 상기 공기공급챔버의 내측에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 저장하는 공기저장유로, 상기 공기저장유로의 선측을 연결유로관부의 선측에 연결시켜, 공기저장유로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의 선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선측 분기공급유로, 상기 공기저장유로의 후측을 연결유로관부의 후측에 연결시켜, 공기저장유로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의 후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후측 분기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챔버의 선측과 후측에는 공기저장유로의 선측과 후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어, 선측 분기공급유로 및 후측 분기공급유로에 외부의 압축 공기를 추가로 공급되게 하는 추가공기공급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는, 본체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선측 압력증대관과 후측 압력증대관 및 중간 연결관으로 구성된 연결유로관부로 연결하고, 공기공급챔버는 펌프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공기를 선측 압력증대관과 후측 압력증대관으로 각각 다시 압축상태를 증폭시켜 공급되게 하면서 중간 연결관 및 배출구에서의 압축 공기 이동 속도를 동시에 증대되게 하는 바, 유입구를 통한 흡입 압력의 증폭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흡입대상물의 흡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는, 본체(100), 공기공급챔버(200)를 구비한 상태로 선박의 바닥면에 있는 각종 쓰레기나 잔수와 같은 유체를 포함하는 흡입대상물을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호스(도면미도시)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별도로 구비된 펌프(도면미도시)에서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내부의 음압 형성에 의해 진공 흡입력이 발생되게 한다.
상기 본체(100)는 펌프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면서 음압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0)는 이후 설명될 공기공급챔버(200)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다시 외부로 배출 이동시키면서 음압이 형성되게 하여 흡입력을 발생되게 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흡입대상물이 유입되는 선측에는 유입구(110)가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흡입대상물이 배출되는 후측에는 배출구(120)가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에는 호스를 각각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선단에는 유입구(110)를 호스와 연결되게 하는 흡입포트(110a)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후단에는 배출구(120)를 호스와 연결되게 하는 배출포트(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10)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호스를 통해 유입된 후 이후 설명될 연결유로관부(130)로 유입 이동하는 흡입대상물의 이동 속도를 증대되게 한다. 그리고, 배출구(120)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중앙부분까지 직경이 좁아진 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츄리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유로관부(130)에서 배출 이동하는 흡입대상물 및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대되게 한다. 또한,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의 내주면에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으로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흡입대상물 및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대시켜 유입구(110)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을 증폭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관부(130)를 구비한다. 즉,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은 유입구(110)의 후측에 연결되고, 연결유로관부(130)의 후측은 배출구(120)의 선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유로관부(130)는 공기공급챔버(200)로부터 공급된 후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빨라지게 하여, 유입구(110)에서의 흡입력이 증대되게 하면서 호스를 통한 흡입대상물의 흡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연결유로관부(130)는 선측 압력증대관(131), 후측 압력증대관(132), 중간 연결관(133)을 포함한다.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131)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중간 연결관(133)으로 전달되게 하면서 중간 연결관(133)을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되게 한다. 즉, 선측 압력증대관(131)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 선측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선측압력증대관(131)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선측 압력증대관(131)은 길이방향 양측을 개방시킨 관 구조를 가지며,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선측은 유입구(110)의 후단에 연결상태로 결합되고,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후측은 중간 연결관(133)의 선측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후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선측 압력증대공(131a)이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선측 압력증대공(131a)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선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선측 압력증대공(131a)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선측 압력증대관(131) 내측을 통해 이동하는 압축 공기 및 흡입대상물이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선측 압력증대관(131) 외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선측 압력증대공(131a)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원주방향으로도 경사지게 형성시켜,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으로 배출된 압축 공기가 나선형의 회전 흐름을 가지게 하면서 압축 공기의 압력을 더욱 증대시킨 상태로 중간 연결관(133)으로 전달되게 하는 바, 중간 연결관(133)을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더욱 증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마주보게 한 쌍의 선측 격벽(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측 격벽(131b)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저장상태로 압축되게 한 후,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선측 압력증대관(131)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바,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선측 압력증대관(131) 내측으로 이동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후측 압력증대관(132)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배출구(120)로 전달되게 하면서 배출구(120)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되게 한다. 즉, 후측 압력증대관(132)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 후측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배출구(120)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후측 압력증대관(131)은 길이방향 양측을 개방시킨 관 구조를 가지며,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선측은 중간 연결관(133)의 후단에 연결상태로 결합되고,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후측은 배출구(120)의 선측에 연결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후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후측 압력증대공(132a)이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후측 압력증대공(132a)은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선측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측 압력증대공(132a)은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을 통해 이동하는 압축 공기 및 흡입대상물이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후측 압력증대관(132) 외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후측 압력증대공(132a)은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원주방향으로도 경사지게 형성시켜,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측으로 배출된 압축 공기가 나선형의 회전 흐름을 가지게 하면서 압축 공기의 압력을 더욱 증대시킨 상태로 배출구(120)로 전달되게 하는 바, 배출구(120)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더욱 증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마주보게 한 쌍의 후측 격벽(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측 격벽(132b)은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외주면과 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저장상태로 압축되게 한 후,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바,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으로 이동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연결관(133)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 상태로 후측 압력증대관(132) 방향으로 토출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중간 연결관(133)은 길이방향 양측을 개방시킨 관 구조를 가지며,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후측 압력증대관(132) 사이를 연결하도록 중간 연결관(133)의 선측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후단에 연결되게 결합하고, 중간 연결관(133)의 후측은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선단에 연결되게 결합한다. 이때, 중간 연결관(133)은 선측 압력증대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 상태로 후측 압력증대관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면서 본체(100)의 유입구(110)에서의 흡입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 부분까지는 선측에서 후측으로 내주면 직경이 좁아진 후 다시 내주면 직경이 넓어지는 벤츄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본체(100)의 연결유로관부(130)는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를 통해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되게 할 때, 선측 압력증대관(131) 내측과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에 압력을 증폭시킨 상태로 공급되게 하면서 선측 압력증대관(131) 내측과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을 통해 이동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다. 더불어, 중간 연결관(133)은 선측 압력증대관(131)으로부터 전달받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다시 한 번 증대되게 하면서 본체(100)의 유입구(1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크게 증폭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연결유로관부(130)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주면과,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주면 및, 중간 연결관(133)의 내주면에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으로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흡입대상물 및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대시켜 유입구(110)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을 증폭시킬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0)의 하단에는 본체(100)의 선박 바닥면에 고정이 필요한 경우, 자력을 통해 고정되게 하도록 자력부재가 마련된 고정지지대(101)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본체(100)의 선박 바닥면에서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동휠(미도시)을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챔버(200)는 본체(100)이 연결유로관부(130)의 외부에 배치된 펌프로부터 공급받는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즉, 공기공급챔버(200)는 펌프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저장한 후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압력증대관(131) 및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각각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공기공급챔버(200)는 본체(100)에 연결되게 결합 설치한다. 이때, 공기공급챔버(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하나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0)를 중심으로 본체(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을 연결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는데, 공기공급챔버(200)를 하나 설치할 때보다 한 쌍을 설치할 경우, 본체(100)로의 압축 공기 공급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입구(110)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 압력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챔버(200)의 일측에는 외부의 펌프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공급챔버(2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펌프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공급챔버(200)의 내측에는 공기유입구(210)를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및 후측과 연결시켜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공기유입유로부(220)를 구비한다. 더불어, 공기유입구(210)에는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공급제어밸브(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입유로부(220)는 공기저장유로(221), 선측 분기공급유로(222), 후측 분기공급유로(22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저장유로(221)는 공기유입구(210)와 연결되어 공기유입구(210)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압축공기가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유로이다. 이러한, 공기저장유로(221)는 공기공급챔버(200)의 내측에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유입구(210)는 공기저장유로(221)의 중앙 부분에 수직상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선측 분기공급유로(222)는 공기저장유로(221)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유로이다. 즉, 선측 분기공급유로(222)는 공기저장유로(231)의 선측에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압력증대관(131)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선측 분기공급유로(222)의 길이방향 일단은 공기저장유로(221)의 선측에 연결되고, 선측 분기공급유로(222)의 길이방향 타단은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측 분기공급유로(223)는 공기저장유로(221)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130)의 후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유로이다. 즉, 후측 분기공급유로(223)는 공기저장유로(231)의 후측에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130)의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후측 분기공급유로(223)의 길이방향 일단은 공기저장유로(221)의 후측에 연결되고, 후측 분기공급유로(223)의 길이방향 타단은 연결유로관부(130)의 후측 압력증대관(1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챔버(200)의 선측과 후측에는 공기저장유로(221)의 선측과 후측으로 각각 외부의 펌프를 통해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는 추가공기공급구(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공기공급구(224)는 공기저장유로(221)의 선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공기공급챔버(200)에 형성된다. 그리고, 추가공기공급구(224)에는 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연결상태로 설치하여, 펌프로부터 압축 공기를 전달받게 된다. 이때, 추가공기공급구(224)에는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추가공급조절밸브(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공급조절밸브는 본체(100)의 유입구(110)에서 발생되는 흡입 압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추가공기공급구(224)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공기공급구(224) 중 공기저장유로(221)의 선측에 배치된 추가공기공급구(224)는 후측 압력증대관(132)보다 선측 압력증대관(131)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폭되게 한다. 그리고, 추가공기공급구(224) 중 공기저장유로(221)의 후측에 배치된 추가공기공급구(224)는 선측 압력증대관(131)보다 후측 압력증대관(131)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폭되게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에는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 선측에서 연결유로관부(130)의 선측 압력증대관(131)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 중 일부의 압축 공기를 중간 연결관(133)의 직경이 가장 작은 중앙 부분으로 공급되게 하도록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중간 연결관(133)을 연결하는 제1공기 공급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체(100)에는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유로부(220) 후측에서 연결유로관부(130)의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 중 일부의 압축 공기를 배출구(120)의 직경이 가장 작은 중앙 부분으로 공급되게 하도록 후측 압력증대관(132)과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제2공기 공급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공기 공급로(140)는 중간 연결관(133)의 중앙 부분에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공급되게 하면서 중간 연결관(133)을 이동하는 흡입대상물 및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대시켜 유입구(110)에서의 흡입 압력을 증폭시킬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제2공기 공급로(150)는 배출구(120)의 중앙 부분에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공급되게 하면서 배출구(12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대상물 및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를 증대시켜 유입구(110)에서의 흡입 압력을 증폭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의 흡입대상물에 대한 흡입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공급챔버(200)의 공기유입구(210)를 통해 펌프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가 공기유입유로부(220)로 공급 저장된다. 그러면, 공기유입유로부(220)의 선측 분기공급유로(222)를 통해 본체(100)의 선측 압력증대관(131)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됨과 더불어 후측 분기공급유로(223)를 통해 본체(100)의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압축 공기는 선측 분기공급유로(222) 및 후측 분기공급유로(223)를 통해 압축상태로 공급된 후, 선측 압력증대공(131a) 및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다시 압축상태로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 및 후측 압력증대관(132) 내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연결유로관부(130)의 중간 연결관(133)으로 이동되고, 중간 연결관(133)을 통과하면서 벤츄리 효과를 통해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가 증대되면서 유입구(110)를 통한 흡입 압력을 1차로 증폭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배출구(120)로 이동되고, 배출구(120)를 통과하면서 벤츄리 효과를 통해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가 증대되면서 흡입 압력이 중간 연결관(133) 및 선측 압력증대관(131)에서 유입구(110)로 전달되는 바, 유입구(110)를 통한 흡입 압력을 2차로 증폭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131)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선측 압력증대공(131a)을 통해 압력이 증대되고, 후측 압력증대관(132)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후측 압력증대공(132a)을 통해 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중간 연결관(133) 및 배출구(120)에 이동되는 바, 벤츄리 효과에 의한 압축 공기의 이동 속도 증대율이 더욱 높아지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연결유로관부(130)에서의 압축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대시켜 유입구(110)에서의 흡입 압력을 더욱 증폭시키고자 할 경우, 공기공급챔버(200)의 추가공기공급구(224)를 통해 공기유입유로부(220)에 추가적인 압축 공기를 공급되게 하면서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는, 본체(100)의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를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후측 압력증대관(132) 및 중간 연결관(133)으로 구성된 연결유로관부(130)로 연결하고, 공기공급챔버(200)는 펌프로부터 전달되는 압축 공기를 선측 압력증대관(131)과 후측 압력증대관(132)으로 각각 다시 압축상태를 증폭시켜 공급되게 하면서 중간 연결관(133) 및 배출구(120)에서의 압축 공기 이동 속도를 동시에 증대되게 하는 바, 유입구(110)를 통한 흡입 압력의 증폭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흡입대상물의 흡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연결유로관부
131: 선측 압력증대관 132: 후측 압력증대관
133: 중간 연결관 200: 공기공급챔버
210: 공기유입구 220: 공기유입유로부
221: 공기저장유로 222: 선측분기공급유로
223: 후측분기공급유로 224: 추가공기공급구

Claims (5)

  1.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유로관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일측에는 외부에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를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과 연결시켜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연결유로관부의 선측 및 후측으로 각각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공기유입유로부가 마련된 공기공급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로관부는,
    선측이 유입구의 후단에 연결되며,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선측 압력증대관,
    후측이 배출구의 선단에 연결되며, 선측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내측으로 유입되게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후측 압력증대공이 관통 형성된 후측 압력증대관,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과 후측 압력증대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선측은 선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고, 후측은 후측 압력증대관에 결합하며, 선측 압력증대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킨 상태로 후측 압력증대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선측에서 후측으로 직경이 좁아진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추리 형태를 가지는 중간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선측에서 후측으로 직경이 좁아진 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벤츄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유로부는, 상기 공기공급챔버의 내측에 흡입대상물의 배출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 저장하는 공기저장유로와, 상기 공기저장유로의 선측을 연결유로관부의 선측에 연결시켜, 공기저장유로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의 선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선측 분기공급유로 및, 상기 공기저장유로의 후측을 연결유로관부의 후측에 연결시켜, 공기저장유로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연결유로관부의 후측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후측 분기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공기유입유로부 선측에서 선측 압력증대관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 중 일부의 압축 공기를 중간 연결관의 직경이 가장 작은 중앙 부분으로 공급되게 하도록 선측 압력증대관과 중간 연결관을 연결하는 제1공기 공급로와, 공기유입유로부 후측에서 후측 압력증대관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 중 일부의 압축 공기를 배출구의 직경이 가장 작은 중앙 부분으로 공급되게 하도록 후측 압력증대관과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공기 공급로가 형성되고,
    선측 압력증대공은 선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선측 압력증대관의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측 압력증대공은 후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 형성시 후측 압력증대관의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측 압력증대관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선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과 본체 내주면 사이에 저장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선측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 압력증대관의 선측 가장자리 외주면 및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공기유입유로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후측 압력증대관의 외주면과 본체 내주면 사이에 저장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후측 격벽이 형성된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챔버의 선측과 후측에는 공기저장유로의 선측과 후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어, 선측 분기공급유로 및 후측 분기공급유로에 외부의 압축 공기를 추가로 공급되게 하는 추가공기공급구가 더 형성된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KR2020210001226U 2021-04-20 2021-04-20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KR200496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26U KR200496271Y1 (ko) 2021-04-20 2021-04-20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226U KR200496271Y1 (ko) 2021-04-20 2021-04-20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66U KR20220002566U (ko) 2022-10-27
KR200496271Y1 true KR200496271Y1 (ko) 2022-12-15

Family

ID=8379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226U KR200496271Y1 (ko) 2021-04-20 2021-04-20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7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90B1 (ko) * 2014-09-29 2016-06-27 박정훈 배출량 조절 가능한 에어 블로워 유닛
KR101772034B1 (ko) * 2017-06-02 2017-08-28 주식회사 두웅 소형 이젝터를 구비한 선박건조용 잔수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8121B (zh) * 2016-06-14 2023-10-20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止回阀和具有止回阀的文丘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90B1 (ko) * 2014-09-29 2016-06-27 박정훈 배출량 조절 가능한 에어 블로워 유닛
KR101772034B1 (ko) * 2017-06-02 2017-08-28 주식회사 두웅 소형 이젝터를 구비한 선박건조용 잔수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66U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3277A (en) Combination sand-blasting and vacuum apparatus
JPH0258065B2 (ko)
JPS5939270B2 (ja) 微粒状物質および流体のジエツトを発生させる銃
KR20020002300A (ko) 세정 노즐 및 세정 장치
KR200496271Y1 (ko) 선박 청소용 흡입장치
JP2015208741A (ja) 深穴清掃・洗浄用の吸込用アダプ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掃除機
EP0207501A2 (en) An automatic aspirator-transfer valve, and a jet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 valve
KR101279458B1 (ko) 유체 증폭기
US20170072439A1 (en) Nozzle for a Vacuum Pump or Truck
US8366835B2 (en) Hydrodynamic nozzle
JPH10141299A (ja) 粉体噴出用エゼクタ
JP4545040B2 (ja) ブラストノズル及びこれを備えたブラストガン
KR100843390B1 (ko) 워터젯 커팅장치
US6305393B1 (en) Flushing system with pressurized air
CN108349065A (zh) 用于干冰清洗装置的干冰容器
KR102123162B1 (ko) 부스터 펌프용 하우징 장치
US2831732A (en) Granular material loader for a pneumatic conveyor
CN209953423U (zh) 一种管道通堵器
JPS60173400A (ja) ジエツトポンプ
CN216982941U (zh) 喷洒车
CN112917062B (zh) 一种密封面堆焊送丝装置
KR20190033356A (ko)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JPS63138200A (ja) ジエツトポンプ
CN117429881A (zh) 一种风力输送装置
JP2678337B2 (ja) 土砂輸送用吸引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